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해군 군함 | |||
구잠함(PC) |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 |||
초계함(PG) | 더뷰크급, 이리급 | |||
호위함(FF) |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 |||
호위구축함(DE) |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 |||
구축함(DD) |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 |||
잠수함(SS) |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 |||
경순양함(CL) |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 |||
중순양함(CA) |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 |||
대형순양함(CB) | 알래스카급, | |||
순양전함(CC) | ||||
전함(BB) |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 |||
호위항공모함(CVE) |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 |||
경항공모함(CVL) |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 |||
정규항공모함(CV) |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 |||
수상기모함(AV) |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 |||
병원선(AH) |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 |||
군수지원함 | 키어사지AB, 베스탈AR | |||
잠수함모함(AS) | 풀턴급 | |||
구축함모함(AD) | 딕시급 | |||
소해함 |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 |||
어뢰정 | PT 보트 | |||
공격수송함 |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 |||
연습항공모함 | 울버린급, 세이블급 | |||
지휘함 |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 |||
기타 함선 | USS QUARTZ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colbgcolor=#002664> |
Cannon-Class Destroyer Escort[1] |
1. 개요
태국 해군의 캐논급, DE-413 HTMS 삔 끌라오 |
주로 선단호위용이었던 관계로 속력은 20노트대다.
로버트 미쳠 주연의 1960년작 영화 상과 하에 등장해 독일 잠수함과 사투를 벌인다.
2. 제원
캐논급 호위구축함 Cannon-Class Destroyer Escort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호위구축함 (DE) | ||
이전급 | 버클리급 호위구축함 | ||
다음급 | 에드솔급 호위구축함 (미국) 동해급 초계함 (대한민국) | ||
기준배수량 | 1,240톤 | ||
만재배수량 | 1,620톤 | ||
전장 | 93.3m | ||
전폭 | 11m | ||
흘수선 | 3.5m | ||
동력 | <colbgcolor=#eee> 방식 | 디젤 엔진 | |
기관 | 제너럴 모터스 모델 16-278A 디젤엔진 4기 (각 1,500HP / 총 6,000HP) | ||
추진 | 프로펠러 2축 | ||
속도 | 21노트 (39km/h) | ||
항속거리 | 12노트 순항시 20,000km | ||
승무원 | 승조원 201명, 장교 15명 | ||
사통장치 | Mk.63 GFCS 함포사격통제장치 | ||
무장 | 함포 | Mk.22 76mm 50구경장 양용포 3문 | |
''' 대공포 ''' | 보포스 Mk.1 40mm 56구경장 쌍열 대공포 1문 | ||
오리콘 Mk.4 20mm.70구경장 기관포 8문 | |||
대잠 | 3연장 533mm 어뢰발사관 1문 ┗ Mk.15 어뢰 | ||
Mk.10 헤지호그 178mm 24연장 대잠박격포 1문 | |||
Mk.6 폭뢰 투사기 8문 Mk.9 폭뢰 투하 레일 2기 |
3. 상세
허드슨강에서 예인되는 박물관함 USS 솔터 |
2차대전 당시 현용 구축함 외에 더 작고 저렴한 군함을 건조할 필요성이 1939년 미 해군의 여러 장교 및 제독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러한 "2등급" 구축함들은 일선 구축함들이 맡기엔 비효율적인 호송 및 보조 임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원래 해군 위원회는 그런 컨셉의 군함 건조를 반대했지만, 1940년에는 상황이 급격하게 바뀌었고, 그 결과 몇몇 설계안들이 제작되었다. 조선사들은 구축함의 무장을 유지한 채 배수량을 1,000~1,200톤으로 줄이는 방법을 시도했기 때문에 작은 함체에 무장을 구겨넣어 매우 비좁은 형태를 띄었고, 그런 설계안들은 모두 채택되지 않았다.
그러나 1941년 1월에 의회에서 호위구축함 50척 건조에 대한 결정이 승인되자. 위원회는 어떻게든 설계를 마무리 짓게 하기 위해 25노트 이상의 속력 및 5인치 양용포 탑재 등의 요구 사항을 하향조정해서 20노트급 속력에 3인치 주포를 지닌 1,140톤급의 새 설계안이 완성되었다.
