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c00d4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color: #fff;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함경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rowcolor=#888> 량강도 갑산군 | 함경북도 경성군 | 라선특별시 원정리 | |||
<rowcolor=#aaa> ‡ 갑산읍성 甲山邑城 | 경성읍성[병] 鏡城邑城 | ‡ 경흥읍성 慶興邑城 | ||||
함경북도 경원군 | 함경북도 길주군 | 함경남도 단천시 | ||||
<rowcolor=#aaa> 경원읍성 慶源邑城 | ‡ 길주읍성 吉州邑城 | ‡ 단천읍성 端川邑城 | ||||
함경북도 명천군 | 함경북도 무산군 | 함경북도 부령군 | ||||
<rowcolor=#aaa> 명천읍성 明川邑城 | † 무산읍성 茂山邑城 | 부령읍성 富寧邑城 | ||||
함경남도 북청군 | 량강도 삼수군 | 강원도 안변군 | ||||
<rowcolor=#aaa> ‡ 북청읍성[북] 北靑邑城 | 삼수읍성 三水邑城 | 안변고읍성 | 학성산성[산] 安邊古邑城 | 鶴城山城 | ||||
강원도 안변군 | 함경북도 온성군 | 함경남도 리원군 | ||||
<rowcolor=#aaa> † 안변읍성 安邊邑城 | † 온성읍성 穩城邑城 | † 이원읍성 利原邑城 | ||||
함경남도 장진군 | 함경남도 정평군 | 함경북도 온성군 | ||||
<rowcolor=#aaa> † 장진읍성 長津邑城 | ‡ 정평읍성 定平邑城 | † 종성읍성 鍾城邑城 | ||||
함경남도 함흥시 | 함경남도 홍원군 | 함경북도 회령시 | ||||
<rowcolor=#aaa> † 함흥읍성[감] 咸興邑城 | ‡ 홍원읍성 洪原邑城 | ‡ 회령읍성 會寧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평안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자강도 강계시 | 평양직할시 강동군 | 평안북도 곽산군 |
<rowcolor=#aaa> 강계읍성 江界邑城 | 강동읍성 江東邑城 | 곽주읍성 | 능한산성[산] 郭州邑城 | 凌漢山城 | ||||
평안북도 구성시 | 평안남도 맹산군 | 평안북도 녕변군 | ||||
<rowcolor=#aaa> 구성읍성 | 귀주성 龜城邑城 | 龜州城 | 맹주읍성 | 맹주산성 孟州邑城 | 孟州山城 | 무주읍성 撫州邑城 | ||||
량강도 김형직군 | 평안북도 박천군 | 평안북도 벽동군 | ||||
<rowcolor=#aaa> † 무창읍성 茂昌邑城 | 박주읍성 博州邑城 | ‡ 벽동읍성 碧潼邑城 | ||||
평안북도 대관군 | 평안북도 삭주군 | 평안남도 선천군 | ||||
<rowcolor=#aaa> 삭주고읍성 | 대삭주성[산] 朔州古邑城 | 大朔州城 | † 삭주읍성 朔州邑城 | † 선천읍성 | 선천고부 宣川邑城 | 宣川古府 | ||||
평안남도 숙천군 | 평안남도 안주시 | 자강도 중강군 | ||||
<rowcolor=#aaa> 숙주읍성 肅州邑城 | 안주읍성[병] 安州邑城 | 여연읍성 閭延邑城 | ||||
평안남도 개천시 | 평안북도 운산군 | 평안북도 녕변군 | ||||
<rowcolor=#aaa> 연주읍성 蓮州邑城 | 연주읍성 延州邑城 | 영변읍성 | 철옹성[산] 寧邊邑城 | 鐵甕城 | ||||
남포특별시 룡강군 | 평안북도 룡천군 | 평안북도 룡천군 | ||||
<rowcolor=#aaa> 용강읍성 | 황룡산성[산] 龍岡邑城 | 黃龍山城 | 용천고읍성 | 용골산성 龍川古邑城 | 龍骨山城 | 용천읍성 龍川邑城 | 鐵甕城 | ||||
자강도 중강군 | 자강도 위원군 | 자강도 위원군 | ||||
<rowcolor=#aaa> † 우예읍성 虞芮邑城 | † 위원고읍성 渭原古邑城 | 위원읍성 渭原邑城 | ||||
평안북도 구장군 | 평안남도 은산군 | 평안북도 의주군 | ||||
<rowcolor=#aaa> 위주읍성 渭州邑城 | 은산읍성 殷山邑城 | ‡ 의주고읍성 | 내원성[산] 義州古邑城 | 來遠城 | ||||
평안북도 의주군 | 자강도 고풍군 | 자강도 자성군 | ||||
<rowcolor=#aaa> ‡ 의주읍성 義州邑城 | 이산읍성 | 초산고읍성 理山邑城 | 楚山古邑城 | 자성읍성 慈城邑城 | ||||
평안남도 평성시 | 평안북도 정주시 | 평안북도 창성군 | ||||
<rowcolor=#aaa> 자주읍성 | 자모산성[산] 慈州邑城 | 慈母山城 | 정주읍성 定州邑城 | † 창성읍성 昌城邑城 | ||||
평안북도 철산군 | 자강도 초산군 | 평안북도 동림군 | ||||
<rowcolor=#aaa> 철주읍성 鐵州邑城 | ‡ 초산읍성 楚山邑城 | 통주읍성 | 동림산성[산] 通州邑城 | 東林山城 | ||||
평양직할시 | 자강도 김형직군 | 자강도 희천시 | ||||
<rowcolor=#aaa> 평양읍성[도][감] 平壤邑城 | 후주읍성 厚州邑城 | † 희천읍성 熙川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황해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황해남도 강령군 | 황해남도 강령군 | 황해남도 연안군 |
<rowcolor=#aaa> ‡ 강령고읍성 康翎古邑城 | † 강령읍성 康翎邑城 | 연안고읍성 | 봉세산성[산] 延安古邑城 | 鳳勢山城 | ||||
황해남도 연안군 | 황해남도 옹진군 | 황해남도 옹진군 | ||||
