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2 19:36:42

토리당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토리당이 별명인 정당들}}}에 대한 내용은 [[토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리#s-2|2]]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토리당이 별명인 정당들: }}}[[토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리#s-2|2]]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영국 보수정당
파일:보수당(영국) 아이콘.svg 파일:개혁 영국 로고.svg 파일:민주연합당 로고.svg
케미 베이드녹 나이젤 패라지 개빈 로빈슨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내각 대처 내각 · 메이저 내각 · 캐머런 내각 · 메이 내각 · 존슨 내각 ·
트러스 내각 · 수낙 내각
사상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대처주의 · 제국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보수자유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유럽회의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군주주의 · 대안 우파 · 엘리트주의
정치인 총리 존 스튜어트 · 윌리엄 피트 · 아서 웰즐리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스탠리 볼드윈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알렉 더글러스흄 · 마거릿 대처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리즈 트러스 · 리시 수낙
야당 당수 윌리엄 헤이그 · 이언 덩컨 스미스 · 마이클 하워드 ·케미 베이드녹
국무의원 리시 수낙 내각
국회의원 제58대 보수당 국회의원
그 외 인물 토머스 칼라일
에드먼드 버크
언론 데일리 메일 · 데일리 익스프레스 · 데일리 텔레그래프 · 이브닝 스탠더드 · 더 타임스 · 더 썬 · GB News
관련 주제 대영제국 · 미들 잉글랜드 · 일국 보수주의 · 자유시장 포럼 · 블루칼라 보수주의 · 근력 자유주의 · 토리 사회주의 · TERF의 섬
영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개요2. 상세3. 여담4. 관련 틀

1. 개요

Tory Party

잉글랜드에 존재했던 정당.

역사적으로 두 개의 토리당이 존재했는데, 하나는 1661년부터 1760년대까지 존재했던 토리이고, 다른 하나는 1783년부터 소(小) 윌리엄 피트를 중심으로 기존의 휘그당에서 나와 독자적 세를 이루며 형성된 토리이다. 즉 따지고 보면 두 당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후자가 전자의 이름을 가져온 것이다.

2. 상세

1661년부터 1760년대까지 존속했던 토리당은 제임스 2세왕위 계승에 찬성한 이들로 이뤄진 당으로, 이름의 유래도 이때 휘그당이 찬성파들을 토리즈(Tories)[1]라고 부른 것이라고 추측된다. 1688년 명예혁명 때는 휘그당과 협력했지만, 이후 하노버 왕조가 이어지면서 휘그당이 내각을 주도하자 약 50년 동안 듣보잡 취급을 받고 세가 약해져, 1760년대 중반부터는 영국 의회에서 토리당의 당원이라 불릴 만한 사람이 한 명도 없게 되었다. 당시의 토리당은 온건 중도와 진보적 리버럴파 중심의 휘그당에 맞서는 반동적 왕당파에 가까웠다.[2]

이후 시간이 지나 소(小) 윌리엄 피트와 그를 따르는 의원들이 휘그당에서 나와 독자 세력을 이루게 되는데,[3] 이들은 초창기에는 "독립파 휘그(Independent Whigs)" 또는 "피트주의자(Pittites)"로 불렸으나, 피트의 사후 "토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고 1812년부터는 아예 토리가 이들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정착하게 된다. 과거 토리당과 달리 휘그당에서 갈라져 나온 세력답게 자유민주주의를 수용한 온건 보수를 견지하면서 이후 휘그당과 경쟁하며 영국 정치를 양분하게 된다.

1832년에는 로버트 필에 의해 보수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840년대에는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하던 보수당 정책에 맞서 곡물법 폐지를 통한 자유무역 확대를 주장한 로버트 필을 지지하던 필파들(Peelites)이 보수당을 빠져나와 휘그당의 후신인 자유당과 합치게 된다. 이들 탈당파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 훗날 자유당을 이끌고 보수당 대표인 벤자민 디즈레일리와 경쟁하게 되는 윌리엄 글래드스턴이다. 1900년대 초반까지 영국에서 지속된 보수당과 자유당의 양당 체제는 이때를 기점으로 확립된다.

