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7408b> 잠수함 | <colbgcolor=#27408b> SS |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 ||
| SSG | 그레이백급R | ||||
| SSN |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 ||||
| SSGN | 오하이오급* |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 ||||
| 고속정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 ||||
| 호위함 | DE |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 |||
| FF |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녹스급R | ||||
| FFG | 브룩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컨스텔레이션급} | ||||
| LCS |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
| 구축함 | DD |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 IIM/R, 기어링급 FRAM 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
| DDG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 ||||
| 순양함 | CL | 클리블랜드급R, 파고급R, 우스터급R | |||
| CA | 볼티모어급R, 오리건시티급R, 디모인급R | ||||
| CG |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타이콘데로가급, | ||||
| CGN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 전함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
| LPH | 이오지마급R | ||||
| LHD | 와스프급 |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 ||||
| LSD | 캐사그랜디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위드비 아일랜드급, 하퍼스 페리급 | ||||
| LST | 뉴포트급R, 데 소토 카운티급R, 테레본 패리시급R | ||||
| LSV |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 ||||
| EPF | 스피어헤드급 |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 군수지원함 |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 ||||
| 지휘함 |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 ||||
| 원정이동기지선 | 루이스 B. 풀러급 | ||||
| 항공모함 | CV |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 |||
| CVN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 잠수함모함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
| 구축함모함 |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스톤급R | ||||
| 무인함 | USV | 시 헌터, {LUSV} | |||
| UUV | 오르카 XLUUV, {후긴 AUV} | ||||
| 대형호위함(범선) | 컨스티튜션* |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지만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Tang-class submarine |
1. 개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초로 등장한 미국 해군의 재래식 잠수함.이전에는 통상형 디젤 엔진에 수평 방향 크랭크축을 장착했으나, 탱급엔 새로운 성형 엔진과 수직 방향 크랭크축을 채택했다. 덕분에 함내 공간은 늘었고 잠항 시 소음이 줄었다.
GUPPY[1]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유선형 선체와 납 축전지는 속력을 더 높였다.
어뢰 발사관 재설계도 잊지 않았다. 원래는 어뢰 후방 슬라이드 밸브로 직접 밀어내는 방식이었지만, 압축공기식 피스톤으로 발사관 내부의 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어뢰 투사 방식을 바꾸어 발사 시 소음과 기포를 줄였다. 이 혁신적인 어뢰 발사관은 이후 전세계의 여러 잠수함이 따라 설치했다.
확실히 쓸만했으나, 원자력 잠수함이 예상보다 빨리 취역해 금방 퇴역했다. 그렇지만 탱급 잠수함의 기술들은 미국식 원잠의 기초가 되었다.
2. 제원
| 탱급 잠수함 Tang-class submarine | |||
| 이전 함급 | 바라쿠다급 | ||
| 다음 함급 | 그레이백급 | ||
| 배수량 | 수면 | 1,585~2,083t | |
| 수중 | 2,296~2,743t | ||
| 전장 | 82 → 84 → 89m | ||
| 전폭 | 8.2m | ||
| 흘수 | 5.2m | ||
| 추진 장치 | 초기 | 4,000BHP급 제너럴 모터스 16-338 디젤 엔진 4기 | |
| 후기 | 4,800BHP급 페어뱅크스 모스 38D8-1/8 피스톤 엔진 3기[2] | ||
| 최고 속력 | 수면 | 15.5kn(약 28.7km/h) | |
| 수중 | 18.3kn(약 33.9km/h) | ||
| 무장 | 533mm 어뢰 발사관 8문[3] 어뢰 26발 | ||
3. 동형함 목록
| 함번 | 함명 | 진수 | 취역 | 비고 |
| 포츠머스 해군 조선소 (Portsmouth Naval Shipyard) | ||||
| SS-563 | 탱 (Tang) | 1951년 6월 19일 | 1951년 10월 25일 | 박물관으로 운용 후 2004년 8월 튀르키예 해군이 폐기 |
| SS-565 | 와후 (Wahoo) | 1951년 10월 16일 | 1952년 5월 30일 | 1984년 폐기 |
| SS-567 | 거드전 (Gudgeon) | 1952년 6월 11일 | 1952년 11월 21일 | 박물관으로 운용 후 2004년 2월 4일 튀르키예 해군이 폐기 |
| 일렉트릭 보트 (Electric Boat) | ||||
| SS-564 | 트리거 (Trigger) | 1951년 6월 14일 | 1952년 3월 31일 | 이탈리아 해군이 폐기 |
| SS-566 | 트라우트 (Trout) | 1951년 8월 21일 | 1952년 6월 27일 | 2009년 2월 27일 이란 해군이 폐기 |
| SS-568 | 하더 (Harder) | 1951년 12월 3일 | 1952년 8월 19일 | 1988년 5월 31일 이탈리아 해군이 폐기 |
4. 둘러보기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탈리아 해군 (1861~현재) Marina Militare | ||||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R,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 항공모함 | {P-NG} |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튀르키예 해군 (1920~현재) Türk Deniz Kuvvetleri | ||||
| <colbgcolor=#e30a17> 잠수함 | <colbgcolor=#e30a17> 재래식 | 피리레이스급R, 구르급, 프레베자급, 아틀라이급, 레이스급, {MİLDEN} | |||
| 원자력 | {NÜKDEN} | ||||
| 고속정 | 피르티나급R, 카르탈급R, 이을드름급, 클르츠급, 이을드즈급, 뤼즈가르급, 도안급 | ||||
| 초계정 | 투즐라급, AB-25급 | ||||
| 초계함 | 아다급M, 부라크급 | ||||
| 원양초계함 | {히사르급}M | ||||
| 호위함 | 겔리볼루급R, 테페급R, 바르바로스급, 가비아급, 야부즈급, 이스탄불급M | ||||
| 구축함 | {TF-2000}M | ||||
| 상륙함 | LST | 바이락타르급(1972)R, 에르투룰급R, 오스만 가지급, 바이락타르급 | |||
| LHD | 아나돌루급 | ||||
| 항공모함 | {MUGEM} | ||||
| 군수지원함 | 아카르급, 다리야급 | ||||
| 소해함 | 에르데믈리급R, A급, E급, F급, S급, K급 |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MILGEM 계획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99cc99,#336633> 잠수정 | 나항급, 유고급, 가디르급 | ||
| 잠수함 | 코우세R, 타레크급, 파테급, {베사트급} | |||
| 고속정 | 아자르급R, 고하르급R, 아자라크쉬급, 자파르급, 쿠거급, 페이카프 I~III급, 시나급, 카이반급, 파르빈급, 카만급, 톤다르급 | |||
| 초계함 | 함제, 바얀도르급 | |||
| 호위함 | 바브르R, 알반드급, 모제급 | |||
| 구축함 | 다마반드R, 바브르급R, | |||
| 상륙함 | 호르무즈-24급, 헨감급, 카르발라급 | |||
| 항공모함 | 샤히드 로우다키, 샤히드 바게리급 | |||
| 공기부양정 | 톤다르급, BH.7급 | |||
| 군수지원함 | 칸간급, 반다르압바스급, 올급, 마크란급 | |||
| 소해함 | 팔랑R, 샤힌급 |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 바레인 | 카타르 |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