<rowcolor=#aaa> ‡ 연안읍성 延安邑城 | 옹진고읍성 | 옹천성 甕津古邑城 | 甕遷城 | 옹진읍성 | 본영읍성 甕津邑城 | 本營邑城 | ||||
황해남도 장연군 | 황해남도 장연군 | 황해남도 과일군 | ||||
<rowcolor=#aaa> 장연고읍성 | 룡연읍성 長淵古邑城 | 龍淵邑城 | ‡ 장연읍성 長淵邑城 | 풍천읍성 豊川邑城 | ||||
황해남도 해주시 | 황해북도 황주군 | |||||
<rowcolor=#aaa> † 해주읍성[감] 海州邑城 | 황주읍성[병] 黃州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경기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서울특별시 종로구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개성특별시 | |
<rowcolor=#aaa> 한양도성[도] 漢陽都城 | 강화읍성 | 강화산성[도] 江華邑城 | 江華山城 | 개성읍성[도] 開城邑城 | ||||
경기도 광주시 | 인천광역시 강화군 | 경기도 화성시 | ||||
<rowcolor=#aaa> 광주읍성 | 남한산성[산] 廣州邑城 | 南漢山城 | 교동읍성 喬桐邑城 | ‡ 수원읍성 水原邑城 | ||||
경기도 수원시 | 경기도 안산시 | |||||
<rowcolor=#aaa> 수원화성 水原華城 | 안산읍성 安山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강원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rowcolor=#888> 강원도 철원군 | 강원도 고성군 | 강원도 강릉시 | |
<rowcolor=#aaa> † 철원도성[도] 鐵原都城 | ‡ 간성읍성 杆城邑城 | ‡ 강릉읍성 江陵邑城 | ||||
강원도 고성군 | 강원도 김화군 | 강원도 삼척시 | ||||
<rowcolor=#aaa> † 고성읍성 高城邑城 | ? 김화읍성 金化邑城 | ‡ 삼척읍성 三陟邑城 | ||||
강원도 통천군 | 강원도 양양군 | 경상북도 울진군 | ||||
<rowcolor=#aaa> ? 송전읍성 松田邑城 | ‡ 양양읍성 襄陽邑城 | † 울진고현성 蔚珍古縣城 | ||||
경상북도 울진군 | 강원도 통천군 | 강원도 회양군 | ||||
<rowcolor=#aaa> † 울진읍성 蔚珍邑城 | 통천읍성 通川邑城 | † 회양읍성 淮陽邑城 | ||||
강원도 통천군 | ||||||
<rowcolor=#aaa> 흡곡읍성[산] 歙谷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충청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충청남도 공주시 | 충청남도 부여군 | 충청남도 홍성군 | ||
<rowcolor=#aaa> 공산성[도][산][감] 公山城 | 부소산성[도][산] 扶蘇山城 | † 결성고읍성 結城古邑城 | ||||
충청남도 홍성군 | 충청남도 보령시 | 충청남도 당진시 | ||||
<rowcolor=#aaa> 결성읍성 結城邑城 | 남포읍성 藍浦邑城 | ‡ 당진읍성 唐津邑城 | ||||
충청남도 예산군 | 충청남도 예산군 | 충청남도 당진시 | ||||
<rowcolor=#aaa> † 대흥읍성 大興邑城 | † 덕산읍성 德山邑城 | 면천읍성 沔川邑城 | ||||
충청남도 보령시 | 충청남도 서천군 | 충청남도 서산시 | ||||
<rowcolor=#aaa> 보령읍성 保寧邑城 | 비인읍성 庇仁邑城 | ‡ 서산읍성 瑞山邑城 | ||||
충청남도 서천군 | 충청남도 서천군 | 충청북도 영동군 | ||||
<rowcolor=#aaa> 서천고읍성 | 남산성[산] 舒川古邑城 | 南山城 | 서천읍성 舒川邑城 | ‡ 영동읍성 永同邑城 | ||||
충청북도 청주시 | 충청북도 충주시 | 충청남도 태안군 | ||||
<rowcolor=#aaa> † 청주읍성[병] 淸州邑城 | † 충주읍성[감] 忠州邑城 | ‡ 태안읍성 泰安邑城 | ||||
충청남도 서천군 | 충청남도 서산시 | 충청남도 홍성군 | ||||
<rowcolor=#aaa> 한산읍성 韓山邑城 | 해미읍성[병] 海美邑城 | 홍주읍성 洪州邑城 | ||||
충청남도 부여군 | 충청북도 영동군 | |||||
<rowcolor=#aaa> ‡ 홍산읍성 鴻山邑城 | ‡ 황간읍성 黃澗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전라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전라남도 강진군 | 전라북도 정읍시 | 전라북도 고창군 | |
<rowcolor=#aaa> 강진읍성 康津邑城 | 고부읍성 | 고사부리성[산] 古阜邑城 | 古沙夫里城 | 고창읍성 高敞邑城 | ||||
전라남도 광양시 | 광주광역시 동구 | 전라남도 구례군 | ||||
<rowcolor=#aaa> † 광양읍성 光陽邑城 | ‡ 광주읍성 光州邑城 | † 구례읍성 求禮邑城 | ||||
전라남도 나주시 | 전라남도 순천시 | 전라북도 남원시 | ||||
<rowcolor=#aaa> 나주읍성 羅州邑城 | 낙안읍성 樂安邑城 | 남원읍성 南原邑城 |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전라북도 김제시 | 전라남도 무안군 | ||||
<rowcolor=#aaa> 대정읍성 大靜邑城 | † 만경읍성 萬頃邑城 | ‡ 무안읍성 務安邑城 | ||||
전라북도 고창군 | 전라북도 무주군 | 전라남도 보성군 | ||||
<rowcolor=#aaa> 무장읍성 茂長邑城 | † 무풍현성 茂豊縣城 | ‡ 보성읍성 寶城邑城 | ||||
