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99cc99,#336633> 잠수정 | 나항급, 유고급, 가디르급 | ||
잠수함 | 코우세R, 타레크급, 파테급, {베사트급} | |||
고속정 | 아자르급R, 고하르급R, 아자라크쉬급, 자파르급, 쿠거급, 페이카프 I~III급, 시나급, 카이반급, 파르빈급, 카만급, 톤다르급 | |||
초계함 | 함제, 바얀도르급 | |||
호위함 | 바브르R, 알반드급, 모제급 | |||
구축함 | 다마반드R, 바브르급R, | |||
상륙함 | 호르무즈-24급, 헨감급, 카르발라급 | |||
항공모함 | 샤히드 로우다키, 샤히드 바게리급 | |||
공기부양정 | 톤다르급, BH.7급 | |||
군수지원함 | 칸간급, 반다르압바스급, 올급, 마크란급 | |||
소해함 | 팔랑R, 샤힌급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1. 개요
이란 혁명 수비대가 보유 중인 무인기모함이다.함명은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의 파타크에서 전사한 IRGC 사령관인 샤히드 바흐만 바게리에서 따온 것으로 샤히드는 순교자를 의미한다.
2025년 2월 6일 공식 취역했다.
2. 제원
길이 | 240m |
총톤수 | 36,014t |
만재배수량 | 41,000t |
순항속도 | 22노트 |
추진체계 | MAN B&W Type 8 S70 MC-C 디젤엔진 |
작전반경 | 40,700km |
비행갑판길이 | 180m |
함재기 | 무인기 최대 60대: 카헤르-313, 샤헤드-136, 아바빌-3, 모하제르-6/ 헬리콥터: Mi-17 등 |
탑재장비 | 무인고속정 30척 혹은 수중 드론 |
무장 | 대함 미사일, 30mm 함포, 아세페 20mm 기관포 2문 |
※ 위 제원 중 일부는 이란 혁명 수비대의 주장으로 실제와는 다를 수 있음을 알림.
3. 건조 배경
이 배는 사실 이란이 자체적으로 건조한 것이 아니다. 샤헤드 바게리급은 대한민국의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한 민간상선인 페라린을 개조해서 만든 것으로 1998년에 수주를 받아 2000년에 진수된 컨테이너선이였다. 즉, 이 배는 처음구터 군함이 아니였다는 얘기. 기존의 조타실은 그대로 유지하되 좌현에 돌출형 비행 갑판을 덮어씌어 마개조했다.이란이 상선을 군함으로 개조하기로 한 이유는 미국의 핵 제재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제재로 신규 군함을 건조하기 어려워진 이란은 저비용으로 해상 전력을 확보하는 노선을 탈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란은 조선업 기술과 인프라가 열악해서 항공모함같은 대형 군함을 스스로 건조하는데는 무리가 있어 하는 수 없이 민간 선박을 끌어와 항모로 개조하기로 한 것이다. 그중에 눈에 들어온 것이 한국의 화물선. 조타실이 후방에 위치해있고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해 갑판의 폭이 넓고 공간이 많아 항공모함으로 개조하기 수월했다. 그렇게 2년 반이라는 시간을 들여 샤헤드 바게리급이 완성된 것이다.
4. 특징
이란이 최초로 보유한 항공모함이자 세계 최초의 무인기모함이다. 무인기와 헬기를 동시에 운용 가능한 유무인 복합체계로 운용이 가능하다.내부는 넓은 편으로 수병들은 위한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있다. 병원은 물론 축구장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