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G2001 |
대체운송 | 대체운송 직행/완행 | |
일반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신탄리역) |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6:30 |
막차 | 22:40 | 막차 | 00:30 | ||
배차간격 | 30~60분(1일 24회)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인가대수 | 6대(예비 1대) |
경유 정류장 | ||
연천군, 동두천시 | ↔ | 의정부시, 서울특별시(도봉) |
신탄리역 | 의정부성모병원 | |
대광리역 | 홈플러스 | |
신망리역 | 드림밸리아파트 | |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버스터미널.신도브래뉴아파트 |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을지대학교병원 |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의정부법원.검찰청입구 | |
초성리역.청산면사무소앞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1번승강장) | |
동두천역 | ||
중앙고등학교.지행역 |
2. 개요
연천군 신탄리역과 서울 도봉산역환승센터를 오가는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46.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8년 10월에 서울시와의 협의가 완료되었으며, 2020년 초 개통 예정을 목표로 하였다. 관련 기사 노선번호는 당초 계획엔 1000번이였으나 2001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11월 21일에 노선입찰 신청서를 접수하였다. 그러나 연천교통만 단독 입찰하는 바람에 11월 27일 8906번, G8808번과 함께 운송사업자가 유찰되었다. 이는 연천군과 동두천시에서 버스 운영을 하는 회사가 대양운수, 연천교통이지만, 차고지가 연천군에 있는 회사가 연천교통이기 때문이다. 대양운수의 전곡리 영업소는 애초 좌석버스를 유치할 공간도 차고지를 새로 만들 여력도 없어서 탈락. 참고로 단독 입찰이면 유찰되는 시스템이라, 이렇게 된 것이다.
- 2020년 4월 1일에 개통했다. 본래 3월 1일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인해 중국 공장에서의 부품 조달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른 현대자동차 공장의 조업중단 사태가 터지면서 연기되었다.
- 일자 미상으로 의정부시 구간에서 정류장 정차 위치에 변동이 생겼다. 기존에 연천 방향 한정으로 마을버스가 정차하는 "의정부시외터미널"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에서 양방향 모두 시내버스 정류장에 서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12일부터 노선이 변경되어 보산역, 의정부역, 회룡역, 망월사역 정류소에는 정차하지 않으며 신망리역, 통재입구, 초성리역, 동두천역, 홈플러스, 경기도청북부청사, 을지대병원, 의정부법원에 신규 정차한다.
4. 특징
- 왕복 운행거리가 146.4km로,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중 두번째로 긴 노선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1]
- 노선길이가 상당히 긴 편임에 반해 노선 형태는 직선으로 뻗어 있다. 이는 연천군과 서울과의 거리가 상당히 멀기 때문이다. 자가용으로 정체되지 않았다는 가정하에 기점에서 종점까지 가는데 1시간 이상은 걸리는 편이다.
- 2021년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 공사로 운행이 전면 중단된 경원선 통근열차와 DMZ-train의 대체 교통수단이 되고 있다. 경원선 공식 대체운송 버스노선과 달리 소요산역을 건너뛰는 것밖에 차이가 없지만 지행역 이북과 의정부시 시내를 빠르게 잇는 역할을 한다. 단 백마고지역으로 가고 싶으면 신탄리역, 대광리역, 연천역에서 대체운송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 파주 버스 7300, 파주 버스 2200과 더불어 휴전선 가까이에 가는 광역버스 노선이다.
- 경기도형 준공영제가 적용된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이다.
- 고속화도로는 신평화로 봉양IC ~ 자금IC 구간을 이용한다.
- 경기도 공공버스의 급행버스(G)는 경기도와 서울 각각 최대 10정류장씩 정차 가능하나, 이 노선은 급행노선(G) 규정과 다르게 예외적으로 의정부시와 서울시의 정차정류장 갯수를 합산하여 계산하였다. 고속화도로가 동두천[3]에서 서울까지가 아닌 의정부에서 끊기기 때문인 듯. 따라서 연천.동두천과 의정부.서울 각각 6정류장씩 경유한다.
- 39-2번과 함께, 경기도 시내버스가 운행하는 모든 지역들 중 최북단까지 운행한다.
- 이 노선의 운영사인 연천교통은 12년 만에 다시 서울로 진출하게 되었다.
- 개통 초기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하여 수요가 매우 저조했다. 군인들의 휴가가 통제되었고, 집단감염 발생 지역 중 하나인 의정부성모병원을 경유했기 때문.
- 카카오맵 등에는 신탄리역 건너편에서 타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신탄리역 바로 앞 주차장에서 승객을 취급한다.
- 모집공고 당시에는 동두천터미널에 설 예정이였고 지행역도 현재 정차하는 정류장이 아닌 마을버스 3-2번과 3-4번이 서는 3/4번 출구에 설 예정이였으나, 실제와는 다르게 개통하였다.
- 파주 3100번처럼 우등형 차량을 일부 투입하여 개통할려했으나 무산되었다.
- 지역 군민들의 편의를 위해서 비공식적으로 연천역에 정차한다.
- 이 노선을 이용해서 서울 도심을 가고자 할 경우 도봉산역에서 1호선으로 환승하면 되며, 의정부성모병원 정류소에서 환승하여 강남(3100번), 청량리역(3200번), 건대입구역(3500번)으로 갈 수 있다. 강남과 건대입구역 방면의 경우 도봉산역에서 7호선으로 갈아타는 방법도 있지만 시간이 더 걸린다.
- 2020년 5월 20일, 예비차로 시내일반버스 도색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투입되어 버스 동호인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였으며 #, 이 차량은 연천 버스 39-2와 공용예비차로 사용된다.
- 속도 리밋은 90km/h이다.
4.1. 시간표
2021년 4월 12일 기준.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두천역, 지행역, 도봉산역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의정부 경전철: 동오역
6. 둘러보기
|
[1] 1위는 왕복 150.4km인 가평 7000번이다.[2] 이보다 북쪽에 있는 버스정류장은 전부 강원도 철원군 소속이다.(와수리,화지리), 한편 경기도 내 직행좌석버스 가운데에서 최남단으로 가는 건 수원 버스 8471, 8472, 평택 버스 6800, 최동단은 양평 버스 G9311, 최서단은 김포 버스 3000이다. 39-2번 동재마을 지선이 좀더 북쪽으로 가기는하나, 공식적인 정류장이 없다.[3] 봉양IC가 양주시에 있긴하나, 양주 끝쪽에 있어서 사실상 동두천시와 다를게 없다.[4] 경기버스정보 앱에서는 볼 수 있다.[5] 가끔가다 시간되도 환승센터에 안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도봉공영차고지 내에서 가스충전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 카카오맵 기준으로 국립제3현충원(국립연천현충원)은 2025년 예정으로 나와있다. 위치는 대광리역과 신탄리역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