전라북도 부안군 | 전라남도 순천시 | 전라남도 영광군 | ||||
<rowcolor=#aaa> ‡ 부안읍성 扶安邑城 | † 순천읍성 順天邑城 | ‡ 영광읍성 靈光邑城 | ||||
전라남도 영암군 | 전라북도 군산시 | 전라북도 군산시 | ||||
<rowcolor=#aaa> ‡ 영암읍성 靈巖邑城 | † 옥구고읍성 | 대산산성[산] 沃溝古邑城 | 垈山山城 | ‡ 옥구읍성 沃溝邑城 | ||||
전라북도 군산시 | 전라남도 장성군 | 전라남도 장흥군 | ||||
<rowcolor=#aaa> ‡ 임피읍성 臨陂邑城 | † 장성읍성 長城邑城 | ‡ 장흥읍성 長興邑城 | ||||
전라북도 전주시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rowcolor=#aaa> ‡ 전주읍성[감] 全州邑城 | 정의읍성 旌義邑城 | 제주읍성 濟州邑城 | ||||
전라남도 진도군 | 전라남도 진도군 | 전라남도 장성군 | ||||
<rowcolor=#aaa> ‡ 진도고읍성 珍島古邑城 | 진도읍성 珍島邑城 | ‡ 진원현성 珍原縣城 | ||||
전라남도 해남군 | 전라남도 나주시 | 전라북도 고창군 | ||||
<rowcolor=#aaa> ‡ 해남읍성 海南邑城 | 회진현성 會津縣城 | ‡ 흥덕읍성 興德邑城 | ||||
전라남도 고흥군 | ||||||
<rowcolor=#aaa> 흥양읍성 興陽邑城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color: #fff; min-width: 25%; min-height: 1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경상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경상남도 거제시 | 경상북도 경산시 | 경상북도 경주시 | ||
<rowcolor=#aaa> 거제읍성 巨濟邑城 | † 경산읍성 慶山邑城 | 경주고읍성 | 남고루 慶州古邑城 | 南古壘 | ||||
경상북도 경주시 | 경상남도 고성군 | 경상남도 고성군 | ||||
<rowcolor=#aaa> 경주읍성[감] 慶州邑城 | ‡ 고성고읍성 固城古邑城 | ‡ 고성읍성 固城邑城 | ||||
경상남도 사천시 | 경상북도 영주시 | 부산광역시 기장군 | ||||
<rowcolor=#aaa> ‡ 곤양읍성 昆陽邑城 | ‡ 구성읍성 | 구성산성[산] 龜城邑城 | 龜城山城 | ‡ 기장고읍성 機張古邑城 | ||||
부산광역시 기장군 | 경상남도 김해시 | 경상남도 김해시 | ||||
<rowcolor=#aaa> ‡ 기장읍성 機張邑城 | 김해고읍성 金海古邑城 | ‡ 김해읍성 金海邑城 | ||||
경상남도 남해군 | 경상남도 남해군 | 대구광역시 중구 | ||||
<rowcolor=#aaa> 남해고읍성 | 대국산성[산] 南海古邑城 | 大局山城 | ‡ 남해읍성 南海邑城 | † 대구읍성[감] 大邱邑城 | ||||
부산광역시 수영구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
<rowcolor=#aaa> ‡ 동래고읍성 東萊古邑城 | 동래읍성 東萊邑城 | ‡ 동평현성 東平縣城 | ||||
경상남도 밀양시 | 경상남도 사천시 | 경상남도 함안군 | ||||
<rowcolor=#aaa> 밀양읍성 密陽邑城 | 사천읍성 泗川邑城 | ‡ 삼가읍성 三嘉邑城 | ||||
경상북도 상주시 | 경상북도 구미시 | 경상북도 성주군 | ||||
<rowcolor=#aaa> † 상주읍성[감] 尙州邑城 | † 선산읍성 善山邑城 | 성주읍성[감] 星州邑城 | ||||
경상북도 영주시 | 경상남도 거제시 | 경상북도 안동시 | ||||
<rowcolor=#aaa> ‡ 순흥읍성 順興邑城 | † 아주현성 鵝州縣城 | † 안동읍성[감] 安東邑城 | ||||
경상남도 양산시 | 울산광역시 울주군 | 경상북도 포항시 | ||||
<rowcolor=#aaa> ‡ 양산읍성 梁山邑城 | 언양읍성 彦陽邑城 | † 연일읍성 | 영일고읍성 延日邑城 | 迎日古邑城 | ||||
경상북도 영덕군 | 경상남도 창녕군 | 경상북도 포항시 | ||||
<rowcolor=#aaa> † 영덕읍성 盈德邑城 | ‡ 영산읍성 靈山邑城 | ‡ 영일읍성 迎日邑城 | ||||
경상북도 영주시 | 경상북도 영천시 | 경상북도 영덕군 | ||||
<rowcolor=#aaa> † 영천읍성 榮川邑城 | † 영천읍성 永川邑城 | ‡ 영해읍성 寧海邑城 | ||||
경상남도 창원시 | 울산광역시 중구 | 울산광역시 중구 | ||||
<rowcolor=#aaa> 웅천읍성 熊川邑城 | † 울산고읍성 | 계변성 蔚山古邑城 | 戒邊城 | † 울산읍성 蔚山邑城 | ||||
경상남도 의령군 | 경상북도 의성군 | 경상북도 포항시 | ||||
<rowcolor=#aaa> ‡ 의령읍성 宜寧邑城 | † 의성읍성 義城邑城 | 장기읍성[산] 長鬐邑城 | ||||
경상남도 진주시 | 경상남도 창원시 | 경상남도 창원시 | ||||
<rowcolor=#aaa> 진주읍성[병] 晉州邑城 | † 진해읍성 鎭海邑城 | ‡ 창원읍성 昌原邑城 | ||||
경상북도 청도군 | 경상북도 포항시 | 경상북도 칠곡군 | ||||
<rowcolor=#aaa> 청도읍성 淸道邑城 | ‡ 청하읍성 淸河邑城 | 칠곡읍성 | 가산산성[산] 漆谷邑城 | 架山山城 | ||||
경상남도 함안군 | 경상북도 영주시 | 경상남도 하동군 | ||||
<rowcolor=#aaa> ‡ 칠원읍성 漆原邑城 | † 풍기읍성 豊基邑城 | 하동읍성 河東邑城 | ||||
경상남도 함안군 | 경상남도 함양군 | 경상남도 함양군 | ||||
<rowcolor=#aaa> ‡ 함안읍성 咸安邑城 | ‡ 함양고읍성 咸陽古邑城 | † 함양읍성 咸陽邑城 | ||||
