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4:09:21

자위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리장성의 관문 유적이자 중국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가욕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Nakasone_and_Reagan_reviewing_troops_at_arrival_ceremony_at_Palace_in_Tokyo%2C_Japan_May_4%2C_1986.jpg
1986년 도쿄 황거에서 자위대의 유일한 의장대인 육상자위대 동부 방면 경무대 제302 보안 경무 중대원들로 편성된 특별 의장대[1] 로부터 사열을 받는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
1. 개요2. 상세
2.1. 채용
2.1.1. 간부(장교)2.1.2. 조사(曹士, 사병)
3. 처우
3.1. 월급3.2. 각종 수당3.3. 순직보상금3.4. 정년3.5. 진급속도
4. 일본군과의 연계5. 타국의 군인과의 비교
5.1. 위관급 간부(위관급 장교)의 고령화 현상5.2. 간부(장교)의 저학력 문제
6. 구성
6.1. 계급6.2. 병과6.3. 제복6.4. 주요 장성급 보직
7. 자위대/생활8. 군종별 자위관
8.1. 육상자위관8.2. 해상자위관8.3. 항공자위관
9. 인적 구성/규모10. 군번
10.1. 육상자위대10.2. 해상자위대10.3. 항공자위대
11. 자위대/교육훈련12. 자위대가13. 예비군
13.1. 즉응예비자위관13.2. 예비자위관보13.3. 예비자위관
14. 특성15. 여성 자위관16. 외국계 일본인의 입대17. 여담18. 관련 문서

1. 개요

[ruby(自衛官, ruby=じえいかん)]
Self-Defense Official

자위대 소속의 제복요원으로, 방위성에 소속된 직원의 일종이다.

자위대의 조직 특성상 거의 군인에 사실상 가깝기는 하지만, 그래도 일단 엄연히 법적으로는 군인이 아닌 공무원의 신분이다.군무원 방위성직원으로 분류되며, 방위성 내부에서는 '제복조(制服組)'라는 식의 '무관'으로써 구분된다. 자위대원보다는 좁은 개념이다. 자위대원은 자위관도 포함하지만, 엄연히 자위대에서 근무하는 문관(군무원)과 민간인을 포함한다. 자위대원은 방위성의 직원에 속하며, 방위성에는 자위대원 외에 한국의 국방부 공무원과 비슷한 문관들이 존재한다. 자위관자위대원방위성 직원인 것이다.

자위관은 크게 간부(장교), 준사관, 조(曹, 부사관), 사(士, 병)로 구분되며, 간부는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춰야 하며[2] 그 외에는 중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이면 가능하긴 하지만, 2020년대를 기준으로 이제는 자위관후보생이나 일반조후보생(부사관후보생) 전부 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거나 고등학교 학력 수료에 상당하는 것으로 조건이 바뀌게 되었다. 의무나 군악 등 일부 특기의 조를 제외하면, 조는 사를 거치면서 진급을 한다. 사의 경우에는, 대학교 졸업 인원이 30% 수준이라고 한다. 소방관이나 경찰관을 지망하는 사람들이 각각 되기 이전에 경력을 쌓기 위해 자위관으로 오기도 하는데, 자위관이 되는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대학생이 대학교를 다니려고 학비를 충당하기 위해서, 혹은 아르바이트를 위해서 오는 경우도 있다.[3]

2. 상세

소속 자위대에 따라서 육상자위대면 육상자위관, 해상자위대면 해상자위관, 항공자위대면 항공자위관으로 불린다. 각 자위대의 병은 교육대를 거친다. 육자대는 방면대의 방면혼성단마다 신대원교육대가 있고 해자대는 각 지방대 다섯 곳 중 네 곳, 공자대는 두 곳이다. 간부는 간부후보생학교(OCS) 등을 거쳐 선발되며 모든 자위관이 방위대학교 출신은 아니다. 방위대 출신은 한국의 사관학교 급의 엘리트이다. 보통 방대 출신이라 불리며 한국군참모총장에 해당하는 막료장이나 합참의장에 해당하는 통합막료장은 1990년대부터 방대 출신들이 독점하고 있다.

자위관의 숫자는 24만명 수준으로, 여성은 12,000명이다. 현역 외에 한국예비군에 해당하는 비상근 예비 자위관과 즉응 예비 자위관 등이 있다. 군대는 아니지만 국제법에선 사실상 자위대를 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외국에선 군대의 구성원으로 보며 이는 한국군도 그렇다. 일본에서 통합막료장이 한국을 찾아오면 계룡대에선 합참의장이 응대하여 사실상 군으로 보고 있다. 자위관으로 복무하는 자는 일본 총리나 각 [4]대신[5]이 될 수 없다. 그리고 선거에 피선거자로 출마할 수도 없다.

다만 예비자위관 등은 지방선거 등이 가능하다. 국회의원이나 고위 공무원 등은 되도 잘릴 수도 있다고. 일본에서도 사례가 없어 두고봐야 할 일이다. 문민통제로 인해 자위관 고위 장성 출신 중에 방위대신(국방장관)이 된 사람은 없다. 모리모토 사토시(森本 敏)의 경우 3등공좌(공군 소령) 출신으로 방위대신을 지내긴 했지만 전역한지 30년이 넘은 후였다. 이 정도면 민간인이라 봐도 무방할 듯. 미국도 전역 후 10년이 지나야 공직에서 민간인 취급하니.

2.1. 채용

2021년 기준으로 채용 규모는 다음과 같다. 출처

2.1.1. 간부(장교)

간부(장교)의 과정은 이렇다.

방위대학교 입학자는 4년간의 교육을 받고 졸업하여 각 자위대의 간부후보생학교에서 1년간 교육을 받고, 삼등위(소위)로 임관한다.
전형 과정 규모
추천[6] 인문/사회 30, 공학 120
종합선발[7] 인문/사회/공학 50

이 둘은 일정이 우선 진행되는 과정이며, 이후에 일반 선발이 있다. 추천 전형에 지원하면 종합선발에 지원할 수 없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일반 선발은 인문/사회 60명, 공학 220명 선발을 목표로 한다. 합해서 480명 규모이다. 대략 500명 정도를 뽑는다고 보면 된다.


