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1 23:15:23

Geometry Dash/역사/10주년


파일:Geometry Dash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
게임 요소
파일:icon-kit.png 아이콘킷(레퍼런스) · 파일:gmd-achivements.png 업적(샤드 수집 · 힘의 길)
커뮤니티
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GDDLadder · NLW Spreadsheets · 관련 사이트
· 용어(소고기 · 입지메 · 프레임 퍼펙트) · 기네스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 역사(10주년)
공식 컨텐츠
파일:EasyGMD.png 스테이지(The Tower) · 파일:MapPackFolderGMD.png 맵팩(Demon 맵팩) · 파일:DemonGauntletIcon.png 건틀렛 · 파일:DailyLevelGMD.png 데일리 레벨 · 파일:weekly.png 위클리 데몬 · 파일:gdevent.png 이벤트 레벨(NCS x Geometry Dash)
온라인 레벨
파일:gmdcp.png 크리에이팅(오브젝트 · 트리거) · 파일:GD_플레이버튼.png 온라인 레벨(시리즈 · Legendary 레벨 · Mythic 레벨 · 개별 문서) · 난이도 표기 문제
데몬
난이도 구분
파일:EasyDemonGMD.png Easy · 파일:MediumDemonGMD.png Medium · 파일:DemonGMD.png Hard · 파일:InsaneDemonGMD.png Insane · 파일:ExtremeDemonGMD.png Extreme(개별 문서)
포럼 순위 등재 관련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 AREDL · 챌린지 · 플랫포머
연동 게임
기타
RobTopGames · Mega Hack · Geode

<colbgcolor=#0080ff><colcolor=#fff>
Geometry Dash 10-Year Anniversary
파일:GD10year.jpg
일자 2023년 8월 13일
주최자 RobTopGames
프로젝트 감독 ViPriN
프로젝트 편집자 nasgubb
영상 러닝 타임 26:41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10주년 영상 내용
3.1. 오프닝3.2. 인터뷰3.3. 보스전 영상3.4. 커뮤니티 투표3.5. 10년 간 통계3.6. 플랫포머 스닉픽 및 2.2 날짜 공개3.7. RobTop의 말3.8. 엔딩 크레딧
4. 10주년 앨범5. 코멘트

1. 개요

<colbgcolor=#0080ff><colcolor=#fff>
10주년 기념 영상
2023년 8월 13일부로 맞은 Geometry Dash의 10주년에 대한 문서다.

2. 상세

<colbgcolor=#0080ff><colcolor=#fff>파일:지메10주년.jpg
In 10 days, the 10-year anniversary of Geometry Dash will be celebrated with a special video. The time it will Premiere on YouTube is shown below. Stay tuned for more information!
/RubRub

열흘 후에, 지오메트리 대시의 10주년 기념일이 특별한 영상과 함께 축하될 것입니다. 유튜브에 최초 공개될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1] 더 많은 정보를 위해 주목해주세요!
/RubRub
8월 3일 RobTopGames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커뮤니티 게시글. #
GD의 10주년을 맞아 이를 기념하기 위해 RobTop은 특별한 영상과 함께 10주년을 축하해달라고 한다. 이에 유저들은 10주년이 되어도 아직도 2.2를 안냈냐며 징글징글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이 게임이 10년이 다 되어간다는 걸 체감하며 축하하는 반응. 그 후 영상에서 2.2가 2023년 10월에 업데이트 된다는 것을 밝혔으나 12월로 연기 되었다.

그리고 8월 20일에 이를 기념으로 소위 '보스전' 맵으로 유명했던 유저맵을 총집편하여 하나의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크레딧에서도 나름 인지도를 얻었던 유저맵들을 하나하나 왕복하면서 팬들에게 추억의 향수를 불러일으켰다.

또 2024년 12월 20일 2.2가 업데이트 한지 한 년이 지났고 다음 날 12월 21일 Steam 출시 10주년을 맞이했다.

3. 10주년 영상 내용

3.1. 오프닝

파일:GD10vid1.jpg
BGM: KLYDIX - Dream Flower
가운데에 GD의 로고가 박힌 시계의 침이 돌아가며 영상이 시작된다. 사용된 음악은 Xender Game의 동명의 레벨에 쓰여 유명해졌으며 아름다운 선율로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에 매우 잘 어울려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다음은 연필과 노트가 올려져있는 탁자 위에 구형 스마트폰으로 GD가 켜져있으며 이는 어린 학창 시절, 공부하다가 짬내서 게임하던 추억을 불러일으켰다.

노래에 맞춰 각종 공식맵과 초창기 온라인 레벨이 지나간다. 1.0 시절 큐브의 개수가 한 줄이었던 초창기 아이콘킷, 1.1의 Time Machine과 댓글 기능, 1.2의 Cycles와 볼 모드, 1.3의 xStep, Demon 난이도, Top 50까지 있었던 랭킹 시스템, 1.4의 Clutterfunk 제작 과정과 미니 포탈이 나온다. 그리고 오른쪽 위의 영상이 하나 지나가는 데 네이버 동영상 플레이어이다. Auto Play Area 등 초창기 온라인 레벨과 공식맵이 9개로 나눠지고 하얗게 빛나며 장면이 전환된다.

1.5의 Theory of Everything와 UFO 모드가 지나가고 1.6의 Electroman Adventures의 시크릿 코인을 먹는 장면, 최초의 포럼 Top 1 ICE Carbon Diablo X, 1.7의 Electrodynamix의 가속 포탈, 1.8 Hexagon Force의 듀얼 모드, Necropolis가 나오면서 헤드셋을 쓴 아이콘이 나온다. 이는 1.9에서 추가된 Newgrounds의 음악 사용을 의미하며 당시 자주 쓰인 노래들이 지나간다.

Blast Processing, DeCode, Blast Processing v2의 웨이브 파트가 순서대로 나온다. 점점 빨라지면서 하나의 아이콘이 그려지는 데 이는 1.911의 Steam 버전 출시이다. 그 뒤로 인터넷 방송인들에게서 유행을 타는 장면이 나온다, Nine Circles가 지나가며 2015년이 시작된다.