그러나 여러 사정으로 인해 1941년 5월에 호위구축함 건함 계획은 취소되었다. 그런데 영국측 시찰단이 이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이 덕에 사업은 살아남을 수 있었다. 1941년 6월에는 영국측에서 대공포를 3인치로 교체하고, 기동성 향상을 위한 2개의 방향타 설치, 영국식 함교 설치 등의 수정을 거친 후 해당 함급 100척을 건조할 수 있는지 문의해왔다.
이후 1941년 8월 15일, 영국 해군용 함정 50척의 건조 계획이 루즈벨트 대통령의 승인을 받았다. 동시에 미 해군부는 미군용 호위구축함들 같이 획득하자고 제안했지만, 당시엔 거부되었고 1941년 11월이 되어서야 미 해군의 첫 번째 호위구축함 건조 계약이 발주되었다.
캐논급은 Diesel Electric Tandem drive[2]의 약자인 DET급 이라는 이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4. 동형함 목록
총 72척의 캐논급이 4차선에 걸쳐 건조되었다.- DE-99 ~ DE-113
- DE-162 ~ DE-197
- DE-739 ~ DE-750
- DE-763 ~ DE-771
5. 미국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 ||||
함번 | 함명 | 함생 | ''' 건조사 ''' | 비고 |
DE-99 | USS 캐논 USS Cannon | 기공일: 1942.11.14. | 드라보 | 공여[BR] |
진수일: 1943.5.25. | ||||
취역일: 1943.9.26. | ||||
퇴역일: 1944.12.19. | ||||
DE-100 | USS 크리스토퍼 USS Christopher | 기공일: 1942.12.7. | 공여[BR] | |
진수일: 1943.6.19. | ||||
취역일: 1943.10.23. | ||||
퇴역일: 1944.12.19. | ||||
DE-101 | USS 앨저 USS Alger | 기공일: 1943.1.2. | 공여[BR] | |
진수일: 1943.7.8. | ||||
취역일: 1943.11.12. | ||||
퇴역일: 1945.3.10. | ||||
DE-102 | USS 토마스 USS Thomas | 기공일: 1943.1.16. | 공여[TW] | |
진수일: 1943.7.31. | ||||
취역일: 1943.11.21. | ||||
퇴역일: 1946.3.13. | ||||
DE-103 | USS 보스트윅 USS Bostwick | 기공일: 1943.2.6. | 공여[TW] | |
진수일: 1943.8.30. | ||||
취역일: 1943.12.1. | ||||
퇴역일: 1946.4.30. | ||||
DE-104 | USS 브리먼 USS Breeman | 기공일: 1943.3.20. | 공여[TW] | |
진수일: 1943.9.4. | ||||
취역일: 1943.12.12. | ||||
퇴역일: 1946.4.26. | ||||
DE-105 | USS 버로우즈 USS Burrows | 기공일: 1943.3.24. | 공여[NL] | |
진수일: 1943.10.2. | ||||
취역일: 1943.12.19. | ||||
퇴역일: 1946.6.14. | ||||
| | 기공일: 1943.4.24. | 이전[FR1] | |
진수일: 1943.11.11. | ||||
| | 기공일: 1943.5.13. | 이전[FR1] | |
진수일: 1943.11.27. | ||||
DE-108 | USS 크로슬리 USS Crosley | 기공일: 1943.6.23. | 공여[FR2] | |
진수일: 1943.12.17. | ||||
취역일: 1944.2.10. | ||||
퇴역일: 1944.2.11. | ||||
DE-109 | USS 매로케인 USS Marocain | 기공일: 1943.9.7. | 공여[FR2] | |
진수일: 1944.1.1. | ||||
취역일: 1944.2.29. | ||||
퇴역일: 1944.2.29. | ||||
DE-110 | USS 호바 USS Hova | 기공일: 1943.9.25. | 공여[FR2] | |
진수일: 1944.1.22. | ||||
취역일: 1944.3.18. | ||||
퇴역일: 1944.3.18. | ||||
| | 기공일: 1943.10.23. | 이전[FR1] | |
진수일: 1944.2.12. | ||||
DE-112 | USS 카터 USS Carter | 기공일: 1943.11.19. | 공여[TW] | |
진수일: 1944.2.29. | ||||
취역일: 1944.5.3. | ||||
퇴역일: 1946.4.10. | ||||
