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후한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관우(후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관우(후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관우(후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후한의 인물: }}}[[관우(후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관우(후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관우(후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관제'''{{{#!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관제(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관제(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관제(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관제(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관제(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관제(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관공'''{{{#!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관서국제공항}}}에 대한 내용은 [[간사이 국제공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간사이 국제공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간사이 국제공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관서국제공항: }}}[[간사이 국제공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간사이 국제공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간사이 국제공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장목후 | 관흥 | 관통 | |
제4대 | |||
관이 |
<colbgcolor=#008000><colcolor=#ffc224> 오호대장군(五虎大將軍) 촉한 초대 한수정후 관우 | 關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600 0%, #008000 20%, #008000 80%, #006600);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송 비황족 추존 왕 안영제왕 | 安英濟王 | |
원 비황족 추존 왕 안영제왕 | 安英濟王 | ||
명 비황족 추존 황제 협천대제 | 協天大帝 | ||
청 비황족 추존 황제 관성제군 | 關聖帝君 | ||
대한제국 비황족 추존 황제 무안관제 | 武安關帝 |
| |||
출생 | 160년~165년(추정) | ||
후한 사례 하동군 해현 (現 산서성 윈청시 옌후구 하이저우진) | |||
사망 | 219년 12월 (향년 54~59세) | ||
후한 형주 남군 임저현 (現 후베이성 징저우시) | |||
능묘 | 관림(關林), 관릉(關陵) | ||
재위기간 | 한수정후 | ||
199년 ~ 219년 12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000><colcolor=#ffc224> 성씨 | 관(關/Guān) | |
휘 | 우(羽/Yǔ) | ||
부왕 | 성충왕(成忠王) 관의 | ||
모친 | 성충왕부인(成忠王夫人)[1] | ||
황후 | 영황후(英皇后) | ||
자녀 | 2남 1녀 | ||
자 | 장생(長生, Chángshēng) → 운장(雲長, Yúnzhǎng) | ||
작호 | 한수정후(漢壽亭侯) | ||
묘호 | 없음 | ||
시호 | 장무후(壯繆侯) | ||
협천호국충의대제 (協天護國忠義大帝)[2] | |||
충의신무영우인용위현호국보민정성수정익찬선덕관성제군 (忠義神武靈佑仁勇威顯護國保民精誠綏靖翊讚宣德關聖帝君)[3] | |||
현령소덕의열무안관제 (顯靈昭德義烈武安關帝)[4] | |||
신호 | 진원현응소명익한천존 (真元顯應昭明翼漢天尊)[5] | ||
사시 | 삼계복마대제신위 원진천존 관성제군 (三界解魔大帝神位 願趁天尊 關聖帝君)[6] | ||
관직 | 별부사마(別部司馬)→ 행하비태수사(行下邳太守事)→ 양양태수(襄陽太守) 겸 탕구장군(盪寇將軍)→ 양양태수(襄陽太守) 겸 동독형주사(董督荊州事) 겸 탕구장군(盪寇將軍)→ 전장군(前將軍) 겸 가절월(假節鉞) 겸 동독형주사(董督荊州事) (촉한) | ||
편장군(偏將軍, 후한) |
|
관우의 시죽도(詩竹圖)[7] |
1. 개요
후한 말, 유비 휘하의 무장. 자는 운장(雲長), 본래 자는 장생(長生). 하동군 해현 사람.삼국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지금도 역대 왕조를 비롯하여 민간에서도 굉장히 높은 인기와 명성을 자랑하는 인물이다.
