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신체 부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191919>인체 · 신체 | |||
상체 | <colbgcolor=#f5f5f5,#1f2023>머리 | 두피 | 머리카락 · 정수리 · 뒤통수 | |
얼굴 | 이마 · 눈썹 · 눈 · 속눈썹 · 코 · 입 · 입술 · 귀 · 볼 · 턱 · 관자놀이 · 미간 · 인중 · 중안부 | |||
내부 | 두개골 · 광대뼈 · 뇌 · 비강 · 치아 · 잇몸 · 혀 · 설소대 · 입천장 · 목젖 · 침샘 · 편도선 · 인두 | |||
목 | 경추 · 식도 · 경동맥 · 성대 · 울대뼈 · 후두 · 기도(기관) · 갑상샘 · 목덜미 | |||
어깨 | 겨드랑이 · 쇄골 · 견갑골 · 어깨세모근 | |||
팔 | 위팔 | 위팔두갈래근 · 위팔세갈래근 · 위팔뼈 | ||
팔꿈치 | 오금 | |||
아래팔 | 아래팔근 · 노뼈 · 자뼈 | |||
손 | 손목 · 손등 · 손바닥 · 손가락 · 손톱 | |||
가슴 | 외부 | 유방 · 유두 · 유륜 · 명치 | ||
내부 | 심장 · 폐 · 큰가슴근 · 횡격막 · 갈비뼈 · 복장뼈 | |||
복부 | 외부 | 옆구리 · 배꼽 | ||
내부 | 간 · 위장 · 쓸개 · 비장 · 췌장 · 콩팥 · 작은창자(샘창자) · 큰창자(직장 · 맹장 · 결장) · 복강 · 복막 · 복벽 | |||
등 | 척추 · 넓은등근 · 척추기립근 · 척수 | |||
허리 | ||||
하체 | 사타구니 | 골반 · 방광 · 회음부 | ||
성기 | 남성 | 음경 · 고환 | ||
여성 | 음문 · 질·자궁 | |||
볼기 | 엉덩이 · 궁둥이 · 항문 · 꼬리뼈 | |||
다리 | 넓적다리 | 허벅지 · 대퇴사두근 · 대퇴골 | ||
무릎 | 오금 | |||
정강이 | 정강뼈 | |||
종아리 | 종아리뼈 · 아킬레스건 | |||
발 | 발목 · 발꿈치 · 발바닥 · 발가락 · 발톱 | |||
기타 | 뼈 | 틀:사람의 뼈 · 골수 · 인대 | ||
근육 | 틀:근육 · 힘줄 | |||
혈관 | 동맥 · 정맥 · 모세혈관 | |||
소화계 | 위액 · 장액 · 융털 | |||
털 | 수염 · 코털 · 구레나룻 · 가슴털 · 겨드랑이 털 · 팔털 · 배털 · 음모 · 항문주위털 · 다리털 · 모낭 | |||
분비물 | 침 · 땀 · 눈물 · 피지 · 콧물 · 가래 · 쿠퍼액 · 정액 · 애액 · 냉 · 고름 | |||
노폐물 | 각질 · 눈곱 · 때 · 귀지 · 코딱지 · 비듬 · 좆밥 | |||
배출물 | 소변 · 대변 · 트림 · 방귀 | |||
이물질 | 결석증 · 편도결석 · 담석 · 요로결석 · 위석 · 치태 · 설태 | |||
기타 | 피부 · 점막 · 신경 · 틀:포유동물의 기관계 | }}}}}}}}} |
1. 개요
하복부의 삼각형 모양의 부분으로, 넓적다리와 성기 사이의 고간을 일컫는 순우리말이다.2. 특징
입던 바지가 터진다면 이쪽이 터졌을 확률이 높다. 몸을 움직일 때 사타구니 쪽으로 계속해서 살이 쓸리기 때문.# 걸음걸이를 고치거나 허벅지 살을 빼면 이런 일이 줄어든다. 사이 갭이 있을 정도로 마른 사람의 경우 바지의 사타구니가 덜 닳을 것이다.사타구니 중에서 성기와 항문 사이를 회음부(perineum, 會陰部)라고 한다. 남성은 고환부터 항문까지, 여성은 음문부터 항문까지의 사이에 있는 부위가 회음부다. 이 회음부 중앙에는 회음봉선(Perineal raphe)이라는 약간 볼록 튀어나온 선이 있는데, 태아 시절 성기와 항문, 사타구니가 형성될 때는 벌어져 있다가 성장하면서 봉합되기 때문에 생기는 선이다. 이 선은 남성의 경우 항문 밑부분부터 고환을 담고있는 음낭과 음경 기둥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귀두 바로 밑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남성기와 여성기가 상동 기관이기 때문이다. 여성기는 음문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부분이 봉합이 되지 않지만, 남성기는 완전히 봉합되면서 고환과 음경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선이 긴 것이다. 한의학에서는 이곳에 회음혈(會陰穴)이 있다고 하는데, 중요한 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다리를 벌려 사타구니를 보여주는 자세는 쩍벌이라고 한다.