DE-113 | USS 클라렌스 L. 에반스 USS Clarence L. Evans | 기공일: 1943.12.23. | 공여[FR3] | |
진수일: 1944.3.22. | ||||
취역일: 1944.6.25. | ||||
퇴역일: 1947.5.29. | ||||
DE-162 | USS 레비 USS Levy | 기공일: 1942.10.19. | FSDC [18] | 1974.7.17 해체 |
진수일: 1943.3.28. | ||||
취역일: 1943.5.13. | ||||
퇴역일: 1947.4.4. | ||||
DE-163 | USS 맥코넬 USS McConnell | 기공일: 1942.10.19. | 1974.3.21. 해체 | |
진수일: 1943.3.28. | ||||
취역일: 1943.5.28. | ||||
퇴역일: 1946.6.29. | ||||
DE-164 | USS 오스터하우스 USS Osterhaus | 기공일: 1942.11.11. | 1974.5.30. 해체 | |
진수일: 1943.4.18. | ||||
취역일: 1943.6.12. | ||||
퇴역일: 1946.6.26. | ||||
DE-165 | USS 파크스 USS Parks | 기공일: 1942.11.11. | 1973.10.15. 해체 | |
진수일: 1943.4.18. | ||||
취역일: 1943.6.22. | ||||
퇴역일: 1946년 3월 | ||||
DE-166 | USS 바론 USS Baron | 기공일: 1942.11.30. | 공여[UY] | |
진수일: 1943.5.9. | ||||
취역일: 1943.7.5. | ||||
퇴역일: 1946.4.26. | ||||
DE-167 | USS 에크리 USS Acree | 기공일: 1942.11.30. | 1973.7.19. 해체 | |
진수일: 1943.5.9. | ||||
취역일: 1943.7.19. | ||||
퇴역일: 1946.4.1. | ||||
DE-168 | USS 애믹 USS Amick | 기공일: 1943.1.14. | 공여[JP] | |
진수일: 1943.5.27. | ||||
취역일: 1943.8.29. | ||||
퇴역일: 1945.12.10. | ||||
DE-169 | USS 애서튼 USS Atherton | 기공일: 1943.3.20. | 공여[JP] | |
진수일: 1943.9.4. | ||||
취역일: 1943.12.12. | ||||
퇴역일: 1946.4.26. | ||||
DE-170 | USS 부스 USS Booth | 기공일: 1943.1.30. | 공여[PH] | |
진수일: 1943.6.21. | ||||
취역일: 1943.9.19. | ||||
퇴역일: 1946.6.14. | ||||
DE-171 | USS 캐럴 USS Carroll | 기공일: 1943.1.30. | 1966.12.29. 해체 | |
진수일: 1943.9.4. | ||||
취역일: 1943.10.24. | ||||
퇴역일: 1946.6.19. | ||||
DE-172 | USS 쿠너 USS Cooner | 기공일: 1943.2.22. | 1973.11.1. 해체 | |
진수일: 1943.7.25. | ||||
취역일: 1943.8.21. | ||||
퇴역일: 1946.6.25. | ||||
DE-173 | USS 엘드리지 USS Eldridge | 기공일: 1943.2.22. | 공여[GR] | |
진수일: 1943.7.25. | ||||
취역일: 1943.8.27. | ||||
퇴역일: 1946.6.17. | ||||
DE-174 | USS 마츠 USS Marts | 기공일: 1943.4.26. | 공여[BR] | |
진수일: 1943.8.8. | ||||
취역일: 1943.9.3. | ||||
퇴역일: 1945.3.20. | ||||
DE-175 | USS 페네윌 USS Pennewill | 기공일: 1943.4.26. | 공여[BR] | |
진수일: 1943.8.8. | ||||
취역일: 1943.9.15. | ||||
퇴역일: 1944.8.1. |
5.1. 자유 프랑스
- USS Corbesier (DE-106) as Sénégalais
- USS Cronin (DE-107) as Algérien
- USS Crosley (DE-108) as Tunisien
- USS Marocain (DE-109) as Marocain
- USS Hova (DE-110) as Hova
- USS Somali (DE-111) as Somali
5.2. 브라질
- USS Alger (DE-101) as Babitonga
- USS Cannon (DE-99) as Baependi
- USS Christopher (DE-100) as Benevente
- USS Herzog (DE-178) as Beberibe
- USS Marts (DE-174) as Bocaina
