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역대 Pointercrate 포럼 순위 1위
클래식 / 플랫포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ICE Carbon Diablo X[H] | |||||||||||||||
Future demoness | ||||||||||||||||
Cataclysm[V] | ||||||||||||||||
Bloodbath | ||||||||||||||||
Sakupen Hell[V] | ||||||||||||||||
Athanatos[V] | ||||||||||||||||
Artificial Ascent | ||||||||||||||||
Yatagarasu | ||||||||||||||||
Digital Descent | ||||||||||||||||
Stalemate Redux | ||||||||||||||||
Erebus | ||||||||||||||||
Sonic Wave[V] | ||||||||||||||||
Plasma Pulse Finale | ||||||||||||||||
Bloodlust | ||||||||||||||||
Crimson Planet | ||||||||||||||||
Zodiac[H] | ||||||||||||||||
The Golden | ||||||||||||||||
Tartarus | ||||||||||||||||
Sakupen Circles[V] | ||||||||||||||||
Abyss of Darkness[V] | ||||||||||||||||
Slaughterhouse[V] | ||||||||||||||||
Acheron | ||||||||||||||||
Avernus | ||||||||||||||||
Tidal Wave[1] | ||||||||||||||||
{{{#!wiki style="color: #FFF;" {{{#!folding 정확한 순서 열기·닫기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ICE Carbon Diablo X → Cataclysm → Future Demoness → Cataclysm → Bloodbath → Sakupen Hell → Bloodbath → Sakupen Hell → Athanatos → Sonic Wave → Artificial Ascent → Sonic Wave → Yatagarasu → Sonic Wave → Erebus → Digital Descent → Erebus → Sonic Wave → Erebus → Stalemate Redux → Erebus → Sonic Wave → Plasma Pulse Finale → Bloodlust → Zodiac → Crimson Planet → Zodiac → Tartarus → The Golden → Tartarus → Slaughterhouse → Sakupen Circles → Slaughterhouse → Abyss of Darkness → Slaughterhouse → Acheron → Avernus → Tidal Wave |
}}}}}}}}} |
Pointercrate 랭킹 TOP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 <tablebgcolor=white><tablewidth=100%> #1 - Tidal Wave OniLinkGD |
#2 - Avernus PockeWindfish | |
#3 - Acheron ryamu | |
#4 - Nullscapes ItzKiba | |
#5 - Silent clubstep TheRealSailent | |
#6 - Anathema nikrodox | |
#7 - Spectre xander | |
#8 - Tunnel of Despair Exen | |
#9 - Abyss of Darkness Exen | |
#10 - Kyouki {出見塩} | }}}}}}}}} |
최근 변경 내역 NEW | Anathema #6 OUT | Slaughterhouse #11 | |
기준일: 2024년 12월 24일 |
역대 포럼 순위 1위
<rowcolor=#fff> | ||
| ||
By Bo & Kyhros - https://discord.gg/YcNkfHMJGv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FFD835> 레벨 정보 | |
레벨 ID | 89496627 | |
레벨 비밀번호 | 30607 | |
레벨 길이 | 1분 18초 | |
오브젝트 수 | 163918 | |
업로드 버전 | 2.1 |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FFA500><width=50%> 보상 ||
|| 10 500 | |
리스트 기록 | |
<colcolor=#fff><colbgcolor=#FFD835> GDDLadder 티어 | 35티어 |
Pointercrate 최고 순위 | #1 |
사용된 사운드트랙 | ||
F-777 - Dark Dragon Fire |
Geometry Dash의 전 포럼 1위이자 현 2위 레벨. 전 1위 맵인 The Golden의 후속작이다.
Zoink가 27,732어템을 소모하여 베리파이했으며, 2023년 3월 22일에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난이도는 2-3위 혹은 4위 정도로 평가했다. 이후 2023년 4월 16일, 언피처드로 레이팅되었다.
지오메트리 대시의 가시는 보이는 것보다 히트박스가 작다. 여기에 보이지 않는 가시를 추가하여 실제 보이는 것과 히트박스의 크기를 거의 똑같이 맞춰 스치기만 해도 죽게 해 놓은 것을 보정된 히트박스(fixed hitbox)라고 한다. 이 맵에는 이런 보정 가시가 많이 나오는데, 대부분이 초반 비행 구간에 몰려 있다. 원래는 이 정도로 많지는 않았는데 Zoink가 베리파이 도중 버프하는 과정에서 이렇게 되었다. 버프 전후 비교 영상을 보면 히트박스 보정 외에도 맵의 거의 모든 부분의 간격을 미세하게 줄인 것을 볼 수 있다.
