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23:22:11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 Demon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데몬(Geometry Dash)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Geometry Dash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
게임 요소
파일:icon-kit.png 아이콘킷(레퍼런스) · 파일:gmd-achivements.png 업적(샤드 수집 · 힘의 길)
커뮤니티
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GDDLadder · GDDP · NLW Spreadsheets · ILL · 관련 사이트
· 용어(소고기 · 입지메 · 프레임 퍼펙트) · 기네스 · 모더레이터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 역사(10주년)
공식 컨텐츠
파일:EasyGMD.png 스테이지(The Tower) · 파일:MapPackFolderGMD.png 맵팩 · 파일:DemonGauntletIcon.png 건틀렛
파일:DailyLevelGMD.png 데일리 레벨 · 파일:weekly.png 위클리 데몬 · 파일:gdevent.png 이벤트 레벨(NCS x Geometry Dash)
온라인 레벨
파일:gmdcp.png 크리에이팅(오브젝트 · 트리거) · 파일:GD_플레이버튼.png 온라인 레벨(시리즈 · Legendary 레벨 · Mythic 레벨 · 개별 문서) · 난이도 표기 문제
데몬
난이도 구분
파일:EasyDemonGMD.png Easy(개별 문서) · 파일:MediumDemonGMD.png Medium(개별 문서) · 파일:DemonGMD.png Hard · 파일:InsaneDemonGMD.png Insane(개별 문서) · 파일:ExtremeDemonGMD.png Extreme(개별 문서)
포럼 순위 등재 관련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 AREDL · 챌린지 · 플랫포머
연동 게임
기타
RobTopGames · Mega Hack · Geode(CBF)



파일:GD_플레이버튼.png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afafa,#1f1f1f><rowcolor=#fff> 난이도 레벨
파일:AutoGMD.png auto play area · The Topala Prelude
파일:EasyGMD.png 1(Player) · boogie · DARKNESS · Dark Paradise[M] · Demons · Double Triple Trial · Explorers(RobTop) · lucid dream · Promises · Rage Quit · ReTraY[M] · Sonar[M] · Stageix · xDARKx · XMas Challenge
파일:NormalGMD.png Abducted[G] · Adrift[M] · Afterlife[G] · Back on Track RM[M] · boo[G] · Chambers[G] · ColorZ[M] · dorabaebasic · dorabaebasic4[M] · dorabaebasic6 · Dreamy[G] · End Of Line[M] · endless[M] · Glitter Madness 2k15[M] · HOW · Infernal Arena[G] · LETs RUN · Level Easy[M] · Magic Valley[G] · Mystery Dungeon[M] · Ominous[G] · Remake Level 2[M] · Spooky Light[G] · stereo madness v2(NePtunE)[M] · UFO Madness[M] · Under[G]
파일:HardGMD.png 해당 틀 참고
파일:HarderGMD.png 해당 틀 참고
파일:InsaneGMD.png 해당 틀 참고
<colbgcolor=#1a73f9><colcolor=#fff> Demon
파일:EasyDemonGMD.png 해당 틀 참고
파일:MediumDemonGMD.png 해당 틀 참고
파일:DemonGMD.png Cant Let Troll · Collaboration · Dance Massacre · Darkness Keeper[G] · Dead God Cult · Deadlocked X · Deadly ClubStep · Death Step[M] · Desert Temple · Ditched Machine · Double Dash · Emerald Realm · Fairydust · Forest Temple · Forsaken Neon · Future Funk · GD10 · Jajagarasu · Jawbreaker · Kitty · Larga Espera · Megalovania · Nine Circles · Nowise[G] · pg clubstep[M] · Psychosis · Radioactive · Shadow Temple · Temple of Time · The Eschaton · The Furious · ToE II v2 · TOE III · Ultra Drivers · Water Temple
파일:InsaneDemonGMD.png 해당 틀 참고
파일:ExtremeDemonGMD.png 해당 틀 참고
Unrated Aquamarine · Ashley Wave Trials · Element 111 Rg(Compendium) · Low Tide Interlude · Peaceful · random processing · RobTop Travel · Sakupen circles · The Big Black · too kiD frIEndly · You Are An Idiot
Challenge FINAL FANTASY · Impossibal · VSC
Upcoming Aeternus · Exasperation · GRIEF · HELIOPOLIS · KOCMOC UNLEASHED · Orochi(Platnuu) · The Human Limit · Tsunami
Impossible CYCLOLCYC · Death Corridor · Formosa · Minecraft · Silent Circles · Singularity · Tax Evasion · TON 618
제작 중단·소실된 레벨 Orochi · Element 111 Rg(DarkX)

}}}}}}}}}
#!wiki
[[틀:이벤트 레벨|◀ 공식 콘텐츠(Event)]]
#!wiki
'''모든 레벨 목록''' ·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시리즈]] ·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Legendary Rated|Legendary]] ·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Mythic Rated|Mythic]]
#!wiki
[[틀:Geometry Dash/역대 포럼 순위 1위|레벨 순위(Top 1) ▶]]