2. 생애(정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연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삼국지연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삼국지연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역대 봉호
4.1. 중화왕조
왕조 | 군주 | 연도 | 신호 | 작위 | 비고 |
촉한 | 한회제 (漢懷帝) | 260년 | - | 장무후(壯繆侯) | 후작 |
북송 | 송휘종 (宋徽宗) | 1102년 | - | 충혜공(忠惠公) | 공작으로 1급 승격 |
1104년 | 숭녕지도진군 (崇寧至道眞君) | - | 공작 겸 진군 | ||
1107년 | - | 무안왕(武安王) | 왕작으로 1급 승격 왕작 겸 진군 | ||
- | 소열무안왕 (昭烈武安王) | 시호 추가(소열) | |||
1123년 | - | 의용무안왕 (義勇武安王) | 시호 개정 (소열 → 의용) | ||
남송 | 송고종 (宋高宗) | 1128년 | - | 장목의용무안왕 (壯繆義勇武安王) | 시호 추가(장목) |
송효종 (宋孝宗) | 1187년 | - | 장목의용무안영제왕 (壯繆義勇武安英濟王) | 시호 추가(영제) | |
원조 | 태정제 (泰定帝) | 1328년 | - | 현령의용무안영제왕 (顯靈義勇武安英濟王) | 시호 개정(현령, |
원문종 (元文宗) | 1331년 | 겸제조제궁신 (兼提調諸宮神) | 무녕후(無佞侯) | 신호 추시 후작으로 1급 강봉 | |
호국숭녕진군 (護國崇寧眞君) | 장목의용무안영제왕 (壯穆義勇武安英濟王) | 신호 개정(호국, 왕작으로 1급 승격(복위) | |||
명조 | 명태조 (明太祖) | 1394년 | - | 전장군한수정후 (前將軍漢壽亭侯) | 후작으로 2급 강봉 |
명신종 (明神宗) | 1578년 | - | 협천호국충의대제 (協天護國忠義大帝) | 황제로 2급 승격 | |
1613년 | 삼계복마대제신위도진천존관성제군 (三界伏魔大帝神威遠鎮天尊關聖帝君) | - | 신황(神皇)으로 격상 | ||
숭정제 (崇貞帝) | 1630년 | 진원현응소명익한천존 (眞元顯應昭明翼漢天尊) | - | 제군에서 천존으로 격상 | |
청조 | 청세조 (淸世祖) | 1652년 | - | 충의신무관성대제 (忠義神武關聖大帝) | 시호 개정(충의신무관성, |
청세종 (淸世宗) | 1725년 | 삼대공작(三代公爵) 증조부 관씨는 광소공(光昭公) 조부 관심은 유창공(裕昌公) 부친 관의는 성충공(成忠公)으로 추봉됨. | 본인(관성대제) 변동 없음 | ||
주신 (主神) | - | 청조 주신(主神)으로 임명 | |||
청고종 (淸高宗) | 1736년 | - | 산서관부자 (山西關夫子) | 별호 추시 | |
1769년 | - | 기존 시호에 영우(靈佑) 추가 | |||
청인종 (淸仁宗) | 1814년 | - | 기존 시호에 인용(仁勇) 추가 | ||
청선종 (淸宣宗) | 1828년 | - | 기존 시호에 위현(威顯) 추가 | ||
청문종 (淸文宗) | 1852년 | - | 기존 시호에 호국(護國) 추가 | ||
1853년 | - | 기존 시호에 보민(保民) 추가 | |||
1855년 | 삼대왕작(三代王爵) 증조부 광소공은 광소왕(光昭王) 조부 유창공은 유창왕(裕昌王) 부친 성충공은 성충왕(成忠王)으로 격상됨. | 본인(관성대제) 변동 없음 | |||
1856년 | - | 기존 시호에 정성(精誠) 추가 | |||
1857년 | - | 기존 시호에 수정(綏靖) 추가 | |||
1857년 | 충의신무영우인용위현호국 보민정성수정관성제군 (忠義神武靈佑仁勇威顯護國 保民精誠綏靖關聖帝君) | 충의신무영우인용위현호국 보민정성수정관성대제 (忠義神武靈佑仁勇威顯護國 保民精誠綏靖關聖大帝) | 천존에서 제군으로 강봉 | ||
청목종 (淸穆宗) | 1870년 | 충의신무영우인용위현호국 보민정성수정익찬관성제군 (忠義神武靈佑仁勇威顯護國 保民精誠綏靖翊讚關聖帝君) | - | 시호 추가(익찬/翊贊) | |
청덕종 (淸德宗) | 1879년 | 충의신무영우인용위현호국 보민정성수정익찬선덕관성제군 (忠義神武靈佑仁勇威顯護國 保民精誠綏靖翊讚宣德關聖帝君) | - | 시호 추가(선덕/宣德) |
청나라 시기 관성대제(關聖大帝)로 추존되었으며, 세간에는 삼계해마대제신위 원진천존 관성제군(三界解魔大帝神位 願趁天尊 關聖帝君), 통칭 관성제군(關聖帝君)으로 추존되었다.
