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7:18:36

은진 송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조선 6대 국반{{{#!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8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은진 송씨 종문.svg
恩津 宋氏
은진 송씨
}}}
관향 <colbgcolor=#fff,#1f2023>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비조 송미자계(宋微子啓)[1]
도시조 송주은(宋柱殷)
시조 송대원(宋大原)
중시조 송명의(宋明誼)
집성촌 대구광역시 동구
대전광역시 대덕구·동구·중구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경기도 여주시·화성시
충청북도 보은군
충청남도 금산군·논산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여수시·진도군·신안군
경상북도 경산시·김천시·포항시
경상남도 거제시·김해시·남해군·사천시
경상남도 진주시·창원시·함양군·합천군
강원도 회양군
평안남도 강서군·용강군·평원군
함경남도 북청군·안변군·영흥군
인구 226,050명(2015년)
홈페이지 은진송씨 대종회

1. 개요2. 역사3. 분파4. 집성촌5. 항렬6. 인명7. 기타

1. 개요

현재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에 해당하는 은진(恩津)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2. 역사

은진(恩津)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덕은(德恩)과 시진(市津) 두 현의 합명인데, 덕은현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을 신라 경덕왕이 덕은으로 고치고 고려 초에 덕은으로 개칭였다.

시진현(市津縣)은 본래 백제의 가지내현(加知奈縣)인데 경덕왕이 시진으로 고치고 덕은군의 영현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덕은과 시진을 모두 공주에 편입시켰으며, 1397년(태조 6)에 덕은(德恩)과 시진(市津)을 합쳐 덕은으로 하고 감무를 두었다.

세종 때 은진(恩津)으로 개명하고 1895년(고종 32) 군이 되었다가 1913년 논산군(현 논산시)에 병합하여 은진면으로 남아 있다.

은진 송씨는 족보에 의하면 당나라에서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낸 송주은(宋柱恩)을 도시조로 하고 있다.
고려시대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대에 이르러서는 송대원을 시조로 하여 이때부터는 본관(本貫)을 은진(恩津)으로 하는 은진 송씨의 세계를 이어오게 된다.

송대원의 증손 송명의(宋明誼)가 1362년 공민왕때 문과에 급제하고 사헌부 집단(司憲府執端)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충절을 지키려 낙향하여 처가인 회덕에 자리 잡고 정착했다.

송명의 손자 송유(宋愉)는 나이 12세에 과거 급제하여 부사정(副司正)으로 임관했는데 이 시기에 자리잡은 지역이 오늘날 대전광역시 송촌동이다.

송유(宋愉)의 두 아들 송계사(宋繼祀)와 송계중(宋繼中) 대에서 송계중이 사직공파로 분파하고, 송계사의 두 아들 송요년(宋遙年)과 송순년(宋順年)이 각각 목사공파와 정랑공파로 분파한다.

이 계파들에서 다시 수십 갈래 계파로 나뉘어져 많은 명사와 인물을 배출하였다.

은진 송씨는 문묘에 종사된 대현(大賢)과 종묘 배향공신(配享功臣)을 각각 배출한 국반(國班)이면서 충청도 지역을 대표하는 양반 가문 중 한 곳이다.[2]


3. 분파

은진송씨 대종중에서 규정한 분파는 39개 파(派)로 다음과 같다.#, 참조

4. 집성촌[41]

은진 송씨는 충청북도충청남도 동남부, 대전광역시, 경상도, 전라북도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 위주로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다.