경상북도 포항시 | ||||||
<rowcolor=#aaa> † 흥해읍성 興海邑城 | }}}}}}}}} {{{#fff † : 멸실 ‡ : 멸실 위기 ? : 실체 불명 볼드체 : 윤곽 온전/복원 [도] : 도읍지 [산] : 산성 읍치 [감] : 감영 소재 [병] : 병영 소재}}} |
광주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0호 | |
<colbgcolor=#c00d45> 광주읍성 光州邑城 | Gwangju City Wall | |
국가유산 명칭 | 광주읍성유허(光州邑城遺墟) |
정식 명칭 | 광주목읍성(光州牧邑城) |
입지 | 평지성 |
기능 | 읍성 |
건설 | 1378년 (우왕 6년) |
폐성 | 1895년 (고종 32년) |
철거 | 1909년 (융희 3년)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
면적 | 일원 |
지정연도 | 1994년 4월 13일 |
건축시기 | 고려시대 |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
[clearfix]
1. 개요
조선 전라도 광주목의 중심지였던 현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었던 읍성이다. 극히 일부만이 남아서, 1994년에 광주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20호 '광주읍성 유허'로 지정되었다.2. 무진도독성
무진도독성(또는 무진도독고성)은 광주읍성의 전신이 되는 통일신라 시대의 토성이다. 이름처럼, 통일신라 무진주 도독의 치소가 있었다. 7세기 후반에 무진주가 설치된 후, 8세기 말~9세기 초에 건설되어 통일신라 말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최영주,2021]2.1. 기록
통일신라 기록에는 문무왕 또는 신문왕 재위기에 무진주를 설치해 도독을 파견했다고 하지만, 성에 관한 언급은 없다. 성에 관한 기록은 조선시대부터 나타난다. 세종실록지리지(1452),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여지도서(1765), 광주목지(1798), 대동지지(1866) 등에 언급되어 있다.무진도독 때의 옛 토성: 둘레가 2,560보이다.[세종실록지리지]
무진도독고성: 현의 북쪽 5리에 있다. 흙으로 쌓았는데 주위가 32,448척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
무진도독고성: 주의 북쪽 5리에 있다. 흙으로 쌓았는데 주위가 32,448척이다. 지금은 없어졌다.[여지도서]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달리 ("현"이 "주"로 바뀌었고) "지금은 없어졌다(今廢)"는 내용이 추가됐다. 신증동국여지승람 편찬 때에는 흔적이 어느 정도 남아있었으나, 200년이 지나는 동안 침식 등으로 인해 흔적이 아예 없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2.2. 위치, 규모
위치는 광주 원도심인 금남로·충장로 일대로 추정된다. 도독성에 관한 기록, 발굴된 통일신라시대 건물지·우물지·기와 조각 등 유물, 인근 사찰지(성거사지, 백천사지, 십신사지 등), 방리제에 따른 격자형 구획, 일제강점기 지적원도·지형도에 나타난 흔적 등을 근거로 한다.[임영진,2008][황인호,2014][최영주,2021]'무진도독성이 현의 북쪽 5리에 있다'는 기록[신증동국여지승람]을 근거로 무진고성이 무진도독성이라고 하는 주장도 있다.[9] 일단 무진고성은 토성이 아니라 석성이다. 또한 광주읍성을 기준으로 한 방위 개념(참조)을 생각하면 아닐 가능성이 높다. 같은 기록에서 무등산은 현의 동쪽 10리에 있다고 하고, 경양역(현 무등산자이&어울림)은 동쪽 8리에 있다고 한다. 무진도독성이 무진고성을 칭하는 것이라면, 동쪽이라고 기록하지 북쪽이라고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한편, 같은 기록에서 십신사(十信寺, 현 임동오거리 근처)는 북쪽 5리에 있다고 한다. 당시 그 근처에 옛 토성이 남아있었다는 추정으로, 무진도독성이 북쪽 5리에 있다는 기록을 간단히 해석할 수 있다.
조선시대 기록을 고려했을 때, 무진도독성의 규모는 둘레가 6,771m로 추정된다.[임영진,2008] 한편 여말선초에 건설된 광주읍성은 2,500m 정도이다. 그 이유를 추정해 보면, 통일신라시대에는 중심지였으나, 고려시대에 중심지가 나주로 바뀌어 쇠락했기 때문에 축소되었을 수 있다.[최영주,2021] 그런데 여말선초에 건설된 나주읍성도 둘레가 3,700m로, 6,771m보다 크게 작다. 그렇다면 토성과 석성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 토성보다 석성의 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어를 위해 주거가 밀집돼있거나 관청 등 주요 시설이 있는 중심지만 둘러싼 결과일 수 있다.
2.3. 구조
[도도로키,2020] | [최영주,2021] |
배경 지도는 조선총독부 광주지형도(1917, 1:10000)이다. |
- 입지: 북서쪽이 열려 있고 나머지는 산과 언덕으로 둘러싸인 분지 안이다. 광주천을 따라 북서-남동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완산주성(전주부성)과 비슷하다).
