城 재 성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준4급 | ||||||
- | |||||||
일본어 음독 | ジョウ, セイ | ||||||
일본어 훈독 | しろ, き | ||||||
- | |||||||
표준 중국어 | ché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城은 '재 성'이라는 한자로, '성(城)'을 뜻한다. 재는 성의 옛말이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7C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IHS(土戈竹尸)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음을 나타내는 成(이룰 성)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디 흙으로 쌓은 것만 뜻하였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돌이나 나무 등으로 쌓은 것도 뜻하게 되었다.
도시를 뜻하기도 한다. 한 예로 조선시대 한성(漢城)은 서울 한양도성뿐만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시가지를 통틀어 일컫는 지명이다. 중국어에서는 이런 특징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영어의 city를 중국어로는 城이라고 번역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미디어시티, 송도국제도시, 파라다이스시티는 각각 数码媒体城, 松島国际城, 百乐达斯城이다.
일본어 훈독으로는 しろ라고 읽으나 지명에서는 き, ぎ로 읽는 경우도 흔하다.[1]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3.1. 실존인물
- 곽부성(郭富城)
- 김성모(金城模)
- 나카에 미츠키(中恵 光城)
- 니이보 키시로(新穂 貴城)
- 사와시로 미유키(沢城 みゆき)
- 사와시로 치하루(沢城 千春)
- 시라키 나오(白城 なお)
- 아마키 샐리(天城 サリー)
- 유신성(劉新城)
- 유키 아이라(結城 アイラ)
- 조지마 겐지(城島 健司)
- 최익성(崔益城)
- 카네시로 타케시(金城 武)
- 하나시로 나오(花城 奈央)
- 한지성(韓知城)
3.3.2. 가상인물
- 긴죠 쿠우고(銀城 空吾)
- 미야코노죠 오도(都城 王土)
- 시라사기죠 루이(白鷺城 ルイ)
- 야마시로 타카네(山城 たかね)
- 우사기(憂城) - 십이대전
- 유한성(柳寒城) - 신의 탑
- 죠가사키 켄시(城ヶ崎 賢志)
- 카죠 아야메(華城 綾女)
- 츠루기 마이(鶴城 舞)
- 츠루기 시노부(鶴城 史之舞)
- 츠키시로 모나카(月城 最中)
- 카와라기 센쥬(瓦城 千咒)
- 키도 죠이치로(城戸 丈一郎)
- 타카죠 렌타로(高城 蓮太郎)
3.4. 지명
3.4.1. 대한민국
城이 들어가는 지명 (국내) | ||
수도권 | 서울 | <colbgcolor=#fff,#191919> 성동구(城東區) 성북구(城北區) 마포구 성산동(城山洞) 강동구 성내동(城內洞) |
경기 | 성남시(城南市) 안성시(安城市) 화성시(華城市) 평택시 안중읍 성해리(城海里), 용성리(龍城里) | |
인천 | 강화군 불은면 넙성리(芿城里), 덕성리(德城里) | |
관동 | 영서 | 횡성군(橫城郡) |
영동 | 고성군(高城郡) | |
영남 | 경남 | 고성군(固城郡) |
경북 | 의성군(義城郡) | |
대구 | 동구 능성동(能城洞) 중구 남성로(南城路), 달성동(達城洞), 동성로(東城路), 북성로(北城路), 서성로(西城路) 북구 고성동(古城洞) 수성구(壽城區) 수성동(壽城洞) | |
울산 | 남구 성암동(城岩洞), 황성동(黃城洞) 중구 성남동(城南洞), 학성동(鶴城洞) | |
부산 | 서구 토성동(土城洞) | |
호남 | 광주 | 서구 농성동(農城洞) |
전남 | 곡성군(谷城郡) 보성군(寶城郡) 장성군(長城郡) | |
