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호성(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호성(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호성(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이호성(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호성(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호성(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호성의 20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이호성/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호성/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호성/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호성의 2025 시즌: }}}[[이호성/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호성/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호성/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transparent> | 삼성 라이온즈 2026 시즌 투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 이호성 · 3 최원태 · 4 육선엽 · 11 최지광 · 15 이상민 · 17 김대우 · 18 원태인 · 19 양현 · 26 이재익 · 28 이승민 · 29 백정현 · 37 최하늘 · 41 권현우 · 42 양창섭 · 44 김대호 · 48 김무신 · 49 정민성 · 51 최충연 · 54 최성훈 · 55 배찬승 · 57 이승현좌 · 59 이재희 · 60 가라비토 · 61 황동재 · 62 김재윤 · 65 홍원표 · 75 후라도 · 100 김시온 · 101 박주혁 · 108 허윤동 · 109 최예한 · 112 홍준영 · 113 박준용 · 114 천겸 · 115 진희성 · 119 김유현 · 120 김백산 · 121 신윤호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 128 우승완 · 140 신정환 · # 이호범 · # 김상호 · # 장찬희 · # 이서준 · # 박용재 · # 정재훈 · # 한수동 · # 황정현 · # 박주영 · # 석예헌 · # 어윤성 | ||
| 최종 편집: 2025년 11월 3일 |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1군 엔트리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응원단 |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번 | ||||
| 이재익 (2024) | → | 이호성 (2025~) | → | 현역 |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No.53 | ||
| <colbgcolor=#074ca1><colcolor=white> 삼성 라이온즈 No.1 | ||
| 이호성 Lee Ho-Seong | ||
| 출생 | 2004년 8월 14일 ([age(2004-08-14)]세) | |
| 경기도 부천시 | ||
| 국적 | | |
| 학력 | 도원초(부천소사리틀) - 동인천중[1] - 인천고 | |
| 신체 | 186cm, 92kg[2] | |
| 포지션 | 중간 계투[3] | |
| 투타 | 우투우타 | |
| 프로입단 | 2023년 1라운드 (전체 8번, 삼성) | |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2023~) | |
| 연봉 | 2025 / 4,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 소속사 | 어썸스포츠 | |
| 등장곡 | TULA - 〈잔혹한 천사의 테제 (Evangelion)〉[4] |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가족 | |
| <colbgcolor=#074ca1><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어머니 | |
| 형제자매 | 형, 여동생 | |
| 에이전트 | KBG | |
| MBTI | INTP[5] | |
| |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 이호성의 선수 경력 | ||
| 통합 선수 경력: 이호성/선수 경력 | ||
| |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아마추어 시절 | ||
3. 플레이 스타일
150km/h 언저리의 포심과 140km/h 언저리의 커터성 하드 슬라이더를 주로 구사하는 우완 정통파 강속구 투수. 포심과 슬라이더의 구사 비율이 각각 56%, 30%를 상회하는, 사실상 포심-슬라이더 투피치에 간간히 커브와 체인지업을 섞어 타자를 상대하는데, 강력한 구위를 기반으로 공격적인 피칭을 하며 타자들을 압도한다.| |
| 151km/h 포심 패스트볼 |
평균 148km/h, 최고 153km/h까지 나오는 포심 패스트볼을 던진다. 비슷한 시기 타 팀의 마무리 투수로 자리잡은 1년 후배 김택연, 동기 김서현, 1년 선배 박영현에 비해 구속은 느린 편이지만, 이호성의 최대 강점은 포심의 구속 대비 구위로, 분당 2,600회 이상을 기록하는 압도적인 회전수와 수직에 가까운 회전축을 바탕으로 55cm 정도의 엄청난 수직 무브먼트를 보인다. 프로 입단 1년차와 2년차에는 선발로서 많은 이닝을 소화하기 위한 완급조절과 삼성 불펜의 암흑기를 불러온 정현욱의 영향으로 평균 140km/h 정도에 회전수도 2,300대에 형성되는 밋밋한 구종이었으나[6] 불펜으로 전향한 2025년에는 8km 가량 증속함과 더불어 체력 문제가 해결되며 강력한 구위의 패스트볼을 뿌리게 됐다.[7] 삼성 내에서 비슷하게 좋은 패스트볼 구위를 가졌다고 평가받는 이재희, 배찬승, 김무신이 제구가 날리는 날에는 직구를 존 안에 넣는 것도 힘들어하며 볼넷을 남발하는 데 반해 이호성은 크게 빠지는 공이나 몰리는 공이 없는 괜찮은 패스트볼 제구력을 가지고 있다.
