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창녕 성씨 昌寧 成氏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경상남도 창녕군 |
시조 | 성인보(成仁輔) |
집성촌 | 강원도 춘천시 경상남도 진주시, 창녕군 경상북도 김천시, 봉화군, 상주시, 영천시 전라북도 고창군, 진안군 전라남도 순천시, 해남군 충청남도 보령시, 예산군 충청북도 영동군, 음성군 황해도 금천군, 평산군 |
인구 | 195,310명(2015년) |
사이트 | 창녕 성씨 대종회 | |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집단이다.시조는 고려시대 당시 창녕 지방의 토호(土豪)이며 호장 중윤을 지낸 성인보(成仁輔). 시조 성인보의 출생연대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성공필과 성한필 대에서 두 계통으로 갈라졌으며, 지금은 13파로 분파되었다. 성인보의 아버지는 신라 대관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성씨약사」는 시조 인보가 고려 고종 때 성씨의 성을 창성한 것으로 전한다. 족보 기타 문헌 사료도 시조는 인보로서 상계는 밝혀지지 않고 전해지며, 이것이 창녕 성씨의 유래이다. 성씨 족보 중에서 가장 오래된 창녕 성씨 족보 계축 보는 성종 24년 계축(서기 1493년)에 처음으로 편찬된 것으로, 성씨 족보에 처음으로 편찬되었다.
역사기록에 최초로 성씨가 등장한 것은 기원전 108년이지만 창녕 성씨와 연관성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 고려 문종 당시 성(姓)이 없는 사람은 과거를 응시할 수 없게 하여 고려 고종 당시 성을 만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족보가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출현하기 시작했는데 창녕 성씨의 족보는 그 중 대표적인 족보 중 하나이다. 족보의 경우 창녕성씨계축보(昌寧成氏癸丑譜)라 불리고 있으며 1493년(성종 24년) 성중성(成重性), 성현(成俔) 등이 간행하였다.
한국 전근대 사회에서 과거 시험의 사회적 위상이 어떠했는가를 드러내는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가문이다. 특히 고려 시대에 비해서 과거 시험의 비중이 더 커지고, 음서의 범위가 축소되는 등 더욱 실력 위주 사회를 지향한 조선 시대에 있어서 과거 시험의 의미를 드러내는 사례이다. 창녕 성씨 가문과 유사한 경위를 통해서 조선 초기 발현한 가문이 광주(경기도 광주) 이씨 가문을 들 수 있다. 창녕 성씨 가문은 1456년 병자원옥 - 소위 사육신 사건을 겪으면서도 성석용-성달생-성승-성삼문, 삼빙, 삼고 계열 외 다른 구성원들은 무사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세조, 예종, 성종, 연산군 대를 거치면서 크게 발흥하여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고 15세기 문물 제도 정착에 크게 기여한다. 하지만 광주 이씨 가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산군 대에 불행하게도 크게 된서리를 맞은 가문 중 하나로 성현[1]은 부관참시되었고 성준은 교살되었다. 그래도 후손들은 살아남아 성희안, 우계 성혼 등 여러 훌륭한 인재들이 배출되면서 영남 지방 최대 명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인구는 2015년 기준 182,377명.
2. 조선 왕실과의 관계
3. 분파
- 판서공파와 찬성공파로 크게 나뉘었는데 판서공파에서 십파(十派)의 공파가 형성되었고 찬성공파에서 삼파(三派)의 형성되어 십삼파(十三派)가 존재한다.
- 판서공파(判書公派)
- 독곡공파(獨谷公派)
- 회곡공파(檜谷公派)
- 상곡공파(桑谷公派)
- 중낭장공파(中郞將公派)
- 판사공파(判事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정절공파(貞節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 좌랑공파(佐郞公派)
- 평리공파(評理公派)
- 검교공파(檢校公派)
- 지사공파(知事公派)
4. 집성촌
-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몽석리
- 경상남도 진주시 수정동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가방리·용아리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외부리·직교리 - 독립유공자 성일영이 이 마을 출신이다.
