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21:56:38

개성역

개성역
역명 표기
평부선 개성
Kaesŏng
開城 / 开城 / [ruby(開城, ruby=ケソン)]
주소
개성시 역전동
관리역 등급
중간역
(평양철도총국 관리)
운영 기관
평부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경의선 1908년 4월 1일[1]
철도거리표
평양 방면
개 풍
← 9.1 ㎞
평부선
개 성
도라산 방면
손 하
3.9 ㎞ →

1. 개요2. 역 정보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평부선의 철도역, 개성시 역전동 소재.

이북5도 기준 상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개성시 태평동에 위치해 있다.

51*12m 크기의 역사 외에 플랫폼 2개, 대형창고 5동, 구내선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집중화물역의 지위를 지니고 있다.

2. 역 정보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evil1293428260.jpg
<colbgcolor=#ccc><colcolor=#000> 2대 역사 (1919년 준공, 1950년 소실)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evil1293428273.jpg
3대 역사 (1950년대 준공)
파일:attachment/개성역/Example.jpg
4대 역사 (2007년 준공)[2]
파일:개성역.jpg
해방 직후에 촬영된 개성역 한문 역명판[3]

일제경의선을 처음 부설할 당시부터 영업을 개시했던 유서깊은 역이다. 남북분단 직후에는 삼팔선이 개성역 북쪽을 지나가서 대한민국의 관할이었으나, 6.25 전쟁 이후 휴전선 설정에 의해 북한 통치하에 놓이고 말았다.

1919년에 서양식 벽돌 건물로 다시 지었으나 1950년 당시 한국전쟁으로 파괴되고 그 이후에 새로 시멘트 건물을 세웠고, 지금의 역사는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에 의해 경의선 철도연결복원사업에 따라 옛 역사 건물 옆에 대한민국 주도로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2007년에 준공하였다.

노무현 정부 당시 수도권 전철 경의선(現 경의중앙선)을 개성역까지 연장하려던 계획이 있었지만 이명박 정부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무기한 중단되었다.

3. 여담

역 건물 자체는 장항선예산역과 유사한 양식인데, 완공 이후 북한 측에서 가져와 걸어놓은 김일성 초상화와 조선로동당 찬양 구호가 걸려 있는 모습이 심히 부조화스럽다.[4]

4. 둘러보기

평부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취소선:폐역
}}}}}}}}}


[1] 1945년 8월 15일 ~ 1950년 6월까지 대한민국 소속, 1950년 ~ 1953년까지 6.25 전쟁으로 인한 영업 중단[2] 경의선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남한 측에서 지은 것이며 역 건물의 김일성 사진과 선전구호는 이후에 북한에서 올려 놓은 것이다. 현재는 김일성 사진 옆에 김정일 사진이 같이 걸려있고 왼쪽 선전구호도 김정은 선전구호로 바뀌었다. 또한 유리에 '개성'이라는 역명을 적어놓았다.#[3] 왼쪽과 오른쪽에는 각각 개풍역의 옛 이름인 토성역과 봉동역이 적혀 있다.[4] 비슷한 예로 삼일포역, 손하역, 판문역, 금강산역, 감호역이 있으며, 이걸 보고 철도 갤러리에서는 설계+시공=우리나라 관리=북한 디자인=유리궁전이라는 드립이 나온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