能 능할 능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肉,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ノウ, ドウ | ||||||
일본어 훈독 | あた-う, はたら-き, よ-く, よ-くする | ||||||
- | |||||||
표준 중국어 | né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能은 '능할 능'이라는 한자로, '능(能)하다', '할 수 있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능하다 |
음 | 능 | |
중국어 | 표준어 | néng |
광동어 | nang4 | |
객가어 | nèn | |
민북어 | nǎing | |
민동어 | nèng | |
민남어 | lêng | |
오어 | nen (T3) | |
일본어 | 음독 | ノウ |
훈독 | あた-う, はたら-き, よ-く, よ-くする[1] | |
베트남어 | năng |
원래는 상형자로, 다리를 가진 거대한 동물을 본뜬 글자이다. 能의 오른쪽에 있는 匕(비수 비) 두 개가 그 흔적이다. 무슨 동물을 본뜬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있다. 그러나 이 글자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글자가 熊(곰 웅)이기 때문에, 곰을 본뜬 글자라고 많이 설명하고는 한다. 이 경우, 能은 熊의 본자가 된다. 그러나 이후 가차되어, '~할 수 있다', '능하다', '능력' 등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능력 중에서도 남들이 보기에 만만치 않은 일을 할 수 있을 때나, 못 하던 일을 다시 할 수 있게 되었을 때[2] 주로 붙는 글자다.
이 글자는 원래는 다음자(多音字)로, 중고음 기준 이 글자의 발음은 적어도 3개이다. 즉 登운에 평성(일반적인 의미), 咍운에 평성(세 발 달린 자라), 咍운에 거성(성씨 중 하나)이 있다. 이 중 登운에 평성을 제외한 나머지 발음은 일상생활에서 전혀 쓰이지 않는다. 단 咍운은 態(모습 태)의 음인 '태'에 흔적이 남아 있다.
고대 한국어와 중세 한국어에서 이 글자는 일반적으로 '시러' 또는 '시러곰'으로 훈독되었다. 이는 한문에서 능력을 나타내는 용법 得이 '실어'로 훈독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일본어 음독이 ノウ(노오)라서 능력을 뜻하는 ノウリョク(노오료쿠)가 노력(努力)과 헷갈릴 수 있으나, 노력은 ドリョク(도료쿠)라고 한다. 努(힘쓸 노)의 음독이 ド이기 때문.
3. 용례
3.1. 단어
- 가능(可能)
- 관능(官能)
- 기능(技能)
- 기능(機能)
- 노가쿠(能楽)
- 능동(能動)
- 능력(能力)
- 능률(能率)
- 능변(能辯)
- 능사(能事)
- 능인(能仁)
- 능재(能才)
- 능통(能通)
- 다능(多能)
- 만능(萬能)
- 무능(無能)
- 방사능(放射能)
- 본능(本能)
- 불능(不能)
- 성능(性能)
- 수능(修能)
- 예능(藝能)
- 예체능(藝體能)
- 재능(才能)
- 저능아(低能兒)
- 지능(智能)
- 지능(知能)
- 효능(效能)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가와구치 요시카쓰(川口 能活)
- 견능예(甄能乂)
- 김능진(金能鎭)
- 김능환(金能煥)
- 노세 큐사쿠(能勢 久作)
- 노와 미토라(能輪 巳虎)
- 노와 미토시(能輪 美年)
- 노우미 쿠드랴프카(能美 クドリャフカ)
- 노인 법사(能因 法師)
- 노죠 아미(能條 愛未)
- 노토 마미코(能登 麻美子)
- 본노지 모모하(盆能寺 百八)
- 서능욱(徐能旭)
- 심능장(沈能璋)
- 심능찬(沈能璨)
- 아노 츠토무(安能 務)
- 아오야마 요시노(青山 吉能)
- 이능세(李能世)
- 이다능(李多能)
- 이판능(李判能)
- 첸넝쉰(钱能训)
- 카이노 요시코(戒能 良子)
- 쿠노이치 효우가(九能市 氷雅)
- 쿠노 코다치(九能 小太刀)
- 쿠노 타테와키(九能 帯刀)
- 쿠도 후지마루(宮能 藤丸)
- 토쿠노 쇼타로(得能 正太郎)
3.4. 지명
3.5. 창작물
- 生存本能ヴァルキュリア(생존본능 발큐리아)
- 私、能力は平均値でって言ったよね!(저, 능력은 평균치로 해달라고 말했잖아요!)
- 洞窟王からはじめる楽園ライフ~万能の採掘スキルで最強に!?~(동굴왕으로 시작하는 낙원 라이프 ~만능 채굴 스킬로 최강으로!?~)
- 予測不可能Driving!(예측불가능 Driving!)
- 異能バトルは日常系のなかで(이능배틀은 일상계 속에서)
3.6. 기타
4.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㔮(짐승이름 나)
- 螚/𦑴(등에 내)
- 熋(뜨거울 내, 곰 웅)
- 褦(패랭이 내)
- 𣉘(흐릴 내)
- 䘅(등에 능/늑/내)
- 𠹌(말많을 능)
- 㴰(물이름 능)
- 𥀍(큰곰 비)
- 𤹍(포식할 염)
- 熊/𤠗/𪏛(곰 웅)
- 態(모습 태)
- 㑷(모양 태)
- 罷/𧟽(마칠 파)
- 㨢(살가를 피)
- 𨶙(능)
- 𩙸(망)
- 𦎵(현)
- 𡮙
- 𪣾
- 𢟒
- 𥉃
- 𤌶
- 𫆽
- 𥰘
- 𨃳
5. 여담
[1] 문어체나 한문훈독에서 자주 쓰인다. 특히 よ-く는 더더욱. 각각 '능히', '능하다'라는 뜻이다. あた-う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あた-ふ라고 쓴다.[2] 예를 들어, 재활을 통해 다시 걸을 수 있게 된다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