- 성벽: 기록에 따르면 토성이다. 무진주의 방리를 아우르는(동서로는 동계천과 광주천 사이, 남북으로는 남동에서 북동까지) 나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했듯 적어도 조선시대까지 흔적이 남아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해자: 동계천과 광주천이 해자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도도로키,2020]
- 방리 구획: 통일신라시대에는 방리제를 시행했는데, 이 당시 형성된 격자 구획은 지금도 광주 원도심에 남아 있다. 그러나 격자 구획 위에 경작지, 주거지, 관아, 장터, 종교시설 등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 충장로: 1994년 광주일고 신축공사 전 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 건물지가 발굴되었다. 이 건물의 장축 방향이 충장로와 평행한 것으로 보아 충장로가 적어도 이때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임영진,2008]
- 주작대로(?): 현 충장로와 금남로 사이에 폭이 좁은 구획이 있는데, 주작대로일 가능성이 있다.[도도로키,2020] 비슷하게 남원경(남원시), 사벌주(상주시)같은 도시의 방리구획에도 중앙에 폭이 좁은 구간이 있는데 마찬가지로 주작대로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경주에서 주작대로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 지방도시에 주작대로가 있었을 가능성은 낮다. 그렇더라도 의도적으로 만든 구획일 가능성은 높다.[황인호,2014]
- 관청: 아시아문화전당 부지 발굴 당시 통일신라시대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이 일대에 관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최영주,2021]
3. 광주읍성
3.1. 역사
성을 언제 쌓았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여말선초에 왜구의 칩입을 막기 위해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조정규,2013]조선시대 기록으로는 세종실록지리지(1452),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여지도서(1765), 대동지지(1866), 광주읍지(1899) 등이 있다.
읍 석성: 둘레가 972보이다.[세종실록지리지]
읍성: 돌로 쌓았다. 주위가 8,253척이고, 높이가 9척이다. 안에 우물 백 개가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
읍성: 돌로 쌓았다. 주위가 8,253척이고, 높이가 9척이다. 안에 우물 백 개가 있으며, 연못은 없다.[여지도서]
일제강점기, 1910년 읍성 철거령이 내려진 후 인위적으로 철거되기 시작한다. 시가지 확장과 함께 1920년대까지 서서히 철거되었고 그 자리는 대지와 도로가 되었다.[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1992년 옛 전남도청(現국립아시아문화전당)주차장 부지정리 사업 도중 성벽과 토축이 발견되었고, 1994년 4월 13일 광주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 20호로 지정되었다. 2006년~2007년에도 발굴 조사가 이어졌다. 문화전당 건설 중인 2014년 성벽 유허를 복원했다. 문화정보원 위쪽, 동구청 버스정류장 근처에 있다.
2001년 광주광역시 동구청은 광주읍성 및 성문 유허 복원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남문 진남문에 대한 문헌 및 현지조사를 전남대학교에 의뢰했고 진남문과 양쪽 약 30m 성곽을 복원하기 위해 예산(문화재청 지원40억원, 시·구비 30억원)을 마련하려고 했으나 대선 공약으로 국립아시아문화의전당 건립이 거론되며 흐지부지되었다. 2011년에는 예산 622억을 들여 4대문 및 체성을 복원한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복원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3.2. 구조, 건축
조선총독부 광주지형도(1917, 1:10000)를 바탕으로 추정한 19세기 후반 광주읍성. 관아 영역 세부 |
1907년(?) 광주 전경. 광주공원 서오층석탑 쪽 언덕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앞쪽 다리는 1907년 건설된 광주교, 뒤쪽 산은 장원봉이다.[좌우반전] | 1900년대. 광주공원에서 바라본 광주읍성과 무등산. 앞쪽은 작은 장이 열리던 모래톱. 오른쪽은 노지다리. |
3.2.1. 성벽
- 성벽: 둘레는 약 2,500m, 높이는 약 2.8m였다.[신증동국여지승람] 꽤 큰 성이었음을 알 수 있다.[28] 법정동 구획으로 흔적이 남아 있다. 충장로3가-금남로3가-궁동-대의동-광산동-황금동이 둘러싸는 영역이다.
- 해자: 성벽을 둘러싸는 해자가 있었다. 광주천 조탄보를 통해 물을 끌어왔다.
1900년대 공북문(충파 앞) |
- 공북문(拱北門, 북문): 중층 문루 형태인 개거식 성문이었다(다른 성문도 비슷한 모습이었을 것이다). 충장로3가 충파(충장치안센터) 앞에 있었다. 그 자리에 광주폴리 99칸이 설치되어 있다. 한양으로 연결되는 관문이기 때문에 가장 위상이 높은 정문으로 인식되었다.[전경숙,황영산,2015]
- 서원문(瑞元門, 동문): 대의동, 제봉로와 제봉로140번길이 만나는 지점에 있었다. 광주폴리 서원문 제등이 근처에 있다.
- 진남문(鎭南門, 남문): 문화전당 부지 안, 문화전당역 1번 출구 근처에 있었다.
- 광리문(光利門, 서문): 황금동, 광주폴리 기억의 현재화가 성문이 있던 자리를 표시하고 있다.
3.2.2. 성내
3.2.2.1. 도로
격자형 도로망이 있었다. 무진주 때 만들어진 방리구획을 그대로 이어서 광주읍성이 그 위에 축성되어 나타난 특징으로 보인다. 도로망의 중심은 충장로우체국 사거리였다. 4개 성문에서 이어지는 길이 충장로우체국 앞에서 만났다.3.2.2.2. 객사
1910년대 광산관 | 충장로 쪽에서 본 광주군청(광산관 동익헌) | |
1920-1921년 광주고등보통학교가 사용할 당시 | 1910-1912년 광주농업학교가 사용할 당시 |
- 광산관(光山館): 객사. 광산은 광주의 별칭이다.[30]
- 형태: 정청은 맞배지붕, 주심포, 전면 3칸이었다. 서익헌은 팔작지붕에 전면 3칸으로 추정되며, 동익헌은 서익헌보다 지붕 높이가 낮고 전면 칸수가 많은 것으로 보이며 맞배지붕 익랑이 ┤자형으로 붙어 있다.[31]
- 위치: 1872년 지방지도에는 객사가 동북사분면(동문과 북문 사이)에 있는 것으로 그려졌지만 오류이다. 실제로는 서남사분면에 있었다.[32] 여지도서·지승·호남읍지 지도에는 1872년 지도와 달리 서남사분면에 객사가 그려져 있다. 1917년 광주지형도에 군청(郡廳)이라고 표시돼 있는 건물을 통해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 충장로1가 25-1(구 무등극장) 일대이다.
