富 부자 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フ, (フウ) | ||||||
일본어 훈독 | と-む, とみ | ||||||
- | |||||||
표준 중국어 | f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富는 '부자 부'라는 한자로, '부자(富者)', '풍부(豊富)하다' 등을 뜻한다. 옛 새김은 ‘가멸 부’[1]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부자 |
음 | 부 | |
중국어 | 표준어 | fù |
광동어 | fu3 | |
객가어 | fu | |
민동어 | hó[文] / bó[白] | |
민남어 | hù[文] / pù[白] | |
오어 | fu (T2) | |
일본어 | 음독 | フ, (フウ) |
훈독 | と-む, とみ | |
베트남어 | phú |
유니코드에는 U+5BC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MRW(十一口田)로 입력한다.
畐(가득할 복)에서 파생된 글자로,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畐이 합쳐진 회의자이자 형성자이다. 따지자면 福(복 복)과도 자원(字源)을 공유한다.
3. 용례
3.1. 단어
- 감화부(甘花富)
- 갑부(甲富)
- 거부(巨富)
- 대부(大富)
- 부가(富家)
- 부고(富賈)
- 부국(富國)
- 부귀(富貴)
- 부력(富力)
- 부루나(富樓那)
- 부민(富民)
- 부섬(富贍)
- 부세(富世)
- 부세(富歲)
- 부영(富營)
- 부유(富有)
- 부유(富裕)
- 부윤(富潤)
- 부익부(富益富)
- 부자(富者)
- 부호(富戶)
- 부호(富豪)
- 빈부(貧富)
- 섬부(贍富)
- 소부(小富)
- 수부(壽富)
- 수부(首富)
- 외부내빈(外富內貧)
- 외빈내부(外貧內富)
- 은부(殷富)
- 일부(一富)
- 재부(財富)
- 졸부(猝富)
- 치부(致富)
- 풍부(豊富)
- 호부(豪富)
3.2. 고사성어/숙어
-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
- 간목부의(干木富義)
- 내부외빈(內富外貧)
- 도주지부(陶朱之富)
- 부국강병(富國強兵)
- 부국안민(富國安民)
- 부귀공명(富貴功名)
- 부귀궁달(富貴窮達)
- 부귀빈천(富貴貧賤)
- 부귀다남(富貴多男)
- 부귀영화(富貴榮華)
- 부귀재천(富貴在天)
- 부운부귀(浮雲富貴)
- 부유천하(富有天下)
- 빈부귀천(貧富貴賤)
- 선빈후부(先貧後富)
- 세록치부(世祿侈富)
- 식육부귀(食肉富貴)
- 안부휼궁(安富恤窮)
- 안향부귀(安享富貴)
- 연부역강(年富力強)
- 의돈지부(猗頓之富)
- 일빈일부(一貧一富)
- 자취부귀(自取富貴)
- 지족자부(知足者富)
3.3. 인명
- 강부자(姜富子)
- 곽부성(郭富城)
- 김부겸(金富謙)
- 김부식(金富軾)
- 김부일(金富佾): 고려의 인물
- 노토미 모모코(納富 ももこ)
- 도미나가 교지(富永 恭次)
- 라쿠오카 호후(楽丘 豊富)
- 무테키가하라 후지마루(無敵ヶ原 富士丸)
- 미내증부의미(彌奈曾富意彌)
- 박부양(朴富陽)
- 복부미신(福富味身)
- 부찰 랑화(富察 琅嬅)
- 부찰 용음(富察 容音)
- 오리카사 후미코(折笠 富美子)
- 오부 마사카게(飯富 昌景)
- 이부진(李富眞)
- 이부형(李富炯)
- 이춘부(李春富): 고려 후기의 문신
- 인부몬인노 다이후(殷富門院 大輔)
- 장부(張富)
- 주부(朱富)
- 최부일(崔富日)
- 타카후지 카코(鷹富士 茄子)
- 토가시 소지(冨樫 宗司)
- 토가시 요시히로(冨樫 義博)
- 토가시 유타(富樫 勇太)
- 토가시 쿠즈하(富樫 樟葉)
- 토미야마 료가(富山 凌雅)
- 토미오카 기유(冨岡 義勇)
- 토미타 미유(富田 美憂)
3.4. 지명
- 한국
- 금부리(金富里)
- 남부민동(南富民洞)
- 남부민로(南富民路)
- 다부리(多富里)
- 대부로(大富路)
- 부거(富居)
- 부평(富平)
- 부평대로(富平大路)
- 부평문화로(富平文化路)
- 부평북로(富平北路)
- 부평평야(富平平野)
- 부귀면(富貴面)
- 부령군(富寧郡)
- 부론면(富論面)
- 부리(富利)
- 부리면(富利面)
- 부리(富里)
- 부림(富林)
- 부림로(富林路)
- 부림면(富林面)