4.1. 경기

4.2. 충청

4.3. 전라

4.4. 대구·경북

4.5. 부산·울산·경남

4.6. 북한

5. 항렬

은진 송씨는 대체로 대동항렬을 따르지만 같은 은진 송씨 내에서도 종파마다 조금씩 항렬이 다를 수 있다.
19세 일(一) 환(煥)
20세 인(仁) 규(圭)
21세 노(老) 흠(欽)
22세 용(用) 수(洙)
23세 석(錫) 병(秉)
24세 영(永) 헌(憲)
25세 인(寅) 재(在)
26세 기(基) 호(鎬)
27세 치(致) 영(永)
28세 선(善) 근(根)
29세 영(榮) 성(性)
30세 중(重) 균(均)

6. 인명

7. 기타


[1] 微는 제후로 분봉받은 영토의 이름이며 子는 자작 작위고 계가 이름이다. 지금은 그런 개념이 없지만 당시 귀족들은 성과 씨가 각각 있었는데 송미자계의 성은 子, 씨가 宋이다. 성은 혈연을 씨는 가문을 나타낸다.[2] 문묘에 종사되었던 송준길도 종묘까지 배향되었다면 은진 송씨는 국반에 오른 여섯 가문들 중 문묘와 종묘에 전부 오른 인물을 유일하게 두 명이나 배출할 수도 있었다. 문묘 종사는 학자와 선비로서 최고의 영예이며, 종묘 배향은 신하로서 최고의 영예이다.[3] #[4] #[5] 1482년(성종 13) 정3품 상주목사(尙州牧使)#, 1486년(성종 17) 홍주목사(洪州牧使)를 지냈다.#[6] #[7] 사실 진사공(進士公)이 아니라 생원공(生員公)이라고 해야 옳다. 송세감은 1513년(중종 8) 식년시 생원시에 3등 6위로 급제하였다.#[8] 종3품 첨절제사(僉節制使)를 지냈다.#[9] 종4품 청풍군수(淸風郡守)를 지냈다.#[10] 종4품 자산군수(慈山郡守)를 지냈다.#[11] 종5품 판관(判官)을 지냈다.#[12] #[13] 종6품 삼가현감(三嘉縣監)을 지냈다.#[14] #[15] 종4품 정선군수(旌善郡守)를 지냈다.#[16] 호가 송월재(松月齋)이다.#[17] 호가 취옹당(醉翁堂)이다.#[18] #[19] 1668년(현종 9) 종6품 고창현감(高敞縣監)에 제수되었다.#[20] 호가 안소당(安素堂)이다.[21] 호가 사우당(四友堂), 시호가 효정(孝貞)이다.[22] 호가 송창(松窓)이다.#[23] 송준길의 호가 동춘당(同春堂), 시호가 문정(文正)이다.[24] 1683년(숙종 9) 종3품 연안도호부사(延安都護府使)에 제수되었다.#[25] 1667년(현종 8) 종9품 선공감가감역관(繕工監假監役官)에 제수되었다.#[26] 호가 제월당(霽月堂), 시호가 문희(文僖)이다.[27] 정5품 예조정랑(禮曹正郞)을 지냈다.[28] 호가 잠부(潛夫)이다.[29] 호가 추파(楸坡)이다.[30] 호가 규암(圭菴), 시호가 문충(文忠)이다.[31] 호가 삼기당(三杞堂)이다.[32] 종5품 우봉현령(牛峰縣令)을 지낸 것으로 추정된다.#[33] 송시열의 사촌 형으로, 호가 야은(野隱), 시호가 충현(忠顯)이다.[34] 호가 빙호(氷壺)이다.[35] 호가 부훤당(負暄堂)이다.[36] 송시열의 친형으로, 1667년(현종 8) 종4품 진산군수(珍山郡守)에 제수되었다.#[37] 호가 우암(尤庵), 시호가 문정(文正)이다.[38] 송시열의 첫째 동생으로, 1671년(현종 12) 종3품 장성도호부사(長城都護府使)에 제수되었다.#[39] 송시열의 둘째 동생으로#, 1681년(숙종 7) 종3품 무주도호부사(茂朱都護府使)에 제수되었다.#[40] 호가 모은(牟隱)이다.#[41] 출처 : 젠쇼 에이스케(善生永助) 저, 최석영(崔錫榮) 해제,『韓國近代民俗·人類學資料大系(한국근대민속·인류학자료대계) 8 - 朝鮮の姓(조선의 성씨)』중 同族集團狀況(동족집단상황) 159쪽~424쪽.[42] 송언석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43] 以北 실향민 및 평안남도 평양시[44] 以北 실향민 및 황해도 재령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