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14:06:31

곽민정

<colbgcolor=#22293e><colcolor=#ffffff> 곽민정
郭珉整|Kwak Minjeong[1]
파일:곽민정.jpg
출생 1994년 1월 23일[2] ([age(1994-01-23)]세)
경기도 성남시[3]
본관 청주 곽씨[4]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안양부흥초등학교 (졸업)
평촌중학교 (졸업)
수리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과학 / 학사)
신체 166cm, 48kg[5], A형
종교 천주교 (세례명: 라파엘라)
가족 아버지 곽윤석(1966년생)[6]
어머니 노성희(1966년생)
남동생 곽태영(1996년생)
배우자 문성곤(2021년 5월 29일 결혼 - 현재)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7]
1. 개요2. 선수 경력
2.1. 2007-08 시즌2.2. 2008-09 시즌2.3. 2009-10 시즌2.4. 2010-11 시즌2.5. 2011-12 시즌2.6. 2012-13 시즌2.7. 2014-15 시즌2.8. 은퇴 이후
3. 기술 및 특징4. ISU 공인 최고 점수5. 프로그램6. 커리어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 現 피겨 스케이팅 코치 겸 해설위원이다.

2. 선수 경력

2.1. 2007-08 시즌

2007 JGP 에스토니아 10위, 2017 JGP 영국 13위를 기록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2.2. 2008-09 시즌

2008 JGP 멕시코 대회에서 만 14세의 나이로 동메달을 땄다. 당시 기록으로 김연아를 제외하고 최연소 주니어 그랑프리 메달리스트였다.[8] 2008 JGP 영국 대회에서 13위, 2009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22위를 기록했다.

2.3. 2009-10 시즌

2009 JGP 미국과 2009 JGP 크로아티아 대회에서 모두 11위를 기록했고, 2009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우승하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2010 종합선수권에서는 노비스 선수인 김해진에게 밀려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0 사대륙선수권에서 시니어 데뷔를 하였으며, 이 대회에서 개인 최고점을 30점 이상 끌어올린 154.71점으로 6위에 올랐다.[9]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총점 155.53점으로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고 종합 13위를 기록했다. 이 당시 곽민정의 경기를 중계하던 해외 방송들은 "김연아여왕이라면 곽민정은 공주" 등의 발언이 등장하는 등 전체적으로 나이에 비하면[10] 괜찮은 기량을 갖고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 여담으로, 훗날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가 되는 카롤리나 코스트너는 프리 경기에서 3번을 넘어지는 엉망인 경기를 선보이며 88.88점을 찍고 16위가 되는 바람에 곽민정보다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이 때 이름을 알리면서 잠깐 동안 김연아와 함께 CF에 나오거나 단독 CF를 찍기도 했다. 올림픽 이후 잠시 동안 브라이언 오서를 코치로 맞았으나 김연아 브라이언 오서 결별 사건으로 인해 헤어졌다. 2010 세계선수권에서는 22위를 했다.

2.4. 2010-11 시즌

김연아가 세계선수권을 제외한 대회에 출전하지 않아 한국 선수 중 유일하게 세계에 이름을 알린 선수였다. 전 시즌 사대륙선수권과 올림픽에서 선전한 성과로 2010 컵 오브 차이나201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초청을 받아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11] 2번의 그랑프리 대회에서는 각각 9위와 11위를 했다.

2011 종합선수권2011 아스타나·알마티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모두 동메달을 땄다. 동계 아시안 게임 한국 여자 싱글 선수로서는 최초이며, 한국 피겨 스케이팅에서는 아이스 댄스 양태화 / 이천군 조에 이은 2번째이다.[12] 2011 사대륙선수권에선 8위를 거뒀다. 그러나 2011 세계선수권 연습 도중 양쪽 허벅지 근육이 모두 파열되어 예선에서 탈락했다.

2.5. 2011-12 시즌

체형이 바뀌며 허리 부상에 시달려서 3회전 점프의 성공률은 다소 떨어지긴 했으나, 표현력은 늘었다. 2012 사대륙선수권에서 10위에 올라 3년 연속 10위권에 진입했으며 2012 세계선수권에서 28위를 했다.