전북 |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湖城洞) 남원시 대산면 금성리(金城里), 보절면 성시리(城侍里), 아영면 성리(城里), 인월면 성산리(城山里) 정읍시 수성동(水城洞) | |
호서 | 대전 | 동구 성남동(城南洞) 서구 기성동(杞城洞) 유성구(儒城區) 신성동(新城洞) 중구 산성동(山城洞) |
세종 | 나성동(羅城洞) 금남면 감성리(柑城里), 전동면 송성리(松城里) | |
충남 | 홍성군(洪城郡) 천안시 서북구 부성동(富城洞), 동남구 문성동(文城洞), 원성동(院城洞), 성남면(城南面) | |
충북 | 음성군(陰城郡)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구성리(九城里), 오창읍 주성리(主城里), 흥덕구 강내면 태성리(台城里) | |
城이 들어가는 지명 (북한) | ||
관서 | 평양 | 서성구역(西城區域) |
평남 | 평성시(平城市) | |
평북 | 구성시(龜城郡) 자성군(慈城郡) 창성군(昌城郡) | |
관북 | 함남 | 고원군 천성리(泉城里), 성내리(城內里), 성남리(城南里) |
함북 | 경성군(鏡城郡] 성진시(城津市) 온성군(穩城郡) 종성군(鐘城郡) 학성군(鶴城郡) | |
해서 | 개성 | 개성시(開城市) |
황남 | 벽성군(碧城郡) | |
황북 | 사리원시 대성동(大城洞), 성문동(城門洞), 성산리(城山里) |
3.4.2. 해외
城이 들어가는 지명 (일본) | ||
도호쿠 | 키타토호쿠 | <colbgcolor=#fff,#191919> 아키타현 미나미아키타군 고조메마치(五城目町) |
미나미토호쿠 | 미야기군(宮城郡) 타가죠시(多賀城市) 센다이시 미야기노구(宮城野区) | |
간토 | 키타칸토 | 도쿄도 이나기시(稲城市) |
미나미칸토 | 이바라키현(茨城県) 유키군(結城郡) | |
주부 | 토카이 | 아이치현 신시로시(新城市), 안조시(安城市) |
간사이 | 교토 | 교토부 조요시(城陽市) 소라쿠군 미나미야마시로촌(南山城村) |
나라 | 카츠라기시(葛城市), 키타카츠라기군(北葛城郡) 시키군(磯城郡) | |
미에 | 와타라이군 타마키초(玉城町) | |
오사카 | 오사카시 조토구(城東区) | |
큐슈 | 가고시마 | 오시마군 아마기초(天城町) |
구마모토 | 우키시(宇城市) 시모마시키군(下益城郡) 카미마시키군(上益城郡) 마시키마치(益城町) | |
미야자키 | 미야코노죠시(都城市) 코유군 키조초(木城町) | |
사가 | 오기시(小城市) | |
후쿠오카 | 오노죠시(大野城市) 후쿠오카시 조난구(城南区) | |
오키나와 | 도미구스쿠시(豊見城市) | |
城이 들어가는 지명 (중국) | ||
둥베이 | 지린성 | 바이청시(白城市) |
헤이룽장성 | 하얼빈시 아청구(阿城区), 솽청구(双城区) | |
화베이 | 베이징 | 둥청구(东城区) 시청구(西城区) |
산시성 | 윈청시(运城市) | |
화둥 | 산둥성 | 랴오청시(聊城市) 윈청현(郓城县) 쥐안청현(鄄城县) |
안후이성 | 쉬안청시(宣城市) | |
장쑤성 | 옌청시(盐城市) | |
홍콩 | 구룡성구(九龍城區) |
3.5. 건축물
3.6. 창작물
3.7. 역명
3.8.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晠(밝을 성)[2]
- 𥆏[⿰目成](밝을 성, 부릅뜰 진)
- 鋮(사람이름 성)
- 峸(산이름 성)
- 𦛙[⿰⺼成](살찔 성)
- 𩫨[⿰⿳亠口⿳回口十成](성 성)
- 娍(아름다울 성)
- 珹(옥이름 성)
- 絾(짤 성)
- 誠(정성 성)
- 鯎(황어 성)
- 臹(익힐 수)
- 𣜽[⿰桑成](고)
- 𠉛(성)
- 𡓖[⿰堯成](효)
- 𪞞[⿰冫成]
- 𨹚[⿰⻖成]
- 𬇠[⿰氵成]
- 𪸤[⿰火成]
- 𭩴[⿰木成]
- 𣎉[⿰有成]
- 𢧚[⿰年成]
- 𤽷[⿰白成]
- 𥓉[⿰石成]
- 𮊽[⿰羽成]
- 𨠽[⿰酉成]
- 𮝍[⿰車成]
- 𬲐[⿰𩙿成]
- 𬴡[⿰⿳亠⿲丨二丨⿳口⿲丨二丨丅成]
- 𱈨[⿰鳥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