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게임 요소
아이콘킷(레퍼런스) ·
업적(샤드 수집 · 힘의 길)
커뮤니티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GDDLadder · GDDP · NLW Spreadsheets · ILL · 관련 사이트
팁 · 용어(소고기 · 입지메 · 프레임 퍼펙트) · 기네스 · 모더레이터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 역사(10주년)공식 컨텐츠스테이지(The Tower) ·
맵팩 ·
건틀렛
데일리 레벨 ·
위클리 데몬 ·
이벤트 레벨(NCS x Geometry Dash)
온라인 레벨크리에이팅(오브젝트 · 트리거) ·
온라인 레벨(시리즈 · Legendary 레벨 · Mythic 레벨 · 개별 문서) · 난이도 표기 문제
데몬난이도 구분Easy(개별 문서) ·
Medium(개별 문서) ·
Hard(개별 문서) ·
Insane(개별 문서) ·
Extreme(개별 문서)
포럼 순위 등재 관련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 AREDL · 챌린지 · 플랫포머연동 게임기타RobTopGames · Mega Hack · Geode(CBF)
포럼 순위
클래식 / 플랫포머
| Pointercrate 리스트 | |
| 1위~75위 | Main List |
| 76위~150위 | Extended List |
| 퇴출된 레벨 | Legacy List |
| AREDL | |
| 모든 Extreme Demon | AREDL |
| 역대 포럼 순위 1위 · 순위 미정 Upcoming Demon · Unrated Demon · Challenge | |
1. 개요
Pointercrate Demonlist Main List에 올라올 정도로 극악하나 아직까지는 레이팅이 되지 않은 레벨들을 임시로 서술하는 문서. 베리파이된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유명하지 않아 별이 붙지 않은 레벨들, CBF를 사용해 베리파이로 인정되지 않는 레벨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그리고 별이 붙지 않으면 데몬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인게임에서는 인세인으로 표기되어 있다.Global Demonlist 이 사이트에는 별이 붙지 않은 레벨까지 포함하여 대략적인 순위를 보여주므로 참고.
또한 UDL이라고 Unrated Demon끼리 순위를 매긴 사이트도 존재한다.[1]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챌린지 레벨}}}에 대한 내용은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챌린지 레벨: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Hardest Challenge#|]]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2. 목록
후술할 레벨들의 순서는 ID가 작은 순이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s-10.4.4|10.4.4]]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1. Sakupen circle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kupen circles(Unnerfed)#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akupen circles(Unnerfed)#|]]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Element 111 Rg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lement 111 Rg#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Element 111 Rg#|]]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Ashley Wave Trials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shley Wave Trials#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shley Wave Trials#|]]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Aquamarin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quamarine(Geometry Dash)#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quamarine(Geometry Dash)#|]]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5. Centipede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CC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white\, #00CC00\, #00FFB3\, white),
상단글자색=black,
설명배경색=#00FFB3 , 설명글자색=black,
1단계배경색=#00CC00 ,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FFB3 , 2단계글자색=black,
이름=Centipede, 유저명양식=by zander12\, verified by LordVadercraft, 유튜브=eLGr383CmyM, 설명=support kudabe,
ID=106646765, 비밀번호=없음(복사 불가), 길이=1분 48초, 오브젝트수=95887, 버전=2.2,
예상난이도=#27,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4-06-17,
음악=1, SFX=1,
사운드트랙1=Solaraloe - Centigrade (GD Mix),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white\, #00CC00\, #00FFB3\, white),
상단글자색=black,
설명배경색=#00FFB3 , 설명글자색=black,
1단계배경색=#00CC00 ,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FFB3 , 2단계글자색=black,
이름=Centipede, 유저명양식=by zander12\, verified by LordVadercraft, 유튜브=eLGr383CmyM, 설명=support kudabe,
ID=106646765, 비밀번호=없음(복사 불가), 길이=1분 48초, 오브젝트수=95887, 버전=2.2,
예상난이도=#27,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4-06-17,
음악=1, SFX=1,
사운드트랙1=Solaraloe - Centigrade (GD Mix),
zander12가 제작한 초록색 계열의 나인 서클 레벨. 예상 난이도는 TOP 27~28이다.[2]
2.2 업데이트 이후로 줌 인/아웃 트리거, 화면 효과 트리거 등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확실히 더 2.2스러운 레벨이 된 모습.