방위의과대학교는 18세에서 21세 미만의 고등학교 졸업자가 지원할 수 있다. 의학과는 85명, 간호학과는 75명을 목표로 한다. 합해서 160명이다.
과정 육자 해자 공자 합계
일반간부후보생[8] 167[9] 78[10] 53 298
간부후보 치과/약제과[11] 13 9 6 28
의과/치과 간부자위관[12] 4 5 3 12
기술해상간부
기술항공간부[13]
- 4 15 19

여러 과정을 합치면 연간 자위대에서 획득하려는 민간 출신 간부의 규모는 1천 명 정도이다. 자위대의 소위가 2년 간 복무하고 T/O가 5000명 정도[14] 됨을 감안하면 연간 획득 규모가 2천 5백에서 3천은 되어야 한다. 즉 민간을 제외하고 자위대 내부에서 조(曹, 부사관)를 간부로 신분을 전환시키는 규모가[15] 크다는 걸 알 수 있다.

2.1.2. 조사(曹士, 사병)

조사(曹士, 사병) 과정은 이렇다.
과정 육자 해자 공자 합계
기술해조/기술공조[16] - 19 8 27
항공학생[17] - 74 72 146
일반조후보생[18] 4,000[19] 1,500[20] 850 6,350
자위관후보생 남성 1,770 511 1,369 3,650
자위관후보생 여성 750 110 150 1,010

2021년 기준으로 대략 11000명 정도를 뽑고 있다. 자위대의 조사 티오는 준사관을 포함하여 2020년에 20만 정도에 이른다. 출처 이중 준사관과 조가 약 145000명,사가 6000명 정도의 T/O를 차지한다.

2020년 사 중에서는 일반조후보생이 21375명 수준이다. 연간 획득 인원이 6000명~7000명 내외이고, 3년 뒤 하사로 승진이 약속됨을 감안하면 거의 그대로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자위관후보생은 2020년에 복무자가 21364명이었다. 육자는 2년[21], 해자와 공자는 3년을 근무한다. 연 획득 규모가 4000명~5000명 정도에 이르고 그 중 절반 이상이 육상자위대이다. 이를 고려하면 현재 자위관후보생 출신의 사 복무자의 3할에서 4할 정도는 하사로 진급은 하지 못 했지만 연장복무를 신청한 사례라 볼 수 있겠다.

본래 26세까지 지원을 받았지만, 2018년부터는 최대 32세까지 늘어났다. #

3. 처우

정식 군인이 아닌 애매한 신분 때문에 일본 사회에서 사생아 취급을 받았다. 안보투쟁이 활발했던 1950년대 말이나 1960년대와 자공시대 등의 1970년대까지 자위대는 일본의 좌익층에게 상당한 비난을 받았고 오키나와에선 특히 이미지가 나빴다. 1980년대에 버블 시대에는 일본 경제의 팽창으로 자위관의 인기는 더욱 낮아졌으나, 1990년대 들어 경기가 나빠지고 각종 자연재해 등에 자위대가 적극 개입하면서 이미지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했다. 특히 자위관의 정치적 중립이 상당히 엄정하게 지켜졌고 일본 사회 내에서는 일단 자위대가 일본군의 유산을 청산해 냈다 생각하는 것도 한 몫 한다. 거기다가 정치인들이 자위대에 무게를 실어주는 분위기도 있기 때문.

그러나 이는 자위대에 대한 피상적인 수준의 호감도에 불과하며, 자위관의 처우는 좋지 못 하다. 봉급이 낮고 기지에서 근무하며 일정 기간마다 순환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회에서 결혼 대상으로 기피된다. 자위관 중에 외국인 아내를 둔 인원은 800명에 이른다. 일본도 한국처럼 외국인 아내를 맞는 비중이 커지고는 있지만, 자위관들은 기본적으로 국가 안보 문제를 다루는 인물들로 최대한 내국인과의 결혼이 권유된다. 규모는 육상자위대가 500명, 해상자위대가 200명, 항공자위대가 100명 수준으로 비례상 해자대가 제일 높다. 수상함이나 잠수함 근무를 해야 하는 악조건 때문으로 보인다. 외국인 아내 중 70%가 중국인이다. 그 다음은 필리핀인, 한국인 순서. 2007년에는 중국인 아내를 둔 해상자위관이 간첩 혐의로 수사를 받았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 미군의 경우 외국인과 결혼할 경우 국무부에 결혼 90일 전까지 서류를 제출하고 상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국군은 아예 군인과 외국인의 결혼을 금지하므로, 외국인과 결혼하려는 군인은 전역하는 것 외에는 외국인과 결혼할 방법이 없다. 관련기사

거기다 전역한 자위관의 경우에 제대군인으로 대접하는 것보다는 '자위대에서 버티질 못 해서 나왔다'는 둥 의지드립에 가까운 시선이 사업체에서 빈번히 나타난다. 물론 의지드립 자체는 일본 사회에서 흔히 벌어진다. 당장 1990년대 이전에도 회사에서 고강도 노동을 시키는 데 못 견디고 나오면 그 자체로 사회적 매장인 경우가 허다했으니까(다만 현재는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충성심도 위축되어 좀 나아졌다)

일반 직업에 붙지 못 해서 들어갔다 이런 인식도 엄청 세다. 미군처럼 '문제아들이 들어간다' 그 정도는 아니지만 민간에서 경쟁률이 떨어지는 사람들이긴 하다. 일본은 징병제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고졸이나 대졸과 동시에 직장인이 되고, 그 대열에 끼어들지 못하면 니트나 프리터가 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자위관은 대열 밖으로 본다. 근데 일본이 하도 불황이다 보니,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당시만 해도 자위대에 남은 인간들은 민간에서 막장으로 봤지만, 현재는 자위대 지원율도 꽤 높아졌고 연장복무 신청도 많은 편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여기서 얘기하는 인식은 자위관후보생에 대한 인식에 가깝고 간부는 얘기가 전혀 다르다. 부사관과 장교들은 최소 53세의 정년이 보장된다. 파일럿이 될 수 있는 항공학생이나 육조항공조종학생(육조=육군 부사관) 같은 과정은 인기가 높고 의무복무 이후 민간에서 간호사가 될 수 있는 고등간호학원 등의 인기는 높은 편이다. 이 고등간호학원은 2014년부턴 폐지돼서 방위의과대학교 내의 간호학과가 된다. 원래도 방위의대 예하부대이긴 했지만. 고등간호학원은 2년여의 교육기간 동안 대우를 받아 월급도 받는다.

3.1. 월급

한국군과 마찬가지로 선지급이다. 한국군이 매월 10일에 지급하는데 비해 자위대는 18일에 지급한다.

편의상 1호봉만 기재한다. 한국군 대장과 중장은 호봉이 없다. 자위대의 각군 막료장은 대장에 상당하지만 급여는 중장과 같이 받는다. 아래는 각종 수당 붙은 거 말고 모두 기본급을 뜻한다. 위관이나 부사관의 경우엔 무슨 정신인진 몰라도 145호봉까지 있다. 평균수명 200세를 대비한 준비인가.. 출처의 맨 밑에 있다.