보정 가시로 인해 적응이 어렵고 게임플레이가 나빠졌음에도 불구하고, 클리어자들의 평은 나쁘지 않다. 원본의 게임플레이가 좋은 편이고 Zoink가 버프하면서 보정 가시가 없는 웨이브 드랍 파트와 다른 파트의 밸런스가 잘 맞게 되었기 때문이다. 보정 가시에 적응하기까지의 경험은 좋지 않지만, 일단 적응하면 괜찮아진다는 게 중론이다.
이렇듯 최상위권 익데 중에서도 진입 장벽이 유달리 높기 때문인지, 베리파이 후 9달이 지난 후에야 첫 클리어자가 나왔다. 이는 Bloodbath의 7달을 넘은 역대 최장 기록이다. 2023년 6월 18일, Trick이 48-100%를 달성한 것이 50%를 넘긴 최초의 프로그래스. Acheron도 클리어자가 계속 나오고 있고 게임플레이, 디자인 모두 Avernus보다 한참 못한 Silent clubstep은 한때 가장 유명한 불가능 맵이었다는 상징성으로 인해 초고수들이 도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이 맵은 진입 장벽과 더불어 첫 등재 당시 1위로 등재되지 못해서 도전 욕구를 자극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에 대한 평가는 미묘하다. 합작인 만큼 퀄리티는 나쁘지 않고 중간중간 뛰어난 파트들도 보이지만 전작 The Golden과 달리 이미 지겹도록 양산된 지옥 테마의 맵이라는 것이 혹평의 주된 요인. 그래도 용암 디자인은 뛰어나고 색감도 밝은 편이라 다른 지옥 테마 맵들과는 분위기가 다르다.
2. 구간
- 게임플레이는 The Golden과 똑같이 Bo가 제작하였으므로 밑에 나와있는것은 전부 디자이너다.
Bo's part (0-7%) |
배 모드로 시작한다. 첫 가시부터 보정을 시켜놓아 난이도를 높였다.[3][4] 또 배 모드 프레임 퍼펙트가 나오고 UFO 모드로 전환되며 프레임 퍼펙트 점프, 웨이브 프레임 퍼펙트 등 시작부터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TriplasH's part (7-16%) |
Zipixbox's part (16-25%) |
듀얼로 전환되고 웨이브 + 배모드 겜플이 나온다. 이후 극악 타이밍의 UFO와 공점이 나온다. 비행기 듀얼 후 볼 프레임 퍼펙트 2번, 프레임 퍼펙트 웨이브 연타가 나온다. 그리고 앞에 파트들보다 더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Kyhros& Woom& Zentraa's part (25-36%) |
El3cTr0's part (36-48%) |
Avernus 문구가 나온 후 바로 상위 챌린지 수준의 웨이브가 드롭 내내 나온다.[6] 게다가 중간중간 중력반전을 넣어 놓아 난이도를 더욱 끌어올렸다. 또 길을 복잡하게 만들어 더욱 더 난이도를 끌어 올렸다.
이 파트에 존재하는 프레임 퍼펙트는 무려 29개[7][8].[9]
SyQual's part (48-59%) |
UFO 모드로 전환되며 아찔한 간격의 프레임 퍼펙트 점프들을 지나가야 한다. 볼 프레임 퍼펙트 이후 다시 웨이브로 전환된다. 이후 미니 웨이브 연타를 해야 하는데 어려운 점이, 좁은 간격 + 보정 가시 때문에 보기보다 더욱 좁은 간격을 지나가야 한다. 이 파트는 드롭파트와 함께 가장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Nidro&zDeadlox's part (59-67%) |
쉬어가는 파트 일거 같지만 아니다. 배모드로 전환되며 좁은 간격들을 지나가야 한다. 특히 중력 반전이 되는 구간에서 비행기를 잡아놓는 게임플레이가 나오며 난이도를 상승시켰다. UFO로 전환되며 프레임 퍼펙트, 중력 반전 비행기를 지나면 다음 파트에 돌입한다.