현재 LordVadercraft가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으며, 96%, 39-100%를 달성했다.
2024년 6월 17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4년 6월 22일 새벽 1시 6분경, Trick이 약 5,700어템만으로 최초로 클리어하였으며, TOP 15로 평가했다.#
2.6. Based After Based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bdfe06,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80deg\, #14d2fa\, #f9fd23\, #bdfe06\, #ad10db\, #fc1513),
상단글자색=black,
설명배경색=#14d2fa, 설명글자색=black,
1단계배경색=#bdfe06, 1단계글자색=black,
2단계배경색=#fc1513, 2단계글자색=white,
이름=Based After Based, 유저명양식=by akun akun & more\, verified by DiamondSplash, 유튜브=yQBFyUvB3lY, 설명=Welcome! This is a top 10 extreme demon with no spikes\, no saws\, no slopes\, no waves\, only duals and only 1x speed. Only verified by DiamondSplash aswell! Hope you all beat it too!,
ID=110534288,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28초, 오브젝트수=99070, 버전=2.2,
현상태=베리파이 됨, 예상난이도=Top 20, 현상태시점=2024-09-27,
사운드트랙1=DJVI - Base After Base,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80deg\, #14d2fa\, #f9fd23\, #bdfe06\, #ad10db\, #fc1513),
상단글자색=black,
설명배경색=#14d2fa, 설명글자색=black,
1단계배경색=#bdfe06, 1단계글자색=black,
2단계배경색=#fc1513, 2단계글자색=white,
이름=Based After Based, 유저명양식=by akun akun & more\, verified by DiamondSplash, 유튜브=yQBFyUvB3lY, 설명=Welcome! This is a top 10 extreme demon with no spikes\, no saws\, no slopes\, no waves\, only duals and only 1x speed. Only verified by DiamondSplash aswell! Hope you all beat it too!,
ID=110534288,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28초, 오브젝트수=99070, 버전=2.2,
현상태=베리파이 됨, 예상난이도=Top 20, 현상태시점=2024-09-27,
사운드트랙1=DJVI - Base After Base,
akun akun이 호스트를 맡은 합작레벨.
이 맵의 가장 큰 특징은 가시가 없다는 것. 가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최상위권 익데의 난이도를 자랑한다는 점에서 얼마나 악랄한 게임플레이를 갖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맵 전체가 듀얼로만 이루어져 있다.
여담으로 Element 111 RG 처럼 부서지는 블럭을 이용해 완벽한 비행을 요구하는 구간이 있다.
2024년 9월 27일, DiamondSplash가 78%에서 플루크하여 베리파이했다. 디자인은 준수한 편이나 레이팅이 되지 않고 있다. UDL에서는 Sakupen circles와 Deimos 사이에 두고 있다.
2.7. Quanteuse Processing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436f45,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80deg\, #436f45\, #9c1b56\, #da60ca\, #9c1b56\, #436f45),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da60ca,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436f45,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9c1b56, 2단계글자색=white,
이름=Quanteuse Processing, 유저명양식=by Blankb & Renn241\, verified by Zoink, 유튜브=j5NC0u1Q91Q, 설명=verified by zoink\, level by blankb and I,
ID=117692518,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42초, 오브젝트수=44\,883, 버전=2.2,
예상난이도=#2~3, 예상난이도주석=베리파이 되었을 당시 기준이다.,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4-12-31,
음악=2, SFX=0,
사운드트랙1=AntonyC - You've been trolled, 사운드트랙주석1=처음 레벨을 다운로드하면 음악이 Dash로 뜨는데\, 실제로는 Song Trigger를 사용해 Blast Processing만 나오므로 이를 놀리기 위해 넣은 곡인 듯 보인다.,
사운드트랙2=Waterflame - Blast Processing,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80deg\, #436f45\, #9c1b56\, #da60ca\, #9c1b56\, #436f45),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da60ca,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436f45,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9c1b56, 2단계글자색=white,
이름=Quanteuse Processing, 유저명양식=by Blankb & Renn241\, verified by Zoink, 유튜브=j5NC0u1Q91Q, 설명=verified by zoink\, level by blankb and I,
ID=117692518,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1분 42초, 오브젝트수=44\,883, 버전=2.2,
예상난이도=#2~3, 예상난이도주석=베리파이 되었을 당시 기준이다.,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4-12-31,
음악=2, SFX=0,
사운드트랙1=AntonyC - You've been trolled, 사운드트랙주석1=처음 레벨을 다운로드하면 음악이 Dash로 뜨는데\, 실제로는 Song Trigger를 사용해 Blast Processing만 나오므로 이를 놀리기 위해 넣은 곡인 듯 보인다.,
사운드트랙2=Waterflame - Blast Processing,
Quantum Processing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레벨. Blankb가 레이아웃을, Renn241이 디자인을 맡았다.