[목차 펼치기ㆍ접기]
1. 개요2. 목록
2.1. Aleph 02.2. Animatronics ii2.3. Another Cataclysm2.4. Arachind Temple2.5. Astronaut 132.6. Bicycle2.7. black off2.8. Blue Impact2.9. Blue Marine2.10. BreakThrough2.11. cant let fly2.12. Chaotic Hell2.13. Chaoz Airflow v22.14. Clubstep X2.15. Conclusion2.16. Core Overdrive2.17. CraZy2.18. Crimson Flare2.19. Crimson Chamber2.20. Cyber Abyss2.21. Crystal of Miracle2.22. Curse Calling2.23. Dark Hell2.24. Dark Disco2.25. Dark Realm2.26. DeCodeX2.27. Demon Sunrise2.28. Diabolical Error2.29. Diffuse2.30. Discord2.31. DoomsDay2.32. Doomsday II2.33. Earthquake2.34. Ectasy2.35. Electrodynamix II2.36. ElectroMan II2.37. End of circles2.38. Eternelle Vehemence2.39. Evolution of music2.40. FireForst Rebirth2.41. Flaklypa2.42. Flask2.43. Fort Castle2.44. FuryStep2.45. FuryFunk2.46. Fusion2.47. Ganymede2.48. Geometrical Domi v22.49. Haunted World2.50. Headrush2.51. Hell Karma2.52. hexagon force v32.53. Horuseus2.54. HyperDimension2.55. Hypers End2.56. Hypnotic Travel2.57. I Cant Fix You2.58. insidious step2.59. Interstellar2.60. Iridescent2.61. Jawbreaker2.62. Labnity2.63. Lets Bounce2.64. MANRAY2.65. Masterlocked2.66. MeltDown2.67. Metallic Torment2.68. Monody Caverns2.69. Mystic Impact2.70. Neon Overdrive2.71. Nightmare Realm II2.72. Nitronic Chaos2.73. Nitronic Freedom2.74. OwO2.75. Paranormal2.76. Popcorn2.77. Rabb2t2.78. Regret2.79. Silhoutte2.80. SiriusX2.81. Snow v22.82. Soulwind2.83. Spacelocked2.84. Steel Doom2.85. Teatherd soul2.86. The Big Black2.87. The Bridge2.88. The dungeon2.89. The Final Stage2.90. The Yatagarasu2.91. Theory of FirePower2.92. Theory of Insomnia2.93. Theory of overtime2.94. Toxic Ruins2.95. Underground2.96. Viper

1. 개요

파일:DemonGMD.png
Hard Demon

Hard Demon/하드 데몬(하데)은 웬만한 숙련자들도 클리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난이도를 가진 레벨에 부여되는 난이도이다.

미디엄 데몬보다 어려운 레벨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난이도부터는 아무리 고수일지라도 어느 정도 이상은 어렵다고 느끼게 된다. 아이콘은 전체 데몬 난이도의 아이콘과 공유한다.[1] 데몬의 디폴트값이 Hard Demon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데몬 투표율이 부실한 데몬 레벨은 전부 Hard Demon으로 되어있다.

고인물 실력자(하드 유저)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가르는 난이도. 대표적인 데몬인 Nine Circles가 하드 데몬으로, 이 정도의 난이도가 어렵지 않다면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게임을 진지하게 즐기는 하드 유저로 여겨진다.[2] 간혹 Medium Demon만큼 쉬운 레벨이 없는 건 아니다.

이 난이도부터는 일부 미데와 하데 2개를 제외한 건틀렛 데몬은 범접조차 불가능한 어려움을 자랑한다. 최소한 건틀렛 데몬은 쉽게 깰 수 있을 때 도전해 볼만하다.

이 난이도부터 본격적으로 난이도 스펙트럼이 매우 넓어지는데, 같은 하드 데몬이라도 하드 데몬 하위권하고 상위권의 난이도는 난이도 차가 상당한 편이다. 대표적으로 하드 데몬 하위권인 템플 시리즈 레벨 일부와 하드 데몬 상위권인 Fairydust같은 레벨들의 난이도 차가 상당히 크다. 1.9 초반까지만 해도 이 레벨 중 상당수는 Insane ~ Extreme Demon 취급을 받았다.

2. 목록

2.1. Aleph 0

Aleph 0 - Shiryuu7[3](55429960)
Shiryuu7의 레벨. 또한 레이아웃 형식의 이펙트 레벨이기도 하다. 곡은 LeaF의 Aleph-0[4]을 사용하였다. 레이아웃 형식의 레벨 중에서는 꽤 훌륭한 퀄리티를 보여준다. 2.1 GD Awards에 후보까지 올랐다가 아쉽게도 Future Funk에 밀렸다. 난이도는 초반에 몰려있다. 칼타이밍과 암기요소가 많다.[5] 워낙 게임 플레이가 참신하다 보니 유명해졌고, GD10에도 등장한다.

2.2. Animatronics ii

Animatronics II - FlacoGD(48816963)★
크리에이터 FlacoGD의 레벨, 전작 Animatronics의 후속작이다. 난이도 높은 칼타이밍, 암기, 비대칭 듀얼모드가 어렵다.

이 레벨에 대해서 논란이 발생했는데 디스코드 방에서 Daily Level에 자주 출연한 Pauze가 FlacoGD가 만든 이 레벨이 Stubbypinata의 스타일과 유사해 Flaco를 아무런 죄 없이 밴을 시켜버린 것이다. 더 웃긴건 이 계정은 사칭이다.[6]

2.3. Another Cataclysm

Another Cataclysm - Findexi & more[7](7251782)
3명의 크리에이터가 만든 Cataclysm의 또 다른 버전. 난이도는 Medium~Hard 정도. 원본에 비해서는 쉬우나 그래도 만만하진 않은 난이도이다.

2.4. Arachind Temple

Arachnid Temple - Viprin & Serponge(16557570)★
전체적으로 어둡고 웅장한 분위기를 띤다. 거미들이 사는 오래된 신전을 컨셉으로 잡은 레벨이로, 중간중간 거미 모양의 장애물들이 출현하기 때문에 일부 유저들은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니 주의.

2.5. Astronaut 13

Astronaut 13 - Minesap(6988264)
Zobros의 Nine Circles의 검은색 버전. 다른 나써류 데몬에 비해 반짝거림이 덜하고 난이도도 조금 어렵다. 특히 후반부 비행+웨이브 듀얼은 힘들다. 운이 좋지 않으면 GuitarHeroStyles처럼 97%를 먹을 수도 있다.