- USS McAnn (DE-179) as Bauru
- USS Pennewill (DE-175) as Bertioga
- USS Reybold (DE-177) as Bracui
5.3. 우루과이
- USS Baron (DE-166) as Uruguay (DE-1); served 1952–1990
- USS Bronstein (DE-189) as Artigas (DE-2); served 1952–1988
5.4. 그리스 왕국
- USS Eldridge (DE-173) as Leon II; served 1951–1992
- 유명한 음모론인 필라델피아 실험(프로젝트 레인보우)의 주인공으로 유명한 함선이다. 항목 참고.
- USS Slater (DE-766) as Aetos II; served 1951–1991
- USS Ebert (DE-768) as Ierax II; served 1951–1991
- USS Garfield Thomas (DE-193) as Panthir II; served 1951–1992
5.5. 이탈리아
- USS Wesson (DE-184) as Andromeda (F-592) 1951; scrapped in 1972
- USS Thornhill (DE-195) as Aldebaran (F-590) 1951; scrapped in 1976
- USS Gandy (DE-764) as Altair (F-591) 1951; stricken and sunk as target in 1971
5.6. 일본
2번함 DE-263 하츠히.
あさひ型護衛艦
Asahi-class destroyer escort
아사히급 호위함
1955년 6월 미일함정대여협정으로 일본 해상자위대에 2척이 대여되었고, 아사히급 호위함이라는 명칭으로 운용했다. 이후 필리핀 해군에게 양도되었다.
일본명 | 미국명 | 운용기간 |
DE-262 あさひ(아사히) | DE-168 Amick | 1955년 ~ 1975년: 이후 필리핀에게 공여, 다투 시카투나로 개명, 1988년 퇴역. |
DE-263 はつひ(하츠히) | DE-169 Atherton | 1955년 ~ 1975년: 이후 필리핀에게 공여, 라쟈 후마본으로 개명되어 2011년까지 운용됨 |
5.7. 네덜란드
USS Burrows (DE-105) as Van Amstel (F806) 1950USS Rinehart (DE-196) as Bitter (F807) 1950
USS Gustafson (DE-182) as Van Ewijck (F808) 1950
USS O'Neill (DE-188) as Dubois (F809) 1950
USS Eisner (DE-192) as Zeeuw (F810) 1950
USS Stern (DE-187) as van Zijll (F811) 1950
5.8. 페루
USS Bangust (DE-739) as BAP Castilla; served 1951–1979USS Waterman (DE-740) as BAP Aguirre; served 1951–1974
USS Weaver (DE-741) as BAP Rodríguez; served 1951–1979
5.9. 필리핀
BRP Rajah Humabon (PF-11) of the Philippine NavyUSS Amick (DE-168) as BRP Datu Sikatuna (PF-5); scrapped in 1989
USS Atherton (DE-169) as BRP Rajah Humabon (PF-11); still in service
USS Booth (DE-170) as BRP Datu Kalantiaw (PS-76); sunk during a typhoon in 1981
USS Muir (DE-770)—cannibalized for spares
USS Sutton (DE-771)—cannibalized for spares
5.10. 중화민국(대만)
USS Thomas (DE-102) as ROCN Taihe (太和)USS Bostwick (DE-103) as ROCN Taicang (太仓)
USS Breeman (DE-104) as ROCN Taihu (太湖)
USS Carter (DE-112) as ROCN Taizhao (太昭)
5.11. 태국
USS Hemminger (DE-746) as HTMS Pin Klao (413)5.12. 대한민국
한국명(전함종류) | (미국명) | 기타 |
DE-71 경기 | DE-770 Muir | 1956년 ~ 1977년: 필리핀에게 공여, 분해하여 예비부품으로 사용. |
DE-72 강원 | DE 771 Sutton | 1956년 ~ 1977년: 필리핀에게 공여, 분해하여 예비부품으로 사용. |
한국에서의 운용에 대한 정보는 경기급 호위구축함 참조.