2.6. 2012-13 시즌

시즌을 앞두고 연습 도중 계단에서 넘어져서 발목 인대가 끊어지는 부상을 당했다. 이후 재활을 거쳤으나 3회전 점프는 거의 뛰지 못하게 되었다. 동계체전과 종별선수권에 잠시 복귀했으나 3회전 점프를 가져오지는 못했다. 이 시즌 주니어에서 김해진박소연이 주니어 그랑프리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땄는데 이 점을 의식한 듯 곽민정은 한 인터뷰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김연아와 후배들 사이의 중간다리" 라고 칭했다. 이후 만성적인 부상으로 2013-14 시즌을 통으로 스킵했으나, 여러 경로에서 재기의 의사를 표시했다.

2.7. 2014-15 시즌

2015 그라나다 동계 유니버시아드 출전을 목표로 2014년 10월에 열린 루마니아 크리스탈 스케이트 오브 루마니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여전히 3회전 점프는 뛰지 못했지만 부상과 체형변화를 이겨내고 현역으로 복귀하여 팬들이 환영했다. 국내대회는 2014 회장배 랭킹대회로 두 시즌 만에 복귀했으나, 쇼트 경기에서 60명의 출전자 중 51위를 기록하며 24명까지 진출하는 프리 스케이팅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랭킹대회에서 일정 기술점을 얻어야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할 수 있었으나, 기술점도 채우지 못해 목표했던 유니버시아드 출전은 하지 못했다. 랭킹대회 쇼트 프로그램 경기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8. 은퇴 이후

KBS에서 중계한 2017 종합선수권에서 김승휘 아나운서와 함께 등장해 해설위원으로 데뷔했으며,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김승휘 아나운서와 다시 해설위원으로서 호흡을 맞췄다. 보조 코치로 일하는 만큼 현역 선수에 대한 사사로운 정보를 많이 알고 있었고, 동체 시력은 좋아서 회전수를 실시간으로도 잘 보는 편이었으나 캐스터와 해설 위원의 역할이 뒤바뀌어 있었으며 비점프의 해설 수준이 크게 떨어졌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도 김승휘 아나운서와 함께 중계를 했으나 하뉴 유즈루의 백 카운터+트리플 악셀 트랜지션을 쓰리턴+트리플 악셀이라고 당당하게 해설한 적도 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남현종 아나운서와 중계를 했는데, 4년 전보다 발전된 해설 수준을 보여주었고, 클로징 멘트(경기장 이름)를 본인이 직접 함으로써 KBS에서 엔딩 요정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었다. 여자 싱글에서는 유영의 쇼트 경기를 빼고 모두 시청률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과를 냈는데, KBS 메인 축구 캐스터 남현종이 중계 실력으로 이미 이름을 알린 가운데 피겨 종목의 진행도 굉장히 안정적이었으며, 3사 해설위원 중에서 곽민정의 인지도가 제일 높았던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별개로 도핑 테스트에 적발된 카밀라 발리예바별 문제없이 출전하자 불쾌함을 숨기지 않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2021-22 시즌에는 임은수의 보조 코치로서 국제대회에 동행하였다.

남편 문성곤이 아직 현역 선수여서 내조에 집중하고자 2017년부터 담당하였던 KBS 해설위원을 2025년 들어 그만두었다. 2025 종합선수권부터는 박소연이 해설위원 직함을 넘겨받았는데, 박소연은 점프 해설마저도 약했다. 박소연은 결혼과 거취 문제로 해설을 오래 진행하지 않았고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부터 KBS해설 위원은 김예림으로 교체되었다.

3. 기술 및 특징

점프 요소
특이하게도 악셀을 제외한 5종 점프 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러츠에 강점이 있었다. 도약의 테크닉이 굉장히 깨끗해서 프리로테이션이나 풀블레이드를 전혀 보이지 않았으며[[:파일:곽민정 트럿 슬로우.gif|
]], 왼발을 바깥쪽으로 깊게 기울여서 역방향으로 신체를 감는 탄력을 이용해야하는 러츠 점프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발목을 무섭게 꺾어서 빠르게 떠올랐다. 그러다보니 몸이 가볍고 연약한 편임에도 러츠 점프 하나만은 좋은 파워가 느껴졌다.