2.6. Bicycle

Bicycle - Back(120432)
쉬운 데몬이다. 여담으로 라이크가 0인데, 우연히 0이 되자 유저들이 꾸준히 0으로 지켜온 것. 지금은 라이크 300여 개 정도

2.7. black off

black off - Vlacc[8](109927)
Vlacc의 예전 레벨로, 검은색의 깔끔한 레벨이 특징이다.. 전에는 극단적으로 쉬운 데몬이었으나 제작자가 극상향을 해서 현재는 Hard Demon 적정 평가를 받고 있다.

2.8. Blue Impact

Blue Impact - mulpan & more[9](32973942)★
Mulpan 주도의 파란색 계열을 띄는 한국 합작 레벨. Motu의 광클 파트에서 죽는 사람이 많다. 여담으로 디스라이크 봇 테러를 받았다가 복구가 된 적이 있다.

2.9. Blue Marine

Blue Marine - ChaozAF(4500994)
초살 데몬. 초반 웨이브가 상당히 어려우며 UFO도 타이밍을 익히기 전까지는 지옥 그 자체, 그 후 비행 구간도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이 부분들만 잘 연습해주면 전체적으로 하드 데몬치곤 쉬운 편이다.

2.10. BreakThrough

Breakthrough - Hinds(4158642)★
Hinds의 어려운 데몬. 특히 중후반부 웨이브가 굉장히 어렵다. 1.9 전설의 레벨중 하나다.

2.11. cant let fly

cant let fly - Samzzx2YT(1433985)
Samzzx2YT 레벨들 중 유일하게 레이팅되었다. 2년전쯤 비밀길이 발견되어서 Free Demon이라 불렸으나, 별이 떨어지기 전에 패치되었다. 레벨 자체는 디자인이 굉장히 어지럽고 컨트롤도 복잡한데 외워야 할 곳이 엄청 많아 Hard Demon 중에서도 난이도가 있다.

2.12. Chaotic Hell

Chaotic Hell - MrSaTurNuZ(4731566)
페이크가 산재해있고 컨트롤도 쉽지 않은 맵으로 나올 당시에는 최상위권 데몬으로 꼽혔다. 지금은 난이도에 암기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무난한 하드 데몬으로 평가받는다.

2.13. Chaoz Airflow v2

Chaoz Airflow v2 - TheRealThawe(15392259)
Sumsar의 Chaoz Airflow를 v2로 만든 레벨.

2.14. Clubstep X

Clubstep X - Evasium622(4386236)
클럽스텝을 상향한 뒤 길이를 대폭 늘인 버젼. Hard Demon 중에서는 매우 쉬운 난이도에 속한다. 겹공점 패치 때문에 모바일에서는 41%부근이 불가능 해졌다.[10]

2.15. Conclusion

Conclusion - Giron David+Codex(12034598)
길이도 짧고 재미있는 데몬이다. 난이도는 하데치고는 상당하며 특히 초중반부에 3배속 비행은 매우 어려우니 그 구간은 조심할 것.

2.16. Core Overdrive

Core Overdrive - SalMosA&Koreaqwer[11](9687828)
1.9 데몬 중 어려운 축에 속한다.

2.17. CraZy

CraZy - DavJT(40945673)
DavJT의 CraZy 시리즈의 첫 레벨. 하드 데몬치고는 쉽다. 하데 중 좋아요 수 4위로 꽤 겜플이 재밌고 퀄리티가 좋은 레벨이다. 중간에 보스파이트가 있다.

2.18. Crimson Flare

Crimson Flare - ToxicGD+more[12](7880934)
9인 합작 레벨. 되게 어려운 편이다.

2.19. Crimson Chamber

Crimson Chamber - ZenthicAlpha(8692100)
하데 중상위권 난이도로 특히 듀얼 구간이 어렵다.

2.20. Cyber Abyss

Cyber Abyss - Flex(34261959)★
보스파이트 CC에 출품된 작품으로, Blade of Justice에서 많이 영향을 받은듯한 디자인을 보여준다. 나온지 한참이 되어서야 데몬이 되었다.

2.21. Crystal of Miracle

Crystal of Miracle - WOOGI1411(4364121)
Woogi의 파란색 계열 데몬. Raszagal이 이 레벨을 복사해 부분 밀길을 만들어 올렸고, 데몬이 붙었지만 어느순간 박탈되었다. 한때 포럼순위 10위권 까지 진입했지만, 지금은 잊혀진 데몬이다.

2.22. Curse Calling

Curse Calling - Minesap(4524796)
Minesap의 어려운 데몬 중 하나.

2.23. Dark Hell

Dark Hell - LaZye(11203686)★
Poltergeist과 Blue Hell에 비해 조금 어렵지만 그래도 중간 정도에 속하는 데몬. 코인 루트에 버그가 좀 있다.

2.24. Dark Disco

Dark Disco - Jeyzor(7172363)
디자인은 음악과 어울리나 난이도는 극악. 듀얼 부분이 비대칭인데 디치드 머신에서 훨씬 진화하였다. 배경 자체가 반짝거려서 어지럽다.

2.25. Dark Realm

Dark Realm - stardust1971(11774780)★

2.26. DeCodeX

DeCodeX - Rek3dge(13081515)★
DeCode를 매우 어렵게 리메이크한 2.0 레벨.

2.27. Demon Sunrise

Demon Sunrise - CrePusCule(296176)
초반에 납작 4단 가시와 3단 가시가 다량으로 존재하니 주의해야 한다. 후반부는 상대적으로 쉬우나 레벨 전체가 검어지는 파트와 페이크가 많으니 충분히 외우고 도전하길 권한다.

