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1:30:47

대구 버스 달서5

달서5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6af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
[[틀:대구광역시 직행버스|{{{#!wiki style="border: 1px solid #d82026; 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6af30><colcolor=#fff> 가창
서구
남구
달서
달성
동구
북구
성서
수성
칠곡
팔공
행사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파일:남도 신3643.jpg
파일:세운버스3739.jpg
남도버스 차량 세운버스 차량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4.2.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31.4km.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달서5.png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남도버스)
종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계명대동문)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22 막차 22:24
배차 22분(일 52회)
운수사명 남도버스, 세운버스 인가대수 8대[1]
노선 남도버스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후문[단독] - 대곡역 - 상인네거리 - 월성2동 행정복지센터 - 올림픽기념관 - 제일여상 - 본리초교 - 죽전네거리 - 용산역 - 성지중교 - 국민연금네거리 - 계명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계대동문 방향 진천역
대곡지구 방향 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5번
<rowcolor=#fefefe>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6년 3,352명 -
2017년 3,293명 ▽ 59
2018년 2,947명 ▽ 346
2019년 2,872명 ▽ 75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2,292명 ▽ 580
2022년 2,262명 ▽ 30
2023년 2,479명 △ 217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5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계명대학교동문건너2
00898
파일:Daegu2.svg
계명대학교동문앞
05012
파일:Daegu2.svg
성서종합시장앞
02085
성서종합시장건너
00900
성서주공2단지앞
02307
와룡시장앞
00899
보성화성타운건너
00886
보성화성타운앞
20961
성서우방타운건너
00887
성서우방타운앞
00884
국민연금네거리
09283
국민연금네거리1
03966
동서화성타운건너
02083
동서화성타운앞
05123
조달청앞
05014
조달청건너
20960
성지중학교앞
05015
성지중학교건너
05127
평화타운건너
00864 파일:Daegu2.svg
보람타운건너
01123
보람타운앞
09107 파일:Daegu2.svg
장성초등학교건너
01124
장성초등학교앞
01122
용산역(2번출구)
02883 파일:Daegu2.svg
용산역(1번출구)
09106 파일:Daegu2.svg
용산네거리1
01118
용산네거리2
05545
죽전네거리1
01119 파일:Daegu2.svg
죽전네거리2
01120 파일:Daegu2.svg
죽전역(2번출구)
22023 파일:Daegu2.svg
우방드림시티앞
05177
우방드림시티건너
20954
본리초등학교건너
02791
본리초등학교앞
00718
성당래미안e-편한세상앞
20955
성당코오롱하늘채
09112
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건너
00725
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앞
21141
더샵달서센트럴아파트앞
05006
더샵달서센트럴아파트건너
05005
대구공업대학앞
09114
대구공업대학건너
21790
올림픽기념관건너
00577
올림픽기념관앞
00581
월성주공5단지앞
09116
월성주공4단지앞2
02334
월성주공4단지건너
02618
월성2동행정복지센터건너
00815
월성2동행정복지센터앞
02258
학산초등학교건너
22010
월성푸르지오앞
05184
월성주공2단지앞
02257
월성e-편한세상앞
05185
월성e-편한세상건너
02568
상인역e-편한세상앞
09123
영남고등학교앞
00996
영남고등학교건너
00843 파일:Daegu1.svg
성모여성의원건너
09124 파일:Daegu1.svg
성모여성의원앞
02267 파일:Daegu1.svg
월배역(4번출구)
00845 파일:Daegu1.svg
월배역(3번출구)
00848 파일:Daegu1.svg
월배초등학교건너
00847 파일:Daegu1.svg
월배시장건너
21601
월배시장앞
00836
진천역(1번출구)
05010 파일:Daegu1.svg
진천역(2번출구)
00833 파일:Daegu1.svg
유천교(진천초등학교건너)
21020
유천교(진천초등학교앞)
05174
대곡역(한라하우젠트건너)
09230 파일:Daegu1.svg
대곡역(한라하우젠트앞)
01708 파일:Daegu1.svg
대곡청구아파트건너
04097
대곡청구아파트앞
10002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후문1
02750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후문2
21022
대진중고등학교건너
21608
대진중고등학교앞
21605
삼성래미안2차앞
05335
삼성래미안2차건너
05334
남도버스2
03901
남도버스1
21774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월배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고령 606
}}}}}}}}}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성서 연계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간선
지선
출근 7250
성주 250
}}}}}}}}} ||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계명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성서캠퍼스
동문 급행1 급행5 급행7 405
425 503 523 524
527 564 7250
달서1 달서3 달서5 성서1-1
정문 급행1 524 527 564
655 성서2 250
대명캠퍼스
정문 순환2-1 509 650 706
805 836 달서4-1
후문 609 808 남구1-1
대명공연거리 300 306 518 609
651 808 남구1-1 달서4-1
}}}}}}}}} ||


[1] 남도버스 3대 / 세운버스 5대[단독] 이 노선만 단독정차한다. 다만 정문쪽은 달서3번이 정차한다.[3] 2006년 개편때 일부 노선들이 폐지 혹은 계대동문 종점이나 계명문화대 종점에서 다사읍 방천리 혹은 신흥버스로 연장 된 후 계대동문 종점으로 전담 맡은 노선이 달서2번, 달서3번이었고, 달서3번 역시 이마저 신흥버스로 연장된 후 이 노선이 유일하게 종점을 맡고 있으나 405번의 계명대역 U턴까지 추가되자 혼잡되었다. 1998년 개편 이전 신당동 계대동문 종점이었던 노선은 102번 노선이었다. 37번(337번에서 전환), 좌석 363번도 초기에는 계대동문이 종점이었는데, 1997년에 각각 다사읍 매곡리와 방천리로 종점이 연장되었기에 예외적이다. 그 이외 노선은 신당동 계대정문과 성서산업단지(신흥버스) 등에서 시.종착하였고 이후 다사읍 매곡리, 서재(방천)리등으로 종점이 연장 변경되었으며, 2001년 계대정문 종점 부근에서 여대생이 사망하는 사고가 생겨서 파호동 연장 혹은 계대동문이나 계명문화대 등으로 단축된 것이다. 2006년 개편 시기 이후 달서2번, 달서5번을 제외하고 다사읍 매곡리, 세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갈산동 신흥버스 차고지 등으로 모두 연장되었다.[4]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를 기,종점으로 삼던 노선들은 1997년부터 회차 여건 문제로 매곡리공영차고지, 방천리공영차고지 등으로 연장되었다. 거기에 2000년 연말 정문에서 일어난 사망사고로 다른 노선들도 동문, 계명문화대로 단축되거나 강창역으로 연장되는 등의 노선 조정이 있었다.[5] 655번 통학 수요도 달서5번이 넘겨받았는데, 통학 노선이라면서 배차 간격은 아주 크고 아름다워 노선 개편시 교육청과 의논해서 노선 개편의 중심은 학생들을 가장 우선시했다는 말을 자신들 스스로 거짓말로 만들어 버렸다. 그게 이미 202(-1)번의문사와 함께 서구 쪽에서 경덕여고 재학생들이 급행5번을 타고 다니는 것으로 실태가 드러난 상황.[6] 급행7번급행8번대곡동공영차고지의 포화 때문에 성서2번대천동으로 환원한 후 증차했다. 651번은 이 압박으로 인해 끝내 반야월로 연장했고, 356번조야동에서 신천대로를 통해 상리동CNG충전소에 가서 충전하고 있다.[7] 성모여성의원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