당시 여자 선수들은 3회전+3회전 컴비네이션을 구사하지 못하는 선수들이 많았기 때문에 할 줄 알면 굉장히 경쟁력이 있었으며,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이 가장 흔했다. 곽민정도 비슷해서 3회전+3회전 컴비네이션 점프를 내세우지는 못했다. 스케이팅 스피드가 빠른 편이 아니었고 점프 도입시에도 그리 빠른 편은 아니었기 때문에 랜딩 시에도 스피드가 잘 나오는 편은 아니어서 연결 3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스피드가 확보되지는 않았다. 프리로테이션이 거의 없는 토룹을 뛰긴 했으나 자세가 높아 하체 근육을 잘 활용하지는 못했고 오른쪽 다리를 빠르게 회전시키는 데에 집중하는 테크닉을 구사하느라 러츠에서 보여주는 토 테크닉이 토룹에서는 나오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현역 생활 동안 [[:파일:곽민정 트럿더토.gif|
더블 토룹 위주로 연결]]했다. 매커니즘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었던 러츠와 달리, 플립은 전혀 그렇지 못해서 깊은 아웃 에지로 뛰었고 현역 내내 롱에지 판정을 피하지 못했다. 룹에도 그리 강한 편이 아니어서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주로 단독 살코 점프를 뛰었다.
비점프 요소
스핀에서의 회전 속도는 평균 이상이었고 레이백 스핀에서의 회전 속도가 굉장히 빨랐다. 포지션 구사 시 밸런스와 유연성이 좋았는데, 스핀 중에서는 [[:파일:곽민정 비엘만 스핀.jpg|
비엘만 스핀]]이 엄청난 장기로 꼽혔다. 비엘만 포지션을 취할 때 남들보다 상체를 많이 낮추고 다리를 더 끌어올리는 엄청난 상하체 유연성을 뽐냈고 이 포스쳐가 굉장히 예뻐서 비엘만 스핀을 설명할 때 곽민정의 사진이 종종 쓰인다. 그래서 곽민정이 구사하는 기술 요소 중 가장 많은 가산점을 받는 기술이 비엘만 스핀이 포함된 [[:파일:곽민정 레이백 스핀.gif|
레이백 스핀]]이었고, 밴쿠버 올림픽 당시 곽민정의 비엘만 스핀이 워낙 인상적이었기 때문에 국내에서 비엘만 스핀이라는 기술의 인지도가 높아졌다.

스파이럴 구성이 창의적이었다. 왼발 비엘만 스파이럴로 시작을 끊은 다음, 오른발 아웃 에지를 타고 팬 스파이럴을 3초 남짓 구사하다가 아라베스크 스파이럴과 샬롯 스파이럴 중간 정도의 포지션으로 마무리를 했는데, 오른발 주행 시 하체 유연성은 물론 밸런스 능력을 굉장히 요구하는[[:파일:곽민정 스파이럴.gif|
]] 구성을 소화했다.

상체를 우아하게 썼고, 시간이 갈수록 상체의 움직임은 물론 표현력도 발전을 보였다. 하지만 스케이팅 시 엣지가 얕고 느려서[13] 스텝 시퀀스에 취약했고 스텝 시퀀스의 레벨을 높게 받은 적이 많지 않다.
종합
종합적으로 좋은 러츠 기량과 스핀 기량 덕에 곽민정은 전성기동안 쇼트에서 좋은 기술점수를 받아왔고 프리에서도 잠재력을 보였으며 우아한 동작과 포스쳐 덕분에 중계 화면에서만큼은 국내외 모두에서 통하는 매력이 있었다.

4.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22293e><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쇼트 53.68(2010 사대륙선수권)
프리 102.37(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총점 155.53(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5. 프로그램

