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52214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colbgcolor=#522142> 시 | 함흥시 | 원산시 | 흥남시 | |
군 | 함주군 | 정평군 | 영흥군 | 고원군 | |
문천군 | 안변군 | 홍원군 | 북청군 | ||
이원군 | 단천군 | 신흥군 | 장진군 | ||
풍산군 | 삼수군 | 갑산군 | 혜산군 |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함흥시 | }}}}}}}}} |
永興郡 / Yŏnghŭng County
영흥군 永興郡 / Yŏnghŭng County | |
국가 | 대한민국 |
광복 당시 면적 | 2,192㎢ |
광역시도 | 함경남도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1읍 11면 |
시간대 | UTC+9 |
[clearfix]
1. 개요
함경남도에 존재했던 군. 서쪽은 평안남도에 접하며, 동쪽은 동해에 면한다.영흥은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금야군으로 불리며, 1952년 이래 군의 서부지역은 요덕군이 되었다.
2. 역사
조선 왕조 삼대 계국백 朝鮮王朝三大啓國伯 | ||
화령 | 완산 | 안변 |
영흥군 행정구역 변천사 | |||||||||
영흥대도호부 (永興大都護府, 1413)[1] | → | 영흥군 (永興郡, 1895) | → | 금야군 (金野郡, 1977) |
고려시기 명칭은 화주였다. 이후 조휘와 탁청의 반란에 의해 몽골 제국(원나라)으로 넘어가 쌍성총관부의 처소가 설치되는 등 이름이 쌍성으로 불렸으며 공민왕 때 되찾고 화령이 되었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고향. 이성계가 명나라에 조선과 함께 국호로 제안했던 화령이 바로 이곳이다. 조선 왕조가 영원히 흥하라는 의미로 영흥이라고 붙였다고 한다. 이른바 흥왕의 땅(興王之地, 흥왕지지).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 이자춘(추존 환조)의 집으로 알려진 영흥본궁이 위치하고 있기도 하다.
이후 쟁쟁한 도시들이었던 안동, 강릉 등과 함께 대도호부로 지정되면서 지역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1895년에는 23부제의 시행으로 함흥부 영흥군이 되었다.
함흥차사의 유래가 된 박순이 죽었다는 용흥강(영흥강)이 바로 여기에 있다. 때문에 원산만(元山灣)이 영흥만으로도 불리는 것. 북한 치하에서는 아래 사유로 졸지에 금야강, 금야만으로 불리고 있다.
현재 북한 행정구역상의 명칭인 금야는 김일성의 작명이다. 1975년경 김일성이 조선왕조가 흥하라는 영흥이라는 지명의 유래를 듣고 당장 이름을 바꾸라고 지시했던 것. 검은 금이 많이 나고, 너른 들판이 펼쳐져 있다고 해서 금야(金野)군으로 명명되었다. 그래서 통일이 되면 다른 사례들만큼 노골적으로 불온한(?) 명칭은 아니지만, 김일성이 지은 이름이기 때문에 바뀔 가능성이 높다.
넓은 영흥 평야가 펼쳐져 있고, 금야군은 2008년 기준으로 인구 21만명으로 여전히 북한의 군 가운데 많은 인구를 자랑하고 있다. 60년대 남한의 군 인구와 비슷한 수준이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여기에서는 광복 당시의 영흥군 현황에 대해 서술한다.
영흥군은 광복 당시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횡천면, 요덕면, 선흥면의 서부 산악지대를 제외한 나머지 읍면은 대체로 평탄하다.
- 영흥읍(永興邑)
- 관할 리: 남산(南山), 국봉(國峰), 남성암(南星巖), 내동(內洞), 도랑(都浪), 도정(都井), 문흥(文興), 반룡(盤龍), 사현(社峴), 삼사(三思), 상마산(上馬山), 상산(商山), 상태(上泰), 성북(城北), 신남(新南), 신흥(新興), 연동(硯洞), 영풍(永豊), 용남(龍南), 용연(龍淵), 용원(龍源), 운평(雲坪), 중마산(中馬山), 중면(中面), 중흥(中興), 팔정(八井), 필석(筆石), 하국사(下國寺), 하태(下泰), 형탄(荊灘)
- 원래 '홍인면(洪仁面)'과 '복흥면(福興面)'의 2개 면이었다가 1935년 홍인면이 영흥면으로 개칭되고, 1942년 복흥면을 통합해 영흥읍으로 승격되었다.
- 평라선과 금야선이 이곳에서 분기하며 관내에 금야역(구 영흥역)이 있다.