RiotBloodbath 베리파이, Michigun 파트에서 그를 추모하는 아이콘이 나온다. CyclicSonic Wave, 2.0으로 바뀌면서 Deadlocked와 로봇, 유저 코인, 텔레포트를 보여준다. DeCode의 웨이브 파트가 불가능할 정도로 어려웠던 당시 인식의 영상과, KrmaL의 아이콘을 중심으로 그의 온라인 레벨 Old Lady, Rearmed, Alive, Lit Fuse의 영상이 나온다. 다음으로는 Quasar의 Bloodbath 세계 최초 클리어 영상, Mefewe의 Sonic Wave 98%, Motion, Dear Nostalgists, Retention 등 2.0 초창기 레벨이 지나간다.

Sakupen Hell, Phobos, Artificial Ascent, A Bizarre Phantasm 등 당시 최상위권 난이도의 레벨이 지나가고 2016년에서 2017년으로 넘어가며 그 당시 화제가 되었던 영상들의 장면이 나온다. 세번째의 YatagarasuJeyzor 파트를 지우는 장면, 아홉 번째의 Lonely travel의 한 장면 등이다. Yatagarasu, Fingerdash, Master of the World, MasterGame 등 2.1 초기 레벨들이 나오고 Plasma Pulse Finale베리파이 영상, KnobbelboyBloodlust 98% 장면이 지나간다.

Press Start, Nock Em, Power Trip 세 개의 GD Subzero 공식맵이 지나가고 ZAPHKIEL, Erebus, Black Blizard 등 유명 익데가 나온다. 화면이 암전되고 Future Funk와 함께 2018년으로 넘어간다.

Night Rider의 레이아웃 영상과 Knobbelboy의 아이콘, Bloodlust와 Crimson Planet의 베리파이 영상, Super Probably Level, Titan Complex, Kowareta 등 당시 최상위권 익데와 CraZy II 등 유명 레벨이 지나간다. 2019년으로 넘어간다. Zodiac의 베리파이 장면, Necromancer, The Yandere, Freedom08, cool의 세계 최초 10만별 달성, Ouroboros, 애니메이션 Predule, 그리고 npesta의 Kenos의 베리파이 장면에서 노래가 절정을 찍는다.

Requiem, 저작권 문제로 인한 God Eater에서 Astral Divinity로 변경, Bloodbath의 모바일 클리어, xo 등의 영상을 보여주고 2020년으로 넘어간다. 여러 GD의 유튜브 컨텐츠들, Dolphy의 Tartarus의 베리파이, Mega Hack, Future Funk II, Leyak, 익데 룰렛 챌린지, Peaceful, Acu, Riot의 계정 삭제와 복귀, HOW, Dream flowerMisanthrope의 레이아웃, Seldulous가 연이어 나오고 npesta의 수익 창출 정지에 대항한 #freenpesta 운동, Cold Sweat, CastleMania, Ultra Violence가 나오면서 잠시 쉬었다가 다음 장면으로 넘어간다.

2021년이 되면서 RUSTCybernetic Crescent, Top 1 후보였던 Slaughterhouse, Firework, arcturus가 Top 1이라 적힌 섬네일을 강조해 나오고 Dash의 스닉픽 장면, New Record, White Space의 손을 뻗는 장면, VSC의 베리파이, Memories III과 그 엔딩아트에 Dils의 Abyss of Darkness 98% 영상이 삽입되어 있다. 2022년이 되면서 Acheron의 등장, Sakupen Circles의 베리파이 음성, The YangireMulpan 파트 프리뷰, LIMBOExplores 스닉픽, Silent clubstep의 베리파이 영상이 나온다. YunHaSeu14가 크리에이터 랭킹 1위를 달성하는 장면, 후 바다 위의 GD 아이콘을 보여주며 잠시 잠잠해진다.

RobTop의 구독자 1,000만 달성과 함께 2023년으로 넘어간다. Heliopolis의 프리뷰, Edge of Destiny, WHAT과 그 제작 과정, iSpyWithMyLittleEye, Avernus, kingsalmmelot의 시상식 축하 소감, Change of Scene 등 여러 레벨이 나오고 Codependence가 9개의 영상으로 나눠진다. 세 번째 스닉픽이 나온 후 2023년이라는 글자가 뜨고 다시 여러 주요 장면과 함께 2013년으로 돌아간다.
파일:GD10vid3.gif

GD가 플레이되는 브라운관 TV가 여러 개 쏟아져나오는 장면이 틀어진다. 지메의 마크를 보여주고 랭커, 유명인 등 플레이어들의 이름으로 채워진 지메의 아이콘이 나오고 GD10 로고를 보여주며 마무리된다.
파일:GD10vid2.jpg

3.2. 인터뷰

BGM: Creo - Lost
유명 플레이어들의 인터뷰 코너이다. 그동안 여러 질문들에 대한 유저들의 사연을 들을 수 있어 뜻깊었던 내용이었다. 한국인도 여럿 출연하며 한국어로 인터뷰를 진행한다. 풀버전은 여기서 볼 수 있다. 한국어 자막은 BamgoeSN과 EricVanWilderman이 작성하였다.