단위는 엔이다. 아무래도 일본이 경제 수준이 높다보니 한국보다는 급여가 높다. 다만 면세 혜택이 없다. 이 점은 자위관들도 몹시 아쉬워 하는 상황. 대장에서 그나마 비슷해지고 그 외에도 전반적인 대우는 좋은 수준. 다만 병의 급여는 한국군이 징병제임착취 수준으로 적은것을 고려해야 하므로 오히려 단기 부사관/장교들과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다.
구분 장보(1종) 장보(2종) 1좌(1종) 1좌(2종) 1좌(3종) 2좌 3좌
대장 중장 소장 준장 대령 중령 소령
1호봉(엔) 720,000 521,700 470,200 456,600 400,500 346,700 319,000
KRW 환산(2014.2.12 기준) 745만 540만 486만 472만 414만 359만 330만
한국군(원) 6,808,600 6,687,300 3,743,500 3,524,500 2,838,000 2,514,300 2,049,700
구분 1위 2위 3위 준위 조장 1조 2조 3조
대위 중위 소위 준위 원사 상사 중사 하사
1호봉(엔) 269​​,900 244,000 236,000 227,300 221,500 221,300 212,700 189,600
KRW 환산(2014.2.12 기준) 279만 252만 244만 235만 229만 229만 220만 196만
한국군(원) 1,622,000 1,246,900 1,130,500 1,493,100 2,156,800 1,455,800 1,158,800 970,700
구분 사장 1사 2사 간부후보생 [22] 조후보생 자위관후보생
상병 일병 이병 사관후보생 부사관후보생 훈련병
1호봉 엔 174,300 159,500 221,500 174,300 125,500
KRW 환산(2014.2.12 기준) 180만 165만 229만 180만 129만
한국군(원) 149,000 134,600 121,700 323,200 133,800 112,500
구분 4학년 3학년 2학년 1학년
108,300
KRW 환산(2014.2.12 기준) 112만원
한국군(원) 406,000 323,200 291,900 259,700
구분 3학년 2학년 1학년
고등공과학교생도(엔) 94,900
KRW 환산(2014.2.12 기준) 98만
항공과학고등학교학생(원) 133,800 106,200 84,400

3.2. 각종 수당

자위대는 6월과 12월, 연 2회에 상여금을 지급한다. 일병(2사)이 39만 엔 수준이다.

그 외 추가수당으로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나오는 부양수당(扶養手当て), 한국의 격오지에 해당하는 지역수당(地域手当て), 홋카이도 등 추운 지방의 한랭지 수당(寒冷地手当て), 해상자위대의 항해수당(航海手当て), 항공자위대의 항공수 수당(航空手当て等) 등이 있다.

퇴직금은 육상자위대가 2년을 마쳤을 경우 54만 엔이며, 3년을 복무하는 해자대와 공자대는 90만엔 수준이다. 2임기(4년)를 복무한 육자대원은 138만엔을 퇴직금으로 받으며, 2임기(5년)를 복무한 해자, 공자대원은 143만엔을 받는다.

3.3. 순직보상금

자위대는 교전 경력이 없으므로 따로 전사자 보상금은 없으며, 순직의 경우 최대 900만엔까지 보상금을 지급한다.

3.4. 정년

계급 한국어 정년
막료장 대장 62세
중장 60세
장보 소장/준장
일좌 대령 56세
이좌 중령 55세
삼좌 소령
일위 대위 54세
이위 중위
삼위 소위
준위 준위
조장 원사
일조 상사
이조 중사 53세
삼조 하사
사장 상병/병장 임기 만료시
일사 일병
이사 이병

자위대 부사관의 경우엔 장교로 40대 후반에 승진하는 케이스가 꽤 많다. 아래의 자위관 고령화에서도 다루는 부분이다. 특히 하사도 53세까지 정년이 보장된다. 즉 일단 장기만 결정되면 진급 안 해도 53세까진 무조건 간다는 것이다. 하사가 40세, 중사가 45세, 소령이 45세까지 진급하지 못 하면 나가야 하는 한국군과 비교하면 엄청 널럴한 것이다. 진짜 하사만 되면 일단 50대까지 보장이 되고 연금도 나오니 세금도둑이란 얘기를 듣는 것.

하지만 이건 자위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전반적인 처우를 고려한 측면이 크고, 또한 50대까지 보장된다고 쳐도 현대 사회에서는 어차피 어느 정도 고령이라고 해서 체력과 근력 차이가 크지 않음을 고려해야 한다. 당장 한국 경찰만 해도 이 점을 고려해서 연령제한을 40세로 늘렸다. 그리고 무엇보다 서민층 일자리 경쟁에 있어 일본은 한국보다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자위대에 사람을 끌어들이려면 그만한 대우는 반드시 필요한 게 사실이다. 현재 한국군도 장교는 대위 이상, 부사관은 상사 이상을 60세로 정년 연장하려는 법안이 국회에 상정되었다. 통과할지는 미지수지만(...)

3.5. 진급속도

다음 계급으로 진급하기 위한 최저 근무 기간은 아래와 같다.

막료장의 경우 일단 급여가 중장과 같은 체계기 때문에 최저 근무연수는 없지만 보통은 중장 중에 최선임이 한다. 이론적으로 40대 후반에 소장으로 진급하는 게 가능한데 방대 출신 엘리트들은 실제로 그렇다.

4. 일본군과의 연계

GHQ일본군 장교 출신들이 들어오지 못 하게 제한했다. 이 시기에 생겨난 말이 내무군벌이다. 그런데 경찰예비대해상보안청이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주일미군한반도로 가면서 치안공백이 생기자 규모를 확장하면서 사관학교 미임관자가 들어올 수 있게 조치를 풀었고 그 후엔 더 확대하여 대좌(대령)급까지 들어온 바가 있다.