중간중간 연타와 동타, 웨이브 중간에 중력반전 등 유저들이 기피하는 겜플을 가진 조크 레벨이다. 조잉크 차력쇼라며 불호의 의견이 많다.
특히 이 맵의 가장 큰 특징은 실력 있는 유저들이 작정하고 엉망으로 만든 디자인으로, 분명 파트별 퀄리티를 보면 이상하게 데코 수준이 상당하며 일부 파트는 과장을 좀 보탠다면 이미 레이팅 된 레벨의 일부로 보일 정도로 쓸데없이 고퀄리티인데도 상당한 불쾌감과 난잡함, 심지어 혼란스러움마저 준다. 제작자들도 처음부터 이렇게 대놓고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놓으니 조잉크가 박아놓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버프들[3] 역시 조크성의 일부로 취급받는다.
2024년 12월 31일[4],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조잉크는 이 맵을 10~20위로 평가했지만 저평가하는게 하루이틀이 아니고 paqoe도 이 맵이 Silent clubstep 이상이라 평가했다.
240fps 프레임 퍼펙트가 하나 존재하며[5][6], 120fps 프레임 퍼펙트는 5개나 있다. 그리고 파트별로 난이도 분배가 고르게 되어있는 편이다.
1월 28일, Aquamarine을 꺾고 언레이티드 레벨 1위를 차지하였다.
2.8. Silent Poltergeist
Silent Poltergeist - TheRealSailent, verified by Whizkid05TheRealSailent[7]의 온라인 레벨.
평범한 나써류의 진행을 따르지만 한때 불가능하다고 여겨질만큼 어렵다. 반쯤 관상용으로 만든 레벨이다 보니 밸런스가 매우 안 좋으며 가끔 튀어나오는 연타구간이 이 레벨이 어떻게 불가능 취급을 받았는지 알게 해준다.
특히 가시가 촘촘히 박힌 45° 경사면을 3배속 소형 웨이브로 지나가는 장면이 인상적이라는 평이다. 그러나 베리파이어는 여기를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뽑지 않았다.
베리파이어는 난이도를 The Lightning Rod보다 어렵고, Saul Goodman과 매우 비슷한 난이도로 평가했다.[8][9]
맵 자체가 연타실력에 따라서 난이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거의 지메 세계 최고 연타 플레이어인 Whizkid05는 이 맵을 보기보다 저평가했을 가능성이 크다.[10] 특히 77~79, 1칸 소형웨이브 연타, 1칸 웨이브연타는 웬만한 웨이브 챌린지 레벨보다 어렵게 느껴질 정도로 굉장히 어렵다.
- [ 77~79% 눌러서 펼치기 ]
2025년 1월 30일 Whizkid05가 베리파이했다. Aquamarine과 함께 준 불가능 레벨이 차례로 격파되면서 이 게임의 아직 멈추지 않은 상향평준화를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물론 대다수 유저들이 이 맵이 레이팅 되지 않기를 원하고 있다.
마지막에 뜬금없이 Sakupen Circles의 마지막 비행 파트가 나온다.