4.2. 조선
대한제국 고종 시기인 1902년, 황제로서의 시호가 추봉되어 한국사에서도 정식 추존을 받은 비황족 추존 군주가 되었다.
왕조 | 군주 | 연도 | 신호 | 작위 | 비고 |
대한제국 | 고종(高宗) | 1902년 | - | 현령소덕의열무안관제(顯靈昭德義烈武安關帝) | 황제로 1급 격상 |
5. 가족 관계
- 정사에 기록된 인물
- 야사나 민간 전승에 기록된 인물
6. 평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관우의 명성은 소설 삼국지연의를 통해 널리 알려진 그의 남다른 무용, 충의와 의리는 시대를 넘어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그의 장례는 일개 적군의 무장임에도 제후의 예로서 삼국시대의 주역인 조조, 손권에 의해 치러졌다. 또한 후대 왕조의 제왕들이 공자의 문묘와 함께 그의 무덤인 무묘에 그의 신위를 세워 제사를 지내고 기렸으며[9] 민간 신앙의 대상이 될 정도로 깊은 경배의 대상이 되었다.
어느 나라 못지않게 중국 역시 삼국지를 비롯한 여러 고전 역사들에 바탕한 민족주의가 있고, 그 속에는 여러 인물들이 있었다. 그러한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관우는 신격화될 만큼 오랫동안 민중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은 유명한 위인이다. 물론 여기서의 민족 개념은 근대 이후 창안되어 통용되는 서양식의 민족 개념이라기보다는 진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전한 때 정립되었고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는 중국인들의 중화사상 또는 한족의 개념에 가깝다고 보는 것이 옳다.
중국인들은 관우를 '관공'이라고 높이며 매우 존경한다. 사후 약 2천 년인 오늘날에도 관우는 수많은 팬들이 있으며,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국가를 따지지 않고 각종 게임, 영화, 드라마, 그리고 만화 등 여러 창작물에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인들은 관우를 존경하고 사모하는 마음이 너무나도 큰 나머지 종교적으로 신봉할 정도다. 더불어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작품 곳곳에서 관우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가 등장한다.[10]
북형주의 완전한 수복 이전, 관우가 오나라와의 동맹을 유지하고 위나라로부터 형주를 완전히 수복했다면 한중의 유비가 장안 방면으로 관중을, 건업의 손권이 합비 방면으로 회남을 치고 강하의 여몽과 육손은 여남으로, 최종적으로 관우 본인은 남양 방면으로 직접 중원을 쳐 4중 협공이 이루어졌을 것이고 감히 천하를 도모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계획이 바로 우리나라에는 천하삼분지계로 알려져있는 융중대이다.
관우에 대한 추앙은 높아져 후대에는 공(公)에서 왕(王)을 넘어 주군 유비와 동급인 황제(帝)까지 추존되었고 급기야 신으로 모셔지기까지 했다. 보통 추존은 군주가 자신의 직계 조상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가문이 왕가가 아님에도 이렇게 후대에 격상된 경우는 굉장히 예외적이었다.[11]
애당초 관우는 완전무결한 영웅이 아니었다. 전장에서는 패배하기도 했고, 적에게 항복하기도 했었다. 오만한 성품으로 인해 주위 사람들과는 화목하지 못했고 불필요한 문제를 만들기도 했으며, 이것이 빌미가 되어 끝내 패망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모든 결점을 뛰어넘을 영웅의 자질을 지니고 있었다. 주군 유비에 대한 그 끝 모를 의리와 이미 손아귀에 넣은 부귀영화를 마치 아무것도 아닌 양 내던지고 적수공권인 유비에게 돌아가는 관우의 모습은 실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유비가 모든 인재와 병력을 뽑아간 이후에도 얼마 안 되는 남은 병력만으로 사력을 다해 형주를 지켜내는 모습은 실로 처절하기 그지없는 모습이었다. 그는 자신이 믿는 것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칠 수 있는 인간이었으며, 신념을 위해 스스로의 목숨을 버릴 수 있는 자였다.
