[1]
United States Army Military Police Corps
1. 개요
미합중국 육군의 군사경찰. ACC와 함께 육군군사경찰감실(Office of the Provost Marshal General) 소속이다. 미군에서 육군과 해병대만 Military Police라는 명칭을 사용한다.[2]임무는 경계, 교통지원(TCP), 영창 운영, 군경찰 활동, 군교도소 운영.
강간, 살인, 간첩 등의 중범죄는 미합중국 육군범죄수사국이 주로 맡지만, 5천 달러 미만의 재산 침해 범죄, 폭행, 상해 등의 경범죄는 자체적인 수사실(Military Police Investigations)을 갖춘 군사경찰의 관할이다. 군사경찰 수사관들은 미주리 포트 레오나드 우드의 육군군사경찰학교에서 수사관 교육을 따로 이수한다.
이건 어디까지나 평시 임무고 전투지역에서는 점령지역 순찰 및 질서유지, 수색정찰, 대테러 및 대게릴라, 호송 임무가 추가된다.
병과 고유기호는 장교는 31A, 사병은 31B.
2. 역사
예나 지금이나 군인들이 사고치는 일이 심심치 않게 터졌기 때문에 군사경찰의 역사는 곧 군대의 역사다. 미 육군 군사경찰 역시 미국 독립 전쟁 시절까지 역사가 거슬러 올라간다. 군사경찰감 보직 설립을 건의한 게 다름 아닌 조지 워싱턴. 대륙의회는 건의를 받아들이고 1776년 1월 최초의 대륙군 군사경찰감에 월리엄 마로니(William Maroney)를 보임한다.그러나 당시의 대륙군도 규모가 상당했기에 군사경찰감이 혼자 근무하는 걸로는 규율을 잡는 것이 불가능했고, 마로니는 다른 부대 인원들을 급한대로 파견받아 군사경찰로 써먹지만 파견자들로 부대를 정상 운영하는 건 불가능했다. 결국 1778년 5월 20일 대륙의회는 군사경찰대(Marechaussee)를 정식으로 설립하고 6월 1일 바톨로뮤 폰 히어(Bartholomew von Heer) 대위를 군사경찰대장으로 삼았다. 이때부터 군사경찰대가 나가서 죄지은 군인들을 잡아오면 군사경찰감이 그들을 구금하고 처벌하는 형태가 정착된다. 전투지역에서는 교량 경비, 주력 부대의 후위와 측면 경계, 탈영병 검거 등의 임무를 수행했고 그러다가 교전이 벌어지는 경우도 꽤 있었다.
미국이 독립하자 대륙군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Marechaussee는 1783년 11월 해체되고 기존의 장병이 사고를 치면 소속 부대에서 처벌하는 방식으로 군형사사법체계가 환원된다. 그러나 수십 년 후 미국 전체가 전쟁터로 변하자 군사경찰대는 부활하게 된다.
남북 전쟁 발발 후 북군은 군사경찰대를 부활시키지만 충분치 않자 예비역 군사경찰대(Veterans Reserve Corps)까지 조직해 후방지역을 맡겼다. 전쟁이 끝나자 연방군은 군사경찰대를 다시 해체시킨다.
그 다음 군사경찰대의 부활은 1901년 미국-스페인 전쟁. 전쟁터가 해외였기 때문에 해외 주둔군, 그 중에도 본토와 거리가 멀어 병력관리가 힘들던 필리핀에 투입되었다. 1905년 2월 17일에는 필리핀 경찰학교가 설립되는데 본래는 반란군을 억제하고 미군 병력에 대한 군사경찰 임무를 수행할 인원 양성이 목적이었으나 이후 미군이 손을 뗀 뒤에도 필리핀 정부가 자체적으로 계속 운영해서 지금은 필리핀 경찰청의 경찰학교로 굴려지고 있다.
전쟁이 끝난 후 또 해체되었던 군사경찰은 1차대전에 미군이 개입하는 것이 확정되자 1917년 전쟁부(지금의 국방부)에 의해 부랴부랴 다시 조직된다. 가장 먼저 군사경찰대가 창설된 부대는 Big Red One이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진 제1보병사단.