땅바닥에서 여기까지의 거리를 인심이라고 한다. 인심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 때의 인심은 inseam으로 영어다.
이 부분도 운동이 과할 경우 근육통증으로 고생한다. 햄스트링과 함께 박찬호가 선수 시절 가장 자주 부상을 당한 부위이기도 하다.
- 남성
남성의 대표적인 약점으로 꼽히는 부위로 알려져 있다. 여성과 달리 남성의 고간 부분은 내장이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그 내장은 고환을 의미하고 정자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이를 만드는 고환이 몸 밖으로 나와 있는 것이다. 정통으로 맞으면 단순히 아픈 게 문제가 아니고, 몸 밖에 매달려있는 내장이라서 자칫하다 내장파열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신경이 모여있는 곳인 건 마찬가지이기에 여자도 맞으면 남자만큼은 아니어도 아프다.
남성의 사타구니 가운데에 음경이 있는 모양이 마치 알파벳 M과 비슷하다고 하여 남성의 사타구니를 M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여성
여성의 사타구니가 마치 알파벳 Y와 비슷하다고 하여 여성의 사타구니를 Y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Y처럼 아래로 삼각형으로 좁아지는 모양새가 Y와 비슷해서 그런 것. 또는 음부가 들어간 모양새가 마치 알파벳 W와 비슷하다고 하여 W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성은 출산 문제로 인해 남성에 비해 두 허벅지의 간격이 남성에 비해 넓다고 한다. 이러한 간격이 보이는 틈을 사이 갭 또는 토블론 터널이라 부른다.
2.1. 위생
남녀 막론하고 허벅지 사이 안쪽의 살이 맞닿는 부위인지라 땀이 차기 쉽다. 겨드랑이처럼 체온으로 뜨뜻하고 습기로 눅진하고 양분이 되는 노폐물도 풍부한 등 조건이 여러 모로 알맞아서 세균이나 곰팡이 따위가 번식하기 좋은 최적의 부위다. 관리가 소홀해 노폐물이 쌓일 경우 역한 악취를 내뿜음은 물론 습진으로 발전해 매우 가려워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귀두지/치구라 불리는 지방성 분비물, 단백질 대사물, 곰팡이 등의 다양한 물질들이 어우러질 수 있다.겨드랑이의 아포크린 샘이 여기에도 분포하는지라 암내와 비슷하지만 앞은 성기, 뒤는 항문이 자리잡고 있다는 주변 환경 때문에 더욱 강렬한 샅내가 난다. 다만 겨드랑이에 비해 옷 속에 꽁꽁 감춰져 있고 위치가 낮아서 자각하지 못할 뿐이지. 그래도 겨드랑이 못지 않게 악취가 나는 부위라는 인식이 강해져 사타구니 전용 클리너가 시판 중이다.
여성의 경우 성관계 도중 자신과 상대방의 '잔여 분변'이 질로 끼어붙어 세균 감염으로 연결. 냉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즐기기 전후에 반드시 씻는 것이 좋다.
3. 기타
- 두시탈출 컬투쇼의 레전드 사연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미용실에 가서 머리를 자르는데, 구레나룻을 남겨달라고 한다는 게 "스포츠로 짧게 쳐주시구요. 사타구니는 자르지 말고 남겨주세요."... 덕분에 이 사연을 읽은 가수 최재훈은 1년이 넘게 연관검색어에 사타구니가 떴다... 기사
- 조석의 웹툰 마음의소리의 로스트 미디어로 남은 2009년도 추석 특집의 에피소드의 이름이 사타구니이기도 한데, 예고편이 조석 스타일의 병맛이면서도 꽤나 그럴싸한데다 다음 편은 내년 추석에 연재하겠다는 골때리는 공약을 내세우는 통에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예고편의 병맛스러운 그럴싸함 + 무려 1년의 준비기간이 존재함이라는 조건이 마음의 소리 독자들의 가슴에 굉장히 인상적인 기대를 심어주었고, 덕분에 다음 해 추석에 사타구니가 아닌 그냥 추석 특집을 연재해 버린 조석은 불똥세례를 맞았다... 이후 매해 추석마다 이 에피소드에 대한 성지순례와, 사타구니 연재 요청글이 쇄도한다. 조석이 이미 블로그에 사타구니 재미없어서 안한다는 해명글을 올렸음에도. 이미 해명된 떡밥임에도 불구하고 그 기괴한 카리스마 덕에 주기적으로 언급된다.
