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5:32:55

마두역

낙민역(고양)에서 넘어옴
마두역
파일:Seoulmetro3_icon.svg
역명 표기
일산선 마두
Madu
馬頭 / 马头 / マドゥ
3호선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지하1180 (마두동 765-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가좌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능곡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운영 기관
일산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일산선 1996년 1월 30일
3호선
역사 구조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철도거리표
일산선
마 두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3호선 312번.[1]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180 (마두동 765-1) 소재.

역 안내도에는 지하 2층 구조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마두역 대기실 위에 지하보도가 있기 때문에 지하 3층에 승강장이 있다. 일산선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이다.

2. 역 정보

파일:madust.jpg
역 안내도 (크게보기)
이 역의 계획 및 공사 당시 역명은 장항역이었다. 중앙로를 경계로 마두동과 장항동이 나뉘기 때문에 장항동에서 따온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장항역과 중복되는 이름이었고, 이 때문에 개통 전인 1994년 낙민역으로 정해졌으며 동시에 지금의 정발산역이 마두역으로 확정되었다. '낙민'이라는 명칭은 일산신도시 개발 전 마두동 일대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현재도 인근의 '낙민초등학교', '낙민공원' 등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러나 주민들에게 생소한 명칭이었고, 신도시 개발 이후의 행정구역 명칭과 맞지 않는다며 마침내 마두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일산선 계획 초기에는 주변 지명 및 시설명을 따서 대화역이 장촌역, 주엽역이 문촌역, 정발산역이 (일산)시청역, 마두역이 낙민역으로 명명되었으나, 계획 및 건설 과정에서 현재의 역명들로 모두 바뀌었다. 현재 일산동구청 청사가 일산시청 계획지였다.

부역명사법연수원으로 지정하라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으나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마두역 근처의 큰 건물 3개는 뉴코아백화점, 차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사법연수원이 있다.

정발산 방면 승강장 중앙 기둥에 2000년까지 사용된 구형 역명판과 방면 표기가 남아 있지만 역 번호는 312번으로 고쳐져 있다. 또한 백석 방면 승강장 벽에도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새 역명판을 덧붙였다.

3. 역 주변 정보

일산신도시 동부의 상업 중심지이다. 역 주변은 아파트와 상업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일산의 대표적인 상권인 웨스턴돔도 가까운 편이지만 백마로를 건너야 하기 때문에 정발산역에서 웨스턴돔으로 가는 게 빠르다. 그리고 백석역고양종합터미널이 개장하고 이쪽으로 상권이 정비되면서 이 역의 입지가 점점 위태로워지고 있다. 근처에 낙민공원이 있으며, 일산호수공원과도 가깝다. 이는 마두역부터 주엽역까지 모두 해당되는 사항이다.

실제 역명은 근방에 있는 같은 이름의 마두동에서 따온 것이지만, 실제로 지도에서 보면 마두동과 장항동의 경계에 역이 있다. 실제로 역 근처에는 장항2동 주민센터가 가까이 있다. 장항2동 주민센터 옆의 호수마을과 라페스타, 웨스턴돔, 사법연수원 등이 전부 장항동 소속이다.

인근에 법무 관련 기관들인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사법연수원, 법원공무원교육원 등이 모여 있다.

고양 BRT 마두역 정류소가 인근에 있다. 1~4번 출구는 서울 방면 정류소가, 5~8번 출구는 대화 방면 정류소가 가깝다.