2.9. NOMAD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5d5929,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80deg\, #eae4a4\, #c2bc72\, #eae4a4), 상단글자색=black,
설명배경색=#c2bc72, 설명글자색=black,
1단계배경색=#5d5929,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46410e, 2단계글자색=white,
이름=NOMAD, 유저명양식=by reesevet & danielsbadkarama\, verified by Laniakea, 유튜브=H2TkHbEX__A, 설명=now we are one in everlasting peace.,
ID=115077305,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51초, 오브젝트수=9\,769, 버전=2.2,
예상난이도=#20~30, 예상난이도주석=베리파이 당시 기준. Laniakea 피셜 Top 20~30 정도로 평가하였지만 Firework보다 어려워도 놀랍지 않을것이라고 덧붙였다. 어템수도 Laniakea 본인이 파고있는 Slaughterhouse의 어템수랑 비교했을때 어템수가 조금 차이나는것을 보면 Firework보다는 더 어렵게 보인다.,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5-02-13,
사운드트랙1=owenidontknow - Exit Music (for Nomad),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80deg\, #eae4a4\, #c2bc72\, #eae4a4), 상단글자색=black,
설명배경색=#c2bc72, 설명글자색=black,
1단계배경색=#5d5929,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46410e, 2단계글자색=white,
이름=NOMAD, 유저명양식=by reesevet & danielsbadkarama\, verified by Laniakea, 유튜브=H2TkHbEX__A, 설명=now we are one in everlasting peace.,
ID=115077305,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51초, 오브젝트수=9\,769, 버전=2.2,
예상난이도=#20~30, 예상난이도주석=베리파이 당시 기준. Laniakea 피셜 Top 20~30 정도로 평가하였지만 Firework보다 어려워도 놀랍지 않을것이라고 덧붙였다. 어템수도 Laniakea 본인이 파고있는 Slaughterhouse의 어템수랑 비교했을때 어템수가 조금 차이나는것을 보면 Firework보다는 더 어렵게 보인다.,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5-02-13,
사운드트랙1=owenidontknow - Exit Music (for Nomad),
RUST를 연상케 하는 51초 익스트림 데몬.
Laniakea가 베리파이를 맡았으며 67%를 달성했다.
2025년 2월 13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10. M I S F O R T U N E
M I S F O R T U N E - SkarnGD & more[11], verified by serpenticalI N J U R Y의 리메이크작.
약 43초의 짧은 길이에 레벨의 60%를 조금 넘어가는 드랍 비율에도, 빠르고 현란한 게임플레이가 주를 이루어 30위권이라 평가받을 정도로 순간난이도가 높다. 초기에는 Top 1 또는 불가능 챌린지 정도의 난이도로 보였으나 너프가 많이 되었다.
2025년 2월 13일, 베리파이되었다.
2.11. Infinite Chaos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00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54F43\, #17193E\, #0A0D2B\, #380F35),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A0D2B,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3C1024,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3372E, 2단계글자색=white,
이름=Infinite Chaos, 유저명양식=by Cairox & more, 유저명양식주석=Renn241\, Rolopok\, Insxne97\, Swiffel\, Valentine\, Helpegasus\, MercuryDT\, Dreamzone\, Zephlin\, AvaxLumino\, PlaEnterprise\, EPDJIP\, Xenith\, Humbjumb\, Dutchiee\, Zronk\, Rolopok\, Creoa\, Genoxide\, Triplash\, Gruzy\, Linox, 유튜브=wOMVERxU5IA, 설명=The all embodiment of chaos\, drawn out to infinity. ^^^,
ID=119689515,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3분 15초, 오브젝트수=236\,911, 버전=2.2,
현상태=베리파이 됨, 예상난이도=#20~40, 현상태시점=2025-05-26,
사운드트랙1=Fractal Dreamers - infinity Chasers,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54F43\, #17193E\, #0A0D2B\, #380F35),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A0D2B,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3C1024,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3372E, 2단계글자색=white,
이름=Infinite Chaos, 유저명양식=by Cairox & more, 유저명양식주석=Renn241\, Rolopok\, Insxne97\, Swiffel\, Valentine\, Helpegasus\, MercuryDT\, Dreamzone\, Zephlin\, AvaxLumino\, PlaEnterprise\, EPDJIP\, Xenith\, Humbjumb\, Dutchiee\, Zronk\, Rolopok\, Creoa\, Genoxide\, Triplash\, Gruzy\, Linox, 유튜브=wOMVERxU5IA, 설명=The all embodiment of chaos\, drawn out to infinity. ^^^,
ID=119689515, 비밀번호=없음(복사 가능), 길이=3분 15초, 오브젝트수=236\,911, 버전=2.2,
현상태=베리파이 됨, 예상난이도=#20~40, 현상태시점=2025-05-26,
사운드트랙1=Fractal Dreamers - infinity Chasers,
Cairox가 주최한 Lucid Chaos의 후속작.