초반에 일본육군사관학교일본해군병학교, 육군항공사관학교 출신들이 꽤 있었다. 물론 최초에는 자위대 간부에서 일본군 장교 출신인 사람보다 출신이 아닌 사람이 더 많긴 했다. 추방령 때문에 입대가 안 됐기 때문이었다. 1950년에 선발한 간부 1,000명은 일본군 장교나 직업군인(부사관) 출신들을 배제했다. 그러다가 1951년에 6월 1일에 일반간부후보생 1기를 받아들이면서 종전 당시 사관생도였거나 위관/대령을 제외한 영관급이었던 인물들의 입대를 허용했고 규모는 245명이었다. 그 해 채용된 영관급은 405명, 위관급은 407명이었다. 그 후 1950년대 중후반까지 계속 일본군 출신들이 나이 제한에 걸리기 전에 입대한 탓에 초기 자위대 간부의 상당수는 일본군 장교 출신이었다. 일본군이 아닌 추천으로 입대한 간부들은 이른바 내무군벌로 일본군 파벌과는 따로 놀았다. 해상자위대는 일본군 해군 소해부대가 해상보안청으로 그대로 인수된 탓에 그런 과정도 없고 그대로 일본군이 이어졌다. 항공자위대는 약간 애매하다. 종전부터 창설까지 텀이 9년으로 다른 군종보다 늦게 생겼고 구 일본군에 전신이 없었기 때문.

병까지 포함한다면 자위대에 일본군 출신은 더 많아지긴 하겠지만 일반 병의 경우엔 일본이 징병제를 유지했던 탓에 구 일본군의 추방에서 제외됐다.

현재는 전후 세대들이 다 갈음했고 일본군 출신들은 나이가 들어서 있을 수가 없다만, 적어도 조상대에서 이어온 문화가 여실하게 자위대 내에 남아 있어 현재와 반대성향의 일본 정부가 들어서면 구시대 잔재 청산과 한일관계와 더불어서 상당한 숙제로 남겨질 과제들인 셈이다.

5. 타국의 군인과의 비교

자위관은 장관급 간부(장성급 장교)-좌관급 간부(영관급 장교)-위관급 간부(위관급 장교)-준사관-조(曹, 부사관)-사(士, )로, 이렇게 타국 군의 군대식 체계에 서로 대응이 되고 있으며 타국 군과 마찬가지로 조와 사가 간부를 보면 경례를 해야 한다. 타국 군과 다르게 영창이 따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간부에게 무례하게 할 경우에는 징계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여기에서 말하는 징계는 일본의 일반 공무원 징계 기준을 적용을 받게 되기 때문에 처벌 수위는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감봉 조치는 꽤나 골치 아프다고 한다.

군법무관이 없다. 일단 자위대 내부에서는 '법무관'이라는 직책 자체는 존재하기는 하는데, 군사법원을 중심으로 업무를 보는 인원이 아니라 그냥 일반 회사의 법무팀과 같이 자위대와 자위관들과 연관이 된 각종 법적인 문제들을 처리해주고 이에 자문을 해주는 수준의 일만 하는 사람이다. '경무과(警務科)'라는 타국 군의 군사경찰에 해당하는 조직이 있으나, 한국의 군사경찰처럼 군사법원법에 따라서 수사권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형사소송법상으로 '특별사법경찰관리'로 분류되어 있다. 자위관에 대한 사법처리를 할 때, 앞서서 말한 것처럼 별도로 군 검찰과 군사 법원이 없어서 경무대에서 범죄자를 체포했다면 그것을 관할 경찰과 관할 검찰에게 송치를 한다. 그 때문에 자위대에서는 총살을 당한 인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타국 군과는 다른 점은, 군종 병과가 없고 이에 따라서 군종장교에 해당하는 신분의 자위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5.1. 위관급 간부(위관급 장교)의 고령화 현상

육상자위대의 2007년도 연령별 계급 구분이다. 삼등위(소위)부터 장관급 간부(장성급 장교)까지의 인원들을 각자 색깔별로 구분했는데, 무려 53세까지 삼등위(소위)~일등위(대위)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좌하단의 미군은 근속연수로 구분해놨는데, 근속연수가 10년이 넘어가면 삼등위나 이등위가 전역하거나 진급하게 되고 우하단의 영국군도 역시 30세를 넘어가면 마찬가지이다. 그에 비해 자위대는 조(曹, 부사관)들이 간부로 뒤늦게 진급을 하는 경우가 많고, 만 50세 이전까지도 그것이 가능해서 40대~50대인 위관급 간부들이 널린 것이다.

다만 지금의 현대 사회에서는 나이가 50대 이후라고 하더라도 본인의 자기 관리 능력에 따라서 어느 정도의 체력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마냥 비판만 할 수는 없다. 게다가 사(士, 병사) 신분으로 최하위 계급 부터 자위관 생활을 시작한 이후에 오랜 세월을 거쳐서 쌓은 다양하고 많은 경험들은 소부대 전투 지휘를 하는 데에 있어서 오히려 매우 유연할 수도 있으며, 평균적으로 거의 대부분이 20대 초중반인 한국군과는 다르게 자위대의 사들 중에서는 30대인 인원들도 적지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고령자의 경험들과 지위로 누를 필요도 존재한다.

5.2. 간부(장교)의 저학력 문제

프레지던트의 기사에 따르면, 2018년을 기준으로 자위대 간부(장교)들 중에서 51%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이었다. 이는, 간부로 신분을 전환하는 조(曹, 부사관)의 비율이 높은 영향의 탓으로 보인다. 또한, 간부들 중에서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가진 간부의 비율은 5% 수준에 그쳤다.

6. 구성

자위대의 자위관들 중에서 타국 군의 장교에 해당하는 인원은 '간부'라고 한다. 준사관의 표현은 동일하고, 부사관'조(曹)'라고 하며 병사'사(士)'라고 한다. 부사관과 병을 묶은 '사병'은 조와 사를 합쳐서 '조사(曹士)'라고 하는데, 이는 영어의 'Enlisted'에 해당한다. 간부(장교)를 세분화하면 위관급의 '위'는 타국 군의 위관급 장교와 동일하고 영관급은 '좌'로 칭하며, 장성급은 '장(将)'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타국 군의 군속에 해당하는 이들은 '사무원'이라고 한다.

항공자위대의 경우에는, 준사관까지도 Enlisted에 포함하여 본다.

6.1. 계급

자위대/계급을 참고할 것.

6.2. 병과

자위대/병과를 참고할 것.

6.3. 제복

제복/자위대를 참고할 것.

