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6:35:48

장희빈(SBS)

장희빈(SBS 드라마)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장희빈 주연의 2013년 SBS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장옥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장희빈(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90년대 이후
한국 TV 드라마 시청률 TOP 100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margin: 0 -1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첫사랑 사랑이 뭐길래 모래시계 허준
<rowcolor=#fff>
5위
6위
7위
8위
젊은이의 양지 그대 그리고 나 아들과 딸 태조 왕건
<rowcolor=#fff>
9위
10위
11위
12위
여명의 눈동자 대장금 파리의 연인 보고 또 보고
<rowcolor=#fff>
13위
14위
15위
16위
진실 질투 바람은 불어도 목욕탕집 남자들
<rowcolor=#fff>
17위
19위
20위
21위
국희
청춘의 덫
토마토 M 폭풍의 계절
<rowcolor=#fff>
22위
23위
24위
25위
주몽 야인시대 엄마의 바다 제빵왕 김탁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내 이름은 김삼순 야망의 전설 여인천하 아들의 여자
<rowcolor=#fff>
30위
31위
32위
33위
용의 눈물 하나뿐인 내편[통합시청률] 별은 내 가슴에 넝쿨째 굴러온 당신
<rowcolor=#fff>
34위
35위
37위
39위
야망 서울의 달
정 때문에
마지막 승부
솔약국집 아들들
내 딸 서영이
<rowcolor=#fff>
40위
42위
43위
44위
왕가네 식구들
이브의 모든 것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신데렐라 인어 아가씨
<rowcolor=#fff>
45위
46위
47위
49위
올인 황금빛 내 인생 사랑할 때까지
찬란한 유산
소문난 칠공주
장밋빛 인생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파일럿 딸부잣집 마지막 전쟁 애정의 조건
<rowcolor=#fff>
55위
56위
57위
59위
미스터Q 사랑을 그대 품안에 선덕여왕
하늘이시여
웃어라 동해야
<rowcolor=#fff>
60위
61위
62위
63위
겨울새 미우나 고우나 왕과 비 장미와 콩나물
<rowcolor=#fff>
64위
65위
66위
67위
수상한 삼형제 너는 내 운명 천국의 계단 신고합니다
<rowcolor=#fff>
68위
70위
71위
72위
가족끼리 왜 이래
사랑과 성공
이 여자가 사는 법 장희빈 엄마가 뿔났다
<rowcolor=#fff>
73위
74위
77위
79위
코리아게이트 가을동화
예감
해를 품은 달
그 여자네 집
전원일기
가을 여자
<rowcolor=#fff>
80위
81위
83위
84위
엄마야 누나야 약속
좋은걸 어떡해
명랑소녀 성공기 꿈의 궁전
<rowcolor=#fff>
85위
86위
87위
89위
사랑해 당신을 산다는 것은 발리에서 생긴 일
해피투게더
풀하우스
<rowcolor=#fff>
90위
93위
94위
95위
굳세어라 금순아
억새 바람
자이언트
모래 위의 욕망 종합병원 제3공화국
전설의 고향 1996
<rowcolor=#fff>
97위
98위
99위
100위
날마다 행복해 우리들의 천국 일출봉
{{{-2 {{{#!folding
[통합시청률] 기준 50위
}}}}}}}}}

{{{#!wiki style="color:#FFF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1991~1995
여자 마흔 다섯
(1991~1992)
분례기
(1992)
작은 도시
(1992)
해빙기의 아침
(1992)
장미정원
(1992)
물 위를 걷는 여자
(1992)
모닥불에 바친다
(1992)
재회
(1992~1993)
우리들 뜨거운 노래
(1993)
세상은 내게
(1993)
사랑과 우정
(1993)
테마 시리즈
(1993)
머나먼 쏭바강
(1993~1994)
세 남자 세 여자
(1994)
영웅일기
(1994)
여태 뭘 했수
(1994~1995)
10시 드라마
(1992~1995)
금잔화
(1992)
비련초
(1992)
관촌 수필
(1992~1993)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1993)
결혼
(1993~1994)
도깨비가 간다
(1994)
작별
(1994)
파일:모래시계 로고.png
(1995)
장희빈
(1995)
고백
(1995)
야망의 불꽃
(1995~1996)
}}}}}}}}}}}} ||

<colbgcolor=#1b5e4c><colcolor=#d4b13b> SBS 대하사극
장희빈
(1995)
파일:1995 장희빈.jpg
장르 대하사극
방송 시간 매주 월 · 화 / 오후 9:50 ~
→ 오후 8:50 ~[1]
→ 오후 9:50
방송 횟수 63부작
제작 SBS
채널
제작진 <colbgcolor=#235b47><colcolor=#d4b13b> 연출 이종수
극본 임충
출연 정선경, 임호, 김원희
링크 파일:SBS 로고(1994-2000).svg / 유튜브 요약본

1. 개요2. 등장인물3. 사실과 다른 점4. 여담

[Clearfix]

1. 개요



1995년 2월 20일부터 1995년 9월 26일까지 매주 월요일, 화요일 밤 9시 50분[2]마다 SBS에서 방송된 대하사극으로, SBS 개국 이후 최초의 정통 사극[3]이었으며, SBS 역사상 최초로 지역민방 네트워크를 통해 전국으로 방영된 사극이다.[4] 해설은 성우 박윤아.