- Geometry Dash에 대해서는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
2015년쯤에 스팀에 친구가 하나 있는데 그 친구가 계속 지오메트리 대시에 대한 얘기만 계속 했거든요. 그렇게 해서 알게 됐습니다. 안 그래도 그때 스트리밍할 때 하려고 되게 빠르고 어려운 그런 게임을 찾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대체 얼마나 재밌는 게임이길래 그러나 보려고 한번 사봤죠. 그 후로 사람들이 트위치에서 절 보러 와가지고 그대로 지메대를 계속 하게 됐습니다.
KrmaL
지오메트리 대시를 알게 된 건 2013년이었어요. 게임이 출시되기도 전이었죠. 그때는 'The Impossible Game'을 하고 있었는데 그거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좀 보고 있었거든요. 그 게임이 사실상 지메대랑 거의 같은 게임이라 추천 동영상에 'RobTop' 영상이 떴는데 지메댜 트레일러같은 그런 영상이었어요.
AleXPain24
전 iOS 게임 서브레딧에서 지메대에 대해 알게 됐어요. 'RobTop'이 거기다가 트레일러를 올렸었거든요. 그래서 그걸 봤죠.
TheRealDarnoc
제가 지메대를 알게 된 건 다른 사람들이 알게 된 거랑 좀 달랐어요. 전 4PDA라는 러시아 사이트에서 알게 됐거든요. 구글 플레이스토어같은 데에서 알게 된 게 아니었어요. 그 사이트에서 2014년 최고의 게임으로 선정되어 있더라고요.
DeCody

-이 게임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이 뭐였나요?
제가 지메대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뭔가 표현하고 싶은 걸 표현하기에 딱 좋다는 그런 점이었어요. 제 생각에 지메대의 에디터 자체도 완벽하다고 생각하고요. 플레이어로선 이 게임에서 맞닥뜨리는 도전들이 언뜻 보기엔 완전히 불가능해보이는데 엄청 노력하다보면 뭐든지 가능하고 그렇잖아요. 인간의 정신 결단력 그런 걸 쓰잖아요. 그리고 게임 자체가 되게 인간적인 것 같아요. 그런 점 때문에 이 게임을 이렇게 오래 잡고 있는 것 같아요.
npesta
게임에 있는 여러가지 요소들을 활용해서 본인만의 스타일로 자작맵을 만드는 것이 가장 좋았고 그 점을 가장 재밌게 했었던 것 같습니다.
ZenthicAlpha[한국어]
저한테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당연히 에디터죠. 별로 놀랍지도 않아요. 진짜로, 진짜 그냥 저는 거의 항상 레벨 에디터에 있어요. 그냥 그래요. 제가 아무것도 안하고 있을 때도 레벨 에디터에 있어요. 그게 그냥 제가 이 게임에서 하는 일이에요.
Serponge
Dorami: 어... 그러니까 이 지오메트리 대시라는 게임이 한 맵을 클리어를 했을 때 얻게 되는 그 성취감이 다른 게임들에 비해서 유난히 높죠. 그러니까 더 좋은 게 아닌가, 그래서 더 재밌게 플레이할 수 있지 않나 뭐 그런 느낌이 들고? 그리고 당신은요?
Mr Topi: 그니가 다른 게임들과 다르게 컴퓨터든 핸드폰이든 콘솔이든 모든 기기로 다같이 하나의 게임을 접할 수 있다는 게 되게 좋은 것 같고 그래서 접근성이 좋아서 게임이 좋은 것 같아요.
Dorami & Mr Topi[한국어]
레벨을 만들어서 그걸 전세계의 사람들과 공유하고 수백 수천 명의 플레이어가 그걸 플레이한다는 게 너무 좋아요.
JonathanGD
지메대에서 제가 가장 마음에 드는 점은 게임 전체가 커뮤니티에 기반해서 움직이고 잇기 때문에 절대 죽지 않을 거라는 거에요. 유튜브에 꾸준히 올라오는 게임들을 보면, 마인크래프트같은 걸 보면 게임 그대로가 아니라 모드를 붙인다거나 뭘 바꾸잖아요. 지메대는 그거랑 달리 지메대 그 자체로도 한참 충분해요. 공식적인 신규 컨텐츠가 나오지 않은 지가 6년이나 되긴 했지만 그냥 게임 자체가 너무 완벽해서 이 게임엔 항상 난이도나 레벨 디자인에 있어서 한계가 꾸준히 돌파되잖아요.
GD Colon
저는 창의적이 사람들에게 있어서 자유도가 높다는 게 마음에 들어요. 지메대 에디터에서는 말 그대로 원하는 뭐든지 만들 수 있거든요. 그리고 그렇게 해서 만든 걸 다른 보통 플레이어들이 플레이하고 평가할 거고 그 사람들 역시, 누구나 입맛에 맞는 레벨을 찾을 수 있잖아요. 그리고 우리 커뮤니티와 게임 시스템 덕분에 이 게임은 앞으로도 10년도 더 꾸준히 살아있을 거에요.
DimNelis

- 이 게임에서 달성한 가장 큰 성취가 뭐였나요?
성과라기에는 너무 과분하다. 나는 음악을 듣고 내가 표현하고 싶었던걸 만들었을 뿐이다.
FunnyGame[한국어][5]
저한테 있어서 가장 큰 성취는 지메대 커뮤니티를 거의 9년동안 즐겁게 만들 수 있었다는 점이에요. 9년동안 저는 항상 새롭고 창의적이어야 했고 좀 웃긴 영상들도 만들었고 그랬는데... 그동안, 그동안 엄청 좋았어요. 84만 명의 구독자 여러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게 저한테는 가장 큰 성취에요. 제가 무슨 어려운 레벨을 깼든간에 상관 없어요.
EricVanWilderman
저한테 가장 큰 성취는 아마 지메대 트리거로 변환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었고 그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지메대 안에서 또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든 거요. 되게 너드들이나 할 것 같은 그런 것들이긴 한데 저한텐 엄청 재밌었고 이런 것들을 나중에 더 하려고 해요.
Spu7Nix
뭐 당연히 'Nine Circles'겠죠? 제가 당시에 좀 어려운 레벨들을 많이 깨긴 했지만 아무리 그래도 'Nine Circles'가 저한텐 가장 크죠.
Zobros
'Bloodbath'를 깼지만 확실히 매우 자랑스러운 것은 제가 맵을 만드는 속도입니다. 그리고 제가 에디터를 충분히 잘 알고 있어서 일주일만에 에픽 레이트 데몬 맵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몇 시간 만에 내 가장 상징적인 맵을 만들었습니다. 게임에 뛰어들어 멋진 것을 만들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정말 좋습니다. 저는 제가 맡은 자리에 있게 되어 매우 감사합니다. 그것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기분이 좋습니다.
Wulzy
그리고 가장 어려운 것 중 하나는 게임상 최초의 이지 에픽 맵을 만드는 것입니다. 정말 재미있었지만 동시에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에 모든 시도가 별 3개 맵에 도달했고 저는 "이러면 안되지"라고 생각했습니다.
IZhar
쉽게 말해서 이 게임에서 나의 가장 큰 업적은 'Bloodbath'뿐입니다. 다른 대답은 없습니다. 저는 단지 'Bloodbath'가 게임과 커뮤니티를 위해 한 모든 것을 생각합니다. 그것이 영감을 준 모든 것, 그것은 단지 당신이 복제할 수 없는 것입니다. 저는 지금까지도 제가 그렇게 한 것이 자랑스럽습니다.
Riot