관우는 결코 백전불패의 완벽한 명장이 아니었다. 때로는 패배했고, 때로는 실책도 저질렀으며, 최후의 순간에는 천하에 이름을 날리던 그도 일개 패장(敗將)에 불과했다. 하지만 평범한 대중이나 소시민들이 이상(理想)으로 생각한 삶의 태도를 그는 현실 세계에서 끝까지 지켜냈다. 비록 실패하더라도 끝내 굴복하지는 않았다. 강자에게는 도도했지만 약자에게는 너그러웠다. 그의 비극적인 삶이 마침내 종막을 고하는 순간, 역설적이게도 그로 인해 관우는 영원불멸의 존재가 되었다.
6.1. 시호 논란
관우의 시호 장무(壯繆)는 촉한이 추서한 것인데, 장(壯)은 대체로 좋은 의미[12]라는 점에서 문제가 없다.하지만 문제는 나머지 무(繆)라는 한자의 의미가 분명하지 않기에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부분에서 논쟁이 나오고 있다. 왜냐하면 무(繆)는 류(謬)[13]의 통가자로 '명성과 실제가 부합하지 않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석에 반영한다면 촉한에서 시호를 받은 12명의 인물들 중 11명[14]은 모두 좋은 시호를 받았으나, 유일하게 관우는 복합적인 의미의 시호를 받은 셈이라고도 볼수 있기에, 앞글자는 선시, 뒷글자는 악시인 장무(壯繆)라는 시호가 촉한정통론 대두 이후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무(繆)라는 한자의 해석은 다른 한편으로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목(穆)과도 상통하는데, 류(謬)와 목(穆)은 상통하지 않으며 의미도 어마어마하게 다르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을 의미하는 류(謬)와 다르게, 목(穆)은 덕을 펴고 의로움을 지켰다는 좋은 의미이기 때문이다. [15]
하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도 과거부터 명확하게 답이 나오진 않았는데, 예를 들자면 명나라 학자 정민정은 무(繆) 목(穆)으로 해석하고, 양장거는 무(繆)를 류(謬)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논란거리들을 정리하자면 장무(壯繆)는 칭찬과 비판이 섞인 중시(中諡) 내지는 평시(平諡)라고 볼 수 있는 복합적인 의미를 가진 시호라고 해석할 수 있다.
6.1.1. 관우의 시호는 '장류(壯謬)'라고 읽어야 하니 '악시'로 해석해야 한다
관우의 시호 중 무(繆)라는 한자를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의미로 해석하는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목(穆)을 시호로 쓰고 싶은 경우에는 주로 목(穆)으로 쓰고 무(繆)로도 자주 쓰이기도 했지만, 류(謬)라는 의미를 시호로 쓰고 싶은 경우라면 본자인 류(謬)라는 한자를 쓰기보다는 통자인 무(繆)를 많이 썼다는 점을 근거로 들면서, 관우의 시호를 장무(壯繆)가 아니라 장류(壯繆)로 읽어야 하며 이는 악시라고 불러야 한다는 주장한다.다시 말해 무(繆)는 상시인 목(穆)과도 상통하므로 해석에 있어 자주 혼동되지만, 그럼에도 해당 경우는 류(謬)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그에 대한 근거로는 이는 관우의 다음 세대 촉 인물인 진수가 하증의 시호를 논의하면서 제시한 풀이이며 한서에서의 사용례, 서진에서의 사용례, 후한대 채옹의 풀이와도 일치한다.#
6.1.2. 관우의 시호는 '장목(壯穆)'으로 읽어야 하니 '선시'로 해석해야 한다
반대로 무(繆)를 목(穆)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쪽도 존재하는데, 삼국지집해의 저자 노필은 정민정의 설이 지극히 합당하다 하였다. 정민정의 설을 인용해 보자선주 때에는 오직 법정만이 시호를 받았고 후주 때에는 제갈량이 공과 덕으로 세상을 덮었으므로 (시호를 받았고) 장완과 비의 역시 시호를 받았다. 이때에 이르러 관우, 장비, 마초, 방통, 황충, 조운이 모두 시호를 추서 받았다.
