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15:43:04

탱화

괘불탱에서 넘어옴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파일:1px 투명.svg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사십구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1. 개요2. 역사3. 종류4. 그림5. 국가지정유산으로 지정된 탱화 목록

1. 개요

탱화()는 천이나 족자 같은 큰 두루마리에 부처불교보살, 성현, 불교 경전의 일화들을 그려 벽이나 주요 전각에 봉안해두는 불화이다.

2.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미 탱화를 그렸다고 하며 남아있는 자료는 매우 드물지만, 일부 남아있는 신라 화엄경의 후대 탱화와의 양식적 유사성이나, 혹은 석굴암 조각의 팔부신장상이나 사천왕상의 구도가 현재의 팔부신장상과 유사한 것으로 보아 그 시절부터 탱화의 기법이 쭉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탱화는 13세기경의 고려 작품이 국내에 5점 정도 전하고 조선시대 작품들도 다수 있다고 한다. 티베트에는 탕카(ཐང་ཀ་)라고 부르는데, 티베트 불교 특유의 화려하고 장엄하면서 원색적이고 그로테스크한 양식이 많다. 탕카에는 부처님 뿐만 아니라 불교의 악마를 소재로 그린 탕카도 다수 존재한다.

류큐 왕국에서는 국왕의 어진을 탱화 양식으로 그려서 국왕을 부처처럼 묘사하기도 했다. 쇼네이 왕의 어진이 그런 양식이다.

여담으로 국내에선 오래된 탱화 문화재가 많은데 관리는 허술해서 문화재 절도단의 표적이 되어 자주 도난사고가 많이 터졌다. 야밤에 몰래 침입해 탱화만 슥삭 잘라서 훔쳐가거나 바꿔치기 하거나 아니면 심지어 사찰의 승려가 빼돌리거나(...) 하는 일이 많이 터졌다. 기사를 검색해보면 여러 사찰에서 탱화 절도기사가 참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기사

요즘엔 탱화에도 현대문물이 그려진다 카더라

3. 종류

4. 그림

파일:Brooklyn_Museum_-_Bodhisattva_Samantabhadra.jpg
조선후기의 탱화 - 현재 브루클린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조선후기의 작품이 아닐 가능성 높음)

파일:국보298호갑사삼신불괘불탱.jpg
갑사 삼신불 괘불탱 - 국보 제298호

파일:국보314호화엄경변상도.jpg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 국보 제314호

파일:The_Qianlong_Emperor_in_Buddhist_Dress.jpg
건륭제의 모습을 한 티베트 탕카 - 베이징 고궁박물원 소장.