1917년 7월에는 후속조치로 군사경찰감실이 설립되고 1918년에는 원정군사령관 존 퍼싱의 명령으로 군사경찰조직들이 군사경찰감실에서 분리되어 각각의 부대가 된다. 퍼싱은 이후 군사경찰들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며 프랑스에 군사경찰훈련기관을 만드는 등 육군 군사경찰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다. 전후 결국 폐쇄되었다. 당시 군사경찰감이었던 해리 힐 밴홀츠(Harry Hill Bandholtz) 준장이 군사경찰학교를 정식으로 설립할 것을 건의했지만 연방의회에서는 1920년 제정된 국방법(National Defense Act)에 기존의 군사경찰부대들을 해체하지 않다고 명시하는 정도로 타협을 보았다.
또 평화로운 수십 년이 흐르고, 2차대전이 발발하자 육군은 또다시 캠프 고든, 포트 벤자민 해리슨, 포트 멕헨리 등에 군사경찰훈련기관을 설립한다. 그래도 기존 군사경찰부대들 덕분에 늘 바닥부터 다시 시작하던 과거와 달리 이번엔 군사경찰들이 금방 자리를 잡았고 그만큼 활약도 많았다. 특히 과거와 비교도 안 될 만큼 쏟아져 들어온 전쟁포로들을 큰 사고 없이 관리한 것은 군사경찰의 큰 공로였다.
1944년에는 미합중국 육군수사단이 완전히 군사경찰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오늘날처럼 군사경찰과 수사기관이 따로 나뉘게 되었다.
49년, 전쟁부가 해체되고 그 자리를 꿰찬 미국 국방부는 전쟁이 끝났으니 군사경찰대를 해체시키려 했다. 그러나 연방의회가 이를 무시하고 1950년 5월 육군조직법(Army Reorganization Act)을 제정하면서 군사경찰대는 무사히 자리를 지키며 오랜만에 찾아온 평화를 누리려고 했다.
하지만 한국 전쟁이 터지면서 미군은 다시 전시태세가 되었다. 한국에도 미군정 시절 질서 유지를 위해 주둔하던 캠프 에스컴의 55군사경찰중대를 비롯해 일부 군사경찰부대가 있었으나 전쟁을 수행하기엔 택도 없었기에 일본에서 많은 주일미군 군사경찰부대가 파견되었다. 이들의 가장 큰 임무는 보급로 유지 및 경계와 포로 관리였다.
기존에는 직접 전투에 개입하진 않았지만 미 육군 군사경찰대는 한국전쟁과 10년 뒤 베트남전 당시 구정 공세의 경험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전투도 수행하는 부대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3. 편제
자세한 내용은 미합중국 육군범죄수사국 문서 참고하십시오.구 미합중국 육군범죄수사사령부 산하 기관과 부대는 따로 구성되어 있다.[3]
- 주방위군
- 46군사경찰사령부: 미시간 주방위군.
- 260군사경찰사령부: 워싱턴 D.C. 주방위군.
- 43군사경찰여단: 로드아일랜드 주방위군.
- 118군사경찰대대
- 115군사경찰중대
- 169군사경찰중대
- 49군사경찰여단: 캘리포니아 주방위군.
- 185군사경찰대대
- 40군사경찰중대
- 270군사경찰중대
- 330군사경찰중대
- 649군사경찰중대
- 670군사경찰중대
- 870군사경찰중대
- 177군사경찰여단: 미시간 주방위군.
- 210군사경찰대대
- 1775군사경찰중대
- 1776군사경찰중대
- 46군사경찰중대
- 102군사경찰대대: 뉴욕 주방위군.
- 107군사경찰중대
- 105군사경찰중대
- 222군사경찰중대
- 104군사경찰대대: 뉴욕 주방위군.
- 442군사경찰중대
- 727군사경찰분견대
- 437군사경찰대대: 오하이오 주방위군.
- 324군사경찰중대
- 838군사경찰중대
- 323군사경찰중대
- 583군사경찰중대
- 585군사경찰중대
- 135군사경찰중대
- 850군사경찰대대: 애리조나 주방위군.
- 855군사경찰중대
- 856군사경찰중대
- 860군사경찰중대
- 192군사경찰대대: 코네티컷 주방위군.
- 143군사경찰중대
- 643군사경찰중대
- 928군사경찰중대
- 11, 119군견대
- 170군사경찰대대: 조지아 주
- 178군사경찰중대
- 179군사경찰중대
- 190군사경찰중대
- 현역
- 8군사경찰여단: 인도-태평양사령부.