2.12. Itsumade
Bedrock이 주최한 Yatagarasu의 리메이크작. 예상 난이도는 Top 20~50 사이.2025년 5월 9일, CaveMelv가 베리파이에 성공하였다.
2.13. Acid Rain
초록색 계열의 나인서클류 레벨이다. 예상 난이도는 Top 50.
2025년 8월 25일, ShadowMyth가 베리파이하였다.
2.14. Subsuming Vortex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003300,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0000\, #195345\, #18C7A5\, #0FD8BE),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18C7A5,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195345,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ubsuming Vortex, 유저명양식=by Septagon7 & Renn2418, 유튜브=0eYG1ogJpIQ, 설명=The hardest nine circles level... at the time,
ID=127997391, 비밀번호=X, 길이=1분, 오브젝트수=71\,134, 버전=2.2,
예상난이도=#5,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5-11-11,
사운드트랙1=Rukkus - Sine Wavs,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45deg\, #000000\, #195345\, #18C7A5\, #0FD8BE),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00000,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18C7A5,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195345, 2단계글자색=white,
이름=Subsuming Vortex, 유저명양식=by Septagon7 & Renn2418, 유튜브=0eYG1ogJpIQ, 설명=The hardest nine circles level... at the time,
ID=127997391, 비밀번호=X, 길이=1분, 오브젝트수=71\,134, 버전=2.2,
예상난이도=#5,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5-11-11,
사운드트랙1=Rukkus - Sine Wavs,
여러 유명 불가능 맵을 파는 것으로 유명한 Septagon7이 제작한 구 불가능 나인서클류 레벨로, 한때 불가능 레벨 리스트인 ILL에서 1위를 차지했었다.
원본은 1.9에서 벗어난 변형된 나써류의 디자인을 갖고 있으며 불가능 레벨 특유의 투박한 멋은 있지만 레이팅되기는 부족한 퀄리티이다. 이에 이 레벨이 레이팅되기 원하는 제작자의 입장으로 업데이트된 디자인을 선보였다. 레벨의 분위기는 유지한 채 일부 연출과 비주얼라이저가 추가되어 확실히 보기 좋아졌으나 아직도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레이팅이 되어도, 안되어도 이상하지 않을 애매한 퀄리티이며 난이도와는 별개로 레이팅이 될지도 관심사 중 하나이다.[12]
레벨 구성은 Sakupen Circles와 비슷한데, 초반 40%까지는 레벨의 난이도에 비해 턱없이 쉽지만 초반 드랍이 정말 어려운 탓에 난이도가 쏠려있는 단 30초의 웨이브 파트만으로 불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레벨의 66~100%인 후반 드랍은 Subsuming Vortex 66p라는 이름의 챌린지로 많은 유저들이 도전할 만큼 구 불가능 맵 치고 비교적 할 만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지만, 이와 대조되게도 초반 드랍은 미니모드 포함 4배속 한칸 웨이브[13]라는 현재의 리스트에서도 찾을 수 없는 유례없이 좁은 간격과 61%의 240프퍼펙[14], 여러 암전과 버그 요소들 때문에 상향평준화가 한계까지 진행된 2025년에도 여전히 가능과 불가능의 경계선에 있었다.