생각건대, '繆(목)'와 '穆(목)'자는 옛적에 서로 통용하여 썼으니 마치 진목공[16]과 노목공을 맹자에서, 한나라 목생(穆生)과 진나라 목동(穆彤)을 역사서에서 모두 '繆'자로 쓴 것과 같다. 송나라 악비의 시호는 무목(武穆)이니 이것과 뜻이 같다. 지금 사람들이 악시로 여기는 것은 시법에 "무공을 이루지 못한 것을 ‘莊(장)’이라 한다" 한 것과, 채옹의 독단(獨斷)에 “이름과 실제가 어긋난 것을 '류(謬)'라 한다" 한 것 때문이니 어찌 (이러한 해석이) 이치에 맞는다 하겠는가? 만약에 과연 악시였다면 사서에 시호를 추서 받은 것을 당시 사람들이 영예로 여겼다고 쓰지 못하였을 것이다.
시법을 살펴보면 "덕을 베풀고 의로움을 집행한 것을 ‘穆(목)’이라 한다" 하였고 "충성스러움이(忠-中은 忠의 통용자) 모습에 드러난 것을 '穆(목)'이라 한다” 하였다. 예기(禮記) 대전(大傳)편에 "소목(昭穆)으로 순서를 정한다" 하였는데 고본(古本)에는 '穆(목)'이 '繆(목)'으로 되어있으며 춘추좌씨전에는 '穆(목)'을 대부분 '繆(목)'으로 썼다. 이 '穆(목)'자와 '繆(목)'자는 옛적에 모두 통용하여 썼던 것이다.
생각건대, '繆(목)'와 '穆(목)'자는 옛적에 서로 통용하여 썼으니 마치 진목공[16]과 노목공을 맹자에서, 한나라 목생(穆生)과 진나라 목동(穆彤)을 역사서에서 모두 '繆'자로 쓴 것과 같다. 송나라 악비의 시호는 무목(武穆)이니 이것과 뜻이 같다. 지금 사람들이 악시로 여기는 것은 시법에 "무공을 이루지 못한 것을 ‘莊(장)’이라 한다" 한 것과, 채옹의 독단(獨斷)에 “이름과 실제가 어긋난 것을 '류(謬)'라 한다" 한 것 때문이니 어찌 (이러한 해석이) 이치에 맞는다 하겠는가? 만약에 과연 악시였다면 사서에 시호를 추서 받은 것을 당시 사람들이 영예로 여겼다고 쓰지 못하였을 것이다.
시법을 살펴보면 "덕을 베풀고 의로움을 집행한 것을 ‘穆(목)’이라 한다" 하였고 "충성스러움이(忠-中은 忠의 통용자) 모습에 드러난 것을 '穆(목)'이라 한다” 하였다. 예기(禮記) 대전(大傳)편에 "소목(昭穆)으로 순서를 정한다" 하였는데 고본(古本)에는 '穆(목)'이 '繆(목)'으로 되어있으며 춘추좌씨전에는 '穆(목)'을 대부분 '繆(목)'으로 썼다. 이 '穆(목)'자와 '繆(목)'자는 옛적에 모두 통용하여 썼던 것이다.