2.28. Diabolical Error

Diabolical Error - Flukester(33494809)★
Flukester의 첫 2.1 개인맵으로, 노래 Danque의 찰진 비트에 잘 맞는 겜플을 갖고 있다. 중간에 회전하는 가시 발판을 로봇으로 3회 넘는 것이 인상적이며, 마지막 부분은 앞부분보다는 아쉬운 디자인과 겜플로 끝난다. 베리파이 후 7개월만에 별이 붙었다.
이펙트가 화려하기 때문에 입지메를 낚는 데 사용하기 좋다

2.29. Diffuse

Diffuse - Hinds, Loogiah & Vlacc(36667269)
Hinds의 최초 에픽 레벨이자, 3인 합작 레벨이다. 원래는 Hinds의 단독 레벨로 기획되었으며 1년 전부터 만들어지고 있었지만, 결국 다 완성하지 못한 채로 방치되어 있다가 Loogiah와 Vlacc에 의해 완성이 되었다. 레벨 전체가 보라색과 노란색 테마로 되어있으며, 이 때문에 흔히 보지 못하는 레벨 색 조합으로 호평을 받기도 한다. 또한 Hinds답게 좋은 게임플레이와 특이하면서도 1.9스러운 디자인이 주로 호평을 받는 요소이기도 하다.

2.30. Discord

Discord - Hdow(12471410)★
회전하는 톱니+비행 구간, 소형 웨이브 등등 막장 타이밍이 넘쳐나는 레벨. 매우 재미있는 겜플을 갖고 있다.

2.31. DoomsDay

업데이트 전 버전: 최초 업로드, 1차 버프 후
2번 정도의 업데이트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2차 버프 업데이트 후 눈에 띄게 극악해졌다. 귤래스터도 언급했듯 업데이트 전(1차 버프)은 인데 수준이었으나[13] 업데이트 되어 매우 어려워졌다! 초반 일반 웨이브가 소형 웨이브로 바뀌고, 모든 모드가 칼타로 바뀌는 건 기본, 중력포탈로 도배된 오토 구간이 연타 구간으로 바뀌는 등 극악 업데이트가 되었다. 다만 보면 핵으로 업데이트됐다는 듯. 정확히 업데이트를 두 번 가량 했는데, 첫 업데이트때는 전체적인 타이밍과 웨이브가 업데이트됐고 두번째는 연타 구간이 업데이트 되었다.

업데이트 후 현재 클리어자는 2명뿐인데, SrGuillester가 최초로 클리어하고 나서(#), 약 7~8달 뒤 MullsY Dash라는 유저가 클리어했다!(#) 다만 SrGuillester는 두 번째 상향 전에 클리어했다. 그러니 현재 업데이트 버전 클리어자는 Mullsy 한 명 뿐.

2021년 5월 6일에 wod라는 유저가 Robtop에게 DoomsDay의 핵버프에 대해 항의를 했더니 Robtop이 Doomsday를 핵버프를 하기 전으로 돌려놨다(...). 결국 현재는 하드 데몬으로 고정되었다.

2.32. Doomsday II

Doomsday II - IIINePtunEIII(2167914)
중반부 미로부분이 많이 헷갈리게 하는 레벨이다. 미로만 외우면 중간 정도 데몬이라는 듯.
원래 인세인 데몬이 었으나, 2021년 3월에 하데로 강등됐다.

2.33. Earthquake

Earthquake - CrackmiloX[14](11447109)

2.34. Ectasy

Ecstasy - Matterz(12340285)★
디자인이 아름다운 레벨 중 하나. 다만 난이도는 안드로메다로...

2.35. Electrodynamix II

Electrodynamix II - iv4n24(4225700)
Electrodynamix 브금의 후반부를 이용해 만들었다. 약간 암기해야할 부분이 있고, 웨이브 파트가 좀 어렵지만 재미있는 레벨이다.

2.36. ElectroMan II

ElectroMan II - noobas(7736998)

2.37. End of circles

End of the Circles - serponge(13859794)★
이펙 레벨 전문가 Serponge가 2.0에 만든 이펙트 나써레벨. 기존 나인 서클 디자인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2.38. Eternelle Vehemence

Eternelle Vehemence - Vrymer(62028241)
5분이 넘는 길이의 XL 데몬. 좋은 퀄리티와 음악 덕분에 많은 호평을 받는 레벨이다. 레벨의 특정 구간을 지나면 업적도 달성할 수 있다. 레벨 마지막에는 코인 획득 여부, 업적 달성 여부에 따라 점수를 매기는데, 최고점은 5001점[15]이다. 이 레벨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최고점 획득에 도전해보자. 여담으로, Michigun의 생전 마지막 영상이 이 레벨의 플레이 영상이다.

2.39. Evolution of music

Evolution of music - IImechanicII[16](3460047)
암기 데몬. 초반부터 페이크가 난무하는 소형 큐브 미로, 소형 볼 미로 등등 엄청나게 암기를 해야 한다. 그 뒤로는 쉽지만, 후반에 다시 노말 큐브 미로를 통과해야 한다. 암기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쉬운 데몬. 레벨의 대부분이 초록색 계열로 되어 있다.

2.40. FireForst Rebirth

FireFrost Rebirth - Minesap(11251508)★
여러 무빙옵젝으로 순발력이나 암기력을 많이 사용해야 한다.

2.41. Flaklypa

Flaklypa - Insendium(6091800)
공점 페이크와 블록 페이크가 난무하는 일반 큐브와 비행 모드, 막판의 비대칭 듀얼이 아주 어렵다. 여담으로 곡이 잘렸다. (원곡 : Rameses B-Flaklypa)

2.42. Flask

Flask - Csx42Gaming(13867780)★
퀄리티가 좋은 2.0 데몬 레벨. 연습을 조금 하는 걸 추천한다.

2.43. Fort Castle

Fort Castle - Ghostface(12313154)★
난이도 자체는 데몬이다. 최근에 이벤트를 해서 Stereo Madness보다 훨씬 쉬웠으나 몇 분 후 이벤트가 종료되었다. 아주 짧게 이벤트를 해서 박탈이 되지 않았다. 이벤트 당시 영상

2.44. FuryStep

FuryStep - ZenthicAlpha(5097836)
ZenthicAlpha의 Fury시리즈 첫번째 레벨이다. Fury의 뜻답게 장애물들이 모두 악마스럽게 생긴 것과 디자인들이 대부분 블록으로 되어있다. Fury시리즈의 난이도는 이 레벨을 제외하고 모두 어렵다.