- 1909년 객사 제도가 폐지된 후 회의실, 군청, 교실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었다. 동익헌은 개조 후 광주군청이 들어섰다.[조광철,2010] 1922년 광주군청이 다른 곳[34][김경수,2021(1)]으로 이전하면서 철거되었으며 부지는 민간에 매각되었다.[조광철,2015(1)]
1900년대 황화루 | 1956년 광주형무소와 황화루(오른쪽).[37] |
- 황화루(皇華樓): 중층 누각으로, 광산관 정문이었다.
- 1910년대에 동명동 형무소 앞쪽으로 옮겨져 간수 양성소로 개조됐다. 1971년 교도소가 문흥동으로 이전한 뒤 헐렸다.[조광철,2011(1)][김경수,2021(2)]
- 객사 구역에 여러 부속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여느 객사처럼 중삼문·내삼문이 있었을 것이다. 황화루 사진 왼쪽에 중삼문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보인다.
3.2.2.3. 관아
조선총독부 광주지형도(1917, 1:10000)와 사진을 바탕으로 추정한 관청 배치 |
- 현 구도청광장 일대(금남로1가)가 관청 구역으로, 광주목(광주군) 관아가 있었다. 1896년에는 이곳에 전라남도 관찰부가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건물이 증·개축되어 규모가 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제국 시기까지 주요 관청 건물들은 금남로1가에 있었으며, 맞은편인 광산동에는 부속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900년대 추정. 오른쪽이 선화당 중삼문으로, 1910년대에 철거된 것으로 추정된다. 왼쪽 멀리 주둔지 건물이 보인다. | 1910년대 후반, 물산진열장·경무부·헌병대 정문으로 사용된 선화당 내삼문.[설명1] |
- 하모당(何暮堂)·서석헌(瑞石軒), 선화당(宣化堂): 동헌. 광주목사의 사무실이었다. 서석헌은 하모당의 별칭이다. 1896년 전남관찰부가 설치되고 관찰사 집무실로 바뀌면서 선화당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910년 관찰부가 도청으로 바뀌며 선화당 맞은편 기존 재무감독부 건물로 이전됐고(구전남도청 위치), 선화당 건물은 전남지역 특산품을 전시하는 물산진열장으로 이용되었다. 1920년대에 헐렸고 일본식 체육관인 무덕전이 건설되었다.
- 1917년 지도를 참조하면, 민주의종각 남쪽, 상무관 서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제금루(製錦樓): 동헌의 정문인 중층 문루이다. 1848년 처음 지어졌다.
- 기록에 따르면 1877년에 관아에서 화재가 일어나 소빈헌과 월소루가 불에 탔다. 이때 제금루도 화재로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소빈헌과 월소루는 2년 뒤에 복구되었으며, 제금루는 언젠가 복구되어 적어도 1896년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조광철,2015(2)] 만약 소빈헌과 제금루가 가까운 곳에 있어서 화재가 번진 것이라면, 1917년 지도를 참조했을 때, 소빈헌은 구도청광장 분수대, 제금루는 소빈헌 남쪽, 문화전당역 4번 출구 북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소빈헌(笑嚬軒): 하모당 서쪽에 있었다. 소빈헌의 누마루는 따로 월소루(月小樓)라고 불렀다.[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육화당: 선화당 근처에 있었다. 아전들의 사무실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에 경무부·헌병대로 사용되었다.[조광철,2011(2)]
- 1917년 지도에 경무부·헌병대라고 표기되어 있는 건물 위치를 참조하면, 구도청광장 시계탑 위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파일:전남 수뇌지도청 경찰부 수비대 사진엽서.jpg | |
1910년대 광주수비대 주둔지 | 1910년대 광주읍성 관청가. 문화전당역 3번 출구 옆에서 동명동 방향을 바라본 풍경이다. |
- 주둔지: 객사와 관아 사이, 행랑 형태로 된 건물이었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광주진위대가 주둔했다. 1907년 군대 해산 후에는 일본군 광주수비대, 1910년대에는 헌병경찰이 주둔했다.
1910년대, 서기청 건물을 빌려 개원한 자혜의원. |
- 서기청: 관아의 부속 건물. 1910년에 자혜의원(전남대병원의 전신)이 설립되었다.[김경수,2021(3)]
- 구도청 별관 서쪽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이외 여러 관아 건물이 있었다.
3.2.2.4. 내아
1946년 전남도청 일대. 사진 위가 남쪽이다. 왼쪽 아래 내아 건물로 추정되는 한옥 두 채가 있다. 오른쪽 사진과 주석 참조. | 1966년 전남도청 일대.[설명2] |
- 내아: 광주목사의 관사.
- 신향각 또는 문향각: 내아 뒤쪽에 있었던 부속 정자.
3.2.2.5. 기타
- 희경루(喜慶樓) 또는 관덕정(觀德亭): 현 충장로우체국(구 광주우체국)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23년에 광주향교 북쪽에 중건되었다.
- 누상고·누하고: 황금동 63번지에 있었다. 중층 창고 건물로, 1층을 누하고, 2층을 누상고라고 불렀다. 호적·군적 등을 보관하는 문서보관소였다.
- 읍창: 충장로3가 24번지에 있었다. 곡식을 보관하는 창고였다.