5.13. 기타
USS Slater (DE-766) - 군함박물관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
SSM | 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가자미급나포, 범고래급정 | ||
SSN | |||
항공모함 | |||
아스널십 | {합동화력함} | ||
구축함 | DDG |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 |
DDH |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 ||
DD | 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 ||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 ||
호위함 | FFG |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 |
FF | 울산급 | ||
PF | 두만강급R | ||
초계함 | PCC | 동해급R, 포항급 | |
경비함정 (PG, PCS, PC, PCE) |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백두산함)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 ||
유도탄고속함 | PKG | 윤영하급 | |
PGM | 백구/검독수리급R | ||
PKMM | 기러기 121·122R | ||
고속정 | PKM PKMR |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 |
PB SB FB PK |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 ||
PT | 갈매기급R | ||
상륙함 | LPH | 독도급 | |
LST-II (LSD) | 천왕봉급 | ||
LST | 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 ||
LSM LSMR | 대초급R 시흥R | ||
상륙정 | LSF | 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 |
LCU | 물개급 | ||
LCI LSSL |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 ||
기뢰부설함 | LSML MLS | 풍도·울릉R 원산, 남포 | |
소해함 | MSC MHC MHS |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MSH-II} | |
소해정 | YMS JMS AMS |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 |
군수지원함 | AOE | 천지급, 소양급 | |
수상함구조함 | ARS ATS |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 |
잠수함구조함 | ASR | 청해진, 강화도 | |
훈련함 | ATH | 한산도 | |
정보함 | AGS | 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AGX-III} | |
잠수정모함 | ASL | 남양정·R, 다도해R | |
수리함 | ARL | 덕수R | |
수송함 | AKL | 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 |
유조함 | YO AO AOR |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 |
예인함 | ATA | 인왕R, 용문R, 도봉R | |
전투근무지원정 | 전투정 |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 |
근무지원정 | 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 ||
기타 | 단정, 주정 |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 |
유인기 | 심해구조잠수정(DSRV) | ||
무인기 |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무인전력지휘통제함} | ||
타기관 함정 | 육군, 국과연 | 육군경비정육, 교량 가설 단정육, 선진과·R, 지심과, 미래과, 청해과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 ※ 윗첨자정: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육: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과: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
※ 둘러보기: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b76e79,#914852>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 ||||
잠수함 (SS) | <colbgcolor=#fff,#191919>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 ||||
경비정 (PC) | 유리급R, PT9R | ||||
구잠정 (PC) |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 ||||
미사일 고속정 (PG) |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 ||||
초계프리깃 (PF) | 쿠스급R | ||||
다목적 프리깃 (FFM) | 모가미급, {신형 FFM} | ||||
호위구축함 (DE) |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 ||||
구축함 | 구축함 (DD) |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 |||