즉, 정민정의 주장에 따르면 장무(壯繆)은 통가자로서 장(壯)은 실제 시법에 있는 장(莊)의 통가자로 쓰였으므로 곧 장목(莊穆)이며 좋은 의미를 가진 미시 or 선시로 쓰였고, 삼국지 판본과 화양국지를 살펴보면 오래전부터 장목(壯繆)을 장목(莊穆)으로 통가하여 썼으며 진수는 이 시호가 내려지자 당시 사람들이 명예로 여겼음을 기록하여 악시가 아님을 명시했다는 것이다. 이 ‘莊穆’이라는 시호는 위서에도 나온다. 위서 원자옹열전을 살펴보면 원자옹은 패전하여 죽은 뒤 조야(朝野)에서 애석하게 여겼고 ‘莊穆’이라는 시호를 받는다. 이는 관우의 예와 일치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穆(목)'과 '繆(목)'은 서로 통용하여 쓰던 글자이다.
- '장목(壯繆)'은 '장목(莊穆)'으로 읽어야 하며 미시(美諡)이다.
- 정사 삼국지 판본과 화양국지를 살펴보면 오래 전부터, 어쩌면 진수 당시부터, '장목(莊穆)'을 '장목(壯繆)'으로 통가하여 기록했고 후대의 판본들도 그대로 썼음을 알 수 있다.
- 진수는 이 시호가 내려지자 당시 사람들이 영예로 여겼음을 기록하여 악시가 아님을 명시했다.
- 통가자와 시호에 무지한 사람들이 이를 악시로 여겼을 뿐, 이에 대한 논박은 오래 전에 있었다.
- 우연에 가깝지만 건륭제가 관우에게 내린 충의후(忠義侯)라는 시호 또한 장목후와 의미가 비슷하다.
후주 유선은 부곡의 손에 비명횡사한 장비에게도 그 공로를 기려 '환[17]'이라는 시호를 내렸고 촉한에서는 시호를 추서한 예가 손에 꼽을 만큼 적고 악시를 추서한 예가 전무하거니와 관우에게만 유독 악시를 내렸는데 당시 여론이 이를 영광스럽게 여겼을리 만무하고 또한 시호를 선시(善諡)와 악시(惡諡)를 뒤섞어 내리는 경우도 예에 어긋난다. 따라서 관우의 시호는 '장목후'로 읽어야 하며 선시라고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7. 인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인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인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말말말
漢末才無敵(한말재무적) 한나라 말기 그 재주 무적이니
雲長獨出群(운장독출군) 운장 홀로 무리 가운데 우뚝하네
神威能奮武(신위능분무) 신 같은 위엄 능히 무력을 떨치고
儒雅更知文(유아갱지문) 학자처럼 우아하며 학문도 뛰어나니
天日心如鏡(천일심여경) 그 마음 하늘의 태양처럼 빛나고
春秋義薄雲(춘추의박운) 춘추에 전할 충의는 높은 구름 같구나
昭然垂萬古(소연수만고) 찬란히 만고에 전할 테니
不止冠三分(부지관삼분) 그 옛날 삼분에서 으뜸일 뿐이랴
雲長獨出群(운장독출군) 운장 홀로 무리 가운데 우뚝하네
神威能奮武(신위능분무) 신 같은 위엄 능히 무력을 떨치고
儒雅更知文(유아갱지문) 학자처럼 우아하며 학문도 뛰어나니
天日心如鏡(천일심여경) 그 마음 하늘의 태양처럼 빛나고
春秋義薄雲(춘추의박운) 춘추에 전할 충의는 높은 구름 같구나
昭然垂萬古(소연수만고) 찬란히 만고에 전할 테니
不止冠三分(부지관삼분) 그 옛날 삼분에서 으뜸일 뿐이랴
9. 미디어 믹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기타 창작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관우/기타 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f> | 관우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생애 | 생애 · 연의 | |
평가 | 평가 · 인기 | ||
가족 | 틀:관우 가문 | ||
기타 | 기타 창작물 · 미염공 · 관성대제 · 관왕묘 · 관림 · 관릉 · 관장지용 · 오관참장 · 청룡언월도 · 쿨가이 관우 · 하이저우 관제묘 · 도원결의 · 삼영전여포 · 한수정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ecd2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증조부 | 조부 | 부왕 |