6.4. 주요 장성급 보직

구분 OO막료장(대장) 장(중장) 장보(소장) 1종 장보(소장) 2종 장성급 합계
합동부대 1 4 2 5 12
육자대 1 25 16 83 125
해자대 1 15 9 37 62
공자대 1 13 8 40 62
합계 4 57 35 165 261

일본에선 사령부란 군 용어 대신에 집단이란 표현을 쓸 때가 많다.
1종
* 방위성, 합동
방위연구소부소장(소장은 민간인이 한다), 통합막료감부총무부장, 방위계획부장 등 3명.
* 육상자위대
육상막료감부 방위부장, 인사부장, 교육훈련부장, 장비부장, 방면총감부 막료장(5인), 여단장(6인), 자위대후쿠오카병원장 등 16명
* 해상자위대
해상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 방위부장, 장비부장, 소해대군사령관, 자위함대참모장, 요코스카/사세보지방총감부막료장, 해상자위대제1술과학교장, 자위대요코스카병원장 등 8명.
* 항공자위대
항공막료감부 인사교육부장, 방위부장, 장비부장, 항공지원집단부사령관, 항공교육집단참모장, 항공구난단사령관, 항공자위대보급본부부본부장, 자위대기후병원장 등 8명.
2종
* 방위성, 합동
방위대학교훈련부장, 방위교육학군장(방위대학교의 학장 중 하나), 방위교육학군지휘/전사교육실장, 방위감찰본부감찰관, 장비시설본부 부본부장, 정보본부정보관(3인), 미국수석방위주재관(국방무관을 말한다), 통합막료감부지휘통신시스템부장, 수석후방보급관, 통합막료감부운영부장, 자위대정보보전대사령관 등 13명.
* 육상자위대
육상막료감부 감리부장, 운영지원/정보부장, 위생부장, 장비차장, 감찰관, 법무관, 방면총감부 막료차장(5인), 부사단장(9인), 단장[26](6인 추정), 경무대(헌병단)장, 중앙정보대장, 중앙업무지원대장, 각 직종학교장[27](10인 추정), 중앙회계대장, 자위대체육학교장, 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육상자위대고등공과학교장[28], 육상자위대교육훈련연구본부 부본부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고다이라학교 부교장, 육상자위대후지학교 통신과장, 특과장, 기갑과장, 보급통제본부 부본부장, 보급처장[29](?인), 연구본부간사/통합연구부장, 자위대 도쿄/오사카/오키나와지방협력본부장[30](3인), 육상자위대 센다이/구마모토/한신병원장(3인), 자위대중앙병원제1치과부장 등 수십명
* 해상자위대
해상막료감부 총무부장, 총무부부장, 지휘통신정보부장, 기술부장, 수석위생관, 오미나토/구레/마이즈루 지방총감 부막료장(3인), 호위함대사령부 막료장, 항공집단 막료장, 군[31] 사령관(9인), 경무대(헌병단)장[32], 한신기지대 사령관, 연습함대사령관, 개발대군 사령관, 잠수의학실험대 사령관, 해상자위대보급본부 부본부장, 해상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해상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술과학교장[33] (3인) 등 수십명
* 항공자위대
항공막료감부 총무부장, 운용지원/정부부장, 기술부장, 감리감찰관, 수석위생관, 항공총대사령부막료장, 항공방면대부사령관(4인), 서남항공혼성단부사령관, 항공단[34]단장, 경무대(헌병단)장[35], 기지경계관리단사령관, 제83항공대사령관, 항공안전관리대사령관, 항공의학실험대사령관, 제1운송항공대사령관, 항공자위대간부학교 부교장, 항공자위대간부후보생학교장, 각 술과학교장(5인), 각 보급처장.

더 자세한 것은 자위대/장성급 장교를 참고할 것.

7. 자위대/생활

8. 군종별 자위관

자위대군종은 셋으로 나뉜다. 육군에 해당하는 육상자위대해군에 해당하는 해상자위대, 공군에 해당하는 항공자위대가 있다. 자위관 중 최선임은 통합막료장이다. 역대 통합막료장과 군종별 막료장은 자위대/역대 막료장을 참고할 것.

간부 외에 주임원사도 있다. 여기를 참고할 것.

8.1. 육상자위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GSDF_22nd_Inf._official.jpg
육상자위관의 최선임은 육상막료장이다.

육상자위대는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주일미군한반도로 이동하면서 발생할 공백을 막기 위해 소집된 경찰예비대에서 시작된다. 1952년 보안대로 개칭한 뒤 1954년에는 육상자위대가 된다. 해상자위대에 비하면 일본 육군과의 연계는 낮은 편이고 초기에는 일본군 장교 출신의 입대를 금지했다. 그러나 군사 교육을 받지 못 한 비군인 출신 간부들이 조직 등에서 문제를 일으키자 일본군 장교 출신의 입대를 허용해 군정, 군령, 교육 등에서 상당 부분 일본 육군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일본 육군의 친목조직 해행사(偕行社)가 육상자위대 행사를 지원했고 육상자위대에서도 부대 행사 등에 일본군 장성 출신을 초대하고 그랬다. 현재 해행사에는 자위대 출신의 간부들도 전역 후 가입이 가능하다.

군가의 일부도 계승되고 있으며 주둔지 등의 부대 번호를 일본 육군 번호랑 최대한 유사하게 매겼다. 다만 해상자위대항공자위대에 막료장들 대다수가 초대를 제외하면 군 출신인데 비해 육상자위대에선 내무성 출신의 각료들이 꽤 오래 잡았다. 이들을 내무군벌이라고 부른다.

8.2. 해상자위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apanese_sailors_jmsdf.jpg
해상자위관의 최선임은 해상막료장이다.

1945년 일본군이 무장해제되었으나 바다에 부설된 기뢰 등으로 인해 소해부대는 유지되었다. 1946년 미군정은 일본 해군 소해부대를 바탕으로 해상보안청을 설치했다. 이들은 군사용이 아니었기에 배수량이 무장 등에서 제한을 받았다. 그러나 일본 해군 요원들은 영어에 능했고 파벌에서 겉돌았던 인물들을 중심으로 제2복원성(구 해군성)에 인원들이 꽤 남아서 미합중국 해군 인원들과 교류하였다. 해군 특유의 코스모폴리탄적인 기질이 작용했다고 일본 해상자위대는 자평하고 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터지자 후생성 제2복원국[36]에서 본격적으로 해상보안청의 무장 여부를 검토했고 미 해군에서 경비함을 대여하였다. 1952년에 해상경비대가 설치되었으며 해상보안청에서 소해부대 등이 분리되어 경비대로 전환되었다. 해상보안청과의 분리는 이때 나타난 것. 1954년엔 경비대가 해상자위대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제국 해군의 항만 시설이나 공군 기지를 해상자위대가 그대로 인수하였으며 호위함 와카바는 일본 해군의 구축함을 개조한 것이다. 장교나 부사관 가운데 일본 해군 출신이 98%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육자대와 비교할 때 월등히 높은 수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26px-JMSDF_major_fleets.svg.png
해상자위대 지방대의 작전 구역. 이들은 연안해군의 속성을 띄며 자위함대는 대양해군으로 구분된다. 자세한 것은 자위대/편성을 확인할 것.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Beef_Kaigun_Curry_at_CoCo_CHIBANYA.jpg
이들은 일본 해군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했다고 스스로 자처하고 있다. 주말에 카레라이스를 먹는 전통까지 일본 해군을 그대로 답습했다. 군가의 경우에도 제국 해군 시절의 군가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항공자위대육상자위대에선 일본군의 색을 빼려고 사용하지 않는 사관(士官)이란 단어도 공식 문서를 제외하면 해상자위대 내에서는 통용되고 있다. 자세한 것은 해상자위대를 참고할 것.

