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08:26:38

새한 새마을트럭

GM코리아픽업트럭
새마을 트럭 새한 / 대우 맥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 <colbgcolor=#2A5034> 경전차 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 M4A3 (76) W HVSSR, T-34-85C/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2세대 Tiran-6X, T-72M1X, M60X
3세대 K-1
장갑차 차륜형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궤도형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KAFV
차량
소형 K-131, K-111, K-100, 새마을트럭R,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트럭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K-55(A1), 곡산 170mmX
자주박격포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 자주대공포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자주대공
미사일
없음(?)
다연장로켓 K-136 구룡 I/II
대포병 체계 AN/TNS-10
공병 차량 구난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AEV KM9 ACE, M728 X/R/?
교량 차량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기타 K-313, K-512
대테러부대용 차량 없음(?)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GMK_1972.png
파일:gmk_saemaeul_pickup.jpg
GMK 새마을

GMK 새마을 / 새한 새마을[1]

1. 개요2. 상세3. 제원

1. 개요

대우자동차의 전신인 GM코리아가 1974년 8월부터, 새한자동차가 1979년까지 생산한 픽업 트럭이다.

2. 상세

파일:gmk_saemaeul_pickup(1).jpg
새마을운동과 새마을트럭
대한민국의 농촌에서 기존에 쓰던 소달구지리어카를 대체하기 위해 만든 차종으로, 이름도 새마을운동에서 따온 새마을 트럭으로 정했다. 시보레 1700의 섀시를 기반으로 독자 개발한 바디를 씌워서 제작했다. 그 외에도 주요 부품들을 한국의 기술력으로 만든 제품으로 적용해 국산화율을 95%까지 높였다.[2] 적재량은 750kg, 승차정원은 3명이었다. 엔진은 시보레 1700의 1.7L 외에도 1.5L와 1.9L 가솔린이 장착되었고, 이 중 1.7L 모델은 최고출력이 79마력이었다. 출시 당시 가격은 1,550,000원이었다.

1976년에는 GM코리아가 새한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했으나 새마을 트럭은 큰 변화 없이 계속 생산되었다. 1978년에는 아프리카의 라이베리아 등에 수출되기도 하는 등 나름대로 많이 팔린 모델이었다.

하지만 대한민국 실정에 맞지 않은 가솔린 엔진 라인업만 존재한 데다가 기존 시보레 1700의 고질적인 문제인 나쁜 연비까지 겹쳐져 선호도가 낮은 편이었던데다가 같은 포지션인 기아 브리사 픽업과 현대 포니 픽업, 적재량이 높은 캡오버 스타일의 현대 HD1000이 출시되면서 투박한 디자인의 새마을 트럭은 경쟁력을 잃어가게 되었고 결국 1979년에 단종되었다. 5년 동안 2,000여대가 생산되었다고 하며, 후속은 제미니 기반의 새한 맥스였다.

현재까지 국내에 남아있는 것이 발견된 개체는 삼성화재교통박물관에 전시된 1대[3]와 박교수 박사가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하사받아 양평군 파랑도에 한 창고에 보관중인 1대가 남아있다고 한다.

군용으로도 납품되었다. 사진은 광주 상무대 전투병과교육사령부 항공대 소속으로 안타까운 역사의 한 부분.

3. 제원

새마을트럭
<colbgcolor=#243a65> 생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차량형태 2도어 소형 픽업트럭
승차인원 2명
전장
전폭
전고
축거
윤거(전)
윤거(후)
공차중량
연료탱크 용량
타이어 크기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뒷바퀴굴림(FR)
전륜 현가장치
후륜 현가장치
전륜 제동장치
후륜 제동장치


[1] 실제 차량에도 한글 엠블럼이 부착돼 있었다.[2] 다만 낮은 단가를 맞추기 위해, 디자인부터 내부 구성을 매우 단순화시켜 당시 기준으로도 완성도는 다소 아쉬웠다는 평이 많다. 단순화한 디자인도 차량 디자이너였던 전영선 소장이 회사의 요청에 맞춰 디자인했다고 술회한 바 있다.#[3] 이는 김석원 前 쌍용그룹 회장이 개인적으로 갖고있던 것을 1996년 삼성화재에 기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