| |
| 140km/h 슬라이더 |
137~141km/h 사이에서 형성되는 커터성 하드 슬라이더. 패스트볼과 비슷하게 날아가다가 홈플레이트 앞에서 살짝 가라앉으며 헛스윙과 땅볼을 유도하는 이호성의 주무기이다. 2023년까지 결정구로 써먹던 체인지업이 본격적인 선발 로테이션을 돌기 시작한 2024년 제대로 공략당하자 슬라이더의 구사율을 조금씩 높여 현재는 2구종의 위치에까지 올라왔다. 슬라이더 역시 2025년 들어 7km/h가량 증속이 이뤄지며 높은 패스트볼과 거기서 살짝 가라앉는 슬라이더의 조합으로 많은 탈삼진을 만들어낸다.
다만 슬라이더가 손에서 빠지며 터무니없이 높거나, 존을 벗어나는 경우가 꽤 자주 보인다.[8][9][10] 이렇게 슬라이더의 제구가 흔들리다 보니 레퍼토리도 단순해진다. 카운트를 잡기 위한 패스트볼 투구 -> 노리고 있던 타자에게 장타 허용 및 실점은 이제 익숙할 정도. 커맨드가 좋을 때에는 패스트볼과 조합해 낮은 피안타율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컨트롤이 안 되면 자발적 볼넷 허용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는, 양날의 검과 같은 구종. 후반기 들어 슬라이더가 완전히 망가지며, 부진의 원인이 되었다.[11]
| |
| 122km/h 커브 |
고교 시절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던 커브도 간간히 구사한다. 비슷하게 평가가 좋았던 체인지업이 2025년부터 사실상 봉인된 것에 비해 커브는 매년 꾸준히 10%대의 구사율을 보이며 제3 구종 역할을 착실히 하고 있다. 초구에 카운트를 잡는데 주로 사용하고, 가끔 땅에 꽂히는 12 to 6 커브로 헛스윙 삼진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다만 체력은 여전히 의구심이 남는데, 불펜으로 전향한 첫 시즌인 2025 시즌, 여름이 되기가 무섭게 구속과 구위가 모두 떨어지며 부진했기 때문이다. 또한 제구의 경우 일단 어느 정도는 되는 모습을 보여주고는 하나 여전히 안 되는 날은 아예 안 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12][13]
종합하면, 과거 전성기 안지만과 유사한 피칭 디자인을 가진, 준수한 구위의 중간 계투 투수.[14] 포텐셜만 놓고 보면 오승환과 김재윤을 계승할 마무리 투수 재목. 다만 커터와의 분리가 필요한 슬라이더, 기복있는 피칭 멘탈리티, 건강 문제라는 숙제를 안고 있기도 하다.
4. 여담
- 별명은 호야. 데니 레예스가 지어준 별명이고 그 후, 원태인이 호야라고 부르는 게 삼튜브에 나왔다. #
또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면서 야구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삼호성이라는 별명이 만들어졌다. 숫자 '이'의 다음이 '삼'이고, 팀명이 삼성이라서 그런 듯하지만 사실 성과 팀명보다는 해태와 KIA 타이거즈에서 뛴 경력이 있는 동명이인 이호성과의 구분을 위함이 크다. 이삼성으로 개명하라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이다. 후술하지만 그 동명이인과 다르게 착하고 성격이 좋지만, 2024 시즌에 한때 못하고 부진하며 안 좋은 별명이 만들어졌으나 2025 시즌에 들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인천 출신임에도 디시인사이드 삼성 라이온즈 갤러리에서는 거의 칩랑께로 불린다.
야구계에 이름이 같은 이호성은 2명이 더 있다. 목포 출신에 성균관대를 졸업하고 청보 핀토스에 2차 4라운드 지명을 받았으나 끝내 입단하지 않은 1964년생 외야수 이호성, 두산 - NC에서 활동했던 1986년생 내야수 이호성(現 심판)이 있다.
- 드래프트 당시 현장에 있었는데 인천고 동기인 배인혁이 11라운드에 지명받자 환호하는 모습이 화면에 잡혔다.
- 성격이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동창들의 증언에 따르면 바른 인성을 가지고 있으며 성실하고 좋은 선수라고 한다. 프로에 와서도 성실함을 유지 중이라는 평가. 워크에식이 최상급인데다 2023년 4월 6일에는 야수들이 들어오는 것을 기다리는 모습까지 보여줄 정도로 착한 인물임이 증명되었다. 성격은 백정현과 비슷한 내향인 타입.