방공구축함 (DDG) |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 ||||
헬기구축함 (DDH) |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 ||||
다용도 운용모함 (DDH) | 이즈모급 | ||||
상륙정 |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 ||||
상륙함 |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 ||||
기뢰전함 | 소해모함 |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 |||
소해함 |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 ||||
소해정 |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 ||||
소해관제정 |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 ||||
구조함 |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 ||||
군수지원함 | 보급함 |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 |||
급유함 | 하마나R | ||||
연료수송함 | YOT-1급 | ||||
잠수함모함 | 수중처분모선 1호형 | ||||
다용도 지원함 |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 ||||
정보수집함 | 해양측정함 |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 |||
음향측정함 | 히비키급 | ||||
쇄빙함 |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 ||||
시험함 | 구리하마R, 아스카, {타이게이} | ||||
특무정 |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 ||||
훈련함 | 연습함 (TV) |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 |||
훈련지원함 (ATS) | 쿠로베, 텐류 | ||||
연습잠수함 (TSS) |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SS) | <colbgcolor=#fefefe,#191919>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 |||
구잠함 |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 ||||
고속정 (PC) | PCA급, PCL급 | ||||
미사일 고속정 (PG) |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 ||||
초계함 (FF) |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 ||||
호위구축함 (DE) |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 ||||
호위함 (FF) |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 ||||
구축함 | 구축함 (DD) | ||||
방공 구축함 (DDG) | 지룽급 | ||||
상륙정 |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 ||||
상륙함 | LPD | 위산급 | |||
LSD |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 ||||
LST |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 ||||
LSM | 메이전급R | ||||
LSSL | 리안지급R | ||||
소해함 |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 ||||
수송함 | 윈펑급 | ||||
군수지원함 | 우이급, 판시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 네덜란드 해군 함선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네덜란드 왕립해군 (1945~현재) Koninklijke Marine | ||||
<colbgcolor=#fff,#191919> 잠수함 | 즈바르디스급초대M/R, 발루스급초대R, 도펭급R, 즈바르디스급2대R, 발루스급2대, {오르카급} | ||||
고속정 | PB01급R, 야구알급R | ||||
원양초계함 | 홀란트급 | ||||
초계함 | 링스R, 발데르급R | ||||
호위함 | <colbgcolor=#fff,#191919> 호위함 | 요한 마우리츠 반 나소R, 반 암스텔급R, | |||
다목적 호위함 | 트롬프급R, 반 스페이크급M/R, 코르테나르급R, 카렐 도어만급, {ASWF} | ||||
방공 호위함 |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급M/R,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FuAD} | ||||
구축함 | 울프급R/+, 어드미랄렌급R/+, 제라드 칼렌버그급R/+, 홀란트급R, 프리슬란트급R, 피트 헤인급R, 반케르트R | ||||
순양함 | 홀란트급R/+, 자바급R/+, 더 라위터르급R/+, 트롬프급R,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R | ||||
순양전함 | |||||
전함 | |||||
해방함 | 코닝긴 레헨테스급R/+, 더 제번 프로빈시엔(1909)R/+, 에버슨급R/+ | ||||
상륙정 | LCT(3)R, L9609R, RV40R, LCU Mk.II, LCVP Mk.Vc | ||||
상륙함 | LPD | 로테르담급 | |||
LST | LST-3R, 펠리칸급R | ||||
