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17:48:15

Unity(Geometry Dash)


파일:InsaneGMD.p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Geometry Dash의 Insane 레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afafa,#1f1f1f><rowcolor=#fff> 분류 레벨
<colbgcolor=#5b0c39><colcolor=#fff> A~C Alien Dream Emulator[G] · Aperture[G] · Baelfire[G] · BER ZER KER[G] · Blast Processing v2 · Burn[G] · BUSSIN[G] · Cant let go v2(NePtunE)[M] · Checkmate[M] · Clash[M] · Clutterfunk Remix[M] · Cronos Fantasy[M] · Corrupted Kingdom[M] · Cycles v2 R[M]
D~F Digital Glitch[G] · Dimensional Shift[M] · dinosaur · dorabaebasic10 · Dream[M] · Electric Freeze[M] · ElectroGate[M] · Electro DarnoX[M] · Encore[M] · ErrorFunk[M] · Espiazione · expansion[G] · Final Orbit[G] · Final Step[M] · FLAPPY BIRD · Floodfall Caverns[G] · Frostburn Peak[G] · FUNHOUSE · Funky Cave[M] · Funky Dice[M]
G~L GD GANGSTER RAP · Ghoul[G] · Golem[G] · Great White North[G] · Hahaha Normal Map[M] · HellGate Menace[G] · Heptagon Force[M] · Hexagon Adventure[M] · Hexagon Force V2(Findexi)[M] · Honeydew[G] · Hyper ice Jumper[M] · Into the Deep[M] · Jova[G] · Jumper v2[M] · Kisaragi[G] · La Campanella · lost in the woods[G] · Luminoso[M] · Lunar Abyss
M~S Made in vuosaari[M] · Mathymbol Alpha[M] · Mechanism[G] · Monster Mischief[G] · Mystic Jumper[M] · OMG ALIENS[G] · Out of Place[G] · PLANET X[G] · Polargeist HD[M] · Predator[G] · Propane Nightmares[G] · Quebrantar[G] · Royal Sky[M] · Scene Machine[M] · SEASIDE SHUFFLE[G] · Seasonal Haven[G] · Shuriken[G] · Spacetime Continuum[G] · Stylewave[G] · system out[M]
T~Z Tetris zone[M] · Tetrix · The Beyond[G] · The Creator · The Diablo[G] · The Magma Caverns · The Triple Trial · Theory of Relativity[M] · Theory Of Theory[M] · Time Machine v2[M] · Time Machine x3[M] · Twenty Four[G] · Tyrian wall[M] · Unnamed h[G] · Unity · Vessel[G] · Very hard CLG[M] · Wave Wave · Wild Card[G] · YOUVE BEEN TROLLED · Zenith[M] · zone pirate v[G]

}}}}}}}}}
#!wiki
[[틀:문서가 있는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기타 레벨]] · '''Insane'''


1. 개요2. 구간3. 유저 코인4. 여담

1. 개요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
레이팅=InsaneFeatured, 이름=Unity, 유저명양식=by TriAxis & FunnyGame, 유튜브=TQKxYBfs1QM, 설명=Two extremely talented creators\, FunnyGame and TriAxis\, joined... in UNITY,
ID=12057578, 비밀번호=1905, 길이=1분 14초, 오브젝트수=23\,832, 버전=2.0,
별=8, 코인=3,
사운드트랙1=TheFatRat - <a href="https://youtube.com/watch?v=n8X9_MgEdCg">Unity</a>,
)]
2.0 초기에 TriAxis와 FunnyGame이 합작한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Geometry Dash에서 Unity라는 이름을 사용한 레벨은 10개가 넘어가지만,[1] 이 레벨이 다른 Unity들의 인지도를 전부 합해도 모자를 만큼 압도적인 인지도를 가졌기에, Geometry Dash에서 단순히 Unity라고만 한다면 이 레벨을 의미한다.

1.9~2.0 시절 최고의 이펙트 및 디자인 크리에이터로 꼽히던 인물 중 하나인 TriAxis와, 예나 지금이나 Geometry Dash의 전설로 불리는 FunnyGame이 함께 만든 레벨답게 2.0이 업데이트된 지 3주만에 나온 레벨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퀄리티를 보여주며, 최고의 2.0 레벨을 논하는 자리에서 빠지지 않는 레벨이다.