광소왕 | 유창왕 | 성충왕 | |
증조모 | 조모 | 모후 | |
광소왕부인 | 유창왕부인 | 성충왕부인 | |
본인 | |||
황제 관성대제 | |||
황후 | |||
영황후 | |||
장남 | 차남 | ||
갈충왕 | 현충왕 | ||
손자 | |||
관통 · 관이 | |||
삼국지연의 · 수호전 가공인물 | |||
삼남 | 장녀 | 직계 후손 | |
관색 | 관은병 | 관승 |
도교의 신(神)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청사어 | 원시천존 | 영보천존 | 도덕천존(노자 | 태상노군) | 황천후사 | 자미제군 | 천황대제(구진) | 남극장생대제 | 태을구고천존 |
선천존신 | 서왕모 | 동왕공 | 두사원군 | 삼관대제 | 오방오로 | 현천상제 | 뇌성보화천존 | |
천지산천백신 | 구황대제 | 태양성군 | 태음성군 | 귀두성군 | 아아랑랑 | 중악대제 | 동악대제 | 서악대제 | 남악대제 | 북악대제 | 수선존왕 | 사해용왕 | 금광성모 | 뇌공 | |
명부 | 옥황상제 | 송성조 | 원천대성후 | 풍도대제 | 십전염군 | 오방귀제 | 흑백무상 | 음양사 | 판관 | 일야유신 | |
성현선진 | 반고 | 여와 | 복희 | 신농 | 황제 | |
민간 | 구천현녀 | 천상성모(태만마조신어) | 태산랑랑 | 조군 | 복록수 | 재신 | 문신 | 성황 | 경주 | 복덕정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008000 20%, # 008000 80%, #008000);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촉서 관장마황조전 | ||||
관우 | 장비 | 마초 | 황충 | 조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0B23F, #f5d133 20%, #f5d133 80%, #E0B23F); color: #755f2b;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 제(帝) | |||
보생대제 | 협천대제 | 현천상제 | 금궐상제 | |
고명상제 | 옥궐상제 | 자비성제 | 정마대제 | |
제군(帝君) | ||||
악성제군 | ||||
명 황제 · 비황족 추존 황후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ecd21, #f9d83e 20%, #f9d83e 80%, #fecd21); color: #00386a;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관성제군 | |
청 황제 | }}}}}}}}} |
<colbgcolor=#E8CB2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09C00, #E8CB2D 20%, #E8CB2D 80%, #C09C00); color: #b22222;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무안관제 |
촉서(蜀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d0f4d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1권 「유이목전(劉二牧傳)」 | 2권 「선주전(先主傳)」 | 3권 「후주전(後主傳)」 | ||||
유언 · 유장 | 유비 | 유선 | |||||
4권 「이주비자전(二主妃子傳)」 | 5권 「제갈량전(諸葛亮傳)」 | 6권 「관장마황조전(關張馬黃趙傳)」 | |||||
감부인 · 목황후 · 경애황후 · 장황후 · 유영 · 유리 · 유선(璿) | 제갈량 ,제갈교 제갈첨 동궐 번건, | 관우 ,관흥, · 장비 ,장포, · 마초 ,마대, · 황충 · 조운 ,조통 조광, | |||||
7권 「방통법정전(龐統法正傳)」 | 8권 「허미손간이진전(許糜孫簡伊秦傳)」 | 9권 「동류마진동여전(董劉馬陳董呂傳)」 | |||||
방통 ,방굉 방림, · 법정 | 허정 · 미축 · 손건 · 간옹 · 이적 · 진밀 | 동화 · 유파 · 마량 ,마속, · 진진 · 동윤 ,진지, · 여예 | |||||