당시 이영애, 신은경, 강수연 등이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 모두 불발되면서[5] 방송이 늦어져 모래시계가 대타(!!!)로 먼저 방송되었다. 이영애는 이 드라마를 고사하고 동시간대에 KBS2에서 방영하는 서궁에 출연한다.

이전의 장희빈과는 달리 파격적으로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아닌 거의 신인급이었던 정선경, 김원희, 임호 등이 캐스팅되었던 드라마. 대중적으론 정선경의 장희빈이 가장 훌륭하게 기억에 남게 되었으며 그 때까지 영화 데뷔작에서의 노출 이미지가 따라다니던 정선경을 배우로 인정받도록 만들었다. 출중한 연기력 덕분에 방영된지 20년이 넘어도 역대 최고의 장희빈 연기부분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작품으로 동년도 SBS 연기대상 신인상을 받았다.

2. 등장인물

주연 배우들은 제외하고는 상당 부분 7년 후 드라마인 KBS판 장희빈과 겹친다.

3. 사실과 다른 점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복식 재현은 아직 엉망이었다. 그런데 이 드라마에서 특히 눈에 띄는 재현 오류왕비의 당의에만 붙일 수 있었던 용보를 빈들의 당의에도 붙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희빈 장씨숙빈 최씨 모두 빈으로 승봉된 이후부터는 왕비 당의를 입고 나온다.

그래서 이 드라마를 보면 왕비와 빈을 구별하기가 어려운데, 용비녀를 한 사람이 중전이다. 장희빈도 빈에서 중궁으로 승봉되었을 때는 용비녀를 하고 있었지만 빈으로 강등되고 나서 용비녀가 없어졌다.

그리고 가체를 안올리고 다닌다는 점도 들수 있다. 요즘 사극도 마찬가지지만 첩지머리를 하고 다닐때는 당의를 탈의한 상태여야 하고 당의를 착용할 때에는 족두리나 화관을 같이 착용해야 한다.

나레이션 상에서도 실록보다는 인현왕후전을 인용한듯한 설명이 많이 등장한다.

특이한 점으로는 대례를 하는 장면에서 중전이 대수머리를 하지 않고 가체로 만들어진 떠구지 머리(큰머리)를 하고 다닌다. 상궁들은 오동나무로 만들어진 큰머리를 하고 다니지만.. 오동나무로 큰머리를 사용한 것은 가체금지령 이후에나 사용되었는지라 이것도 재현 오류.

4. 여담


[1] 4월 17일부터 7월 3일까지.[2] 4월 17일부터 7월 3일까지는 8시 50분에 방영하였다.[3] 물론 개국 초창기에 일일사극으로 〈유심초〉를 방영했으나, 실존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현재의 퓨전사극 스타일의 드라마였다. 그리고 장희빈 바로 직전에 방송된 〈모래시계〉도 현대사를 다루기는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옛날 사극이라고 할 수는 없다.[4] 본격적인 전국방송은 1995년 5월 16일 25회~26회 연속 방송분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날 방송한 25회 도입부에 그동안의 줄거리를 모아 방송했다. 다만 이에 앞서서 지역민방의 시험방송이 시작된지 3일 후인 1995년 4월 3일 방송분부터 사실상 전국방송을 탔다. 당시 지역민방의 시험방송 대부분이 SBS 프로그램을 그대로 릴레이한 것이었으니...[5] 그 뒤 강수연은 2001년이 되어서야 자사의 사극 여인천하정난정 역으로 캐스팅된다.[6] 20대에 숙종역할을 한 몇 안 되는 배우다. 임호와 유아인을 제외하면 숙종 역할은 대부분 그나마 젊으면 30대 배우가 심하게는 4, 50대 배우가 맡기도 했다. 같은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대박만 해도 최민수가 숙종 역을 맡았을 당시 나이는 이미 50대였고, 심지어 해치에서는 이미 60대에 접어들었던 김갑수가 숙종 역할을 맡았다. 다만 대박이나 해치 같은 경우는 장희빈과의 로맨스 당시의 젊은 숙종이 아니라 말년의 숙종을 연기했기에 50대 이상의 배우들을 캐스팅하는 것이 적절했다.[7] 각본가 임충이 아버지라서 여러모로 말이 있었으나 연기력으로 논란을 잠재웠다.[8] 현재 예능과 진행에만 전념하는 그 김원희 맞다. 서울의 달에서의 연기와 현재의 왈가닥스러운 이미지와는 180도 다른, 매우 청순한 이미지이다. 이 당시 김원희는 배우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9] 드라마상 재현 오류로 장옥정이 숙원으로 임명되고 출산중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온다. 실제로는 인경왕후 사후에 장옥정이 숙원이 되었고, 인경왕후는 천연두로 사망했다. 드라마상에서는 인경왕후와 장숙원의 기싸움이 묘사되었다.[10] 같은 시기를 다룬 드라마 동이에서는 오태석 역할을 맡았다.[11] 작품으로는 매천야록, 가족, 노다지, 은하수를 아시나요, 모래위의 욕망 등.[12] 이것도 재현 오류다. 실제로 장희빈이 숙원이 된 것은 인경왕후, 명성왕후 사후 인현왕후에 의해 환궁했을때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