- 커뮤니티에서 당신의 가장 좋은 기억은 무엇입니까?
지오메트리 대시에서 좋은 기억이 많이 있지만 제가 좋아하는 것 중 일부는 얼마 전 트위치에서 여러 스트리머가 연속으로 스트리밍되는 자선 행사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공동체로서 진정으로 가지고 있었던 대의명분을 통해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모두가 공유했던 단결과 열정을 보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Juniper
이것은 누가누구인지 정말로 아무도 알지 못했던 때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커뮤니티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기억은 아마도 업데이트 2.1이 나오기 직전 'RobTop'의 ARG를 해결하기 위해 전체 커뮤니티가 함께 모였을 때입니다. 저는 하루 종일 소셜 미디어를 확인하고 사진을 다운로드하고 링크를 열고 코드를 보는데 시간을 보낸 것을 기억합니다. 공동체가 이 모든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시도하고 돕기 위해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것을 결코 잊지 못할 거이라고 느낍니다.
LastPrismAlex
이 커뮤니티에서 가장 좋은 기억은 2019년에 'npesta, 'Golden', 'Gizbro'를 만났고 일주일동안 함께 있는 동안 여러 여행을 다녔던 그룹의 모임입니다. 우리는 심지어 'DanZmeN'의 "Bang Gang"이라는 2인용 맵을 베리파이했습니다. 저는 인터넷 친구들과 만나는 것을 좋아합니다. 저는 여러 번 해봤지만 그것은 제가 해본 것 중 확실한 죄고의 시간이었습니다.
Technical
내 최고의 기억은 2020년 10월 6일 아침입니다. 알람이 울리고 휴대전화에 게임 모더레이터가 된 것을 축하하는 디스코드 알림이 약 50개 표시됩니다. 나는 이전에 내가 모더레이터가 될 거라고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애 어던 익스트림 데몬을 깼을때보다 더 심하게 뛰고 있었습니다.
MaFFaKa
진부하게 들릴것이고 미안하지만 내가 가진 최고의 기억 도는 게임에서의 기억, 이 커뮤니티 덕분에 내가 친구들을 만나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진부하다는 것을 알지만 정말 진심입니다.
SrGuillester
저는 이에 대해 한동안 생각해 봤지만 이보다 훨신 사랑했던 커뮤니티의 구체적인 기억이 하나도 없습니다. 나는 스트림에서 'Technical'이 'Tartarus'를 깨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믿을 수 없었습니다. 'TrusTa'가 'Yatagarasu'를 베리파이하는 것을 본 것은 멋진 일 중 하나였습니다. 'Knobbelboy'가 'Bloodlust'를 베리파이하는 것은 정말 초현실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하나를 고른다면 그 달에 1000번째 데몬맵 'Moffe'의 'Barboros Finale'을 깼을 때 입니다. 정말 멋졌습니다. 아마도 제가 속한 커뮤니티들 중에서 일어난 일 중 가장 좋아하는 일들 일 것입니다.
AeonAir
1.9의 시작입니다. 거리에서, 학교에서 여러분은 지오메트리 대시를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 게임의 비디오를 공유하는 사람들도 서로가 맵을 마칠 수 있도록 돕고 특정 부분을 완료할 수 있는 팁을 제공합니다. 2.2에서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그리고 그것은 공동체를 위한 또 다른 아름다운 시간이 됩니다.
STIVENELVRO
제가 이것을 녹화하면서 가장 좋아하는 기억은 아마도 2019년 말에 있었던 2.1 어워즈의 프리미어일 것입니다. 우리는 'rafer'의 훌륭한 애니메이션과 그 후 ARG를 특징으로 하는 어워즈를 제외하고 그 행사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저의 가장 좋아하는 기억은 아마도 지금 보고 있는 이 비디오의 프리미어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ViPriN

3.3. 보스전 영상

BGM: Lchavasse (TheDevon) - Bossfight
등장 보스
순서 제목 제작자 링크
1 Deadlocked RobTop #
2 -sirius- FunnyGame #
3 Kappa Boss Fight Jeyzor #
4 B Motleyorc #
5 MasterGame Serponge #
6 SLAM rafer #
7 Against the God 1374 #
8 Ouroboros ViPriN[6] #
9 The Eschaton Xender Game #
10 Ultra Violence #
11 Omorfia HHyper #
12 CastleMania Serponge[7] #
13 Boom Slayer matty2003[8] #
14 CraZy III DavJT #
15 ???(Final Boss)
2.0 업데이트로 유행한 보스파이트 형식의 레벨을 애니메이션을 모아놓은 영상이다. 모두 고퀄리티와 상징성으로 인기를 많이 끌었고 각자의 캐릭터성을 잘 살린 영상으로 평가받는다. rafer가 감독,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등을 맡았다. 마지막 보스는 레벨에서 따온 것이 아니며 인게임 공식 빌런 설정인지 단순히 애니메이션 출연용인지는 불명. 하지만 금방 발리는 것을 보아 후자인 듯하다.