이 레벨이 나온 2.0 극초반 당시에는 신기능인 여러 트리거들과 무제한 컬러등이 남용되어 지금의 기준에서는 이게 어떻게 레이팅/피쳐드된건가 싶을 정도로 끔찍한 레벨들이 쏟아져나오던 시절이지만 Unity의 여러 테마와 이펙트는 2.2 현재에서 봐도 전혀 촌스럽지 않으며 당연히 당시엔 유저들에게 매우 큰 충격을 보여주었다. 물론 아직 2.0 극초반 레벨인지라 약간의 페이크나 무브 남용 등이 있기는 하지만 보기 흉할 정도는 절대 아니며 게임플레이도 준수한 편. 이러한 대호평에 걸맞게, Geometry Dash의 Insane 레벨들 중 다운로드 2위[2], 좋아요 수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레벨.

난이도는 8성치고는 상당히 쉽다. 2.0 초기 레벨 특유의 무빙 오브젝트 남용으로 인해 암기가 강요되는 게임플레이는 이 레벨도 피해갈 수 없었지만 나름대로 안내를 해 주는 편이며, 암기가 필요하지 않은 구간들은 디자인도 직관적이라 크게 어렵지는 않다. 현 기준으로는 7성 정도의 난이도. 인세인 치고는 쉽고, 게임플레이가 재미있기에, 첫 온라인 인세인으로 애용된다.

2. 구간

1. 큐브 구간 (0~11%)
파일:HarderGMD.png
사각형 글로우에 둘러싸인 큐브들 사이를 뛰어다니는 구간. 2.0 특유의 예고없는 무빙 오브젝트가 잊을 만하면 나와 암기가 필요하다.

중간에 레벨명 및 제작자명이 지나가는데, 이 앞에서 죽으면 제작자명이 BunnyGame & FriAxis로 바뀌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2. UFO 구간 (11~35%)
2-1 파일:InsaneGMD.png 시작은 무지개 배경에서 구체를 피하는 구간이다. 일정 간격으로 구체가 매우 크게 움직이는데, 화살표로 어느 정도는 알려주지만 상하 화살표는 보고 피하는 의미가 없는 수준이라 외워야 한다. 이 레벨에서 가장 어려운 구간. 외우면 상당히 쉬워진다.
2-2 파일:HarderGMD.png 이후로는 테트리스의 □ 블록이 되어 테트리스 구간을 지나간다. UFO의 히트박스를 가늠하기 힘들어 상당히 어렵다.[3] 또한 테트리스 블록은 닿아도 안 죽는다. 32% 중앙에 있는 노란색 □ 블록을 조심해야 한다. 개인차에 따라 가장 어려운 구간일 수 있다.
3. 로켓 구간 (35~49%)
파일:HarderGMD.png
소형 비행 구간. 로켓에 탑승해 우측에서 날아오는 레이저를 피하는 구간이다. 보면 알겠지만 로켓 크기에 비해 의외로 히트박스가 작다.
4. 비행 구간 (49~60%)
파일:NormalGMD.png
로켓에서 내려 본연의 비행 모습으로 돌아온다. 오른쪽에 퍼센테이지가 생기며 화면이 점차 밝아지는 구간.
5. 웨이브 구간 (60~83%)
5-1 파일:HarderGMD.png 저속 웨이브로 후방을 제외한 벽면에서 튀어나오는 블록들을 피하는 구간이다. 블록들이 꽤나 앞에서 튀어나오는 편이라 반응속도가 좋다면 그냥 보고도 피할 수 있는 수준이다.
5-2 파일:HarderGMD.png 이후 좌우반전으로 진입하며 우측에 기둥 5개가 등장한다. 기둥이 뒤로 점멸하면서 빠지는데, 빨간색으로 점멸하면 곧 돌진한다는 뜻이니 피해야 하고, 초록색으로 점멸하면 캐릭터 앞에서 멈춘다는 뜻이니 그냥 서 있으면 된다.
6. 듀얼 구간 (83~100%)
파일:HardGMD.png
로봇과 볼이 반복되면서 검은색 발판들을 지나다니는 듀얼 구간. 코인을 제외하면 딱히 특이사항은 없다.

3. 유저 코인

4. 여담


[1] 전부 이 레벨처럼 TheFatRatUnity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했다.[2] 1위는 alkali의 dinosaur. 다만 이쪽은 별 특색 없이 잘 만든 전형적인 2.1 극초기 레벨이라 좋아요 수는 Unity에 밀리고, 인지도도 Unity보다 떨어진다.[3] 심지어 테트리스 크기가 계속 바꿔어서 감만으로 통과해야 한다.[4] 레벨에서 제공하는 Low Detail Mode가 아닌, 설정의 HELP 메뉴에 있는 Low Detail Mode를 말하는 것이다. 애초에 이 레벨은 LDM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