3. 여담

토리라는 표현은 지금도 영국이나 캐나다 같은 일부 영미권에서 보수당이나 보수당 지지자를 지칭하는 속어로 자주 쓰이고 있다. TV 뉴스나 신문에서도 곧잘 등장한다. 샤이 토리가 대표적인 예.[4]

4. 관련 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에드워드 하이드 존 언레 찰스 2세 제임스 2세
제5대 공석 공석 공석
토마스 오스본 공석 공석 공석
공석 제6대 제7대 제8대
공석 시드니 고돌핀
존 처칠
존 처칠 시드니 고돌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로버트 할리 헨리 세인트 존 윌리엄 윈덤 헨리 세인트 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왓킨 윌리엄스윈 에드먼드 이샴 프레더릭 노스 윌리엄 피트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헨리 애딩턴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로버트 젠킨슨 아서 웰즐리
휘그당 당수
보수당 당수
}}}
}}}}}} ||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녹색 보수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온정적 보수주의
사회적 시장경제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재정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신우파 현대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교권주의 (교권 파시즘) 토착민주의 반동주의 국민보수주의(일부)
인종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급진적 우파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기독교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 종교 시오니즘 전통주의 가톨릭 힌두트바 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융합주의 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위정척사사상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혁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중도실용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뉴라이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우익 파일:일본 국기.svg 청년민족파 파일:일본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근력 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블루칼라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토리 사회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레이건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대안 우파 파일:미국 국기.svg 입헌보수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 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밀레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권위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신유교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삼민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 폴크헴메트 파일:스웨덴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만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독일의 보수주의 러시아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
영국의 보수주의 인도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 일본의 보수주의 호주의 보수주의
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연관 이념
보수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 보수주의 흑인 보수주의 유사 파시즘 우익대중주의
군주주의 (왕당파) 사회자유 보수주의 에스닉 내셔널리즘 제국주의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우익사회주의 출생주의 탈자유주의 남성주의 성적 억압
네오내셔널리즘 동화주의
연관 개념
전통 법과 질서 권위 가족 충성
위계 자연법 정통성 도덕 사회 질서
가부장제 가속주의
기타
우익 정치 아시아적 가치 보수좌파 탈파시즘 백색 테러
반공주의 반사회주의 안티페미니즘 우익 반자본주의 반자유주의
부르주아 정당 친생명 귀족주의 영국 연합주의 블루 타이드
엘리트주의 백래시 힘에 의한 평화 시니스트리슴 반혁명
정체성 정치 군사 케인스주의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무슬림 형제단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에라스뮈스 재단
황국협회 보수정치행동회의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상징 | 역사 | 인물
}}}}}}}}} ||



[1] 아일랜드어로 유적(流賊). "해적"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유적은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도적들을 의미한다. 의미가 어찌 되었건 가톨릭에 대한 은유다. 그러나 실상 토리당의 주축은 고교회파 성공회였다. 휘그당의 강경 개신교 입장에서는 가톨릭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보였겠지만.[2] 그렇다고 해도 군주국인 영국에서 휘그당이 왕당파가 아닌 것은 아니다.[3] 참고로 1770년대 집권한 프레더릭 노스 총리도 최종적으론 휘그당에서 나온 토리당 인사긴 했지만, 이쪽 토리당과는 연관성이 없다. 오히려 이쪽은 폭스-노스 연합 정권을 구축하고 반 윌리엄 피트 세력을 자처했다.[4] 사족으로 토리당의 반대당이었던 휘그당이나 휘그라는 속어는 오늘날 토리 만큼 자주 쓰이진 않는데, 이는 오늘날 영국의 주요 좌파 정당인 노동당이 휘그당을 직접 계승한 당이 아니고, 계보상 적통 계승자 격인 자유민주당도 노동당보다 세력이 약한데다 자유당을 한번 거쳐오며 여러 당의 이합집산이 이뤄진 점 등 때문도 있어 보인다. 물론 아예 안 쓰이는 건 아니라, 2014년 휘그당의 후신이라고 자칭하는 정당이 창당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