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0:08:00

관동


1. 한국
1.1. 강원도의 다른 이름1.2. 인천광역시 중구 관동
2. 일본간토 지방3. 중국의 옛 지명
3.1. 전근대3.2. 근대
4. 중국 오대 십국 시대의 화가


이 항목 의 1~3번 문단 공통

1. 한국

1.1. 강원도의 다른 이름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84c9><bgcolor=#0084c9> 파일:한반도기 흰색.svg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의 지역 구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f5f5f5,#2d2f34> 북부 <#6064d5> 관북 라선 · 함북 · 함남
<#bdca42> 관서 평양 · 평북 · 평남
<#ebe43b> 해서 개성 · 황북 · 황남
중부
강원(관동)
(영동 · 영서)
강원
<#de2f66> 수도권(경기) 서울 · 인천 · 경기
<#506bdb> 충청(호서)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남부 <#bdca42> 영남 부산 · 대구 · 울산 · 경북 · 경남
<#3dc547> 호남 광주 · 전북 · 전남
<#24a1ca> 제주 제주
▪ 근거: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I 2019>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발간
▪ 강원·충청: 각각 관동·해서라는 이칭이 있음
▪ 해서·충청: 전통적으로 각각 중부와 남부 지방으로 분류되기도 함
▪ 개성: 이북5도법에서는 전통적 행정체계에 따라 경기도의 일원으로 분류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20px" 파일:한반도 전통지역구분2.png }}}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가계도) · 주체사상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령토완정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회 ·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 비전향 장기수 · 적대적 두 국가론 (괴뢰한국)
조선인민군 (육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원인) · 대남공작기관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규범 사법 전반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사회 전반 · 우상화 (우상화 교과서 / 태양상 / 초상휘장 / 김일성김정일동상 / 1호 사진) · 조선대백과사전 · 조선중앙년감 · 공민증 · 맹원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문화 검열 ·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축구 대표팀) · 관광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과정과 사례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의 국가장 · 북한 관련 뉴스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원특별자치도 문서
번 문단을
지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원도(북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넓게는 철령관 동쪽 지역, 즉 강원도 전체를 뜻하며 좁게는 대관령 동쪽 지역(영동)만을 가리킨다. 그리고 대관령을 기준으로 서쪽을 영서 지방, 동쪽을 영동 지방으로 또 나누어 구분하기도 한다.

요즘에는 관동이라는 용어를 잘 쓰지 않다보니 보통 관동이라는 지명을 처음 접하는 곳은 고등학교 문학시간에 나오는 정철의 "관동별곡"인 경우가 많다. 또한 관동팔경이란 주요 명승지가 나오며, 2000년에도 강릉시에 위치한 가톨릭관동대학교, 관동 하키 센터 등의 사례가 있듯이 완전히 사라진 용어는 아니다.[2]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 '관동'과 달리 영동과 영서의 경우 지역 구분의 필요성 때문에 현재도 흔히 사용한다. 특히 일기예보에서 자주 들을 수 있다.

1.2. 인천광역시 중구 관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7211a>
파일:중구(인천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e7211a> 신포동
사동
신생동 신포동 답동
항동7가
연안동
북성동1가
개항동
선린동
신흥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신흥동1~3가 선화동 }}}
도원동 도원동
율목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유동 율목동 }}}
동인천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내동 경동 용동 전동 }}}
영종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운남동 운북동 }}}
중산동
영종1동
영종2동
운서동 운서동
용유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을왕동 남북동 덕교동 무의동 }}}
}}}}}}}}} ||

2. 일본간토 지방

자세한 것은 간토 항목을 참조.

2.1. 포켓몬스터의 관동지방

포켓몬스터 R/G/B/Y 및 FR/LG의 주무대이자 GSC/HGSS의 부무대가 되는 지방. 모델은 위의 일본의 관동이다. 자세한 것은 관동지방 항목을 참조.

3. 중국의 옛 지명

3.1. 전근대

함곡관을 기준으로 동쪽을 넓게 이르는 말로서, 대략 중원이라고 부르는 지역의 핵심에 해당한다. 당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낙양을 중심으로 한 관동 지역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였다. 많은 왕조가 이 지역에 수도를 두었으며[3], 황하를 중심으로 한 황하 유역의 생산력과 그에 따른 풍부한 인구 등으로인해 천하쟁패의 시기가 오면 관중과 함께 중추적 비중을 차지하곤 했다.

하지만, 송나라(정확히는 북송) 이후로는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되었으며, 이후 중국 역사의 중심지는 베이징 일대와 강남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여러가지 서로 관련된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후 변화로 인해 내륙 지방이 건조해짐에 따라 이 지역의 생산력이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해안과 강의 하류가 더 중요해지면서 남송 이후 강남 지역이 중국 대륙의 경제적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정치적인 측면에서 이후의 통일 왕조들이 모두 군사적 요충지인 베이징을 수도로 삼았다는 것 역시 관동 지역의 중요성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

3.2. 근대

근현대의 관동 지역은 산해관 동쪽, 즉 만주(동북) 지역이다. 일본 제국 시절 악명을 떨쳤던 관동군의 관동은 중국뤼순, 다롄 일대에 조차하던 일본이 이 지역을 관동주(關東州)로 명명하고, 여기에서 기반해 조직된 군대가 관동군이다.

4. 중국 오대 십국 시대의 화가

關同, 關仝
후량(後梁) 화북(華北) 장안(長安) 출신이다. 형호(荊浩)에게 화법(畵法)을 배웠고, 큰 구도의 산수화를 잘 그렸다.

[1] 주로 일본 제국이 통치한 만주 지역에 사용.[2] 영남, 호남 등이 나름대로 쓰이는 것과 다르다. 강원도 지방이 가장 낙후되고 관심도가 적은 것, 그리고 관동과 짝지어서 사용될 만한 관북, 관서 등의 지명이 북한 지역이라 현재 쓸 일이 없는 영향도 있는 듯하다.그럼 호서는?[3] 또는 적어도 제2의 수도를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