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탈리아 해군 (1861~현재) Marina Militare |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393b42>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 ||||
어뢰정 |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 ||||
고속정 |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 ||||
미사일 고속정 | 스파르비에로급R | ||||
원양초계함 |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 ||||
초계함 |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 ||||
호위구축함 | 알데바란급R | ||||
호위함 | 경호위함 | 루포급 | |||
대잠호위함 |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 ||||
방공호위함 |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FREMM EVO} | ||||
구축함 | 구축함 |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 |||
방공구축함 |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 ||||
순양함 |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 ||||
상륙정 |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 ||||
상륙함 | LPH |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 |||
LST |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 ||||
소해함 | 레리치급, 가에타급 | ||||
수송함 | 폰자급, 고르고나급 | ||||
군수지원함 |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 ||||
정보수집/연구함 |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 ||||
경항공모함 |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 ||||
훈련함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1. 개요
이탈리아 해군의 군수지원함.2. 제원
에트나급 군수지원함 Nave da rifornimento Classe Etna | |||
| |||
<colbgcolor=#eee> 구분 | 에트나 | 프로메테우스 | |
함종 | <colbgcolor=#FFF>군수지원함 | ||
만재배수량 | 13.400톤 | ||
전장 | 146.6m | ||
전폭 | 21m | ||
흘수선 | 7.25m | ||
동력 | <colbgcolor=#eee> 기관 | 슐처 12V-ZAV-40S 디젤 엔진 2기 (11,590BHP) | |
추진 | 프로펠러 2기 | ||
속력 | 21노트 (약 39km/h) | ||
항속거리 | 18노트 (약 33km/h) 순항시 14,100km | ||
승무원 | 승조원 최대 245명 | ||
레이더 | 대함 | 셀렉스 ES RASS | <colbgcolor=#FFF>레이시온 AN/SPS-10D |
항법 | GEM 일렉트로니카 LD-1825 2기 | ||
대응 체계 | 디코이 | AN/SLQ-25 닉시 디코이 | |
무장 | 함포 | 오리콘 KBA 25mm 기관포 2문 | 라인메탈 Rh202 20mm 기관포 4문 |
CIWS | - | 팰렁스 1기[1] | |
기타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 |
MG3 2정 | |||
탑재 항공기 | 대형 헬기 1대 • SH90 • AW101 멀린 | 중형 헬기 1대 • AB-212 • S-70B6 시호크 |
3. 상세
주로 이탈리아 항모전단의 장거리 임무를 지원한다. 당연히 함재기를 위한 항공유도 실을 수 있으며 수리장, 부품 보급소, 탄약 저장실 등을 갖췄다. 고급 의료 시설도 있어 유사 시 민간인 보호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그리스도 1척을 도입했는데, 그리스 해군의 경우 항공모함 같은 거함이 없어 주력 군수지원함 겸 기함 용도로 운용한다.
4. 동형함 목록
이탈리아 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A 5326 | 에트나 (Etna) | 1995년 7월 4일 | 1997년 7월 12일 | 1998년 8월 29일 | 현역 |
그리스 해군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A-374 | 프로메테우스 (Προμηθεύς) | 2000년 2월 18일 | 2002년 2월 19일 | 2003년 7월 8일 | 현역 |
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그리스 해군| 그리스 해군 (1945~현재) ]]'''Ελληνικό Πολεμικό Ναυτικό | ||
<colbgcolor=#0D5EAF>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0D5EAF> ''' SSK ''' | 파파니콜리스급 | 오케아노스급 | 포세이돈급(1979) | 글라브코스급 | 트리아이나급 | 포세이돈급(1957) | 피피노스급 | |
어뢰정 (PT) | 에스페로스급 | 델핀급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사펠로급 | 톨미급 | 안드로메다급 | |
FIC | 아이올로스급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카발로디스급 | 라스코스급 | 보트시스급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HSY-56A급 | HSY-55급 | 오스프리 55급 | 니키급(1991) | 아포스톨리스급 | |
''' PCG ''' | 루센급 | ||
[[호위함|''' 호위함 ''']] | ''' FFG ''' | {키몬급(2025)} | 히드라급 | 엘리급 | 이피로스급 | |
[[호위구축함|''' 호위구축함 (DE) ''']] | 에이토스급 | ||
[[구축함|''' 구축함 ''']] | DD | 키몬급(1981) | 테미스토클리스급 | 아스피스급 | 미아울리스 | 아이가이온 | 니키급(1951) | 아드리아스급 | |
''' DDG ''' | 키몬급(1991) | ||
[[순양함|''' 순양함 ''']] | CL | 엘리(1951) | |
''' 상륙함 ''' | ''' LSD ''' | 나프크라투사급 | |
''' LST ''' | 이아손급 | 오이누사이급 | 알리아크몬급 | 사모스급 | ||
''' 상륙정 ''' | ''' LCAC ''' | 케팔로니아급 | |
''' LCU ''' | 폴레간드로스급 | ||
''' LCM ''' | ABM20급 | ||
''' LCVP ''' | LVCP-36급 | ||
[[소해함|''' 소해함 ''']] | ''' MCMV ''' | 에우로페급 | |
''' MHC ''' | 에브니키급 | ||
''' MSO ''' | 아르마톨로스급 | ||
''' MSC ''' | 안티오피급 | 피레아스급 | 티노스급 | ||
''' 지원함 ''' | ''' 다목적 ''' | 아틀라스급 | 페르세우스 | |
''' 수송함 ''' | 판도라급 | 프톨레마이스급 | ||
''' 급유함 ''' | 프로메테우스 | 제우스급 | ||
모함 | 악시오스급 | ||
''' 청수함 ''' | 케르키니급 | ||
''' 해저 조사선 ''' | 피테아스급 | ||
지원정 | 등대 지원정 카라보기아노스급어뢰 회수정 에브로타스급예인정 아킬레우스급 | ||
훈련함 | 키크노스 | ||
※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1기 추가 탑재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