5. 국가지정유산으로 지정된 탱화 목록

국보 제218호 아미타삼존도
국보 제296호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국보 제297호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국보 제298호 갑사 삼신불 괘불탱
국보 제299호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국보 제300호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국보 제301호 화엄사 영산회 괘불탱
국보 제302호 청곡사 영산회 괘불탱
국보 제313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국보 제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국보[1]]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국보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
국보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
보물 제578호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
보물 제670호 직지사 대웅전 삼존불탱화[2]
보물 제784호 지장도
보물 제924호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보물 제925호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보물 제926호 수월관음보살도
보물 제1041호 통도사 영산전 팔상도
보물 제1042호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
보물 제1048호 지장시왕도
보물 제1204호 의겸 등 필 수월관음도
보물 제1210호 청량산 괘불탱
보물 제1214호 파계사 영산회상도
보물 제1238호 아미타여래도
보물 제1239호 감로탱화
보물 제1256호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
보물 제1257호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58호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59호 법주사 괘불탱
보물 제1260호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보물 제1261호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262호 용봉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63호 수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264호 개심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65호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보물 제1266호 금당사 괘불탱
보물 제1267호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68호 내소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69호 개암사 영산회 괘불탱 및 초본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탱
보물 제1271호 수도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272호 불영사 영산회상도
보물 제1273호 해인사 영산회상도[3]
보물 제1278호 북장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279호 죽림사 세존 괘불탱
보물 제1286호 수월관음도
보물 제1287호 지장보살삼존도
보물 제1302호 청룡사 감로탱
보물 제1313호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 후불벽화[4]
보물 제1314호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보물 제1316호 율곡사 괘불탱
보물 제1317호 운흥사 괘불탱 및 궤
보물 제1326호 함창 상원사 사불회탱
보물 제1330호 예천 용문사 팔상탱
보물 제1331호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보물 제1332호 흥국사 수월관음도
보물 제1333호 흥국사 십육나한도
보물 제1339호 오덕사 괘불탱
보물 제1340호 천은사 괘불탱
보물 제1341호 도림사 괘불탱
보물 제1342호 미황사 괘불탱
보물 제1343호 다보사 괘불탱
보물 제1344호 금탑사 괘불탱
보물 제1345호 만연사 괘불탱
보물 제1350호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탱
보물 제1351호 통도사 괘불탱
보물 제1352호 통도사 화엄탱
보물 제1353호 통도사 영산회상탱
보물 제1363호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탱
보물 제1364호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
보물 제1365호 쌍계사 팔상전 팔상탱
보물 제1366호 송광사 화엄전 화엄탱[5]
보물 제1367호 송광사 응진당 석가모니 후불탱·십육나한탱
보물 제1368호 송광사 영산전 후불탱·팔상탱[6]
보물 제1374호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
보물 제1379호 축서사 괘불탱
보물 제1397호 영국사 영산회 후불탱
보물 제1419호 선암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및 부속유물 일괄
보물 제1426호 수월관음도
보물 제1432호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
보물 제1445호 예천 용문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446호 남해 용문사 괘불탱
보물 제1472호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보물 제1522호 영산회상도
보물 제1551호 진천 영수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552호 해남 대흥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553호 순천 선암사 서부도암 감로왕도
보물 제1562호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
보물 제1608호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보물 제1609호 포항 보경사 괘불탱
보물 제1610호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보물 제1611호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보물 제1612호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보물 제1613호 청도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
보물 제1638호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보물 제1640호 문경 김룡사 영산회 괘불도
보물 제1641호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보물 제1642호 안동 봉정사 영산회 괘불도
보물 제1643호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보물 제1644호 예천 용문사 천불도
보물 제1651호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보물 제1692호 통영 안정사 영산회 괘불도
보물 제1693호 고성 옥천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보물 제1694호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보물 제1695호 하동 쌍계사 괘불도
보물 제1696호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보물 제1697호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보물 제1731호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보물 제1732호 창원 성주사 감로왕도
보물 제1765호 서산 개심사 오방오제위도 및 사직사자도
보물 제1766호 서산 개심사 제석·범천도 및 팔금강·사위보살도
보물 제1772호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1773호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보물 제1797호 경주 불국사 영산회상도 및 사천왕 벽화
보물 제1799호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보물 제1800호 보성 대원사 지장보살도 및 시왕도 일괄
보물 제1854호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보물 제1855호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1856호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보물 제1857호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보물 제1882-1호 고려 십육나한도(제7 가리가존자)
보물 제1882-2호 고려 십육나한도(제15 아벌다존자)
보물 제1883호 고려 오백나한도
보물 제1888호 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1903호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보물 제1956호 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보물 제1957호 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
보물 제1958호 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1990호 대곡사명 감로왕도
보물 제1994호 지장시왕도
보물 제1996호 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
보물 제2005호 군위 법주사 괘불도
보물 제2006호 예산 대련사 비로자나불 괘불도
보물 제2007호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보물 제2012호 '회암사'명 약사여래삼존도
보물 제2015호 고려 천수관음보살도
보물 제2025호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
보물 제2026호 김천 직지사 괘불도
보물 제2110호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보물 제2116호 상주 남장사 영산회 괘불도 및 복장유물
보물 제2123호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보물[]] 서울 흥천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보물 속초 신흥사 영산회상도
보물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
보물 아미타여래구존도
보물 기장 고불사 영산회상도
보물 영덕 장륙사 영산회상도
보물 영덕 장륙사 지장시왕도
보물지정예고 달성 유가사 영산회 괘불도

[1] 지정번호제 폐지 이후 지[2] 2024년 12월 26일 해제, 국보 김천 직지사 석가여래삼불회도로 승격[3] 2024년 12월 26일 해제, 국보 합천 해인사 영산회상도로 승격[4] 2009년 9월 2일 해제, 국보 제313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로 승격[5] 2009년 9월 2일 해제, 국보 제314호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로 승격[6] 2024년 5월 27일 해제, 국보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로 승격[]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