정발산역과 거리가 가까워서 예전에는 날씨가 좋으면 마두역 출구에서 정발산역이 보였지만, 2010년대 들어서 오피스텔 등 고층 건물이 많이 들어섰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볼 수 없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3_icon.svg 마두역 출구 정보
1장항2동행정복지센터
호수초등학교
알미공원
2낙민공원
법원공무원교육원
일산호수공원
3낙민공원
일산호수공원
낙민공원을 따라 10분 정도 걸으면 호수공원 남쪽 끝인 폭포광장이 나온다. 일산호수공원의 북쪽 끝 역시 비슷한 길이의 소공원을 통하여 주엽역으로 이어져 있다. 두 출구 중 에스컬레이터는 상하행 모두 2번 출구에만 있다.
파일:Seoulmetro3_icon.svg 마두역 출구 정보
4사법연수원
의정부지방법원 고양지원
의정부지방검찰청 고양지청
차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신용회복위원회
뉴코아사거리 쪽에 차병원이 2019년 개원하였다. 또한 웨스턴돔 B동 끝쪽의 경우 정발산역보다 마두역이 더 가깝다. 출구 뒤쪽으로 중앙차로가 아닌 대로변 버스정류장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인천터미널로 가는 3000번, 3030번, 부천터미널로 가는 5000번 3개 버스가 정차한다.
파일:Seoulmetro3_icon.svg 마두역 출구 정보
5일산동구청
일산동구보건소
뉴코아아울렛
정발중학교
출구 바로 앞에 있는 올림픽스포츠센터와 지하 1층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2021년 연말 지하 기둥 파손으로 붕괴 우려가 있었던 상가가 이 출구 쪽에 있었다. 정밀조사 결과 붕괴 위험은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다.
파일:Seoulmetro3_icon.svg 마두역 출구 정보
6강촌공원
낙민초등학교
마두공원
정발초등학교
7강촌공원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출구로 나와 강촌공원, 마두공원을 거쳐서 30분 정도 직진하면 경의·중앙선 백마역이 나온다. 두 출구 중 에스컬레이터는 상하행 모두 6번 출구에만 있다. 7번 출구 쪽 골목길 버스정류장에는 070번 마을버스가 정차한다. 하지만 이마트에서 회차하여 다시 중앙차로 마두역 정류장으로 오기 때문에 이곳에서 버스를 탈 일은 없다.
파일:Seoulmetro3_icon.svg 마두역 출구 정보
8백신중학교
마두2동행정복지센터
금계초등학교
이마트 일산점
이마트에서 흰돌마을 6단지 쪽으로 내려가면 금계초등학교.이마트 버스정류장이 나온다. 다만 신촌으로 가는 921번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다 마두역에 정차한 후 좌회전해서 이쪽으로 간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ef7c1c><bgcolor=#ef7c1c> 연도 || 파일:Seoulmetro3_icon.svg ||<bgcolor=#ef7c1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6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6년 13,436명
1997년 16,628명
1998년 17,657명
1999년 17,390명
2000년 자료없음 비고
2001년 18,368명
2002년 19,353명
2003년 20,932명
2004년 17,169명 [3]
2005년 17,258명
2006년 17,473명
2007년 18,326명
2008년 18,440명
2009년 17,444명 }}}}}}}}}
2010년 17,556명
2011년 17,315명
2012년 16,977명
2013년 17,400명
2014년 17,883명
2015년 17,544명
2016년 17,224명
2017년 16,951명
2018년 17,047명
2019년 17,206명
2020년 12,123명
2021년 12,390명
2022년 13,441명
2023년 14,395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파일:마두승강장.png
파일:마두역명판.png
승강장 역명판
정발산
백석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정발산·주엽·대화 방면
지축·충무로·옥수·오금 방면

6. 연계 교통

고양 BRT (중앙로)
일반 일산동구청 마두역 호수마을
급행 백석역·백석동
마두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마두역(중)
(20247)
호수마을 방면
<colcolor=#ffffff> 마을
시내
지선
좌석
간선
직행좌석
광역
경기순환
광역급행
공항
마두역
(20665)
직행좌석
시외
마두역(중)
(20249)
일산동구청 방면
마을
시내
지선
좌석
간선
직행좌석
광역
경기순환
광역급행
시외
공항
마두역 (58281) 마을

7. 기타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f7c1c>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일산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고양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02574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행신 · 대곡
무궁화호 대곡 · 원릉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파일:GJ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향동
파일:SeohaeLine_icon.svg 탄현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킨텍스 · 대곡 · 창릉
서부선 고양시청 · 화정 · 창릉 3 · 창릉 · 창릉 1 · 향동지구
대장홍대선 덕은
도로 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선 · 평택파주선 · 인천국제공항선 · 양재고양선
국도 1(통일로) · 39(호국로) · 77(자유로)
지방도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버스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1] · 일산터미널
고양BRT · 고양시의 버스 목록 · 고양시의 마을버스
공유자전거 피프틴[2] · TAZO · 쏘카일레클 · 카카오 T 바이크
공유킥보드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 킥고잉[3]
경기도의 교통
[1] 2023년 5월 31일 운영 종료
[2] 2021년 6월 1일 부로 사업 종료
[3] 2023년 12월 28일 부로 고양시 서비스 철수
}}}}}}}}}}}} ||


[1] 개정 전 3번(1996~2000년) → 313번(2000~2014년) → 312번.[2] 「"一山線 역이름 바꿔야 「마두」 「낙민」 행정구역과 불일치"」, 매일경제, 1994-10-11[3]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4] 「[오분순삭] (음성지원) 동훈씨.. 나 알죠? 나 유재석 알죠?#무한도전 레전드」, MBCentertainment, 2019년 7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