- 두산 베어스의 김택연과 친한데, 이 둘은 인천고 1년 선후배 사이이며, 현재 각 팀의 마무리 투수를 맡고 있다. 이호성이 고등학생 3학년 시절, 후배인 김택연을 차기 인천고 에이스라고 칭찬해주기도 하며 김택연이 이호성을 상당히 잘 따르는 모습이 있다.
- 삼성 라이온즈에서 구자욱 다음으로 이재현, 원태인과 함께 잘생긴 선수 중 하나로 평가된다. 엄청난 소두에 키도 186cm로 일반인보다 많이 커서 비율도 매우 좋으며 외모도 대체로 상당한 훈남으로 여겨진다.
- 삼성 루키즈데이에 시구자로 나서 130km대의 직구를 던졌다. 스트라이크 존에 완벽히 꽂혔고, 관중들도 환호성을 보냈다.
- 친형은 어렸을 때 배구를 했는데, 무릎부상으로 인해 그만두었다. 형이 동생에게 잘 맞추면서 지냈고 희생을 했다고 하는 걸 보면 형제간의 우애가 좋은 듯하다.
- 부천소사리틀 야구단에 있을 때 별명이 노잼 돌부처였다.# 아마 침착하고 조용한 성격 때문인 듯.
- 아마추어 롤모델은 오승환이었으며 현재 롤모델은 원태인이고 상대하고 싶은 타자는 이정후다. 롤모델인 원태인처럼 선발 로테이션에 드는 건 실패했으나, 오승환을 이은 순혈 마무리로 기대받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
- 덕아웃에서 염주를 잡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 영어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다.
- 4인의 저주를 알고 있다.
- 2024 시즌까지는 볼캡을 썼으나 2025 시즌부터 스냅백을 착용한다.[19] 이 모습이 안지만을 연상시킨다는 의견이 많다. 팬들은 안지만처럼 리그 최고의 불펜 투수가 되길 바라고 있다.
- 2025년 5월에 마무리 투수 보직을 맡기 시작하면서 팀 승리 후 포수와 함께 거수경례를 하는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거수경례 세리머니 탄생 비하인드
- 2025 K-BASEBALL SERIES 당시 보정된 사진이 그 분과 묘하게 닮아서 화제가 됐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1986년 |
| 장태수 | 구영석(1) | 김운영(1) | 미지명 | 강대호(1) | |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1991년 | |
| 이현택 | 고장량(1) | 박용준 | 김우현 | 윤용하 | |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
| 동봉철 | 박충식 | 김한수 | 김영진 | 박태순 |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
| 변대수 | 김수관 | 권오준 | 김주찬 | 김덕윤 |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 조동찬 | 강명구 | 윤성환 | 오승환 | 차우찬 | |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
| 백정현 | 최원제 | 박민규 | 임진우 | 심창민 | |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 이현동 | 정현 | 안규현 | 장필준 | 김승현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 최지광 | 양창섭 | 이학주 | 허윤동 | 이재희 | |
| 2022년 | |||||
| 김영웅 | 이호성 | 육선엽 | 배찬승 | 이호범 | |
|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 2023 KBO 신인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이호성의 이전 등번호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5번 | ||||
| 권정웅 (2022~2022.8.29.) | → | 이호성 (2023~2024) | → | 배찬승 (2025~) | |