GD Iris's part (67-76%) |
Realvet's part (76-87%) |
2번째 드롭에 돌입한다. 연타에 치중한 플레이가 많이 나와 1번째 드롭보다는 쉬운 편. 웨이브 연타 후 미니웨이브 전환하여 3연타, 큐브 공점 연타 이후 미니웨이브 4연타가 나온다. 아찔한 간격의 웨이브를 지나가면 또 공점 4연타가 나온다. 그래도 첫번째 드롭 보단 쉽다.
Loolycat+kyhros&Bo's part (87~100%) |
마지막 임에도 절대 방심하면 안되는 파트
프레임 퍼펙트 웨이브 연타를 조금 더 가면 배모드로 전환되는데, 중력 반전이 나오기 때문에 배를 잡아주는 플레이가 자주 나온다. 또한 타이트한 비행기 동선 때문에 소고기를 유발한다. 배모드를 다 지나면 하얀 교각과 함께 마지막 점프를 넘어야 한다. 타이밍이 애매해서 여기도 죽기 쉽다. 다행인 점은 프레임 퍼펙트는 아니다. 그리고 지나면 엔딩 아트가 나온다.
3. 순위 변동
2023년 4월 23일, 2위에 등재되어 arcturus가 Top 10에서 퇴출됐다.2023년 10월 16일, Acheron을 제치고 1위로 올라갔다. Avernus를 파던 Diamond가 Avernus의 1위 가능성을 언급했고, 초반 보정 가시 때문에 아무도 도전하려 하지 않아 1위 자격이 있다는 의견에 일부 유저들이 동조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유저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 Avernus가 1위라고 보는 측은 Zoink가 Avernus를 저평가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Zoink가 Avernus를 클리어하는 데 소모한 어템이 Acheron의 40%가 채 안 되기는 하지만, Acheron보다 확실히 어려운 Tidal Wave도 Acheron의 2/3 정도의 어템을 소모하여 클리어한 것을 보면 Avernus에 소모한 어템 수가 적은 것은 Acheron보다 쉽기 때문이 아니라 Zoink의 실력이 올랐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더군다나 Zoink는 Deimos, Tunnel of Despair, Nullscapes 등 예상 순위를 실제 난도에 비해 낮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 Acheron이 1위라고 보는 측은 Acheron과 Avernus를 모두 클리어한 유일한 유저인 Zoink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맞다고 주장한다. 특히 포럼에 등재된 지 반 년이나 지난 시점에서 순위를 변경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의견이 많으며, Avernus를 1위로 올린 것을 포럼의 가장 이해할 수 없는 결정 중 하나로 꼽는 유저들도 있다. 클리어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는 이유로 순위를 올리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2024년 1월 26일, 오류로 인해 아주 잠깐 동안 2위로 내려갔다가 다시 1위로 올라갔다.
Acheron과의 우열 논란은 2명의 클리어자가 나온 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Diamond가 마지막으로 클리어한 Top 10 맵이 약 1년 2개월 전의 Slaughterhouse인데 이 맵에 106,743어템을 소모했고, Avernus에는 233,986어템을 소모하여 두 배 이상 차이가 난다. 보통 Acheron급 맵과 Slaughterhouse급 맵에 소모하는 어템 수는 두 배 정도 차이가 나는데, 그동안 Diamond의 실력이 올랐다면 Acheron보다 어렵다는 평가도 합리적이다. 하지만 Acheron의 클리어자인 Trick이 이 맵을 두 번째로 클리어한 후 2위로 평가하여 정확한 순위는 다시 미궁 속으로 빠졌다.
2024년 2월 19일, Tidal Wave가 1위로 등재되어 2위로 내려갔다.
2024년 6월 12일, 세 번째 클리어자인 wPopoff가 이 맵을 4-5위로 평가하여 순위 논란에 다시 불을 지폈고, 결국 2024년 6월 14일, Acheron과 Silent clubstep의 아래인 4위로 내려갔다. 그러나 Silent clubstep보다도 아래로 내려간 것에 대해서는 반발하는 의견이 있다.
2024년 10월 8일, Nullscapes가 3위로 등재되어 5위로 내려갔다.