-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비단으로 유명하였는데 이곳에서 난 비단은 '영흥주(永興紬)'라 하여 품질이 뛰어난 특산물이었다.
- 고령면(高寧面)
- 관할 리: 안동(安東), 가진(加進), 명장(明場), 모로(慕老), 무학(武鶴), 백안(白安), 비동(枇洞), 삼봉(三峯), 신성(新城), 신흥(新興), 연동(蓮洞), 연풍(淵豊), 이동(梨洞), 조산(藻山), 중흥(中興), 청학(靑鶴), 청흥(淸興), 풍동(豊東)
- 영흥군의 북부 해안지역. 본래 영흥군 영인면(寧仁面)으로 1912년 호도면이 분리되고 남은 지역을 고령면으로 개창하였다.
- 덕흥면(德興面)
- 관할 리: 신풍(新豊), 광성(廣城), 구상(龜上), 구평(龜平), 구하(龜下), 금파원(金坡院), 내동(內洞), 농암(籠巖), 덕고개(德古介), 동한봉(東鷳鳳), 백남(白南), 백북(白北), 부남(富南), 신창(新昌), 신흥(新興), 쌍흥(雙興), 용천(龍川), 원흥(元興), 작동(鵲洞), 지인(智仁), 직동(直東), 직서(直西), 청남(淸南), 청동(淸洞), 청북(淸北), 풍성(豊城), 풍양(豊陽), 풍전(豊田), 한봉(鷳鳳), 화산(禾山)
- 선흥면(宣興面)
- 관할 리: 성(城), 검산(劍山), 남흥(南興), 문상(文上), 문흥(文興), 서상(西上), 신흥(新興), 연상(囦上), 완문(完文), 용남(龍南), 용반(龍盤), 용상(龍上), 용신(龍神), 용암(龍巖), 용연(龍淵), 용운(龍雲), 인풍(仁豊), 자산(慈山), 증하(曾下), 태명(太命), 평천(平川), 향산(香山), 향봉(香峰)
- 요덕·횡천면과 함께 군 서부 산악지역에 위치한 면이다. 면 소재지인 성리를 비롯한 용흥강과 용수피천 일대에 있는 좁은 골짜기 지대는 2010년대 금야강(용흥강을 북한에서 부르는 이름) 발전소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 순령면(順寧面)
- 관할 리: 신정(新亭), 갈전(葛田), 경암(鯨巖), 광진(廣津), 능동(陵洞), 대흑석(大黑石), 덕양(德陽), 덕포(德浦), 두산(頭山), 석남(石南), 석북(石北), 성남(聖南), 소라(所羅), 소흑석(小黑石), 송전(松田), 송치(松峙), 쌍화산(雙花山), 용천(龍川), 원천(原川), 유남(柳南), 유북(柳北), 작산(鵲山), 정자(亭子), 주남(州南), 중양(中陽), 태평(太平), 풍남(豊南), 풍동(豊東), 풍양(豊陽), 풍흥(豊興), 화도(禾島), 흥남(興南)
- 평라선 철도가 면의 서부를 지나며 관내에 현흥역이 있다. 또한 지선철도인 금야선이 풍남역에서 시종착한다.
- 소흑석리에 영흥본궁(준원전)이 있었으나 6.25 때 소실되었다.
- 억기면(憶岐面)
- 관할 리: 조양(朝陽), 구만(九灣), 남동(南東), 남서(南西), 남세(南細), 덕상(德上), 덕중(德中), 덕하(德下), 동세(東細), 미양(美陽), 봉양(鳳陽), 북세(北細), 삼기(三岐), 선흥(善興), 소산(昭山), 신성(新城), 신양(新陽), 신흥(新興), 양상(兩上), 양중(兩中), 양하(兩下), 오포(梧圃), 와우(瓦隅), 용호(龍湖), 율산(栗山), 인성(仁成), 인흥(仁興), 중남(中南), 치(峙), 탑산(塔山), 흥암(興巖)
- 용흥강과 덕지강이 합류하는 삼각주 지대에 위치한 면으로, 산이 없고 평야만 존재한다.
- 요덕면(耀德面)
- 관할 리: 중신(重新), 남산(南山), 대숙(大淑), 백동(柏洞), 북평(北坪), 성(城), 소숙(小淑), 용상(龍上), 용천(龍泉), 인상(仁上), 인흥(仁興), 입석(立石), 평전(坪田), 하신(下新), 화전(花田)
- 그 악명높은 요덕 제15호 관리소가 이곳에 존재한다. 위 행정구역 기준 대숙리, 소숙리, 입석리, 평전리 전역과 북평리 상당수가 전부 관리소 영역이다.
