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1bc>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71bc> 오정동 | 구청 오정동 | ||||||||||||
대화동 | 대화동 | ||||||||||||
회덕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와동 | 장동 | }}} | |||||||||
비래동 | 비래동 | ||||||||||||
송촌동 | 송촌동 | ||||||||||||
법1, 2동 | 법동 | ||||||||||||
중리동 | 중리동 | ||||||||||||
신탄진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갈전동 | 미호동 | 부수동 | 삼정동 | ||||||||
신탄진동 | 용호동 | 이현동 | 황호동 | }}} | |||||||||
석봉동 | 석봉동 | ||||||||||||
덕암동 | 덕암동 | 상서동 | 평촌동 | ||||||||||
목상동 | 목상동 | 문평동 | 신일동 |
대덕구의 법정동 송촌동 宋村洞 | Songchon-dong | |
<colbgcolor=#0071bc><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대덕구 |
행정표준코드 | 3023010700 |
관할 행정동 | 송촌동 |
면적 | 1.94㎢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대덕구의 행정동, 법정동이다.지리적으로 대덕구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비래동, 남쪽으로는 동구 용전동과 가양동, 서쪽은 중리동, 법동, 동구 용전동, 북쪽은 법동과 인접해 있다. 동쪽으로 계족산을 뒤로 하고 서쪽으로 얕은 구릉지대를 따라 동쪽의 넓게 퍼진 들판을 중심으로 주로 논과 밭이 많았던 지역이며 남북으로 길게 자연촌락이 발달하였던 곳이다.
현재는 2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는 경부고속도로 동쪽과, 도시화 지역으로 변모한 경부고속도로 [1]의 서쪽이다.
대덕구는 대전에서 유일하게 지하철이 지나가지 않은 곳이기에 송촌동에서 지하철 타러가기엔 조금의 노력이 필요하다.
심지어 2027년도에 완공될 대전 지하철 2호선 조차 지나가지 않는다. [2] 지하철을 타기 위해선 대전 버스 311,대전 버스 103,대전 버스 616를 타고 우송대 근처 대동역 아니면 대전역까지 가야한다. [3]
2. 유래
고려 말 조선 초 은진 송씨인 송명의가 회덕 황씨와 결혼하면서 회덕지방에 자리를 잡았는데 나중에 가문이 크게 번성하자 대전광역시 대덕구 중리동을 중심으로 남쪽 회덕 여러 곳에 모여 살았는데 송촌이 가장 큰 동족마을이었다. 여기에서 송촌동이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3. 연혁
1911년 10월 1일 : 대전군 회덕면1983년 2월 15일 : 대전시 동구 회덕2동 편입
1990년 1월 1일 : 회덕2동에서 중리동 분동
1995년 1월 1일 : 대전직할시에서 대전광역시로 개칭
2003년 1월 16일 : 대전광역시 조례 제574호(2003.1.16 공포)로 회덕2동을 송촌동과 비래동으로 분동.