이 레벨의 60fps 프레임 퍼펙트 수는 60개, 120fps는 8개로 개수만 놓고보면 Acheron에도 밀리는 수준이지만 다른 점은 특정 프레임에서만 지나갈 수 있는 럭키 프퍼펙으로 떡칠이 되어있다는 점이다. 이론상 60fps에서도 이 레벨은 완주가 가능하지만 프레임 정렬이 안맞으면 클리어할 수가 없다.#
Cursed가 11월 11일에 85,000어템 이상을 사용하여 베리파이에 성공했으며, Silent clubstep보다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로써 약 5년 전 가장 어려웠던 불가능 레벨[15]은 어떠한 너프도 없이 베리파이되었다.
2.15. WavTerminal
[include(틀:Geometry Dash/온라인 레벨,테두리색=#FF007F,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0deg\, #00ff00\, #050099),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100ff,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00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ff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WavTerminal, 유저명양식=by Skyavoxii, 유튜브=dlvsCE3xYkQ,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3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50,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5-11-14,
사운드트랙1=Tanger - .wavterminal,
)]상단배경색=linear-gradient(0deg\, #00ff00\, #050099),
상단글자색=white,
설명배경색=#0100ff, 설명글자색=white,
1단계배경색=#ff0000, 1단계글자색=white,
2단계배경색=#00ff00, 2단계글자색=white,
이름=WavTerminal, 유저명양식=by Skyavoxii, 유튜브=dlvsCE3xYkQ, 설명=불명,
ID=불명, 비밀번호=불명, 길이=1분 38초, 오브젝트수=불명, 버전=2.2,
예상난이도=#50, 현상태=베리파이 됨, 현상태시점=2025-11-14,
사운드트랙1=Tanger - .wavterminal,
현재 Frice가 66%, 33-100%를 달성했다.
2025년 11월 14일, 베리파이되었다.
[1] 이미 레이팅 된 레벨들이 곳곳에 들어가 있는데, 난이도를 분간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2] 베리파이어인 LordVadercraft는 자신이 베리파이했던 Eyes in the water보단 쉽고, 같은 나써맵인 Solar Flare보다는 어렵다고 했다. GDDL에서도 Eyes in the water와 MINUSdry 사이에 있다.[3] 단적인 예시로, 첫 점프인 240 프퍼펙이 안 보인다(...)[4] 한국시간으로는 2025.1.1[5] 이상하게 cbf를 사용할시 첫점프의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간다.[6] 첫 점프이다. 첫 쇼케이스 시에는 없었는데, 조잉크가 베리파이를 시도하면서 추가했다.[7] Silent clubstep의 제작자로 유명하다.[8] 하지만 Whizkid05의 77~79%의 연타 실력과 더불어 맵 자체가 Whizkid05에게 매우 잘 맞아서 개인적 차이로 난이도가 Firework는 물론 KOCMOC 부근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9] 연타를 못한다면 Abyss of Darkness 정도일 수 있다.[10] 처음에 silent clubstep이 나온 당시 저평가 받은 것과 비슷하다.[11] RemecArt, Serpentical, greezer_, minty_gd, meddMmnf_66, SpazesUK, caution., KaapyCatz[12] Silent clubstep 보다는 부족할지라도 나름 상징성이 있음을 고려할 수 있다.[13] 현재 4배속 웨이브를 중심으로 난이도를 끌어올린 레벨 중 가장 어려운 레벨인 Tidal Wave의 가장 어려운 구간인 1차 드랍 4배속 웨이브 파트의 간격보다 훨씬 좁으며, 아예 간격이 웨이브의 히트박스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있는 Amethyst 1차 드랍의 3배속 웨이브의 간격보다는 약간 넓다. 즉, 약간 과장을 보태서 말하자면 Amethyst 1차 드롭의 웨이브와 비슷한 간격의 웨이브를 4배속으로 넘어가라는 소리이다. 하지만 모든 경사면이 한칸인 것은 아니고 일부는 한칸보다 넓게 조정되어 있다.[14] Cursed가 언급했으며 LeTim은 240fps 프퍼펙은 없다고 계산했다.[15] 정확히는 ILL에서 인정된 레벨 중에서이다. 이 맵이 만들어지기 전부터 존재했던 Silent Circles와 같은 맵은 현재 ILL에서 순위가 이 맵보다 훨씬 높지만, 그 당시에는 ILL에 등재되어 있지 않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