[1] 소래중에서 전학했다. 동인천중도 야구부가 있긴 하지만 소래중 기록만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인천고 진학을 위해 동인천중으로 전학 온 듯하다. 인천고는 전국단위 모집을 하는 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타 지역 중학교 졸업생은 입학이 불가능하다.[2] https://youtu.be/QKx1k5LOfSI?feature=shared&t=847[3] 기존 마무리 투수였던 김재윤의 심각한 부진에 따라 2025년 5월 9일부로 마무리 투수로 낙점받았다. 하지만 2025년 8월 12일 부상 복귀 이후, 다시 중간 계투로 뛰게 되었다.[4] 번안곡 사용[5] 출처 51:10[6] 스탯티즈 기준 구종가치가 -7.4로 안 던지는 것만 못한 수준이었다.[7] 다만 6월과 7월 들어 잦은 등판과 멀티이닝, 대구의 살인적인 더위의 영향인지 구속이 줄고 피홈런이 늘어난 모습을 보인다.[8] 피칭 메커니즘을 고려하면 당연한 것이, 회내형 투수들은 원래부터 신체가 옆으로 틀어져 팔이 나오다보니 슬라이더 속구 분리가 쉽지 않다. 속구가 기본적으로 내추럴 커터의 모습을 띄기 때문. 이게 마냥 나쁜 것 만은 아닌 게, 공의 횡적 움직임과 꺾임에 있어서는 명확한 강점이 있다. 대표적인 회내형 투수 윤석민은 이러한 이점을 살려 '고속 슬라이더'로 만들어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게 가능했다. 또 다른 회내형 투수 김광현은 본인을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도록 도운 공이 슬라이더였고, 진출 후에는 내추럴 커터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기반의 2지선다 피네스 피칭으로 리그 내에서 쏠쏠한 활약을 펼쳤다. 덕분에 세인트루이스 포스트 시즌 1선발로 나서는 등 선수 커리어 내내 슬라이더를 잘 활용하고 있다.[9] 이호성이 이들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김광현은 이호성에 비해 높은 암슬롯에서 나오는 패스트볼 무브먼트가 더 크며 슬라이더의 구질 및 꺾임 정도를 자유자재로 던질 수 있다는 점. 윤석민은 타고난 손감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화구의 횡적 움직임을 줄 수 있었고 덕분에 작대기성 패스트볼조차 삼진 잡는 위닝샷으로 과감히 쓸 수 있었다는 점이다.[10] 미국에서는 보통 이런 문제를 겪는 회내형 투수의 경우 종으로 떨어지는 스플리터 또는 싱커를 익혀 피칭 디자인을 가져가는 편이다. 전자인 스플리터를 익힐 경우 안지만 또는 다나카 마사히로의 길을 가는 것이고, 후자인 싱커를 익힐 경우 박희수 또는 조시 헤이더의 길을 가는 셈.[11] 속구처럼 날아오다 살짝 꺾이는 슬라이더 특성상 맞은 타구들은 대부분 구질이 약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호성의 슬라이더는 맞았을 때 대부분 강한 회전이 들어간 빠른 타구로 이어지며 그 결과 불규칙 바운드 등 수비 난이도를 급격히 올리는 원인이 된다. 수비진의 도움을 필요로하는 땅볼 유도 투수가 역설적으로 팀 수비진을 괴롭혀 실책을 유도하는 셈. 이는 커터와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 놓인 투수들의 전형적인 현상이지만 이호성은 속구의 구질이 깔끔하기에 훨씬 더 부각되는 편이다. 비슷한 사례로 KIA 타이거즈의 제임스 네일이 있으나, 네일은 빠른 투심으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고 제구력이 훨씬 좋은 편이며 애초에 그의 스위퍼를 컨택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12] 2025년 7월 27일 kt전이 그 예시다. 보크를 주고는 갑자기 볼질을 시전하더니 밀어내기를 하는 등 답이 없는 제구를 선보였다.[13] 현재 문제가 되는 피칭 멘탈리티도 결국은 체력의 문제로 귀결된다. 위기 상황에서의 압박감을 극복하는 본인만의 노하우가 필요해 보이며, 만약 이게 극복되지 않는다면 잠재력을 터뜨리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14] 당연히 아직은 갈 길이 멀다. 안지만은 패스트볼도 패스트볼이지만, 변화구의 각을 조절할 수 있었고 그렇게 조절한 각의 공을 스트라이크 볼 나누어 던질 수 있는 커맨드 능력이 있었기 때문. 게다가 '칠 테면 쳐봐라'는 식의 베짱투구가 가능했던 멘탈리티, 3연투 이상을 그렇게 돌았음에도 뼛조각 몇 개 말고는 건강했던 인대/어깨 유연성 등을 가진 육각형 불펜 투수였다.[15] 현재 17번은 김대우가 달고 있다.[16] 한현희, 장현식, 최승용, 김진욱, 이병헌, 이호성이 참여하여 이호성이 1위, 최승용이 2위를 하였다.[17] 14분 02초[18] 야구를 시작하게 된 이유는 여러가진데, 공부보다 운동을 좋아했고, 활동성 있는 걸 좋아하고, 야구부 친구하고 체육시간에 캐치볼 하다 잘한다고 테스트를 보러 오라고 해서 테스트를 보러 갔다가 시작했다.[19] 구단에서 제작해준 스냅백은 아니고 그냥 볼캡을 손으로 핀 것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