- 감옥: 황금동 34번지 일원(1912년 기준 광주면 서문통 9번지)에 있었다.[김경수,2021(2)]
3.2.3. 성저
3.2.3.1. 북문 밖
1910년대에 서오층석탑 쪽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설명3] |
1910년대 공북루 | 1901년 공북루에서 공북문으로 이어지는 풍경(충장로5가) |
- 공북루(拱北樓) 또는 절양루(折楊樓): 충장로5가, 독립로와 충장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었다. 서울 방면에서 공북문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있어 랜드마크 역할을 했다. 누문동 이름의 유래이다.
1910년대 큰 장. 오른쪽 언덕이 현 광주공원이다. 왼쪽 멀리 보이는 산은 제석산 치마봉이다. |
- 큰 장[조광철,2017]: 현 광주교-천교 사이 모래사장에서 열렸다. 또는 공북루 근처에서 열리기도 했다. 말 그대로 큰 장이었다. 1910년대 기준 큰 장의 거래 금액은 작은 장의 10배였다.[50][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유림숲: 유동, 임동 일대에 있었다(이 숲 이름을 따서 동 이름이 지어졌다). 광주천 제방을 보호하는 제방림, 북문 밖 도로의 가로수, 또는 풍수지리적 수구막이로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3.2.3.2. 서문 밖
- 향교
- 사직단
- 작은 장[조광철,2017]: 현 부동교 근처 모래사장에서 열렸다.
3.2.3.3. 남문 밖
대정14년(1925년) 9월 17일 이전에 찍은 사진이다.[설명4] | 남문 밖 홍살문과 느티나무 |
- 홍살문: 진남문과 현 전남대병원 사이에 홍살문이 세워져 있었다.
- 학동느티나무(광주광역시 기념물 19호): 350년 된 나무로, 전남대학교 의학박물관 옆에 있다. 남문에서 화순으로 이어지는 길에 서 있던 나무들 중 하나이다. 위 사진에서도 보이듯 바로 옆에 선정비가 있다.
3.2.3.4. 동문 밖
3.3. 광주읍성과 방위
조선시대에, 북문 밖 도로는 북서쪽을 향하고 있지만 결국 북쪽에 있는 한양으로 이어지기에 그 방향을 북쪽으로 취급했다. 북문을 기준으로 하여 동·서·남문 방향도 정해졌다. 현재 그 흔적이 도로명 등에 남아있다.[조광철,2016][최영주,2021] 최영주. (2021). 삼국·통일신라시기 광주 중심지 연구. 역사학연구, 83, pp. 35-72.[세종실록지리지]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전라도/장흥도호부/무진군[신증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35권, 전라도/광산현[여지도서] 여지도서, 전라도/광주[임영진,2008] 임영진. (2008). 統一新羅武珍都督城의 位置와 規模. 지방사와 지방문화, 11(2), pp. 243-266.[황인호,2014] 황인호. (2014). 新羅 9州5小京의 都市構造 硏究. 중앙고고연구, 15, pp. 105-146.[최영주,2021] [신증동국여지승람] [9] 근처에 있는 '도독골'이라는 지명을 근거로 들기도 하는데, 도독골·도둑골·두둑골 류 지명은 전국에 흔하다. 각각의 유래 또한, 장군(도독)이 머물만한 지형이라 해서 도독골, 진린 도독이 진을 쳤던 곳이라서 도독골, 도둑이 숨기 좋은 으슥한 곳이라서 도둑골, 도둑이 많아서 도둑골, 지형이 두둑한 형상이라서 두둑골 등 다종다양하기 때문에 무진도독성 비정의 증거가 되기 어렵다.[임영진,2008] [최영주,2021] [도도로키,2020] 도도로키 히로시. (2020). 지적원도를 활용한 신라 무진주(무주) 경관 복원. 한국고지도연구, 12(1), pp. 5-24.[최영주,2021] [도도로키,2020] [임영진,2008] [도도로키,2020] [황인호,2014] [최영주,2021] [조정규,2013] 조정규. (2013). 일제강점기 光州邑城內의 경관변화. 남도문화연구, 24, pp. 237-262.[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광주역사민속박물관. (2020). 1896년 광주 여행기 (pp. 172-233).[조정규,2013] [전경숙,황영산,2015] 전경숙, 황영산. (2015). 광주읍성 공간의 형성과 해체 그리고 재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pp. 1-11.[좌우반전] 인터넷이나 관련 서적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사진들은 좌우가 뒤집혀 있다. 이 사진이 처음 인쇄될 때부터 뒤집혀서 나온 듯 하다. ### 링크 속 사진이 실제라면, 광주교의 상류 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광주교의 상류 쪽에서 바라볼 때 절대 뒤쪽으로 장원봉이 보일 수 없다. 링크 속 사진을 이 문서에 있는 사진처럼 좌우반전해야 실제 경관이 나온다.[신증동국여지승람] [28] 동래읍성의 절반정도, 대구읍성과 비슷한 정도였다.[전경숙,황영산,2015] [30] 광산구 이름을 여기에서 따왔다.[31] 옆 동네 나주의 객사 금성관과 형태가 비슷하다.[32] 이 지도는 오류가 은근히 많은데, 양림(陽林)·방림(芳林)이 광주천 동쪽에 그려져 있는가 하면 풍영정(風詠亭)이 영산강 동쪽에 그려져 있기도 하다.[조광철,2010] 조광철. (2010.11.01). [광주갈피갈피]나라의 운명과 행보를 같이한 객사. 광주드림.[34] 현 하늘마당 캐노피 위치이다. 한편 광주면(읍)사무소가 1920년대부터 현 구시청사거리에 있었다. 1935년 도농분리정책으로 광주군이 광주부와 광산군으로 쪼개지는데, 이때 광주군청이 광산군청이 되고 광주읍사무소가 광주부청이 된다. 광주부청은 광복 후 그대로 광주시청이 되었으며 '구시청사거리'의 유래가 된다. 광산군청은 1949년 송정동으로 이전했다.[김경수,2021(1)] 김경수. (2021.11.18). [김경수의 광주땅 최초 이야기](29)행정기관. 광주매일신문.