아이콘이 소환된다. Bossfight Rush라 적힌 문을 바라보며 자신있게 웃고 문을 열어 들어간다. 1어템으로 시작한다. 최초의 보스파이트, Deadlocked으로 들어와 몬스터 세 마리를 맞닥뜨려 각각의 불기둥을 피하고 파란색 무언가로 해치운다. 다음은 사각형으로 둘러싸인 방으로 들어와 sirius의 보스를 만난다. 빨간색 테마에서는 탄환을 피한 뒤 보라색에서는 발판을 밟고 무언가로 베어 쓰러트린다. 다음은 kappa boss fight의 보스가 눈에서 레이저를 발사하고 있다. 채팅창에 있는 빨간색 십자 이모지를 떼와 공격한다. 그 뒤 벌집에 와있는데, 이는 B의 한 장면이다. 처음으로 얼굴에 상처를 입고 B 보스와 대면한다. 갑자기 아군 벌이 날아오더니 벌 무더기를 한 번에 해치운다. 다음은 MasterGame의 바다 위이다. 우주선이 쏘는 포탄을 피하고 플레이어의 비행기에서 나가는 레이저로 해치운다싶더니 갑자기 SLAM의 몬스터로 바껴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빙글빙글 돌다 머리를 쥐어박아 두개골을 반쪽낸 뒤 Against the God의 그림자 형상이 보인다. 황금 드래곤이 있는 곳까지 와 방패로 드래곤이 쏘는 레이저를 막아 튕겨내 반격한다. 배경이 어두워지고 시뻘겋게 변해 보스는 Ouroboros의 드래곤이 된다. 꼬리에 한 번 맞는가 싶더니 다시 공격해 잠깐 땅에 앉아있는다. 쉴 틈도 없이 The Eschaton의 보스가 달려와 주먹질을 한다. 플레이어가 빨간 스위치를 누르고 Ultra Violence의 보스로 바뀐다. 폭탄을 입에 쑤셔넣고 터뜨린 뒤 Omorfia의 배경으로 이동한다. 플레이어를 향해 휘두르는 주먹에 맞공격을 해 쓰러트리고 CastleMania의 사신과 만난다. 낫을 휘두르는 보스에 맞서 사슬을 휘두르고 목을 졸라 다리에 처박는다. Boom Slayer의 도시로 와 레이저를 쏴대는 보스에게 달려가며 듀얼로 복제해 같이 공격한다. 다음은 CraZy III의 회전목마에 앉아있다. 플레이어는 놀이동산에 맞춰 변장을 하고 있고 밖에서 거대한 삐에로가 지켜보고 있다. 레이저를 몇 번 피하고 자신의 모자에서 나오는 파란색 레이저로 반격한다. 그 뒤 Final Boss라고 쓰인 문에 진입한다. 지하 격투기장으로 내려가는 듯한 느낌이 드는 장면에서 가운데 흰색 구체에 여러 몬스터들의 영혼이 빨려 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큰 칼을 든 흰색 아이콘으로 현현한 뒤 용으로 변하기도 하면서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지금까지는 큰 타격이 없었던 플레이어가 밀리기도 하고 칼에 금이 쩍쩍 갈라진다. 이때 배경이 지금까지의 보스파이트의 것으로 빠르게 지나간다. 그 사이에도 플레이어는 보스의 얼굴에 상처를 입히고 대치하면서 그 상처를 한 번 더 베고, 온몸을 휘둘러 베면서 마무리한다. 마지막 보스는 영혼의 형태로 고통스러워 하는 표정을 짓다가 사라진다. 다 끝났다는 듯 숨을 몰아쉬는 플레이어는 클리어 화면과 유사한 벽으로 들어가 클리어 효과음과 함께 영상은 마무리된다.

3.4. 커뮤니티 투표

BGM: Derpcat - Something Different (ft. Talurre)
[ 요약 이미지 펼치기 · 접기 ]
파일:GD10vid4.jpg