- 728군사경찰대대
- 57군사경찰중대
- 58군사경찰중대
- 552군사경찰중대
- 558군사경찰중대
- 13군사경찰분견대
- 39군사경찰분견대
- 14군사경찰여단: 육군군사경찰학교.
- 701군사경찰대대
- A, B, C, D, E중대
- 787군사경찰대대
- A, B, C, D, E, F, G중대
- 795군사경찰대대
- A, B, C, D중대
- 15군사경찰여단: 포트 레벤워스 육군교도소.
- 40군사경찰대대
- 705군사경찰대대
- 16군사경찰여단: 18공수군단.
- 91군사경찰대대
- 23군사경찰중대
- 511군사경찰중대
- 563군사경찰중대
- 227군사경찰분견대
- 385군사경찰대대
- 139군사경찰중대
- 293군사경찰중대
- 546군사경찰중대
- 549군사경찰중대
- 503군사경찰대대
- 21군사경찰중대
- 65군사경찰중대
- 108군사경찰중대
- 118군사경찰중대
- 716군사경찰대대
- 163군사경찰중대
- 194군사경찰중대
- 218군사경찰중대
- 551군사경찰중대
- 561군사경찰중대
- 18군사경찰여단: 유럽사령부
- 709군사경찰대대
- 92군사경찰중대
- 527군사경찰중대
- 529군사경찰중대
- 554군사경찰중대
- 615군사경찰중대
- 146군사경찰증원소대
- 100군견대
- 131군견대
- 525군견대
- 젬바흐 기지 육군교도소
- 42군사경찰여단: 1군단
- 504군사경찰대대
- 170군사경찰중대
- 54군사경찰중대
- 571군사경찰중대
- 66군사경찰중대
- 51군사경찰분견대
- 508군사경찰대대
- 67군사경찰중대
- 595군사경찰중대
- 89군사경찰여단: 3군단
- 93군사경찰대대
- 202군사경찰중대
- 212군사경찰중대
- 591군사경찰중대
- 978군사경찰중대
- 72군사경찰분견대
- 97군사경찰대대
- 116군사경찰중대
- 287군사경찰중대
- 300군사경찰중대
- 977군사경찰중대
- 252군사경찰분견대
- 720군사경찰대대
- 64군사경찰중대
- 401군사경찰중대
- 410군사경찰중대
- 411군사경찰중대
- 759군사경찰대대
- 59군사경찰중대
- 110군사경찰중대
- 127군사경찰중대
- 984군사경찰중대
- 148군사경찰분견대
- 94군사경찰대대: USAG 험프리스.
- 55군사경찰중대 : 캠프 케이시. 한국전쟁 이전부터 한국에 주둔한 유서 깊은 부대.
- 142군사경찰중대: 용산기지 / USAG 험프리스.
- 188군사경찰중대: 캠프 캐롤 / 워커 / 헨리.
- 557군사경찰중대: USAG 험프리스.
- USACA-K : 캠프 험프리스 육군교도소.
- 519군사경찰대대: FORSCOM.
- 204군사경찰중대
- 209군사경찰중대
- 272군사경찰중대
- 91군사경찰분견대
- 예비역
- 200군사경찰사령부: 예비군사령부.
- 11군사경찰여단
- 96군사경찰대대
- 320군사경찰대대
- 324군사경찰대대
- 400군사경찰대대
- 607군사경찰대대
- 744군사경찰대대
- 290군사경찰여단
- 160군사경찰대대
- 304군사경찰대대
- 317군사경찰대대
- 535군사경찰대대
- 724군사경찰대대
- 300군사경찰여단
- 327군사경찰대대
- 384군사경찰대대
- 391군사경찰대대
- 530군사경찰대대
- 785군사경찰대대: 유사시 육군교도소 지원.
- 333군사경찰여단
- 306군사경찰대대
- 310군사경찰대대
- 336군사경찰대대
- 304군사경찰중대
- 305군사경찰중대
- 307군사경찰중대
- 400군사경찰대대: 유사시 육군교도소 지원.
- 88군사경찰중대
- 352군사경찰중대
- 372군사경찰중대
- 443군사경찰중대
- 320군사경찰대대
- 744군사경찰대대
- 340군사경찰중대
- 343군사경찰분견대
- 348군사경찰분견대
- 423군사경찰중대
- 812군사경찰중대
- 367군사경찰중대
- 220군사경찰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