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0:45:20

금강급 초계함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펀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R
LSSL 리안지급R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ROCN_JinJiang_1.jpg
파일:ROCN_JinJiang_2.jpg

1. 개요2. 제원3. 사건사고4. 동형함 목록

1. 개요

금강급 미사일 초계함은 광화 3호 계획에 따라 원래는 샨즈급 호위함(山字級巡防艦)[1]을 대체하기 위해 총 12척의 초계함을 건조할 예정이었으나, 프로토타입인 금강함이 완공된 이후 디자인을 다듬는 등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고, 2년간의 시운전 뒤에야 후속함들의 건조 입찰이 시작되었다. 한편, 후속함들의 추진 체계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독일의 MTU社와 프랑스의 SEMT-필스틱社가 경합했고, MTU의 16V 1163 엔진이 선택되었다. 최종 '건조가'는 총합 55억 신 대만 달러였다. (한화로 약 2,033억).

금강급은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함과 비견될만한 체급의 함선으로써, 76mm 포 1문과 대함미사일 4발 등으로 무장하고 있고, 대잠 무장은 공통적으로 폭뢰만 달고 있다는 점[2]이 유사하다. 차이점으로는 윤영하급은 워터제트식 추진방식을 선택해 속력이 높고, 근접전에 대비해서 노봉 쌍열 기관포를 단 반면, 금강급은 대함 능력을 주시해서 슝펑 3 초음속 대함미사일을 통합하게 된다.

2. 제원

금강급 초계함
[ruby(錦江, ruby=Jǐnjiāng)][ruby(級, ruby=Jí)][ruby(巡邏艦, ruby=Xúnluójiàn)][3]
<colbgcolor=#eeeeee,#222> 함종 미사일 초계함
이전급 복성급, 샨즈급
다음급 타강급
기준배수량 500톤
만재배수량 720톤
길이 61.4m
9.5m
흘수선 5.1m
동력 <colbgcolor=#eeeeee,#222> 방식 CODAD
기관 MTU 16V 1163 TB93 디젤 엔진 2기
(각 6,505마력)
추진 프로펠러 샤프트 2기
속도 25.1노트
항속거리 20노트 순항시 7,686km
승무원 50명 (사관 7명)
레이다 2차원 대공/대수상 테르마 SCANTER 4100 시리즈 X밴드 2차원 대공/대수상 탐지 레이다
사격통제 W-160 사격통제 레이다 (초기형)
CS/SPG-6N 사격통제 레이다 (후기형)
항법 데카 251/6 항법 레이다
사통장치 LSEOS[4] Mk.2A 광학추적식 사격통제장치
소나 심라드 SS-247 고주파 선저 소나
대응 장비 기타 웨이장(衛江, 위강) RWR
무장 함포 오토멜라라 Mk.75 76mm 62구경장 함포 1문
또는
보포스 350PX L/70 40mm 70구경장 기관포 1문 (프로토타입만)
미사일 (대함) 2연장 대함미사일 경사발사대 2기
HF-II 슝펑 2 4발 (초기형)
또는
HF-II 슝펑 3 4발 (후기형)
폭뢰 폭뢰 투하 레일 2기
Mk.6 폭뢰 ?발
기타 T74 7.62mm 다목적 기관총 4정

3. 사건사고

2016년 7월 1일, 금강급 초계함에 탑재되었던 슝펑 3 초음속 대함미사일이 "실수로" 발사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미사일이 날아갔던 방향이 중국 본토쪽이었던 터라 매우 급박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결국 미사일은 약 40해리 떨어진 곳에서 조업중이던 어선을 피격시켜 선장이 사망하고, 선원 3명이 부상을 입었다.기사

4. 동형함 목록

함명은 중국 본토 각지의 강 이름에서 따왔다. 고토수복의 의지
중화민국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모항 상태
1 PGG-603 ROCS 진장 (錦江 [금강]) 1993.12.1 1994.6.27 1994.12.1 불명 현역
2 PGG-605 ROCS 단장 (淡江 [담강]) 1998.4.21 1998.6.18 1999.9.23 불명
3 PGG-606 ROCS 신장 (新江 [신강]) 1998.06.16 1998.8.14 1999.9.23 불명
4 PGG-607 ROCS 펑장 (鳳江 [봉강]) 1998.8.19 1998.10.16 1999.10.29 불명
5 PGG-608 ROCS 쩡장 (曾江 [증강]) 1998.11.11 1998.12.15 1999.10.29 불명
6 PGG-609 ROCS 가오장 (高江 [고강]) 1998.12.15 1999.3.25 1999.12.30 불명
7 PGG-610 ROCS 진장[5] (金江 [금강]) 1999.3.16 1999.5.13 2000.2.15 불명
8 PGG-611 ROCS 샹장 (湘江 [상강]) 1999.5.28 1999.7.16 2000.2.15 불명
9 PGG-612 ROCS 쯔장 (資江 [자강]) 1999.6.29 1999.9.23 2000.3.10 불명
10 PGG-614 ROCS 포장 (鄱江 [파강]) 1999.8.30 1999.12.22 2000.7.21 불명
11 PGG-615 ROCS 창장 (昌江 [창강]) 1999.11.2 2000.1.21 2000.7.21 불명
12 PGG-617 ROCS 주장 (珠江 [주강]) 2000.1.15 2000.2.25 2000.7.21 불명



[1] 찰스 로렌스급/ 크로슬리급 고속 수송함을 개장한 함선.[2] 다만 금강급에는 소나가 있다.[3] 한국식 독음으로는 금강급 순라함. 한어병음을 한국어로 발음하자면 진장 지 순뤄 찌엔 정도된다.[4] Lightweight Shipboard Electro-Optical System, 경량 함상 광학추적 시스템[5] 1번함과 발음은 같지만 한자가 다르다. 1번함은 비단 금, 7번함은 쇠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