기뢰소해함 | 베임스터르급R, 온버사그드급R, 도쿰급R, 알블라스급R, 알크마르급 | ||||
군수지원함 | 쥐더크루스급R, 암스테르담급R, 펠리칸급, 카렐 도어만급, {덴 헬더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넬리우스급, 라우메스 | ||||
경항공모함 | 카렐 도어만M/R | ||||
기타 군함 | 판 킨스베르헌 포함M/R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전 해체 및 계획 취소되었지만 편의상 틀에 넣은 함급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페루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d91023> 잠수함 | 페레급R, R급R, 아브타오급R, 안가모스급 | |||
고속정 | 가디언 리오스R, 두에나스R, 우니온R, 로레토급, 마라뇬급, 클라베로급 | ||||
초계함 | 벨라르데급, 페레급 | ||||
원양초계함 | 리오 파티빌카급 | ||||
호위함 | 테니엔테 갈베즈급R, 카르바할급 | ||||
호위구축함 | 아귀레급R | ||||
구축함 | 빌라급R, 팔라시오스급R, 가르시아 이 가르시아R,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 ||||
순양함 | 콜로넬 볼로그네시급R, 알미란테 그라우급R | ||||
상륙함 | <colbgcolor=#d91023> LPD | 피스코급 | |||
LST | 파이타급R, 칼라오급 | ||||
군수지원함 | 바요바르R, 조리토스R, 탈라라R, 로비토스R, 칼로예라스급, 노구에라급, 타크나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페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 태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타이 왕립 해군 (1945~현재) กองทัพเรือ | Royal Thai Navy | ||
'''[[잠수함| 잠수함 ]]''' | ''' SSK ''' | {마차누급(2대)} | 마차누급R(초대/1937) | |
강상 경비정 (PBR) | R.51급 | R.41급 | R.31급 | R.21급 | R.3130급 | R.121급 | Mk.II급 | ||
구잠정 (PC) | PC-461급R | ||
어뢰정 (PT) | 촌보리급R | 클롱야이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T.997급 | T.994급 | T.991급 | M58급 | M36급 | M21급 | 후아 힌급 | 촌부리급 | 사타힙급 | BMB-230급R | FPB-45급R | 사라싱급R | |
원양초계함(OPV) | 크라비급 | 파타니급 | ||
<colbgcolor=#2D2A4A> '''[[초계함| 초계함 ]]''' | <colbgcolor=#2D2A4A> ''' 슬루프 ''' | 메클롱급R | 차오 프라야급R(초대/1922) | |
''' PCE ''' | 캄론신급 | 따삐급 | 방빠꽁급R | ||
''' PCG ''' | 라따나꼬신급(2대/1986) | ||
해방함 | 톤부리급R | 라따나꼬신급R(초대/1929) | ||
'''[[호위함| 호위함 ]]''' | PF | 타친급R(2대/1951) | |
FF | 차오 프라야급(2대/1995) | 풋타엿파쭐라록급R | ||
''' FFG ''' | 푸미폰 아둔야뎃급 | 나레수안급 | ||
'''[[구축함| 구축함 ]]''' | DD | 프라 루앙급R | |
경항공모함 | 차크리 나루에벳 | ||
'''[[소해함| 소해함 ]]''' | ''' MCS ''' | 탈랑급 | |
''' MSC ''' | MSC-294급R | YMS-1급R | ||
''' MHC ''' | 랏 야급 | 방 라짠급(2대/1987) | 포쌈톤급R | 방 라짠급R(초대/19938) | ||
'''[[상륙함| 상륙함 ]]''' | '''[[상륙수송선거함| LPD ]]''' | 창급(2대/2023) | 앙통급(3대/2012) | |
'''[[전차상륙함| LST ]]''' | 시창급(2대/1987) | 앙통급R(2대/1947) | ||
'''[[중형상륙함| LSM ]]''' | LSM-1급R | ||
'''[[상륙정| 상륙정 ]]''' | ''' LCU ''' | 마녹급 | 통까에오급 | |
''' LCT ''' | LCT Mk.6R | ||
''' LSSL ''' | LCS(L)(3)-1급R | ||
''' LCI ''' | LCI-351급R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끌렛까에오급R | 출라급R(초대/1941) | 시창급R(초대/1938) | 앙통급R(초대/1918) | 창급R(초대/1902) | |
''' 급유함 (AOR) ''' | 시밀란급 | ||
''' 해저 조사선 (AGOR) ''' | 파루하사보디급 | 짠급 | 쏙급 | ||
지원정 | YO (급유 바지) 마뜨라급 | 쁘릇급 | 출라급(2대/1980) | YOG-5급 | 쁘롱급 |YTM/YTL (예인정) 빤이급 | 린급 | 사메산급 | 끌룽 바단급 | ||
훈련함 | 마꿋 라차쿠만 | 삔 끌라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위 사진은 DE-99 캐논[2] 디젤 전기 이중구동[BR] 조기 퇴역 후 브라질로 공여[BR] [BR] [TW] 대만으로 공여[TW] [TW] [NL] 네덜란드에 공여[FR1] 취역하지 않고 자유 프랑스로 이관[FR1] [FR2] 랜드리스의 일환으로 자유 프랑스에 공여[FR2] [FR2] [FR1] [TW] [FR3] 전후 프랑스 제4공화국으로 공여[18] Federal Shipbuilding and Drydock Company: 연방 조선&건선거 회사[UY] 우루과이에 공여[JP] 전후 일본 해상자위대로 공여[JP] [PH] 전후 필리핀에 공여[GR] 전후 그리스 왕국에 공여[BR]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