2.45. FuryFunk

FuryFunk - ZenthicAlpha(5841411)
Fury시리즈 특유의 디자인과 주옥같은 난이도가 곁들여진 어려운 레벨. 원곡은 DJMAX 시리즈Makou - HAMSIN. 원곡의 반만 사용되었으며 원곡이 원곡인 만큼 잘렸다.
왠진 모르는데 하드 데몬으로 하향되었다.

2.46. Fusion

Fusion - Manix648(16187438)★
Manix648을 띄운 그의 대표 걸작 레벨. 후반부에 레이저를 쏘는 보스가 백미.

2.47. Ganymede

Ganymede - mulpan & FunnyGame(29730613)★
한국 유저 mulpan과 FunnyGame의 합작으로, 특히 배경이 호평을 받는다. 중간의 라티오스로 보이는 보스전이 인상깊다.

2.48. Geometrical Domi v2

Geometrical Domi v2 - Nik(12554138)★
공식 스테이지 Geometrical Dominator를 Nik이 v2로 리메이크한 데몬. 크게 어려운 구간이 없으며 쉬운 편이다.

2.49. Haunted World

Haunted World - EraeL+Looper(5992194)
초반 비행이 일품이다. 투명 블록 구간이 반인데, 중간 난이도로 평가된다. 98% 주의

2.50. Headrush

Headrush - ToxicGD(6996731)
Zobros의 Nine circles의 흰색 버전. 난이도는 어려운 편.

2.51. Hell Karma

Hell Karma - F5night[17](37406396)
크리에이터 F5night의 세번째 보스파이트 대작. 사막과 불을 테마로 했으며, 80k의 오브젝트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테마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평가도 있지만, 높은 퀄리티의 보스파이트와 블록 디자인이 호평을 받는다. Jakerz의 WoodKid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추측이 있으며, 실제로도 블록의 움직임 등이 그 레벨과의 유사성을 띠고 있다.

2.52. hexagon force v3

hexagon force v3 - Noriega(1786878)
비대칭 듀얼이 매우 예술인 레벨. 중반부 볼(두 개가 크기가 다름), 볼+UFO, 볼+큐브 모드 컨트롤이 어렵다. 후반부 듀얼비행도 까다로운 편.

2.53. Horuseus

Horuseus - F5night[18](36040247)
F5night의 보스파이트. 이 레벨도 Osiris와 비슷한 구성을 가졌으며, 79k의 오브젝트를 가지고 있다. 퀄리티로만 놓고 보면 Featured 이상으로 평가받을 수 있지만 저평가받은 레벨이다.

2.54. HyperDimension

HyperDimension - ChaSe(32612656)★
수준급 디자인으로 유명한 ChaSe의 레벨 답게 2.1 데몬레벨 중에서도 호평받는 레벨이다.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무난하나 상당한 컨트롤이 요구되는 곳이 부분부분 있으니 주의하자. 초반부터 상당한 컨트롤 실력이 필요한 비행와 웨이브 모드, 그 다음에 시작되는 큐브 모드 미로 구간을 주의하자. 이렇게 큐브미로 구간이 계속 이어지다 그 후 30%대에서부터는 거미 모드가 나오는데, 상당히 칼타이밍이다.[19] 후 45%부터 4배속 비행 모드와 함께 보스전이 시작되는데, 클릭한 만큼 하트가 발사되면서 보스를 맞힌다. 후 UFO 컨트롤과 미디엄이라 할 수 없을 정도 난이도의 소형 웨이브를 주의하고, 82%의 렉 이펙트를 지나서 마지막 듀얼만 잘해주면 클리어이다.

2.55. Hypers End

Hypers End - Etzer(10811625)
초반 비대칭 듀얼과 페이크, 마지막 비행 구간만 주의하면 쉬운 데몬. 물론 하데 내에서다.

2.56. Hypnotic Travel

Hypnotic Travel - Alkatraz(37040027)
Travel 시리즈의 일원으로, 퀄리티가 뛰어나다. 특히나 드롭 파트가 굉장히 인상적이고 멋지다. 오브젝트는 95,000개 정도로, 다른 데몬 레벨들과 '동일 시간 대비 오브젝트 사용 수'로 비교해 보았을 때 적은 수준이다. 순간난이도는 다른 Medium 등급의 데몬에 비해선 약간 쉽지만 상술했다시피 길이가 무려 9분 30초이므로 Medium Demon 중에서는 굉장히 어렵다! 그래서 다른 트래블 시리즈와는 달리 더 어렵다.[20] 레벨이 매우 기므로 컨트롤적 실력보단 인내심, 오랫동안의 집중력 등등도 많이 필요하다. 후반부에서 죽게 되면 매우 억울할 레벨. 이렇듯 순간난이도보단 길이로 이루어진 레벨이지만 가끔씩 중간중간의 소형 웨이브라든가 상당히 어려운 부분은 있으니 쉽고 지루한 레벨이라 생각하고 플레이하면 안된다. 최근에 Hard Demon으로 올라갔다. 그런데도 하데 상위권이라는 평이 많다. PiaNoMen이 국내 최초로 모바일 올코인을 성공하였다.

2.57. I Cant Fix You

I Cant Fix You - IronIngot(38005686)★
곡은 The Living TombstoneI Can't Fix You. 인세인 데몬 치고는 꽤 쉬운 난이도로 알려져 있었지만 현재는 강.

2.58. insidious step

insidious step - noobas(2842275)
noobas의 어려운 데몬 중 하나. 레벨이 전체적으로 칼타를 자랑하며, 특히 후반부 듀얼모드는 보기에 비해 매우 어렵다. 지금 봐도 디자인이 대단한 데몬이다.