열흘 전에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선정된 결과이다.
가장 좋아하는 레벨은 무엇인가요?
순위 레벨 제작자 득표 수
1 Change of Scene Bli 2313
당시 기준 최근 시행된 디스코드 건틀렛의 1위 작품이다. 뛰어난 퀄리티와 최적화로 호평을 받았지만 시기를 잘 탄 면도 있다.
2 Bloodbath Riot & more 1909
가장 유명한 익스트림 데몬이자 전설적인 레벨이다.
3 Deadlocked RobTop 1485
3개의 데몬 공식맵 중 하나이자 보스파이트의 시초이다.
4 White Space Xender Game 1157
2.1의 정점에 서 있는 모던 디자인과 복잡한 감정의 음악, 스토리가 있는 레벨로 Xender Game의 대표작이다. 4표 차이로 4위가 되었다.
5 LIMBO Mindcap & more 1153
대형 합작 익스트림 데몬이다. 압도적인 비주얼로 많은 유저들에게 충격을 선사하였다.
6 Fingerdash RobTop 997
당시 가장 최근에 추가된 공식맵이자 가장 오랫동안 마지막 공식맵로 남아있었다.
7 Future Funk JonathanGD 904
JonathanGD의 대표작이다. 후반의 2018과 99% 등 여러 인상적인 장면을 남겼다.
가장 좋아하는 크리에이터가 누구인가요?
순위 이름 대표작 득표 수
1 Bli Change of Scene
Rage Quit
2978
뛰어난 퀄리티와 최적화로 비교적 최근에 화제가 되었다. 세 표 차이로 1위에 선정되었다.
2 JonathanGD Butiti 시리즈
Future Funk 시리즈
2975
XL 레벨을 주로 제작하며 그 모범이 될 만한 레벨들을 여럿 남겼다.
3 ViPriN Beginning of Time
Artificial Ascent
2316
최장기간 크리에이터 포인트 랭킹 1위였다. 수많은 레벨 제작에 참여하였다.
4 Xender Game The Violence
White Space
1891
고퀄리티의 보스파이트로 게임 내외로 화제를 이끌었다. 또한 모던 디자인도 그에 걸맞게 뛰어나다.
5 FunnyGame Death Moon
Lonely travel
1711
여러 고전 명작들을 남긴 전설적인 크리에이터이다.
6 KrmaL Black Blizzard
hi
1499
특유의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레벨로 화제가 되는 크리에이터이다.
7 Serponge HeLL
MasterGame
1465
여러 유명한 미디움 데몬과 실험적인 레벨을 제작한 크리에이터이다.
가장 좋아하는 플레이어가 누구인가요?
순위 이름 주요 업적 득표 수
1 Nexus Bloodlust 클리어 4216
여러 익데를 격파한 실력자이자 꾸준한 순수 클리어 쇼케이스 활동으로 사랑받는 플레이어다.
2 Doggie Acheron 클리어
Slaughterhouse 베리파이
3163
여러 최상위권 익스트림 데몬을 클리어하였으며 Zoink, wPopoff에 다음가는 실력자로 평가받는다.
3 Riot Bloodbath 베리파이 2933
전 Top 1 Bloodbath를 베라파이하고 Tartarus를 주최하는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4 Michigun 전 별 랭킹 1위 2077
한때 2년간 별 랭킹 1위였으며 Temple 시리즈 등을 제작하였다.
5 CursedZ Abyss of Darkness 베리파이
Sakupen Circles 최초 클리어
1772
여러 최상위권 익스트림 데몬을 클리어 및 베리파이하였다.
6 npesta Kenos 베리파이 1739
Kenos 베리파이와 그 리액션으로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7 zZoink Tidal Wave 베리파이
메인리스트 올클리어
1363
2025년 기준 가장 실력이 뛰어난 플레이어로 평가받는다.
가장 좋아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누구인가요?
순위 이름 구독자 수[9] 득표 수
1 EricVanWilderman 110만 3717
주요 영상 ALL WORLD'S HARDEST JUMP LEVELS
2 GD Colon 72만 3390
주요 영상 What NOT to put in your Geometry Dash Level
3 npesta 33만 2528
주요 영상 KENOS VERIFIED (Extreme Demon) by Bianox & More!
4 AeonAir 21만 2316
주요 영상 THE SLOWEST DEADLOCKED COMPLETION EVER!! (0.05 Speed) // Geometry Dash
5 Nexus 239만 2240
주요 영상 [2.2] "Press Start Full Version" by Music Sounds | Geometry Dash
6 SrGuillester 41만 1872
주요 영상 When you **REALLY** act like a God for 10 seconds
7 Mulpan 143만 1354
주요 영상 Doors levels | Geometry dash 2.2
가장 좋아하는 음악이 무엇인가요?
순위 이름 작곡가 대표 레벨 득표 수
1 At the Speed of Light Dimrain47 Cataclysm by GgB0y
Bloodbath by Riot & more
3535
2 Deadlocked F-777 Deadlocked by RobTop 1174
3 Sphere Creo Zodiac by Bianox & more 947
4 Fingerbang MDK Fingerdash by RobTop 769
5 Sonic Blaster F-777 Sonic Wave by Cyclic 688
6 Theory of Everything 2 dj-Nate & F-777 Theory of Everything 2 by RobTop 611
7 Stereo Madness ForeverBound Stereo Madness by RobTop 558

3.5. 10년 간 통계

파일:GD10vid3.jpg
BGM: meganeko - Moonflowers
2023년 8월 기준이다. 일반 유저들도 인게임 내에서 알 수 있는 정보도 있지만 여러 희귀한 정보도 공개되었다.

3.6. 플랫포머 스닉픽 및 2.2 날짜 공개

파일:GD10vid5.jpg
로딩창이 하나 뜨고 끝까지 가면 플레이어가 The Tower의 두 번째 스테이지에 떨어진다. 첫 번째 스테이지는 이미 공개되었고 두 번째는 여기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미니 보스전까지 클리어 한 뒤에 깨알같이 밑의 아이콘이 미소지으며 2023년 10월에 업데이트가 진행된다는 문구가 뜬다.

참고로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3.7. RobTop의 말

파일:GD10vidrob1.jpg
Hi, everyone, it's RobTop. So, 10 years, huh? Can't believe it's already been a decade. I just wanted to take this opportunity to say thank you, to each and everyone of you. I couldn't have asked for a more creative and passionate community, and it's been awesome to see all the things you've done. Now, I know you're all waiting for the update. And I'm sorry it took long, but believe or not, we're almost there. And I really look forward to seeing what you create with all the new features. So, thank you again for 10 amazing years and hopefully many more.

안녕하세요, 여러분 RobTop입니다. 음, 10년, 그렇지? 벌써 10년이라니 믿기지가 않네요. 이 기회를 빌어 여러분 한 분 한 분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었습니다. 이보다 더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공동체를 요구할 수는 없겠지만 당신이 한 모든 것들을 볼 수 있어 정말 멋졌습니다. 여러분 모두가 업데이트를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알아요. 오래 걸려서 미안하지만 믿거나 말거나 우린 거의 다 왔습니다. 그리고 저는 당신이 새로운 기능으로 무엇을 만들 것인지 정말 기대하고 있습니다. 멋진 10년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더 오래 지속되기를 바랍니다.
RopTop

3.8. 엔딩 크레딧

BGM: OcularNebula - Stay Inside Me
레퍼런스 레벨
순서 난이도 제목 제작자
1 파일:EasyGMD.png Stereo Madness RobTop
2 파일:EasyDemonFeaturedGMD.png The Nightmare Jax
3 파일:HarderFeaturedGMD.png FunnyGame Holiday FunnyGame
4 파일:InsaneGMD.png Hexagon Force RobTop
5 파일:EasyDemonFeaturedGMD.png DeCode Rek3dge
6 파일:InsaneFeaturedGMD.png La Campanella FunnyGame
7 파일:DemonFeaturedGMD.png Nine Circles Zobros
8 파일:EasyFeaturedGMD.png ReTraY DiMaViKuLov26
9 파일:EasyDemonFeaturedGMD.png Death Moon Caustic(FunnyGame)
10 파일:ExtremeDemonFeaturedGMD.png Bloodbath Riot & more
11 파일:DemonGMD.png Deadlocked RobTop
12 파일:EasyDemonFeaturedGMD.png Motion TamaN
13 파일:ExtremeDemonFeaturedGMD.png Artificial Ascent ViPriN
14 파일:MediumDemonEpicGMD.png B Motleyorc & ScorchVx
15 파일:NormalGMD.png Press Start RobTop
16 파일:DemonEpicGMD.png Future Funk JonathanGD
17 파일:DemonGMD.png Aleph 0 Shiryuu7
18 파일:UnratedGMD.png Peaceful Zylenox
19 파일:InsaneDemonEpicGMD.png CraZy III DavJT
20 파일:EasyDemonEpicGMD.png White Space Xender Game
그동안 영향력 있었던 레벨들을 모아놓은 레벨인 하드 데몬 GD10의 플레이와 함께 크레딧이 나온다. 이 레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GD10 문서 참고. 오른쪽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참여 또는 소스를 제공한 사람들의 크레딧이 위로 올라온다.