8.3. 항공자위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ir_refuling%28061101-O-9999K-001%29.jpg

항공자위관의 최선임은 항공막료장이다.

항공자위대육상자위대해상자위대와 달리, 일본군에 전신이 존재하지 않았다. 경찰예비대가 보안대를 거쳐 육상자위대가 되고 해상보안청에서 기능이 분리되어 경비대가 되고 해상자위대가 된 것과는 달리, 항공자위대는 1954년에 자위대가 생기면서 독립 형태의 군종으로 나타났다. 9년 간의 공백을 두고 초창기 인원은 일본군 시절의 항공 계열 인원들이 주를 이뤘다. 겐다 미노루 처럼 해군 항공 출신자들도 적지 않았으나, 아무래도 육군항공사관학교가 따로 있었던 육군 항공 출신이 다수를 이뤘다. 다른 자위대와 달리 영어를 상당히 중시하며, 35세 이하의 자위관은 매년 영어능력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당연히 이는 항공기를 다루며 공중에서 고난이도의 작전을 하는 그 특성상, 외국과 영어로 교신을 해야 할 필요가 많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특촬물 등 촬영에 협조하는 사례가 많다고 한다. 한국군에서도 공군이 덕군이다. 다만, 항공자위대가 협조하는 영상물에서는, 항공자위대 소속의 전투기가 추락하면 안 된다고 한다.(...) 대신 육상자위대 항공대가 터져나가 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JASDF_soldiers_with_Type_91.jpg
고사특과(방공포병) 특기의 항공자위대 소속 자위관들.
파일:external/www.mod.go.jp/img03.jpg
항공자위대 소속의 항공기 조종특기 자위관이며, 계급은 이등공위(중위)이다.항공자위대 대원 인터뷰

9. 인적 구성/규모

2013년 3월 31일 기준인 일본 방위백서에 근거한 자료이다. 출처
소속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 통합막료감부 총계
정원 151,063 45,517 47,097 3,495 247,172
현재인원 136,573 42,007 42,733 3,213 224,526
충족율 90.4 92.3 90.7 91.9 90.8
구분 비임기제 자위관 임기제 자위관
계급 간부(장교) 준위 조(부사관) 사(병)[37] 사(병)
정원 45,417 4,936 141,061 55,758
현재인원 43,048 4,496 138,626 21,785 16,571
(현재여군) (1,926) (31) (6,702) (1,393) (2,298)
충족율 94.8 91.1 98.3 68.8

보면 알겠지만 병에 해당하는 사의 인원부족이 심각하다. 특히 사는 가장 기초전투병력인데 여군의 비율이 38,356명 가운데 3,691명으로 9.6% 수준으로 자위대 평균 5.5%보다 높다.

이 외에 예비자위관은 47,900명 수준이며 즉응예비자위관은 8,467명, 예비자위관보는 4,600명 수준이다.

9.1. 주요 장성급 장교

9.1.1. 합동부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군종
1대장통합막료장요시다 요시히데吉田圭秀도쿄대학(육상자위대간부후보생)보병육자
육장
해장
공장
육장보
해장보
공장보

9.1.2. 육자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
1대장육상막료장모리시타 야스노리森下泰臣방대32기기갑
육장
육장보

9.1.3. 해자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
1대장해상막료장사이토 아키라酒井良방대33기수상함
해장
해장보

9.1.4. 공자대

순번계급보직이름한자출신병과
1대장항공막료장우치쿠라 히로아키内倉浩昭방대31기조종
공장
공장보

10. 군번

자위대는 군이 아니므로 군번이 아닌 인식번호(認識番号)라고 한다.

파일:external/art47.photozou.jp/94838002_624.jpg
인식번호가 기재된 신분증명서. 육상자위대 소속의 이조 즉,중사다.

10.1. 육상자위대

G1234567
위와 같이 Ground Force의 G를 따오고 일곱 자리 숫자를 배열한다.

10.2. 해상자위대

MO12-345678A
M은 Maritime에서 따온 것이다. 장교의 경우 MO(Maritime Officer), 준사관은 MW(Maritime Warrant Officer), 사병은 ME(Maritime Enlisted), 군무원이나 민간인은 MC(Maritime Civilian)로 시작한다. 앞의 알파벳 뒤의 2글자는 자위관의 현 주소지를 말한다. 이사를 가면 바뀐다. 뒤의 숫자 6자리는 입대에 따라 배정받는 것으로 입대부터 전역 때까지 바뀌지 않는다. 맨 끝의 알파벳은 - 뒤의 숫자 6자리의 합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되는 구분기호이다.

10.3. 항공자위대

AO12-345678
A는 항공자위대의 Air를 뜻함 AO는 장교, AE는 사병과 해상자위대와는 달리 준사관까지 합쳐 이른다. AC는 민간인과 군무원이다. - 앞의 숫자 2자리는 해상자위대와 마찬가지로 현 거주지를 뜻하며 뒤의 숫자 6자리는 입대 순서에 따라 배정받는 것이다.

11. 자위대/교육훈련

항목이 길어져 별도 분리하였다.

12. 자위대가

군가 역할을 하는 자위대가이다. 항목을 참고할 것.

13. 예비군

예비자(予備自)라고 줄여서 부른다. 발음은 '요비지'이다. 예비자위관과 즉응예비자위관, 예비자위관보의 분위기가 굉장히 다르다. 한국의 예비군과 가장 비슷한 곳은 예비자위관 정도.

한국만큼 당나라 분위기는 아니지만 현역 자위관이나 다른 예비자위관에 비해 예비자위관의 분위기가 널럴하긴 한 듯 하다. 관련 블로그

13.1. 즉응예비자위관

即応予備自衛官. Ready Reserve Self-Defense Official. 육자대에만 존재한다. 육상자위대를 퇴직한 인원으로 구성되며 유사시나 훈련 등에 소집된다. 여러모로 미국의 예비군 제도와 비슷하다. 방위성의 정원 외 직원으로 티오는 8,175명. 1997년에 생긴 제도로 다른 예비자위관이나 예비자위관보보다 훈련일수나 횟수가 많다. 도호쿠 대지진 때 최초로 재해소집명령이 떨어졌다. 계급은 즉응예비2등육위(중위)부터 즉응예비1등육사(일병)까지로 정해져 있다. 소집되면 영내생활을 해야 한다. 3년을 1임기로 쳐서 계약하며 연간 훈련일수는 30일 수준. 수당은 월 1만6천엔이며 훈련소집이 될 경우 하루에 1만4백에서 1만4천2백엔을 지급한다. 조건이 있는데 자위관으로 1년 이상 근무했어야 하며 퇴직 후 1년 이내거나 예비자위관이어야 한다. 예비자위관보 출신은 허용치 않는다.