2024년 12월 23일, 5위에서 2위로 재평가되어 다시 Acheron보다 순위가 높아졌다. 네 번째 클리어자인 SerVax의 평가가 영향을 미친 듯. 이로써 Zoink는 1~4위를 모두 베리파이한 기록을 갖게 되었다.[10]
4. 클리어 기록
2024년 1월 6일, Diamond가 233,986어템으로 최초로 클리어했으며,[11] Enjoyment는 7.5/10점, Level Rating은 8.5/10점으로 평가했다.2024년 1월 8일, Trick이 클리어했으며, 순위는 2위, Enjoyment Rating은 6/10점으로 평가했다.
2024년 6월 12일, wPopoff가 6일 만에 클리어했으며, 순위는 4-5위, Enjoyment Rating은 9/10점으로 평가했다. 여담으로 Avernus가 과대평가 되었다고 생각했는지 유튜브 영상의 제목을 Overnus라고 적어 놓았다.
2024년 12월 21일 SerVax가 37,649어템으로 클리어했으며, Enjoyment는 9/10점으로 호평했다. 또한 Tidal Wave, Nullscapes, Avernus가 각각 1, 2, 3위로, Avernus가 Acheron보다 어렵다고 평가했다.
5. 여담
- Avernus는 그리스어로 저승, 저승의 입구를 의미한다. 한국어로는 보통 '아베너스'나 '아벌너스', 또는 실제 발음에 가까운 '아베르누스'로 음차된다. 한국 커뮤니티에서도 일반적으로 아베르누스나 아베누스라고 불린다.
- 이름대로 저승에서 탈출하는 길을 주제로 해서인지 그와 관련된 묘사들이 자주 보인다. 초반에는 밝은 색감의 실내적인 디자인이었다가 후반으로 가면 건물 외벽을 묘사한 디자인이 나오며, 두 번째 드랍 직전 지옥문이 닫히는 효과와 후반부에 포진된 몬스터들, 교각을 연상시키는 디자인도 있다.
- 이 맵에 존재하는 60FPS 프레임 퍼펙트는 총 82개로, Nullscapes와 함께 세 번째로 많다. 가장 많은 맵은 200개의 Tidal Wave, 두 번째로 많은 맵은 89개의 Solar Flare이다.
- 유튜버 EricVanWilderman의 모딩 방송에서 별이 붙기 전 상태로 등장한 적이 있으며, 그에 의해 RobTop에게 보내졌다.
- The Golden 시리즈의 3번째 레벨이자 본 레벨의 후속작인 TETHYS가 새로 공개되었는데, 이때 제작자 중 하나인 Pockewindfish가 마찬가지로 본 합작의 호스트였던 Bo가 사망하였다는 내용의 포스트들을 개제하여 크게 추모의 열풍이 일었던 일이 있었으나, 이는 사실 Bo와 Pockewindfish가 서로 짜고 어그로를 끈 것으로(...) 확인되었다.
[1] 레이팅 시스템의 표 참고[] [3] 이것 때문에 Avernus 클리어자들이 없는 이유중 하나라고 뽑힌다.[4] 심지어 보정된 히트박스가 가시의 범위를 넘어가는 가시도 있다![5] 보정 가시에 적응하지 못했다면 첫 파트가 가장 어려울 수도 있다.[6] 이것은 전작인 The Golden을 연상케 한다. 또 이 파트를 제작한 사람이 TG의 드롭을 만들었던 인물인 El3ctr0다.[7] 참고로 이 맵에 존재하는 프레임 퍼펙트는 총 82개. 3분의 1 이상이 이 드롭 파트에 있다.[8] 이 파트의 길이가 단 8초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거의 1초에 3~4개가 나오는 수준이다.[9] 순간난이도가 slaughterhouse의 River 파트와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다![10] 다만 Nullscapes의 첫 클리어자가 나온다면 3위로 떨어질 확률이 높다. 그러면 Tidal Wave - Nullscapes - Avernus - Acheron이 되는데 위에서 설명했듯이 네 맵 다 조잉크가 베리파이한거다.[11] 여담으로 Diamond는 VSC에서도 최초클리어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 즉 가장 어려운 챌린지맵과 가장 어려운 별맵의 최초 클리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