레벨이 끝나 화면이 어두워진 후 마지막 크레딧이 나오며 영상이 마무리된다.

파일:GD10vid6.jpg

4. 10주년 앨범

<colbgcolor=#0080ff><colcolor=#fff> Geometry Dash Community Favorite Songs
파일:GD10art.png
트랙 수 30개
전체 러닝타임 122분 16초
링크 스포티파이 | 유튜브[10]
Official playlist of the most downloaded and highest voted custom songs from Geometry Dash.
10주년을 맞아 커뮤니티에서 지금껏 사랑받은 음악들을 모아놓은 플레이리스트다. 10주년과 함께 특별 팬아트도 공개되었다.

주로 건틀렛 또는 맵팩 소속 레벨, 유명한 온라인 레벨들에 사용된 음악이나 레벨과의 조화가 잘 맞아 임팩트가 컸던 음악들이 수록되었으며 공식맵 음악은 제외되었다.

===# 사운드트랙 목록 #===
사운드트랙
순서 작곡가 제목 대표 레벨 링크
1 dj-Nate Beginning of Time Beginning of Time by ViPriN #
커스텀 음악을 사용한 첫 별맵에 쓰인 음악으로 1.9 시절에는 단골 음악이었다.
2 Dimrain47 At the Speed of Light Bloodbath by Riot & more
Cataclysm by GgBoy
#
Cataclysm을 시작으로 지옥 테마의 대명사가 된 음악.
3 SHK 死月 Death Moon by Caustic(FunnyGame) #
1.9를 대표하는 명작 중 하나로 꼽히는 Death Moon에서 사용된 음악.
4 Xtrullor Supernova Toxin Lab II by Xaro
Silent Circles by Sailent
#
신비로운 멜로디로 시작해 드랍에 가서는 강렬한 덥스텝을 가진 음악. Xtrullor의 출세작이자 조회수 1위 곡이며 커스텀 음악 중 가장 많은 레이팅 레벨에 사용된 음악이다.
5 ColBreakz 2011 Shock by Danolex #
첫 번째 건틀렛 Fire Gauntlet 소속이자 건틀렛의 첫 Epic 레벨인 Danolex의 Shock에 사용되었다.
6 Creo Crazy Kyouki by Demishio #
현 가장 어려운 1인 제작, 베리파이 레벨[11]Kyouki에 사용된 음악.
7 Waterflame Endgame DeCode by Rek3dge #
게임 내부에 들어온 듯한 경쾌한 분위기의 음악으로 1.9 시절에 엄청나게 많이 사용되었다.
8 Detious Golden Haze ReTraY by DiMaViKuLov26 #
현 Geometry Dash의 좋아요 1위 레벨 ReTraY에 사용된 음악. 역시 1.9 시절에 많이 사용되었다.
9 TheFatRat Xenogenesis Dark Paradise by Roil GD #
TheFatRat의 대표곡 중 하나. 2.0 시절에 굉장히 많이 사용되었다.
10 Kabuki Promises Promises by Adiale #
Alpha Pack 소속 레벨 3개를 제외한 Easy 레벨 다운로드 수 1위인 Adiale의 Promises에 사용된 음악.
11 Waterflame Thumper Spooky Light by Serponge #
Shadow Gauntlet의 첫 번째 레벨인 Spooky Light에 사용되었다.
12 Bossfight Okiba Crackdown Dear Nostalgists by TriAxis #
2.0에서 1.0 디자인을 채용한 최초의 복고풍 레벨 Dear Nostalgists에 사용되었다.
13 Garlagan Holography X by TriAxis & TamaN #
Garlagan을 GMD 커뮤니티에 소개한 출세작이자 대표곡으로, TriAxis와 TamaN의 합작 레벨 X를 통해 알려졌다.
14 TheFatRat Unity Unity by TriAxis & FunnyGame #
명실상부한 TheFatRat의 대표곡으로, 이에 걸맞게 Geometry Dash에서도 엄청나게 사용되었다.
15 Hinkik Time Leaper Falling Up by KrmaL #
이전부터 Hinkik의 출세작이자 대표곡이었지만, Falling Up을 통해 GMD 커뮤니티에서 Hinkik이라는 작곡가가 알려지게 된다.
16 Panda Eyes Colorblind Chambers by SirHadoken #
Panda Eyes 단독 작품 중에서는 가장 유명한 작품. 의외로 Geometry Dash에서는 생각보다 많이 쓰이지 않았다.
17 Dimrain47 The Falling Mysts Athanatos by IIExenityII & more #
Bloodbath와 Sakupen Hell을 확실하게 아래로 떨어뜨린 1위 출신 레벨 Athanatos에 사용되었으며, Dimrain47의 마지막 곡이다.[12]
18 F-777 Space Battle OuterSpace by Nicki1202 #
첫 번째 건틀렛 Fire Gauntlet의 첫 레벨이자 현 Geometry Dash 다운로드 수 1위인 OuterSpace에 사용된 음악.
19 Xtrullor Ichor Infernal Arena by SUOMI
ichor by DzRAS
#
Lava Gauntlet에서 첫 2레벨에 연달아 사용된 음악. 건틀렛에서 레벨 2개가 연달아 같은 곡을 사용한 건 Ichor가 유일하다. Xtrullor의 음악답게 2.0 극초기에 애용되었다.
20 Creo Exoplanet Ghoul by DesTicY
Under by Serponge
#
어두운 분위기의 음악이 건틀렛 소속 두 레벨인 Ghoul, Under와 잘 어우러진다.
21 F-777 Ludicrous Speed Supersonic by ZenthicAlpha & more #
현 Insane Demon 다운로드 수 1위이자, 메가콜라보의 시초로 여겨지는 Supersonic에 사용된 음악.
22 Kaixo Troglodyte Dinosaur by alkali #
현 Insane 레벨 다운로드 수 1위인 Dinosaur에 사용된 음악.
23 Derpcat Something Different (ft. Tallure) White Space by Xender Game #
2.1 디자인의 정점 중 하나로 꼽히는 Xender Game의 대표작 White Space에서 사용된 음악.
24 Creo Sphere Zodiac by BIANOX & more #
2019년 베리파이되어 1년 가까이 왕좌를 차지한 Zodiac에서 사용된 음악.
25 Rukkus Nine Circles Nine Circles by Zobros #
현 Hard Demon 다운로드 수 1위이자, Geometry Dash에서 가장 많은 파생 레벨을 만들어내며 Geometry Dash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Nine Circles에 사용된 음악. Rukkus의 대표곡이다.
26 F-777 Sonic Blaster Sonic Wave by Cyclic
UltraSonic by ZenthicAlpha & more
#
가장 유명한 나인써클류 중 하나인 Sonic Wave와, Sonic 시리즈의 두 번째 레벨인 UltraSonic을 비롯해 정말 많은 레벨에 사용된 음악.
27 Creo Dimension Black Blizzard by KrmaL #
현 Creo의 대표곡으로, Black Blizzard를 통해 알려졌다.
28 Lchavasse Lunar Abyss Duelo Maestro by Nacho21 #
가장 유명한 2-Player Mode 레벨인 Duelo Maestro에 사용된 음악.
29 meganeko Moonlight Sonata 3rd Movement (meganeko Remix) Change of Scene by Bli #
Discord Gauntlet 콘테스트 1위 작품이자 10주년 기념 설문 조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레벨 1위를 차지한 Change of Scene에서 사용되었다.
30 KLYDIX Dream Flower (夢幻の花) Dream flower by Xender Game & Knots #
Dream flower의 아름다운 디자인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노래로 크게 호평받은 음악이다. 10주년 영상 오프닝 테마로서 채택되어 또 다시 엄청난 호평을 받았다.