2.59. Interstellar

Interstellar - Darwin(37889982)
Darwin의 단독 레벨로, 12만에 달하는 엄청난 양의 오브젝트가 쓰였다. 제목이 성간을 뜻하는 인터스텔라인만큼 우주적인 배경과 테마를 사용했다. Viprin을 비롯해서 많은 유저들이 화려한 디자인과 좋은 게임플레이를 칭찬했다. 12월 4일 아침, 잠깐 Weekly Demon으로 정해졌다가 난이도로 인해 Chord Clutter에게 그 자리를 물려줬는데, 그 과정에서 이 레벨의 난이도가 Hard Demon에서 Medium Demon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돌아왔다.

2.60. Iridescent

Iridescent - Viprin, Verified by MaxiS9(30533157)
2.1에 나온 Viprin의 하드 데몬. Viprin을 대표하는 레벨이다. 2.1 극초기에 나왔지만 검은색과 흰색의 적절한 스왑+여러 색깔 배열 및 좋은 게임플레이로, 평균 이상은 가지만 좋다고 하기 애매했던 Viprin의 디자인 실력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에 성공한 데몬이다.
하드 데몬 중에서 상당히 어려운 축에 들어간다. 이 레벨은 2017년부터 계속 하드 데몬이었는데, 당시에는 아무리 봐도 하드 데몬급은 아니라는 평이 주였다. 이후 Supersonic, The Badland, Dark Travel, Butiti II(...)같은 인세인 데몬급 레벨들이 대거 하드 데몬으로 레이팅되고 게임 내 상향평준화가 진행되며 하드 데몬급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들 중 대부분이 인세인 데몬으로 상향되어 현재는 다시 하드 데몬 중에서 상위권 레벨로 여겨지고 있다.

초반 아이콘부터 칼타가 나오고 이어지는 1자 비행과 UFO 칼타 등 드롭 파트 전도 어려운 편인데 드롭 파트에서는 4배속이 끊임없이 나오며 모드 순환이 빠른 데다 배치가 쉽게 나오지도 않아서 특히 4배속 구간을 제대로 숙지한 뒤 도전하는 것이 클리어에 수월할 것이다.

2.61. Jawbreaker

Jawbreaker - Viprin & TriAxis(7075386)
Viprin과 TriAxis의 꽤 어려운 난이도를 가진 합작 레벨.

2.62. Labnity

Labnity - Jo2000(12422493)
랭커 Jo2000의 어려운 데몬 중 하나.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Toxin Lab스럽다.

2.63. Lets Bounce

Lets Bounce - Pasiblitz(5672754)
한 칸 비행과 타이밍으로 얼룩진(...) 보라색 계열의 데몬. 중간에 분홍 공점 페이크가 매우 많다.

2.64. MANRAY

MANRAY - sweetdude(12655843)★
상하좌우의 많은 부분이 검게 덮여 있어 시야를 가려서 어렵다. 또 장애물도 많고 난잡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외워서 플레이하는 게 답인 데몬. 여담으로 Zanzlanz라는 유저가 자신을 위해 뉴그라운즈에 음원을 올려주었다고 한다.

2.65. Masterlocked

MasterLocked - MasterL500(13297109)★
Deadlocked의 멋진 리메이크 버전.

2.66. MeltDown

MeltDown - Havok+DarkZoneTV(14179573)★

2.67. Metallic Torment

Metallic Torment - Minesap+Viprin(11696890)★
2.0 데몬 중 별로 어렵지 않은 데몬이나 초반 페이크는 외워주자. 마지막 소형 비행에 중력 포탈 2가지가 숨겨진 구간을 제외하고는 쉽다.

2.68. Monody Caverns

Monody Caverns - iDarkBy11 & TrueCopa(17103575)
iDarkBy와 TrueCopa의 합작맵으로, 짧지만 굵은 난이도를 보여준다.

2.69. Mystic Impact

Mystic Impact - IRabb2tI(4897287)
매우 현란한 디자인이 돋보이는 레벨이다.

2.70. Neon Overdrive

Neon Overdrive - Gboy(4744205)
한때 꽤 어렵다고 평가받았던 레벨이나 지금은 적당한 하드 데몬 수준의 레벨이다. 화려한 1.9 디자인을 갖고 있다. 후반부 듀얼 볼 구간에 다소 버그가 존재한다.

2.71. Nightmare Realm II

Nightmare Realm II - AirSwipe(12813851)★
처음부터 좁은 웨이브, 비행로 시작해 중력 반전이 계속 되는 웨이브, 여러 모드가 매우 어려운 레벨이다. 여담으로 곡이 잘렸다. (원곡 : Hamsin-makou)

2.72. Nitronic Chaos

Nitronic Chaos - Rek3dge(5673017)
Rek3dge의 어려운 데몬레벨 중 하나. 초반부 소형 볼 연타구간과 그 이외 구간도 매우 어려운 컨트롤을 자랑한다.

2.73. Nitronic Freedom

Nitronic Freedom - Rek3dge(3349728)
Rek3dge의 어려운 데몬이다. 디자인은 1.9 초반에 나온 레벨치고 여러 컬러가 섞여있어 준수하나 볼 파트의 타이밍이 너무 늦게, 빨리 누르면 죽는 악독한 타이밍을 자랑한다. 소형 비행+3배속 구간도 쉬운 편이 아니다.

2.74. OwO

OwO - Jeyzor(36257454)
매우 오래된 크리에이터 Jeyzor의 2.1 복귀작 중 하나. 오래전부터 활동했던 크리에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유저들이 따라 하지 못할 독창적인 디자인이 눈에 띈다. 여담으로 이 레벨은 Jeyzor의 예전 레벨 중 하나인 4성짜리 레벨 o3o의 후속작이라고 한다.