[조광철,2015(1)] 조광철. (2015.1). 근대교육 태동지에서 관공서 등으로. 광주드림.[37] 황화루의 위치는 동명동 200-26, 사진 촬영 위치는 동명동 200-183으로 추정된다.[조광철,2011(1)] 조광철. (2011.11). 황화루, 귀빈 접대 객사의 정문. 광주드림.[김경수,2021(2)] 김경수. (2021.08.12). [김경수의 광주땅 '최초'이야기](15)교도소. 광주매일신문.[설명1] 오른쪽부터 전라남도물산진열장, 전라남도경무부, 광주헌병대본부라고 적혀 있다. 문 너머로 보이는 건물은 물산진열장으로 증축된 부분이며 그 뒤에 선화당이 있었다.[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조광철,2015(2)] 조광철. (2015.2). 건물들이 품은 ‘이름’의 의미. 광주드림.[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조광철,2011(2)] 조광철. (2011.11). 선화당·하모당·내아·육화당 등 길 양편으로 관아가 즐비. 광주드림.[김경수,2021(3)] 김경수. (2021.07.01). [김경수의 우리땅 최초 이야기](10)병·의원. 광주드림.[설명2]
(보라색은 1917년 광주지형도에 그려진 건물의 형태이다. 연두색은 1966년 항공사진에서 지붕의 모양을 표시한 것이다.) 가운데 보이는 무덕전은 상술했듯 선화당 일곽에 지어진 일본식 체육관이며, 1968년 금남로 확장으로 철거됐다. 무덕전 오른쪽 위 2개 건물은 1917년 광주지형도에 그려진 것과 위치와 모양이 유사하므로, 적어도 구한말 때부터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ㄷ자형 건물은 나주·김제읍성 등의 내아와 형태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내아 건물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렇다면 그 뒤쪽은 부속 정자인 신향각으로 추정할 수 있다(증축을 거친 모습으로 추정된다). 이 건물들은 1969년 바로 옆에 상무관이 건설된 후에도 남아 있다가 1990년대 들어 다른 건물 건설로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1980년의 모습은 60-26번 사진, 23-09번 사진 참조.[김경수,2021(2)] [설명3] 사진 왼쪽에 공북루가 있으며 그 오른쪽에 조면공장이 있다(현 수기동 제일오피스텔 부근). 조면공장에서 아래쪽으로 광주천을 건너면 큰 장이 열려 있다. 사진 아래쪽 도로는 광목간도로(현 천변좌로338번길)이며 (사진 오른쪽 밖에 있는)광주교로 이어진다. 멀리 보이는 왼쪽 산은 삼각산, 오른쪽은 노고지리산으로, 가운데는 현 문흥JC가 있는 곳이다. 노고지리산 아래쪽 하얗게 보이는 것은 경양방죽으로 추정된다.[조광철,2017] 조광철. (2017.12). 광주의 큰 장과 작은 장 광주드림.[50] 한편 인근의 나주 남평장, 남원 남장이 광주 큰 장과 비슷한 규모였다. 전라도에서 가장 거래 금액이 컸던 전주장은 광주 큰 장의 2배였다. (1910년대 기준.)[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조광철,2017] [설명4] 사진 왼쪽에 느티나무가 있으며 길 따라 오른쪽에 홍살문이 있다. 홍살문 오른쪽 위에 황화루와 광산관(객사)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희미하게 보인다.[조광철,2016] 조광철. (2016.10). 남광주역은 광주의 남쪽이 아니다 광주드림.
(보라색은 1917년 광주지형도에 그려진 건물의 형태이다. 연두색은 1966년 항공사진에서 지붕의 모양을 표시한 것이다.) 가운데 보이는 무덕전은 상술했듯 선화당 일곽에 지어진 일본식 체육관이며, 1968년 금남로 확장으로 철거됐다. 무덕전 오른쪽 위 2개 건물은 1917년 광주지형도에 그려진 것과 위치와 모양이 유사하므로, 적어도 구한말 때부터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ㄷ자형 건물은 나주·김제읍성 등의 내아와 형태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내아 건물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렇다면 그 뒤쪽은 부속 정자인 신향각으로 추정할 수 있다(증축을 거친 모습으로 추정된다). 이 건물들은 1969년 바로 옆에 상무관이 건설된 후에도 남아 있다가 1990년대 들어 다른 건물 건설로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1980년의 모습은 60-26번 사진, 23-09번 사진 참조.[김경수,2021(2)] [설명3] 사진 왼쪽에 공북루가 있으며 그 오른쪽에 조면공장이 있다(현 수기동 제일오피스텔 부근). 조면공장에서 아래쪽으로 광주천을 건너면 큰 장이 열려 있다. 사진 아래쪽 도로는 광목간도로(현 천변좌로338번길)이며 (사진 오른쪽 밖에 있는)광주교로 이어진다. 멀리 보이는 왼쪽 산은 삼각산, 오른쪽은 노고지리산으로, 가운데는 현 문흥JC가 있는 곳이다. 노고지리산 아래쪽 하얗게 보이는 것은 경양방죽으로 추정된다.[조광철,2017] 조광철. (2017.12). 광주의 큰 장과 작은 장 광주드림.[50] 한편 인근의 나주 남평장, 남원 남장이 광주 큰 장과 비슷한 규모였다. 전라도에서 가장 거래 금액이 컸던 전주장은 광주 큰 장의 2배였다. (1910년대 기준.)[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조광철,2017] [설명4] 사진 왼쪽에 느티나무가 있으며 길 따라 오른쪽에 홍살문이 있다. 홍살문 오른쪽 위에 황화루와 광산관(객사)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희미하게 보인다.[조광철,2016] 조광철. (2016.10). 남광주역은 광주의 남쪽이 아니다 광주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