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Newgrounds 주소
NemesisTheory가 2007년에 제작한 드럼 앤 베이스 장르의 곡. 제목은 Weeping Demon. 곡은 1:39초의 길이로 매우 짧지만서도, 강렬한 임팩트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곡 제목처럼 Demon(악마)이라는 제목에 알맞다.
2. Geometry Dash의 온라인 레벨: Devil Vortex
<rowcolor=#FFF> Devil Vortex by Rustam, verified by - | ||
| ||
Verification by ToshDeluxe. Level made by Rustam. Check Tosh's video for the password!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B22222> 레벨 정보 | |
레벨 ID | 32969607 | |
레벨 비밀번호 | 695314 | |
레벨 길이 | 1분 | |
오브젝트 수 | 38,930 | |
업로드 버전 | 2.1 |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351112><width=50%> 보상 ||
|| 10 500 | |
리스트 기록 | |
<colcolor=#FFF><colbgcolor=#B22222> GDDLadder 티어 | 29티어[1] |
Pointercrate 최고 순위 | #5 |
<rowcolor=#FFF> 사용된 사운드트랙 | ||
NemesisTheory - Weeping Demon |
Rustam이 만든 지옥 테마의 맵. 일단 Bloodbath보다 어렵다고 처음부터 깔았으며[2][3] 마의 구간은 칼타이밍 천지인 42%~58%,[4] 67%~74%, 그리고 신들린 타이밍으로 84%~85%[5]를 지나가야 한다.
ToshDeluxe가 이 맵을 베리파이했던 당시 핵을 사용했다는 논란이 거론되기도 했다. Devil Vortex가 업로드된 날이 하필이면 새로운 핵인 'GDBot'이 나온 날이었기 때문에 몇몇 사람들이 핵임을 의심했지만 증거가 없는데다가 생방송이었기 때문에 함부로 확신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CanadianGamer가 핵 폭로 영상[6]을 처음으로 올린 6월 19일을 기점으로 ThePrimeEvil[7], BoldStep[8], MeatiusGaming, weoweoteo가 줄줄이 영상을 올린다. 그 외에도 NoctaFly나 TrusTa 등의 유명유저들도 그가 핵을 썼다고 주장했으나 TrusTa는 Tosh와 갈등을 일으키고 싶지 않다고 이 사건에서 나갔다. 그 외에 네덜란드 유명 유저들은 그를 감싸고 있다.
그러다 ToshDeluxe 측에서 반박 영상이 올라왔다. 이 영상에 따르면 56% 즈음에서 화면이 끊긴 것은 렉이 걸렸기 때문이고, 클리어 한 어템에서 갑자기 음질이 좋아진 것은, 그 당시 RedHuseey, Geomania와 통화 중이여서 음질이 매우 나빴기 때문에 뉴그라운드에서 직접 다운받아서 붙여넣은 것이라고 한다. 그 외에 초반에 불가능하다고 까였던 소형 웨이브 움직임은 중력 반전 포탈이 숨겨져 있던걸 밝혔다. 마지막으로 43~57%에서 중간에 갑자기 방향이 바뀌는 톱니바퀴는 눈속임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자세히 집중해서 보면 계속 한 방향으로 돌아간다. 즉, 맵 전체가 워낙 번쩍거리고 어두워서 생긴 착시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계속 의심하자 마우스캠이 들어간 두 번째 반박 영상을 올렸다. 84%의 극악한 컨트롤 구간도 손캠으로 인증했고 초반 불가능하다고 까였던 웨이브 움직임을 연속으로 손캠으로 보여줬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주장들을 손캠으로 보여주며 반박했다.
그리고 한동안 조용하다가 다시 파문이 일었다. 중반의 한칸 미니 웨이브 구간을 오토화 시키는데 필요한 오브젝트가 58개인데, 맵의 상단부분에 톱니바퀴가 58개가 위치하고 있다는점이 큰 의문을 사고있다.[9] Tosh는 물론 톱니를 데코용으로 쓰려고 했던 거라고 반박하지만, Diamond Splash를 필두로 한 npesta, Rainstorm등의 데몬 리스트를 관리하는 고위급 유저들에게 모든 의심가는 부분을 지적받았으나 다시 반박을 했다. 그렇게 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2023년 7월 쯤 zcylix 채널에 올라온 영상에서 중후반 미니 웨이브 부분이 오토로 클리어 된 명확한 증거를 발견하며 6년동안 핵의심으로 이어진 사건을 확실히 마무리 짓게 되었다.[10] 핵으로 베리파이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 이전에 이미 레거시로 내려갔기 때문에 별도의 순위변동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핵 여부와 상관없이, Tosh의 핵 폭로 영상을 보면 어김없이 링크를 걸어 싫어요 테러를 하고 핵 폭로를 주장하고 있는 유저들에게 쌍욕을 하는 Tosh의 극성 빠들의 행동은 유명 유저들에게서나 커뮤니티 내에서나 빈축을 사고 있다.
6월 23일, 업로드된지 2달이 넘고 나서야 최초로 클리어한 유저가 생겼는데, 익스트림 데몬을 밥 먹듯이 깨는 실력자인 Sunix가 클리어했다. 그 뒤에 하루 간격으로 Xmerritt가 클리어했다. 그리고 현재 TrusTa와 Wooshi999가 83%를 갔으며 한국인 유저 Cenos도 53%의 기록을 냈다. 그리고 TheRealH4TE도 55%를 갔다. 또한 한국 유저 Tipp7은 88%를 갔다.