13.2. 예비자위관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60px-Flag_of_JGSDF_reserve_candidate.svg.png
予備自衛官補. Reserve Candidate. 2002년부터 시작된 육자대의 시스템으로 자위관 경력이 없는 민간인을 선발하여 비상근 방위성 직원으로 삼은 뒤에 일정한 교육훈련을 거쳐 예비자위관에 임명하는 제도다. 계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에서 이 제도를 학군사관으로 바꾸자는 말도 나오는데 이 제도의 지원자들이 일반대학교에 다니며 간부후보생학교 입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이다. 위생(군의관)이나 어학, 자동차 정비, 정보 처리, 통신, 건설, 방사선 관리 등의 직종을 채용한다. 어학 중엔 한국어도 있다. 이 제도 덕분에 자위관 경력이 없는 민간인이 예비자위관이 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일반직은 3년을 1임기로, 기술직은 2년을 1임기로 하며 갱신한다. 훈련은 일반직이 3년에 50일, 기술직은 2년에 10일이며 훈련수당은 일 8,800엔.

13.3. 예비자위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60px-Flag_of_JGSDF_reserve.svg.png
予備自衛官. Reserve Self-Defense Official. 비상근의 방위성 직원이다. 195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티오는 5만이지만 실제 충원율은 70% 수준이다. 자위관을 퇴직했거나 예비자위관보를 거친 사람을 임용한다. 본래는 병과 부사관에만 두었지만 1961년부터 간부과정도 일부 개방하였고 2002년에는 영관급 예비자위관도 생겼다. 훈련일수는 연 5일이며 월급은 월 4천엔. 훈련소집 될 경우에는 일당 8,100엔. 3년을 단위로 임기를 두며 계약갱신한다. 법률상으론 20일까지 가능하지만 돈 문제나 생업 문제 등으로 5일내로 하고 있다. 이 제약 때문에 갑갑한 육자대는 위의 즉응예비자위관을 만들었다.

14. 특성

특이한 것은 원사 계급에 해당하는 조장(曹長) 이하의 조(曹)와 에 해당하는 사(士)는 영내 생활을 한다. 관사에서 살긴 하지만. 간부가 아닌 사들은 아직도 내무반(内務班)이란 용어를 쓰며 외출을 하는데 허가를 받아야 한다. 기본적으론 주5일 근무제에 8시 15분 출근, 5시 퇴근이지만 자위관의 인기가 낮아 만성적인 인원 부족때문에 잘 안 지켜진다고. 그 때문에 내무 부조리도 심한 편이라 '60만의 한국군보다 24만인 일본 자위대의 자살자가 더 많다. 한국은 징병제라 사회에서 계속 군에 견제를 하고 한국군의 인적 구성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단기복무 장병들은 대부분 어느정도 부조리가 있어도 복무를 마치고 전역하면 그만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재밌는 점은 한국군에서 육군은 병과, 해군은 직별, 공군은 특기란 말을 쓰는데 일본의 육상자위대는 직종,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는 특기란 말을 쓴다. 일본군에서 유래한 것인지 단순히 수렴진화한 것인지는 불명.

15. 여성 자위관

파일:external/blogimg.goo.ne.jp/74a07ad78d63830212972bf725f66b47.jpg
계급장을 보니 육사장(육군상병)이다.

여군과 마찬가지로 여성 자위관이 있다. 여성 자위관의 경우 과거에는 전투 병과에 배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남녀평등을 이유로 해상자위대잠수함항공자위대전투기 조종사를 제외한 거의 전 직종에 개방됐다. 육상자위대는 전 직종에 개방.

1952년 육상자위대는 간호직 대원 간호부인자위관(看護婦人自衛官)을 선발했고 1958년에는 간호학생이란 이름으로 여군 과정을 개설했다. 1967년부터 일반 직종에서 대학 졸업에 준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자위관을 모집했다. 1992년부터 방위대학교에 여학생이 입학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현재 진급 상한선은 장보(소장)로 알려져 있다. 이는 준장이 없는 자위대의 특성 때문으로 사실상 한국 여군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7072011280840004010-002.jpg
1968년부터 부인자위관교육대가 생겨 여성들을 교육훈련했고, 2003년부턴 여성자위관교육대로 바뀌었다. 수료식 자리에서 쉬고 있는 여성자위관들.

2001년 전역한 사에키 히카루(佐伯光) 해장보(해군소장)는 최초로 장성급에 올랐다. 간호장교 출신으로 여성 자위관의 복제에 임부복을 추가했다고 한다. 남편이 자위함대사령관인 사에키 세이지(佐伯聖二) 해장(해군중장)이었다. 간호나 의관 직종을 제외한 직종의 첫 장성은 카지다 미치코(梶田ミチ子) 공장보(공군소장)이 최초였다. 다만 카지다 미치코는 전역하면서 특별 진급한 케이스이다.

파일:external/www.asubaru.or.jp/RoleModelParagraph680image.jpg
가시하라 게이코(柏原敬子) 소장. 일본 역대 3번째 여성 장성이다. 본래는 간사이학원에서 합기도를 공부했으며 1979년에 여성 자위관 채용이 시작되면서 일반간부후보생에 지원하여 주로 참모로 일하다가 2010년 호후미나미기지의 사령관이 되었다. 이 부대는 비행부대가 아니라 교육부대이다. 그 후 항공자위대제3술과학교장을 거쳐 2013년 8월 22일에 퇴임하였다.

일본 방위성 홈페이지에 10사단 여성 자위관들의 하루를 정리해 놓은 페이지가 있다.

2018년에 여성 자위관이 잠수함에 배치되었다[38] . 육자대에서는 화학 병과를 제외한 모든 병과에 여성 자위관의 진출이 이뤄졌다.

2018년에 여성 자위관이 처음으로 전투기 조종사가 되었다.[39] 2020년에는 첫 여성 공수대원과 잠수함 승조원이 나왔다.