10권 「유팽요이유위양전(劉彭廖李劉魏楊傳)」 | 11권 「곽왕상장양비전(霍王向張楊費傳)」 | 12권 「두주두허맹래윤이초극전(杜周杜許孟來尹李譙郤傳)」 | |||||
유봉 ,맹달, · 팽양 · 요립 · 이엄 · 유염 · 위연 · 양의 | 곽준 ,곽익 나헌, · 왕련 · 상랑 ,상총, · 장예 · 양홍 ,하지, · 비시 | 두미 · 주군 · 두경 · 허자 · 맹광 · 내민 · 윤묵 · 이선 · 초주 ,초수, · 극정 | |||||
13권 「황이여마왕장전(黃李呂馬王張傳)」 | 14권 「장완비의강유전(蔣琬費禕姜維傳)」 | 15권 「등장종양전(鄧張宗楊傳)」 | |||||
황권 · 이회 · 여개 · 마충 · 왕평 ,구부, · 장억 | 장완 ,장빈 장현 유민, · 비의 · 강유 | 등지 · 장익 · 종예 ,요화, · 양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35px -0px -10px" | <tablebordercolor=#008000> | }}} }}}}}}}}} |
[1] 성충왕부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 부인은 단지 제후의 정실을 높여 부르는 칭호이다. 청나라 시기 관우의 부친, 조부, 증조부가 공작, 왕작으로 추존될때도 모친, 조모, 증조모에겐 공비(公妃), 왕비(王妃)를 비롯한 어떤 작위도 추존하지 않았다.[2] 명나라 만력제 추존.[3] 청나라 광서제 추존.[4] 대한제국 고종 추존.[5] 명나라 숭정제 추존.[6] 민간 추시.[7] 관우가 유비가 원소 휘하에 있다는 소식을 듣고 대나무 그림과 시를 지어 유비에게 보냈다고 전해지는 시죽도(詩竹圖)다.[8]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부정적 의견이 주류지만 조선시대 이전에는 기자조선의 초대 군주로 섬겨졌다.[9] 따라서 문의 공자, 무의 관우를 같은 위치에서 본다는 의미로 공자의 묘역을 공림, 관우의 묘역을 관림이라 부른다.[10] 한국에서는 관우를 군신(軍神)으로 모시는 관왕묘가 지어졌고, 숙종, 영조 등이 이에 참례했다. 숙종 때부터 민간에도 관우에 대한 숭배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일본에서도 이러한 관왕묘가 존재하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 국가 모두 중국처럼 신격(神格)으로 보기보단 삼국지를 대표하는 영웅으로 인식하거나 무속의 경우 일종의 신령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11] 비슷한 케이스로 문성제로 추존된 공자나, 한국사에서는 후대에 흥무대왕으로 추존된 김유신이 있다.[12] 전쟁을 여러 차례 일으킴(兵甲亟作), 지혜롭고 굳세어 적을 굴복시킴(睿圍克服), 싸우다가 들판에서 죽음(死于原野), 무예가 있으면서 내세우지 않음(武而不遂) 등. 대표적으로 초장왕이 이 시호를 받았으며, 관우와 동시대에 이 시호를 받은 인물로는 적과 싸우다 죽은 방덕과 장합이 있다.[13] 오류 할 때의 '류'가 이 한자를 쓴다.[14] 법정, 제갈량, 장완, 비의, 진지, 하후패, 조운, 장비, 마초, 방통, 황충이다.[15] 명나라 때 인물인 정진명(鄭振明)은 무(繆)가 목(穆)[18]의 통가자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다만 진서에 기재된 진수의 시법 풀이와 맞지 않을뿐더러, 같은 삼국지 내에서도 목(穆)의 뜻으로 무(繆)를 시호로 받은 다른 케이스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반론을 피할수는 없다.[16] 사기에서도 이렇게 쓰고 있는데 정목공과 진목공의 싸움을 적을 때 두 사람 모두 '穆'을 '繆'로 표기했다.사기 원문[17] 桓- 辟土服遠:땅을 넓히고 멀리 있는 자들을 굴복시킴, 克敬動民:능히 공경하여 백성을 움직임, 辟土兼國:땅을 넓히고 나라를 겸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