여담으로 Tosh는 이 맵 중에서도 매우 어려운 부분인 저속 1칸 소형웨이브를 3번 연속으로 지나가고 그후 4배속으로 톱니를 통과하는 챌린지를 클리어했다.
많은 유저들에게 "게임플레이가 끔찍하다."라고 까이는 중이다. 실제로 초반부터 일자비행과 연타가 난무하며 반복되는 구간이 많은 편이다.
Tosh가 재클리어에 도전하여 82%까지 갔다.
2019년 2월 23일[11] Tipp7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2020년 5월 5일 Aronia가 15위에 등재되면서 Top 30에서 탈락되었다.
2.1. 구간
1구간 |
시작부터 저속 0.5칸 소형 비행으로 유저들을 입구컷한다. 이후 소형 웨이브 구간은 곳곳에 보이지 않는 중력반전 포탈으로 난이도를 올린다. 이어지는 볼 구간은 크게 어렵진 않은 편.
2구간 |
17~27% 구간은 Rustam이 Yatagarasu CC7에 참여한 파트를 그대로 사용한 구간으로, 모드전환이 잦은 편이다. 해골 자체는 닿아도 안 죽지만 꽤나 난잡한 구간. 이 구간이 끝나면 이어지는 볼 파트는 앞선 볼 파트와 달리 난이도가 상당하며, UFO - 볼 트랜지션이 꽤나 이상하게 설계되어 있다.
3구간 |
들어가면 위에 Take a break!이라고 적혀 있는데 실상은 레벨 내에서도 상당한 난이도를 보여주는 구간이다. 큐브 구간이나 로봇 구간이나 극한의 칼타이밍을 요구하며, 중간에 보정 가시가 있는 1칸 비행도 어렵지만 하이라이트는 1칸 높이의 가시 틈새를 소형 웨이브 연타로 지나가야 하는 55~56% 구간. 레벨 내에서도 특히 어려운 파트 중 하나로 꼽힌다.
4구간 |
점프링 + 1칸 비행을 해야 하는 비행 구간으로 시작하는데, 62% 구간이 보이지 않는 보정 블록이 있어서 감을 잡기가 어렵다. 이 구간을 지나면 엄청나게 좁은 3배속 소형 웨이브 구간이 나오는데 맵 내에서도 상당한 난이도를 보여주는 구간이다.
5구간 |
74% 트랜지션에 버그가 있어 볼 포탈로 진입할 때 최대한 아래로 타야 한다. 나비모드로 시작하는데 그나마 여기는 나비모드에 익숙하다면 어렵지 않은 편. 하지만 이어지는 대형 1배속 웨이브가 레벨의 마지막 고비로, 특히 보이지 않는 두 톱니 사이를 정확히 지나야 하는 84% 구간이 악명이 자자하다. 88%부터는 비행과 웨이브가 반복되면서 1칸 높이의 가시 사이를 지나가는데 여기까지 왔다면 이 구간을 지나는 데에 무리는 없겠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이후 93%부터는 You are survived... 문구와 함께 엔딩 아트가 나온다.
[1] 30티어의 기준이 되는 5개의 Reference Demon 중 하나인데, 정작 GDDLadder 상에는 29티어로 평가한 사람들이 더 많다.(익스트림 데몬은 티어를 매기려면 클리어 인증이 필요하다)[2] 실제 난이도는 Bloodbath는 따위로 보이는 수준이며, 이 레벨이 나온 2.1 초기의 3대장인 RGB 트리오(Yatagarasu, Erebus, Sonic Wave)에 버금가는 수준이다.[3] 다만 이건 ToshDeluxe가 깐 것이다. Rustam 왈 Medium Demon 정도로 보고 만들던 것을 ToshDeluxe가 극상향시킨 거라고... 그런데 Tosh가 이후 이 맵과는 별개의 맵으로 구 버전을 업로드했는데, 현재 버전보단 쉽지만 도저히 Medium Demon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거도 익데다[4] 그중에서도 55%~56%가 어렵다. 여기는 저속 1칸짜리 소형웨이브 연타 구간으로, 84% 웨이브와 함께 악명 높은 구간 두 개 중 하나이다.[5] 영상에서 안보이는 두 톱니 사이를 통과하는 구간. 너무 어렵기 때문에 이 구간이 Tosh가 핵을 썼다는 근거로 거론되기도 했다. 톱니 윗부분으로 지나갈 경우 안 보이는 벽에 부딪힌다.[6] 이 영상은 얼마 못 가서 삭제되었다.[7] 영상 삭제됨.[8] Tosh와 갈등을 빚고 싶지 않다며 모든 핵 의심 영상을 삭제[9] 이 톱니바퀴들은 후에 Devil Vortex Saws 라는 이름으로 지오메트리 대시 커뮤니티에서 밈으로 쓰이고 있다.[10] (인게임 설정 Low Detail 모드를 킨 경우) 미니 웨이브 모드에서 땅에 닿는 순간 클릭했을때는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지만, 파란 발판을 이용했을경우 파티클이 발생하는 차이점을 이용해 증명했다.[11] 여담으로 Tipp7은 2018년 ''2월 23일'' Killbot을 클리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