- 인흥면(仁興面)
- 관할 리: 포중(浦中), 금피(⾦⽪), 남양(南陽), 내남(內南), 내평(內坪), 녹상(⿅上), 능동(陵洞), 동산(東⼭), 동소치(東蘇峙), 동양(東陽), 동원(東原), 동천(東川), 동평(東坪), 미흥(美興), 방축(防築), 상평(上坪), 선앙치(善仰峙), 성재(城岾), 성흥(城興), 송현(松峴), 연봉(連峯), 영풍(永豊), 왕상(旺上), 왕하(旺下), 용산(龍⼭), 용연(龍淵), 원거(院巨), 원동(元東), 원상(元上), 원서(元⻄), 은봉(銀峯), 의성(義成), 작동(芍東), 장재(長峙), 처인(處仁), 천동(泉洞), 칠동(七洞), 포상(浦上), 포하(浦下), 풍왕(豊旺), 향봉(香峰), 화성(化城), 화흥(化興)
- 평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인흥역(구 마장역), 범포역, 왕장역이 있다.
- 북한 행정구역상 한때 존재했던 인흥군 소재지.
- 장흥면(長興面)
- 관할 리: 원하(院下), 동하(東下), 문성(文城), 봉남(鳳南), 봉양(鳳陽), 삼봉(三峯), 송산(松山), 신흥(新興), 연치(囦峙), 염교(濂郊), 원산(元山), 원상(院上), 인상(仁上), 인하(仁下), 인흥(仁興), 정동(正洞), 정동(鼎東), 정서(鼎西), 초상(草上), 초하(草下), 현흥(賢興)
- 1896년 영흥군 장흥사(長興社)를 개칭하였다.
- 진평면(鎭坪面)
- 관할 리: 진흥(鎭興), 건천(乾川), 신당(薪塘), 영하(永河), 용천(龍川), 우당(禹塘), 응봉(鷹峰), 제도(猪島), 진수(鎭岫), 천황(天皇), 평탄(坪灘), 한동(翰洞), 흥성(興城)
- 1896년 영흥군 장평사(長坪社)를 면으로 개편하면서 개칭하였다.
- 호도면(虎島面)[2]
- 관할 리: 방구미(芳久美), 갈고치(葛古峙), 구장(舊獐), 두무포(斗武浦), 소응진(巢鷹津), 소포(蘇浦), 송빈(松濱), 신장(新獐), 용미(龍迷), 원상(原上), 원평(原平)
- 영흥군 남동부 호도반도에 위치해 있다. 1912년 고령면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광복 직후 독구미리(獨九味, 원상리에서 분리), 모사도리(茅沙島, 송빈리에서 분리)가 신설되었으나 이북 5도 체계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 횡천면(橫川面)
- 관할 리: 대평(大坪), 덕평(德坪), 미로(美老), 미자아(美自牙), 산계(山界), 산성(山城), 상동산(上東山), 상평(上坪), 신흥(新興), 원흥(院興), 자아(自牙), 중동산(中東山), 중흥(中興), 천흥(泉興), 초평(草坪), 하동산(下東山), 하평(下坪)
- 철옹산 동쪽의 중흥리는 도내 최서단으로 평안남도 맹산군 쪽으로 파고들어가 있다. 경도 상으로도 남측의 인천광역시 영종도보다 약간 동쪽 위치이다. 이에 북한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맹산군에 편입됐다.
- 북한 행정구역상 요덕군 소재지. 다만 요덕역은 구 고원군 소속이던 관평리에 있다.
4. 고적
영흥읍에는 누정인 군자루(君子樓)가 서 있다. 순령면에는 조선 환조의 옛집인 영흥본궁이 있었다고 하지만, 컬러사진을 찾아볼 수 없는 관계로 6.25 전쟁 중 파괴되지 않았나 추정된다.5. 출신인물
- 태조(조선) - 조선의 1대 왕
- 의안대군(義安大君) - 조선의 왕자. 이자춘의 아들, 태조의 이복동생
- 영성대군(永城大君) - 조선의 왕자. 이자춘의 아들, 태조의 사촌 혹은 이복형
- 완풍대군 - 조선의 왕자. 이자춘의 아들, 태조의 이복형
- 조일문 - 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 제12대 국회의원, 건국대학교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