-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억만리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모산리·석리[3]·창산리·효정리[4]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성산리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동안리
-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가평리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 - 독립유공자 성장환·성해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삼포리·지산리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신리리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대천리·선천리
-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달전리
- 세종특별자치시 서면 와촌리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송산리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자산리
-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감성리
-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대치리 - 성장현 전(前) 용산구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복산리
- 전라남도 해남군 화산면 명금리
- 충청남도 보령시 동대동 - 시의원 성태용이 이마을 출신 시의원이다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 독립유공자 성백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내흥리
-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봉림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
- 황해도 금천군 좌면 북산리
- 황해도 평산군 고지면 세관리
5. 인물
- 성기욱 - 정치인,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 성기선 - 교육학자, 가톨릭대학교 교수
- 성기운 - 조선귀족, 대한제국 중추원 부의장
- 성건 - 조선 성종 시기 형조판서
- 성나연 - 대한민국의 가수
- 성경륭 - 참여정부 제6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 성낙인 - 법학자, 제26대 서울대학교 총장
- 성낙인 - 민선8기 경상남도 창녕군수
- 성담수 - 생육신
- 성덕임(의빈 성씨) - 조선 정조의 후궁
- 성동일 - 배우
- 성민재 - 대한민국의 가수
- 성부 - 고려 말, 조선 초기 문신, 병조판서
- 성삼문 - 사육신
- 성사달 - 고려 우왕 시기 문신, 예문관 대제학
- 성석제 -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 성석린 - 조선 태종 시기 영의정
- 성세창 - 조선 명종 시기 좌의정
- 성시경 - 가수
- 성시백 - 쇼트트랙 선수
- 성준모 - 농구 코치
- 성영재 - 댄서
- 성여완 - 고려 말, 조선 초기 문신. 정당문학을 역임했다.
- 성유리 - 배우
- 성유보 - 언론인
- 성유빈 - 배우
- 성윤모 - 대한민국 제4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중앙대학교 석좌교수
- 성재기 -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기업인[5], 전 남성연대 상임대표
- 성일종 - 대한민국 제20~22대 국회의원
- 성장환 - 독립유공자
- 성제준 - 정치평론가
- 성좌경 - 대한민국 제4대 과학기술처 장관
- 성지루 - 배우
- 성지형 - PD
- 성치훈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정치학자
- 성필환 - 독립유공자
- 성해식 - 독립유공자
- 성현아 - 배우
- 성혼 - 조선 전기의 문신
- 성현 - 조선 성종 시기 대제학, 예조판서
- 성희안 - 조선 중종 시기 영의정
- 성민준 - 풀스텍 개발자(진)
- 성태윤 - 윤석열 정부 제2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경제학자
- 성태용 - 보령시 시의원
- 성창영 - 듀오 게임 유튜버
- 성한빈 - ZEROBASEONE의 멤버
- 성희직 - 정치인
- 성승규 - 프로게이머
- 성학승 - 전 프로게이머
- 성시현 - 미스 경북에 뽑혔다고 한다.
- 성영진 - 서산
- 성라빈
- 성준영
- 성우영
- 성효민
- 성민준
- 성지영
- 성창환
- 성금자
성해윤
성인숙
성귀석
성경수
성병복
성이준
성이원
성연아
성채림
성소라
6. 관련 문서
[1] (成俔, 1439~1504) 조선 성종 대의 문신으로 성석린의 동생 성석인(成石珚, 1357~1414)의 증손으로 『악학궤범』, 『용재총화』를 남겼다.[2] 조선의 비빈들 중 유일한 창녕 성씨로, 본명은 성덕임이다. 홍봉한(정조의 외조부) 가문 청지기 성윤우의 딸이다. 어릴 때 혜경궁 홍씨의 처소 궁녀로 입궁했다. 정조가 이미 10대 때 승은을 내리려 했으나 왕비 효의왕후가 아직 임신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거절했다고 한다. 무려 15년 뒤에 정조가 또 한 번 구애했으나 또 거절, 결국 정조가 하인에게 벌을 내리고 나서야 승은을 입었다고 한다. 이후 정조의 장남 문효세자 이순과 장녀 옹주를 낳았다. 그러나 딸과 아들 모두 요절하고, 본인은 셋째를 임신한 상태인 만삭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병으로 졸하였다. 만약 문효세자 이순이 무사히 장성하여 왕위를 계승하고 더 나아가 현재까지도 직계 후손이 이어지게 되었다면 성삼문의 방계 후손이 대대로 조선 왕위에 오를 수도 있었을 것이다.[3] 김정일의 부인 성혜림의 아버지 성유경이 이 마을 출신이다.[4] 성낙인 전 서울대학교 총장과 독립유공자 성태영이 이 마을 출신이다.[5] 2000년부터 6년간 헤드헌팅 회사를 운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