- 부안(富安)
- 부안면(富安面)
- 부윤리(富潤里)
- 부자대로(富者大路)
- 부천시(富川市)
- 부평구(富平區)
- 부평동(富平洞)
- 상진부리(上珍富里)
- 승부리(承富里)
- 원부리(元富里)
- 일부리(日富里)
- 자부리(自富里)
- 진부령(陳富嶺)
- 진부면(珍富面)
- 하부리(下富里)
- 하진부리(下珍富里)
- 일본
- 홍콩
3.5. 역명
역명에 富가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
수도권 전철 1호선 | 부개역(富開驛) 부평역(富平驛) 부천역(富川驛) |
서울 지하철 7호선 | 부평구청역(富平區廳驛) 부천종합운동장역(富川綜合運動場驛) 부천시청역(富川市廳驛)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부평구청역(富平區廳驛) 부평역(富平驛) 부평시장역(富平市場驛) 부평삼거리역(富平三거리驛)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부천종합운동장역(富川綜合運動場驛) |
경강선 | 진부역(珍富驛) |
영동선 | 승부역(承富驛) |
역명에 富가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 |
만포선 | 부성역(富成驛) 부지역(富只驛) 쌍부역(雙富驛) |
평라선 | 부거역(富居驛) 부평역(富坪驛) |
장진선 | 부성역(富盛驛) |
함북선 | 부령역(富寧驛) |
역명에 富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JR) | |
호쿠리쿠 신칸센 타카야마 본선 | 도야마역(富山駅) |
가고시마 본선 | 토미아이역(富合駅) |
간사이 본선 | 야토미역(弥富駅) 토미다역(富田駅) |
닛포 본선 | 시게토미역(重富駅) 요시토미역(吉富駅) |
도카이도 본선 미노부선 | 후지역(富士駅) |
무로란 본선 | 토미우라역(富浦駅) |
오우 본선 | 토미네역(富根駅) |
산요 본선 | 토노미역(富海駅) |
소야 본선 | 토요토미역(豊富駅) |
료모선 | [[토미타역(富田駅) |
미노부선 | 후지노미야역(富士宮駅) |
산인 본선 (사가노선) | 요시토미역(吉富駅) |
아코선 | 오도미역(大富駅) |
우치보선 | 토미우라역(富浦駅) |
조반선 | 토미오카역(富岡駅) |
키신선 | 토미하라역(富原駅) |
한와선 | 토노키역(富木駅) |
역명에 富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대형사철) | |
신케이세이선 | 키타하츠토미역(北初富駅) 하츠토미역(初富駅) |
메이테츠 코와선 메이테츠 치타 신선 | 후키역(富貴駅) |
메이테츠 비사이선 | 야토미역(弥富駅) |
오다큐 오다와라선 | 토미즈역(富水駅) |
킨테츠 나고야선 | 토미요시역(富吉駅) |
킨테츠 나라선 | 토미오역(富雄駅) |
한큐 교토선 | 톤다역(富田駅) |
역명에 富가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그 이외) | |
나가테츠 에츠미난선 | 토미카역(富加駅) |
센다이 지하철 난보쿠선 | 토미자와역(富沢駅) |
산기 철도 산기선 | 토미다역(富田駅) |
아이노카제 도야마 철도선 | 도야마역(富山駅) |
아부쿠마 급행선 | 토미노역(富野駅) |
이즈 급행선 | 후토역(富戸駅) |
''' T ''' 치테츠 본선 | 덴테츠토야마역(電鉄富山駅) |
''' T ''' 치테츠 카미다키선''' T ''' 치테츠 후지코시선 | 미나미토야마역(南富山駅) |
후지큐 후지급행선 | 후지산역(富士山駅) |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貧(가난할 빈)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𩯅[⿱髟富](가발 부)
- 𢠲[⿰口富](노할 부)
- 䔰(메꽃 부)
- 䒇(실은물건많을 부)
- 𩍏[⿰革富](부)
- 𪆠[⿰富鳥](부)
- 𫣡[⿰亻富]
- 𠾙[⿰口富]
- 𡡩[⿰女富]
- 𪧰[⿰富有]
- 𡬂[⿱富則]
- 𪷛[⿰氵富]
- 𬁗[⿰日富]
- 𬋋[⿰火富]
- 𣎬[⿰有富]
- 𱯧[⿰⺩富]
- 𧬙[⿰言富]
- 𨬬
- 𫙻[⿰魚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