2005년 11월 1일 : 대덕구 조례 제662호, 663호(2005. 9. 29 공포)로 비래동 일부를 송촌동으로, 송촌동 일부를 비래동으로 편입하였음
4. 관할 행정동
4.1. 송촌동
대덕구의 행정동 송촌동 宋村洞 | Songchon-dong | |||
<colbgcolor=#0071bc><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대전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대덕구 | ||
행정표준코드 | 3680047 | ||
관할 법정동 | 송촌동 | ||
하위 행정구역 | 43통 253반 | ||
면적 | 1.94㎢ | ||
인구 | 26,373명[4] | ||
인구밀도 | 13,594.33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대덕구 | |
| 박정현 (초선) | ||
대전광역시의원 | 제3선거구 | |||
| 이용기 (초선) | ||
대덕구의원 | 다 선거구 | |||
| 전석광 (초선) | ||
| 조대웅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동춘당로94번길 11[5] | ||
송촌동 행정복지센터 |
5. 주요 시설
- 동춘당 공원 [6]
- 동춘당 (보물 제209호)
- 동춘선생고택 (국가민속문화재)
- 송용억 가옥 (국가민속문화재)
- 송촌동 먹자골목
6. 교육 시설[7]
7. 주요 기관
- 송촌119안전센터
- 송촌동 우체국
- 송촌동 행정복지센터
- 대전 충남 적십자 혈액원
7.1. 주거
건설사 | 아파트 | 세대수 | 입주 일자 |
보령건설 | 보령아파트 | 99세대 | 1988년 12월 |
서오개발 | 서오아파트 | 320세대 | 1991년 11월 |
흥진건설 | 로얄아파트 | 87세대 | 1995년 11월 |
현대산업개발 | 선비마을 2단지 아파트 | 1146세대 | 1999년 10월 |
금성백조 | 선비마을 3단지 아파트 | 1872세대 | 1999년 11월 |
계룡건설산업 | 선비마을 4단지 아파트 | 1428세대 | 1999년 10월 |
삼정건설 | 선비마을 5단지 아파트 | 1554세대 | 1999년 10월 |
8. 교통
8.1. 버스
8.1.1. 간선
8.1.2. 지선
9. 사건사고
10. 출신 인물
11. 여담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과 인접해 있는 쪽에서는 동구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래서 많이 헷갈리기도. 실제로 송촌동, 비래동은 왠지 동구 쪽으로 좀 튀어나왔다.네이버 웹툰 살인자ㅇ난감의 메인 빌런인 송촌의 이름이 이 동네에서 따왔다.[10]
송촌고등학교 맞은편에 24시 송촌 셀프 세차장이 있는데, 그 세차장 전 주인이 배우 송중기 부모님이었다는 얘기도 있었다. 다만, '태양의 후예' 드라마 방송 이후 세차장 주인이 바뀐상태라고 한다.
[1] 선비마을 5단지 아파트와 비래동 버스정류정 사이에 대전IC가 있어 이 근처에 사는 사람들은 경부고속도로에 진입하기 쉽다.[2] 사실 그럴만한 이유가 대덕구가 대전에서 지형이 높은 지역이다. 처음으로 대전 지하철 2호선 예상 노선이 나왔을때 대덕구장이 건의 했으나 시장이 가볍게 무시했다. 하지만 솔직히 송촌동을 기준으로 대전 지하철 1호선을 지나가는 버스들이 많기에 불만을 재기한 사람들의 반발들이 줄어든 것 같다. 심지어 20~30분 정도 거리에 타지역으로 이동 할 수 있는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이 있기에 버스 교통편은 그나마 좋은 편이다. 만약에 지하로 지나간다고 가정하고 동춘당 사이에 역을 세우면 지하로 내려가는 구간은 거의 서울의 당산역정도 깊게 들어갈텐데 대전광역시에는 그만한 예산도 없다.[3] 바로 옆 동네인 중리동은 지나간다! 완공 이후 대전 버스 617을 타면 바로 대전 지하철 2호선을 탈 수 있을 것이다. 역세권이 될 지역이라 몇몇 아파트는 재개발되거나 새로운 아파트가 들어온다.[4]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5] 송촌동 460-6[6] 동춘당이 있는 공원, 2013년도에 이 공원을 완전히 바꾸려고 약 40억을 투자해 1년간 공사를 진행했다. 공사 전보다 보기 깔끔해졌고 동춘당을 송촌동의 주요 문화재로 보여준다. 다만, 생각보다 공간이 많이 줄어들었고 몇몇 시설물은 왜 있는지 의문을 가질 정도로 의미가 없다. 그래서 주민들은 공사 이후 이 공원의 평이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7] 특이하게 송촌동은 초,중,고가 가까이 있어서 송촌초,중,고 순으로 졸업한 사람들이 은근많다. 일명 "트리플 송촌" 이렇게 불리기 싫은 학생들은(송촌중,송촌고는 남녀공학) 고등학교 배정때 대부분 남학생은 명석고,대전고(모두 남학교) 그리고 여학생은 동대전(남녀공학), 충남여고(여학교)에 지원한다.[8] 학교 근처 성당 큰 길에 버스정류장이 있다. 버스정류장 이름은 "송촌고등학교"[9] 단, 송촌동 경계에서만 다닌다.[10] 근데 한자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