2.75. Paranormal

Paranormal - ZenthicAlpha(277142)
옛날 레벨인데도 불구하고 중력 반전 비행 등 컨트롤이 꽤 요구되는 은근히 어려운 데몬레벨.

2.76. Popcorn

Popcorn - Superopi & more[21][22](28418019)
7인 합작 레벨이자 에픽을 받은 데몬. 그만큼 퀄리티도 좋은 레벨이다. Medium Demon이었지만 미데라기에는 매우 어려웠고 현재는 하드 데몬이다. 초반 부분에 나오는 ChaSe97의 파트는 어디서 눌러야 하고 어디서 떼야 할지 알고 연습해야 하고, 그 후 Superopi의 파트는 ChaSe 파트보다 할 만한데 그다음의 Noriega의 파트가 꽤 어렵다. 웨이브 모드 후에 약간의 로봇 칼타도 존재하며 미니 웨이브만 봐도 되는 비대칭 듀얼도 있다. 마지막 Goose 파트에서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것이 까딱 실수하면 죽을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매우 재밌는 데몬이다. 특히 ChaSe의 파트의 디자인과 구성이 가장 재미있다.

2.77. Rabb2t

Rabb2t - ZenthicAlpha & Rabbitical[23](6487910)
-enthicAlpha와 IRabb2tI의 합작 레벨. 처음엔 9성으로 난이도가 표기되었으나 제작자의 악마같은 상향으로 데몬을 따냈다. 9성 시절에는 말 그대로 9성에 걸맞은 난이도를 보여줬다. 특히 모드가 바뀔 때마다 나오는 1칸 비행[24]과 중반부 3배속 소형 비행+UFO는 캐릭터가 경사면에 치이면서 조종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까다롭다.

2.78. Regret

Regret - Viprin(7933030)
초반부터 공점 페이크와 좁은 간격의 비행 모드 등 꽤 어려운 편인 데몬이다. 여담으로 이 레벨은 Andromeda가 업로드하였는데, 알고 보니 핵으로 업로드한 것이 밝혀지자 Viprin 본인이 레벨을 하향시켜 직접 깼다.

2.79. Silhoutte

Silhouette - Havok(7018102)
Havok이 만든 Nine Circles의 녹색 버전. 오랫동안 인세인 데몬에 있었으나 떨어졌다.

2.80. SiriusX

SiriusX - Manix648(16560264)★
FunnyGame의 대표적인 레벨 중 하나인 -sirius-를 재창작한 레벨. 후반 보스파이트가 퀄리티가 높은 편이며, 이 때문에 모바일로는 플레이가 어려울 수 있다.

2.81. Snow v2

Snow v2 - EraeL(8887523)
DHK2725의 Snow(★5)원작도 데몬 수준 난이도이다를 데몬 수준으로 리메이크한 레벨. 최근 제작자가 난이도를 약간 하향했다.

2.82. Soulwind

Soulwind - Viprin & Nox(5206452)
Viprin과 Nox의 합작으로, Andromeda에게 Verify됐었지만 핵이었음을 알고나서 Viprin이 직접 하향해서 다시 Verify했다.

2.83. Spacelocked

Spacelocked - LazerBlitz(17013102)★
LazerBlitz의 가장 인기 있는 레벨로서, 2.0 초반 Noriega가 만들었던 Deadlocked v3의 후속작이다. 1차 보스파이트부터 3배속으로 까다로운 컨트롤이 등장한다. 이후 2차 보스파이트의 3배속 비대칭 듀얼이 이 레벨의 초크포인트다. 이후에는 정신없는 모드 전환과 연타, 암기요소가 주를 이룬다. 두 보스파이트를 제외한 구간은 아주 쉽다. 전체적으로 속도감이 있고 노래가 그에 걸맞아 매우 재밌기에 첫 하드 데몬으로도 추천할만하다. 후에 이 레벨의 후속작으로 Spacelocked II가 나오게 된다.

2.84. Steel Doom

Steel Doom - CastriX(36869984)
2.1에 들어서 유명해진 크리에이터인 CastriX의 Doom Gauntlet 콘테스트 출품작. 전체적으로 좋은 디자인과 퀄리티 높은 해골 보스 등의 요소가 호평을 받았다.

2.85. Teatherd soul

Teatherd soul - Rek3dge(3644547)

2.86. The Big Black

The Big Black - alexANDgame(6395545)
중반부 볼 모드에 Silent Club에나 나오는 두 칸 파란 공점 광클이 있다 (...) 사실상 이 레벨의 난이도를 어렵게 만드는 패턴. 여담으로 곡이 막혔다.

2.87. The Bridge

The Bridge - T3mpl4te(7750113)
듀얼 파트가 어려운 데몬. 전체적으로 꽤 어려우나 연습하면 깰 수 있을 정도.

2.88. The dungeon

The dungeon - EthanMG(11371271)★
2.0 초반에 올라온 데몬이라 그런지 어중간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난이도는 꽤 어렵다.

2.89. The Final Stage

The Final Stage - Serponge(12594722)★
레벨 전체적으로 외울 게 너무나도 많다!! 조형물들이 틈만 나면 갑툭튀하며 움직이기 때문에 꽤 외워줘야 하는 레벨. 처음에 나오는 비행 모드 구간부터 오른쪽부터 괴물들이 튀어나온다. 그 후에도 계속 조형물이 갑자기 튀어나오면서 플레이를 어렵게 만드는데, 그래도 레벨 자체의 난이도는 상당히 쉬운 편이다. 레벨 구성도 정말 재밌고 2.0초기의 데몬이지만 매우 완성도가 높다. 다만 무시할 수는 없는 난이도인데, 그 후의 비행 모드와 웨이브 모드도 상당히 난이도있다. 특히나 순간난이도는 별로지만 레벨 길이가 XL로 상당히 많이 긴 편이기 때문에 은근 체감 난이도는 어렵다. 중간 큐브 모드에 나오는 갑툭튀하는 열쇠를 다 먹어줘야 코인 루트가 열리기 때문에 코인 루트의 난이도는 어렵다.

