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릉역 | ||
대곡 방면대 곡 ← 4.4 ㎞ | 교외선 무궁화호 | 의정부 방면일 영 11.0 ㎞ → |
역명 표기 | ||
교외선 | 원릉 Wolleung 元陵 / [ruby(元陵, ruby=ウォンルン)] | |
주소 |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 130 (舊 성사동 539)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419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일영역 감시 / KN 여객사업처) (능곡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교외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교외선 | 1961년 7월 10일 | |
무궁화호 | 2025년 1월 11일 | |
승강장 구조 | ||
2면 3선 복합식 승강장 (1상대 1섬) | ||
철도거리표 | ||
능곡 방면대 정 ← 2.9 ㎞ | 교외선 원 릉 | 의정부 방면삼 릉 2.1 ㎞ → |
[clearfix]
1. 개요
<colbgcolor=#ccc><colcolor=#000> 구 역사 (1961년 준공, 2024년 철거) |
신 역사 (2024년 준공) |
교외선의 철도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로 130(舊 성사동 539) 소재.
2. 역 정보
원릉역 대합실 및 출입구 |
역명의 명칭은 당시 행정구역인 원당읍과 서삼릉(능)에서 따왔다고 전해진다.[1] #
1961년 배치간이역으로 개업하였으며, 3년 뒤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1977년 5월 16일부로 수소화물 취급이 중단되었고, 1984년 3월 1일부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같은 해 8월 1일부로 을종승차권대매소로 지정되었다.
1995년 2월 1일부로 화물취급이 개시되었으나[2] 같은 해 9월 1일부로 중지되었다.[3]
2004년 4월 1일부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시에서도 일단은 역을 건너지 못하도록 수년에 한번씩 철책 보강작업을 하기는 했지만 그러기 무섭게 근처 주민들이 철책을 박살[4]내는 통에 별 의미가 없었다. 2024년 현재는 철도법규 및 안전 규정에 의해 원릉역사 주변으로 철책이 만들어져 공식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2014년 4월 경 인근 주민과 성사고등학교 및 성사중학교를 다니는 주교동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 원릉역 지하보도를 건설하기 시작했다.[5]
한국철도사에서 특이한 이력을 하나 갖고 있는데, 바로 '한국 최초의 여성 역장' 타이틀이다. 정확히는 일반적인 역장처럼 역에 관련된 시설 업무를 정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대매소를 운영하는 강소득 할머니[6]를 역장으로 임명한 것이었지만. # #
2024년 6월부로 구 역사가 철거되었고, 신 역사가 새로 공사 중이다.
여기는 완전히 무인역이기 때문에 기차를 탈려면 차내에서 승무원에게 표를 구매해야 한다. 대신 차내대용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대용권 대신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2.1. 승강장
재개통 공사 이전의 승강장[7] |
재개통 이후의 역명판 |
↑ 일영 | ||||
ㅣ[8] | 1 | ㅣ | ㅣ | 2 [9] |
대곡 ↓ |
1 | 교외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의정부·대곡 방면 |
2 | 미사용 승강장 |
본래 2면 3선이나 실질적으로는 1면 1선 단선 승강장으로 쓰인다. 화물홈으로 이어지는 1선은 승강장에 막혀서 끊겨 있고, 나머지 1면 1선도 사용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교외선 재개업을 위한 선로 정비 과정에서 부본선들은 전부 본선과의 접속 자체가 끊겼다.
일영역, 장흥역과 함께 노반 시설개량 공사를 시행하며 승강장이 철거됐다가 재가설됐다.
3. 역 주변 정보
동해운수 원당차고지가 이 역 바로 옆에 있었으나, 2005년에 차고지가 폐쇄되면서 원당차고지를 종점으로 삼던 7728번과 9713번(현 771번)이 이상한 형태로 대화동 본사까지 연장되었다. 20년 후 이 역 남동쪽의 원당역 옆에 공영차고지가 조성된다는 게 아이러니.[10]역전 광장은 현재 '미각'이라는 중화요리점의 주차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중심지에서는 조금 벗어나 있지만 현 고양시청 소재지가 있는 시가지 끝자락에 역이 있고, 주변에 아파트 단지[11] 및 원당 1구역 재개발 등으로 인구밀도도 높은 편이다. 현재로서는 교외선 역 중 의정부역 다음으로 배후 수요가 높다.
4. 연계 교통
4.1. 역 앞 정류소 (19116)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4.2. 역 건너편 정류소 (19117)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5em"
5. 대중매체에서
독립영화 파수꾼에서 주인공 학생들이 야구를 하며 노는 장소로 자주 등장한다.
6. 둘러보기
교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능곡† - - 대정† - - 삼릉† - 벽제† - - - 온릉† - - - | }}}}}}}}} |
[1] 실제로 원릉이라는 능호를 가진 왕릉이 존재하나 구리시 동구릉 경내에 있다.[2] 철도청고시 제1995-1호.[3] 철도청고시 제1995-31호.[4] 이때는 공식적으로 접근 금지가 아니여서 이런 것.[5] 지하보도 부지가 밀양박씨 대종회 사유지를 침범하는데도 시가 사전 협의 없이 공사를 진행하는 바람에 대종회 측에서 길을 콘크리트 벽으로 막고 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사달이 나긴 했지만 2014년 10월 경 완공, 개통되었다. 신문기사 완공사진 완공 직후에는 음식점 주차장을 가로질러 가는 것보단 돌아가야 해서 조금 불편했는데 2021년경에 주차장을 둘러싸고 있던 담벼락을 철거하고 주차장과 길을 이어놓으면서 이전처럼 주차장을 가로질러 갈 수 있게 되었다.[6] 1924년 출생으로, 1985년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될 때까지 원릉역의 역장을 맡아왔었으며, 칠순의 나이에 역무를 혼자 보며 월 3만 원 정도의 수입(대매소 운영 당시 매표금액의 10%를 대매업자가 가지는데, 1달 매출이 그 정도였다는 이야기...)만 있었다고 한다.[7] 지붕의 슬레이트들이 뜯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슬레이트의 주 성분이 석면이라 전부 철거한 것으로 추정된다.[8] 화물홈 구조물과 공간이 있으며, 선로가 승강장까지 이어지지 않고 끊긴다.[9] 포장되어 있지 않으며, 과거 서울 방면 승강장으로 사용됐다.[10] 이쪽에는 선진운수의 영업소가 들어온다. 서오릉 서쪽의 창릉신도시 조성으로 용두동영업소 부지가 넘어가기 때문이다.[11] 원당이편한세상, 래미안휴래스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