- 아무래도 인체의 가장 은밀한 곳이다 보니 철두철미하게 수색한다는 뜻의 '샅샅이 뒤지다'라는 관용구가 있다. '이 잡듯 뒤진다'와 비슷한 용례. 간혹 둘을 합쳐서 이 잡듯 샅샅이 뒤진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기사
- 발음이 비슷한 이유로 사카구치 켄타로 를 사타구니로 잘못 기억하거나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바람 부는 날에 입은 얇은 원피스나 치마가 여성의 Y존을 강조하곤 한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속바지도 있다. 'Y존 방지 속바지' 또는 'Y존 커버 속바지'라 부른다. 치마가 가랑이에 끼는 것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
4.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사타구니, 샅, 사타귀, 가랑이, 고간(股間), 서혜부(鼠蹊部), 서혜(鼠蹊) | ||
한자 | 股間(고간), 鼠蹊部(서혜부) | ||
러시아어 | пах(pax, 파흐), паховая область(paxovaja oblastʹ) | ||
아랍어 | أُرْبِيَّة(ʾurbiyya), مَغْبَن(maḡban) | ||
خن الرجل(xonn e-regl), خن الفخد(xonn el faxd)(이집트 아랍어) | |||
스페인어 | ingle, entrepierna(일상적) | ||
engonal, entrecuix(카탈루냐어) | |||
에스페란토 | ingveno, seksorgano(일상적) | ||
inguino(이도) | |||
영어 | groin(격식적, 해부학적), crotch(일상적), inguinal region | ||
이탈리아어 | inguine, cavallo(일상적) | ||
일본어 | [ruby(脚の付け根, ruby=あしのつけね)](ashi no tsukene), [ruby(鼠蹊部, ruby=そけいぶ)](sokeibu), [ruby(鼠蹊, ruby=そけい)](sokei), [ruby(股座, ruby=またぐら)](마타구라), [ruby(股間, ruby=こかん)](kokan), [ruby(股/俣, ruby=また)](mata, 마타)(일상적) | ||
중국어 | 腹股沟/腹股溝(fùgǔgōu), 鼠蹊(shǔxī), 胯股(kuàgǔ) | ||
프랑스어 | aine, entrejambe(일상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f5f5f5,#2d2f34> 그리스어 | βουβώνας(vouvónas), αχαμνά(achamná), καβάλος(kaválos)(일상적) | |
βουβών(boubṓn), πλιχάς(plikhás)(일상적)(고전 그리스어) | |||
나와틀어 | quēxilli, maxactli(일상적)(고전 나와틀어) | ||
네덜란드어 | lies, kruis(일상적) | ||
노르웨이어 | lyske, skritt(일상적), skrev(일상적) | ||
덴마크어 | lyske, skridt(일상적) | ||
독일어 | Leiste, Schritt(일상적), Leistengegend(일상적), Zwickel(일상적) | ||
루마니아어 | stinghie | ||
마오리어 | tapatapa, tapa o te kūhā | ||
마인어 | kelangkang(일상적) | ||
몽골어 | цавь(tsavĭ) | ||
미얀마어 | ပေါင်ခြံ(paunghkram) | ||
바스크어 | iztai | ||
베트남어 | háng, vùng bẹn, bẹn | ||
벨라루스어 | пахві́на(paxvína) | ||
벵골어 | কুঁচকি(kũcôki) | ||
불가리아어 | слабина(slabina), чатал(čatal)(일상적) | ||
세르보크로아트어 | препоне/prepone | ||
스웨덴어 | ljumske, skrev(일상적), gren(일상적) | ||
슬로바키아어 | slabina, rozkrok(일상적) | ||
슬로베니아어 | dimlje | ||
아르메니아어 | աճուկ(ačuk) | ||
아이슬란드어 | klof(일상적) | ||
아제르바이잔어 | qasıq | ||
알바니아어 | rrëzë e kofshës | ||
에스토니아어 | kube | ||
우즈베크어 | chov | ||
우크라이나어 | пахви́на(paxvýna) | ||
자바어 | wlakang | ||
조지아어 | საზარდული(sazarduli) | ||
체코어 | tříslo, rozkrok(일상적) | ||
카자흐어 | айырт(aiyrt), шап(şap) | ||
켈트어파 | bléin(아일랜드어) | ||
gobhal(일상적)(스코틀랜드 게일어) | |||
크메르어 | ក្រលៀន(krɑlien) | ||
타타르어 | касык(qasıq) | ||
태국어 | หน้าขา, ขาหนีบ, ง่ามขา | ||
토하라어 | yoñiye(토하라어 B: 쿠처 방언) | ||
투르크멘어 | gasyk | ||
튀르키예어 | kasık | ||
قاسق(kasık), قاسیق(kasyk)(오스만어) | |||
티베트어 | རྒྱུད་སྨད(rgyud smad) | ||
페르시아어 | کشاله ران(kešâle-ye rân) | ||
қадкашак(qadkašak)(타지크어) | |||
포르투갈어 | virilha, entreperna(일상적) | ||
virilla, ingua, ventrecha(일상적)(갈리시아어) | |||
폴란드어 | pacha(파하), pachwina, krocze(일상적) | ||
핀란드어 | nivuset, haaraväli(일상적) | ||
필리핀어 | puklo | ||
헝가리어 | ágyék | ||
히브리어 | מפשעה(mifsa'a/mifsaá) | ||
힌디어 | ऊसन्धि(ūsandhi), उरुसंधि(urusandhi)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