===# 앨범 아트 분석 #===
<colbgcolor=#0080ff><colcolor=#fff> 파일:GD10artexplain.png
출처: Every reference to the anniversary image[13]
rafer가 제작하였다. 각종 유명한 레벨들의 주요 장면과 플레이어들이 모여있는 아트이다. 각 구역별로 테마가 있으며 중앙에는 플레이어가 여러 포탈을 지나 튀어나오고 있다.

5. 코멘트

Thank you for 10 amazing years!
훌륭한 10년에 감사드립니다!
RobTop
Esto será un momento histórico en la comunidad de GD espero que todo lo puedan ver y es increíble como un juego de un cubo ha crecido tantísimo con el tiempo ❤
Stivenelvro
That's half my life. And I owe more than half of it to this game. Thank you so much for creating such a beautiful game!
Wulzy
The best GD video ever made. Everything was so well done. Thanks for an amazing 10 years, everyone.
npesta
IT IS TIME LADIES AND GENTLEMEN 💚
Vortrox
This video blew me away. There's nothing you guys could have done to celebrate this day better. It really shows how passionate we all are about this seemingly simple game. I'm so grateful to be a part of this whole thing and I'm sure the next 2 months are gonna be very memorable. Thanks for everything.
Doggie
Been obsessed with this game for over eight years and I've never once gotten bored. Thank you for making and maintaining such as special game, as long a the community is there to push the limits it will never die.
GD Colon
10 years is insane for a single developer. Incredible how you’ve made it this far.
Moldy
Exciting time to be a GD fan. This community and game means more to me than I can express. Thanks rob :)
AeonAir
What a ride it's been. 10 years of this incredible game and it's only going to get better. Thank you for bringing this game into our lives 💛
Technical
10 years is absolutely insane, glad to have been a part of it these last 7 years!
neigefeu
This 10-year anniversary was one of the greatest things I've ever seen. The animation was actually so impressive I can't even put it into words, and the interviews from the whole community was such a cool thing to see. Thanks for putting this all together robtop, TYSM FOR PUTTING ME IN :D
KingSammelot
I started playing this game as a freshman in High School and now I am a senior in college, time sure flies.
Lemoncak3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Geometry Dash/역사|Geometry Dash/역사]]}}}{{{#!if external != "o"
[[Geometry Dash/역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Geometry Dash/역사?uuid=버전 uuid|r1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Geometry Dash/역사?uuid=버전 uui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Geometry Dash/역사?from=103|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Geometry Dash/역사|Geometry Dash/역사]]}}}{{{#!if external != "o"
[[Geometry Dash/역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Geometry Dash/역사?uuid=버전 uuid|r103]]}}}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Geometry Dash/역사?uuid=버전 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Geometry Dash/역사?from=103|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한국 시간 기준 8월 14일 오전 5시에 공개. 위의 영상에 EVW가 작성한 한국어 자막도 포함되어 있다.[한국어] 한국인 유저로 한국어로 인터뷰했다.[한국어] [한국어] [5] 실제 목소리를 사용하지 않았다.[6] 보스 제작: Rustam[7] 보스 제작: Xender Game[8] 보스 제작: ScorchVX & HHyper[9] 2025년 3월 기준[10] 현재 死月이 사용할 수 없는 동영상으로 처리되어 숨겨진 상태이다.[11] 레이아웃, 디자인은 물론 베리파이까지 레벨 완성의 모든 과정을 혼자 담당했다.[12] Newgrounds 기준 7년 후에 곡이 하나 더 올라왔는데 2006년에 작곡된 곡이다.[13] 흰색은 레벨 이름, 초록색은 인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