2.90. The Yatagarasu

The Yatagarasu - Manix648(25645517)
Manix648의 레벨답게 정말 디자인과 이펙트가 고퀄인데, 레벨의 초반부는 물론이고 마지막에 나오는 보스파이트까지 아주 정교하고 깔끔하다.귀엽다그만큼 레벨에서 제작자가 신경 쓴 티가 난다.

레벨 전체적으론 컨트롤도 필요하긴 하지만, 레벨이 좀 길어서 전체적으로 외워야 하는 게 많은데, 특히나 65%대가 정말 헷갈린다. 블록이 갑자기 나타나고 검은색 땅을 밟으면 아래로 떨어진다. 심지어 이 구간에서도 페이크가 난무하고 있다... 그 뒤의 보스파이트에서도 죽지 않도록 조심하자. 모바일에서는 정말 끔찍하게 랙이 심해서 매우 어렵다. 심지어 LDM을 먹어도.

Serponge와 NikroPlays에 의해 레벨의 90%를 다른 크리에이터에게서 허락없이 베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때문에 기존에 LazerBlitz의 스타일과 비슷하다는 말을 많이 듣던 Manix의 이미지는 더욱 추락해버렸고, 매닉스가 이 게임을 접는 계기가 되었다.

2.91. Theory of FirePower

Theory of FirePower - Dorami(4115525)
- 한국 유저 Dorami의 가장 잘 알려진 데몬. 암기데몬으로 특히 초반에 암기요소가 많다. 암기에 익숙하면 Medium Demon급의 난이도. 2016년 2월 업뎃으로 맨 마지막 부분 난이도가 매우 상향되었다.

2.92. Theory of Insomnia

Theory of Insomnia - Dorami & CreatorAura(4217032)
Dorami 특유의 페이크가 섞여들어가 어려운 레벨.

2.93. Theory of overtime

Theory of OverTime - OverZero(5208291)
곡처럼 레벨이 전체적으로 빨라서 많이 죽기 십상이니 연습하는 게 답인 데몬. 초반 큐브의 공점 타이밍과 비대칭 듀얼, 중반 웨이브가 은근히 어려우므로 조심해서 지나가자. 여담으로 곡이 잘렸다. (원곡: Touhou-Night of nights

2.94. Toxic Ruins

Toxic Ruins - Gboy[25](6918236)
Gboy의 데몬으로 LinkTheGamer가 베리파이해줬다. 사방이 가시로 뒤덮여 있다. 난이도는 꽤 어려운 편.

2.95. Underground

Underground - AbstractDark(21884354)★
2.1 버전의 신 레벨 fingerbang의 스닉픽에 나오는 전기 가시와 디자인을 잘 살린 팬메이드 데몬레벨. 약 10만 개의 오브젝트가 쓰였다. 거미 모드를 구현해놨으며, 2.1의 거미 모드에 익숙해지면 오히려 이 레벨의 거미 모드를 하기가 어려워진다고 한다.

2.96. Viper

Viper - Viprin(12315975)★
2.0 당시 Viprin이 노력을 많이 기울였다고 하는 그의 개인레벨이다. 첫 웨이브가 가장 어렵고, 마지막 비행을 조심해야 한다.
[1] 여담으로, 이빨 모양 때문에 모든 아이콘 중 좌우 대칭이 가장 많이 깨진 아이콘이다. 다른 아이콘은 큰 차이가 없다.[2] 단 게임을 진지하게 즐기는 유저라고 해서 고인물이라고 부르기는 힘들고 상향 평준화가 된 지금은 적어도 최하위권 Extreme Demon을 몇 개 정도 깨야 고인물이라고 인정받는다. 물론 저 경지에 오르는 건 매우 힘들며, 학생의 경우 방학 하나를 전부 투자하여 집중적으로 도전해야 간신히 해볼 만한 정도이다.[3] a.k.a. Zhander[4] 원래 뉴그라운즈에 없던 곡이었으나 LeaF와의 공식 협업으로 음악이 오디오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었다.[5] 처음 레이팅 됐을 때는 Insane Demon이었다.[6] 정작 플라코 본인은 사건에 대해서 전혀 모른다는 입장이다.[7] Minesap, Tygrysek[8] 당시에는 BlacKoP[9] dhk2725, Motu, Beta vulgaris & PyeI[10] 스팀에선 클릭과 스페이스바를 동시에 누르면 위에 있는 공점이 발동되기 때문에 스팀에선 가능하다. 그러나 겹공점의 특성상 그냥 파랑 공점을 밟았을 때보단 부자연스럽다...[11] SalMosA가 레이아웃을, Koreaqwer가 디자인을 맡았다.[12] Chase, Norcda, Temper, Hammer, Princeps, Flux, Drak, ToxicGD[13] SrGuillester가 깼을 때도 제작자 영상에 비해 1회 상향된 상태였다.[14] 예전 닉네임은 VIRUS CB[15] 모든 코인을 획득하고, 모든 업적을 달성했다면 점수가 5000점이 나오는데, 마지막 1점은 점수 결산 화면에서 연타를 하면 얻을 수 있다.[16] 지금은 -라고 되어있다.[17] Verified by Jakerz[18] Verified by Jakerz[19] 32%대의 렉 이펙트가 인상깊다.[20] Dark Travel이 더 어렵다고 하긴 한다.[21] Desticy, ChaSe97, JaffyTaffy, Superopi, Noriega, Goose[22] Verified by ChaSe97[23] 제작 당시 닉네임은 Ripplez[24] 9성 시절엔 2칸 비행이었다.이런 악마같은[25] Verified by LinkTheGa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