2011년 5.2%였던 여성 자위관의 비중은 2021년에 7.9%로 증가하였다. 목표는 2030년까지 여성 자위관을 12%, 좌관급(영관급) 장교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5%까지 늘리고자 한다. 방위백서

16. 외국계 일본인의 입대

자위관이 되려면 일본 국적을 갖고 있어야 한다.

2018년 동부방면대에서 발행하는 잡지인 아즈마에 따르면, 스튜와토 갸빈렌이란 백인계 일본인이 항공자위대 장교로 임관했다. 관련 트윗 트윗에 따르면 가타카나로 이름을 표기하는 대원이 자위대에서 꽤 생겼는데 대체로는 동남아 출신들이 많다고 한다. 한국계 일본인이나 중국계 일본인은 한자 이름을 쓰기 때문에, 입대할 경우 그다지 티가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야후에 올라온 글에 따르면 외국계 일본인 자위관의 경우 직별에 따른 제한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작성자는 이에 대한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17. 여담



* 도쿄 지요다구의 이치가야(市ヶ谷)에 자위대순직자위령비(自衛隊殉職者慰霊碑)가 있다. 이 위령비는 1962년에 지어진 것이다. 2019년 촬영된 위의 영상에서 이임하는 해상막료장 무라카와 유타카와 신임 해막장 야마무라 히로시가 헌화하는 데가 자위대순직자위령비이다. 방위성 옆에 있다.

18. 관련 문서


[1] 特別儀じょう隊라고 쓰며, 사실 이들은 전문 의장대가 아니라 의장 교육을 받은 경무대원(군사경찰)들이다.[2] 그러나, 재직 중인 현직 자위관을 대상으로 하는 삼등위(소위) 과정이나 내부자 승진의 경우에는 별도의 학사 학위가 필요하지 않다.[3] 보다 더 자세한 부분들은 자위대/교육훈련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4] 대한민국 정부의 각 에 해당[5] 한국의 장관[6] 21세 미만의 고등학교 졸업, 또는 예정자로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뽑는 과정이다.[7] 18세에서 21세의 고교 졸업(예정)자를 뽑는다. 자위관도 지원할 수 있고, 자위관은 나이 제한이 23세까지 가능하다.[8] 사관학교에 해당하는 방위대학교 외에 일반 민간인을 대상으로 모집하는 과정으로, 한국의 학사사관에 해당한다. 대졸자나 대졸 예정자는 20세에서 26세 미만의 일본인이어야 하고, 석사 학위자는 28세까지 허용된다.[9] 여성 24명 목표.[10] 여성 15명 목표.[11] 전문대 출신의 치과, 약제과를 뽑는 과정이다. 치과의 경우 20-30세, 약제과는 20-28세를 뽑는다.[12] 군의관을 뽑는 과정이다. 방위의과대학교가 있다 보니 규모가 크지 않다. 중위로 임관한다. 치과의사나 의사 면허가 있어야 하고 연령 제한은 따로 없다.[13] 연구개발과 간호사관 등, 전문직 종사자를 자위대에 불러들이기 위한 과정이다. 임관 계급이 중위에서 최대 소령이다. 대신 선발 규모도 크지 않다. 대졸자 이상이어야 하고 연령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14] 간부의 전체 티오는 45000명 정도이다. 일등위(대위)가 12000명, 삼등좌(소령)이 10000명 정도로 가장 인원이 많은 계급이다.[15] 내부자 선발이나, 삼등위(소위) 후보자 과정이 이에 해당한다. 덕분에 자위대에선 고졸 이하의 학력을 가진 간부가 2019년을 기준으로 51%를 넘는다. 기사[16] 기술 고급 부사관을 채용하기 위한 과정이다. 면허 수준과 직무 역량에 따라 하사에서 최대 원사까지 채용한다. 연령은 20세 이상이다.[17] 해자는 18세에서 23세, 공자는 18세에서 21세의 고졸 이상을 뽑는다. 이들은 6년간 교육을 받고 소위로 임관한다. 정책적으로 참모나 지휘관 자원이 아니라 조종 전문 자원으로 키워진다.[18] 18세에서 33세 미만을 뽑는다. 약 2년 9개월간 병으로 복무한 후, 하사로 진급한다.[19] 여성 500명 목표[20] 여성 250명 목표[21] 기술직인 경우 3년[22] 원사 상당이나 민간인.[23] 북부방면대, 동북방면대, 동부방면대, 중부방면대, 서부방면대[24] 구레지방대, 마이즈루지방대, 오미나토지방대, 요코스카지방대, 사세보지방대[25] 북부항공방면대, 중부항공방면대, 서부항공방면대, 남서항공방면대[26] 여단과 같은 일본의 부대 단위이다. 통신단, 고사특과단(방공포병단), 시설단, 제1특과단, 방면혼성단, 개발실험단, 후지교도단 등이 있다. 여기서 혼성단은 대령급 지휘관으로 제외한다.[27] 후지와 간부학교를 빼면 10곳이 있다.[28] 한국의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와 비슷한 곳이다.[29] 관동보급처장 제외[30] 지방협력본부를 줄여서 지본이라고 한다.[31] Flotilla와 Squadron으로 호위대군, 해상훈련지도대군, 항공군, 잠수대군, 소해대군, 정보업무군, 개발대군, 교육항공군, 시스템통신대군, 해양업무군 등 10곳이 있다. 여기서는 개발대군을 제외.[32] 우리나라의 해군헌병단은 준장인데 비해 해자대는 가끔 1등해좌를 임용하지만 가끔 해장보(2종)를 임명한다[33] 1술과학교를 제외한 2-4술과학교장[34] 한국의 비행단에 해당하며 2(홋카이도), 3(미사와), 6(이시카와), 7(이바라키), 5(미야자키), 8(후쿠오카), 1(하마마츠), 4(미야기) 항공단이 있다.[35] 우리나라의 공군헌병단은 준장인데 비해 공자대는 가끔 1등공좌를 임용하지만 가끔 공장보(2종)를 임명한다[36] 제2복원성에서 바뀐 부서다[37] 한국으로 치면 장기복무된 병. 일반조후보생으로 선발한다.[38] 이는 굉장한 선택인 것이 잠수함은 남성만 하는 힘든 직업으로 여겨져 한국은 물론이고 미국도 안보낼려고 하기 때문이딘[39] 한국에선 2002년에 처음으로 전투기 조종사가 나왔다. 여성 전투기 조종사가 가장 먼저 나온 곳은 캐나다로 1989년에 나왔다. 전투기가 아닌 수송기나 헬기 등의 경우엔 꽤 오래 전에 이미 여성 조종사가 나왔다.[40] 자위관 24명, 기술관 1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