모바일에서는 편의에 따라 가로 모드를 사용하거나, 설정에서 '표 워드랩 사용 안함' 기능을 선택한 후 열람할 수 있습니다.
<colcolor=#ffffff><rowcolor=#ffffff><nopad> 시즌 쇼트(SP) 프리(FS) 갈라(EX)
<colbgcolor=#22293e>
2014-15
노트르담 드 파리 OST 메들리
작곡: 리카르도 코치안테
* 포레스트 검프 OST
작곡: 앨런 실베스트리
  • 패치 아담스 OST
    작곡: 마크 샤이먼[14]
-
2012-13 A Evaristo Carriego
작곡: 에두아르도 로비라
피아노 협주곡 1번 내림 나단조 Op.23
작곡: 표트르 차이콥스키
2011-12 에덴의 동쪽 OST
작곡: 리 홀드리지
쾌활한 파리인
작곡: 자크 오펜바흐
The Truth Is
노래: Charice
카프리스 보헤미안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Don't Rain on My Parade
노래: Glee Cast
2010-11 캐논 라장조
작곡: 요한 파헬벨
Get Right
노래: 제니퍼 로페즈
Don't Rain on My Parade
노래: Glee Cast
2009-10 오리엔트 특급 살인 사건 OST
작곡: 리처드 로드니 베넷
레 미제라블
작곡: 클로드 미셸 쇤베르그
The Voice Within
노래: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마쉬멜로우노래: 아이유
Supergirl
작곡: Saving Jane
2008-09 블러드 다이아몬드 OST
작곡: 제임스 뉴튼 하워드
Tango In Ebony
작곡: 막심
Stupid Cupid
노래: 맨디 무어
Somewhere
작곡: 데이비드 가렛
A Thousand Miles
작곡: 바네사 칼튼
2007-08 스트라디바리우스
작곡: 커트 베스터
-
2006-07 로미오와 줄리엣 OST
작곡: 니노 로타
그 여자 OST
리베르탱고
작곡: 아스토르 피아졸라
달콤한 인생 OST
작곡: 김지운

6. 커리어

아시안 게임
동메달 2011 아스타나·알마티 여자 싱글

||<-6><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2293e><table bgcolor=#ffffff,#1f2023><bgcolor=#22293e> 국제 대회: 시니어 ||
대회 09-10 10-11 11-12 12-13 14-15
올림픽 13th
세계선수권 22nd 33rd 28th
사대륙선수권 6th 8th 10th
GP 컵 오브 차이나 9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11th
크리스탈 스케이트 오브 루마니아 3rd
아시안 오픈 트로피 3rd
뉴질랜드 윈터 게임 1st
아시안 게임 3rd
* 대회 약자: GP=그랑프리
국제 대회: 주니어
대회 07-08 08-09 09-10
주니어 세계선수권 22nd
JGP 크로아티아 11th
JGP 미국 11th
JGP 멕시코 3rd
JGP 영국 13th 13th
JGP 에스토니아 10th
아시안 오픈 트로피 2ndJ
* 대회 약자: JGP=주니어 그랑프리
국내대회
대회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4-15
종합선수권 2ndJ 1stJ 2nd 3rd 6th
회장배 랭킹대회 1st 1st 8th 28th 51th
동계체전 1st 1st
종별선수권 1st 1st
* 위첨자 J=주니어 부문

7. 기타

8. 둘러보기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rowcolor=#ffffff,#ffffff> 여자 싱글
김연아 곽민정

파일:노는언니로고.png
역대 멤버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32A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재 고정 멤버
박세리한유미정유인이상화
반고정 멤버
김은혜서효원신수지김자인김성연
이전 고정 멤버
남현희곽민정김온아
}}}}}}}}}}}} ||

파일:골 때리는 그녀들 로고.svg 골 때리는 그
[ 현 출연진 ]
||<-3><tablewidth=100%><rowbgcolor=#0dac55,#0dac55><rowcolor=#fff,#fff><width=1000> MC : 배성재 ||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하석주 선수협회장 조혜련
제1회 GIFA컵 참가 구단
<rowcolor=#000,#000> 감독: 이영표 / 코치: 김재성
<rowcolor=#ffc0cb,#ffc0cb>
감독: 조재진 / 코치: 정종봉
<rowcolor=#fff,#fff> 감독: 백지훈 / 코치: 안진범
<rowcolor=#adff2f,#adff2f> 감독: 이근호 / 코치: 김태우
<rowcolor=#ffffff,#ffffff> FC 불나비 감독: 김영광 / 코치: 김동철
<rowcolor=#ec118f,#ec118f> 감독: 현영민 / 코치: (공석)
<rowcolor=#ffffff,#ffffff> 감독: 박주호 / 코치: 박인영
<rowcolor=#000000,#000000> FC 탑걸 감독: 최성용 / 코치: 최승호
<rowcolor=#0000ff,#0000ff> 감독: 김병지 / 코치: 김종원
<rowcolor=#fd9931,#fd9931> 감독: 최진철 / 코치: 이원영
다음 시즌 복귀 예정
<rowcolor=#2f38b2,#2f38b2>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ONE-SEASON SUSPENSION
<rowcolor=#7f00ff,#7f00ff> ''''''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2
[ 관련 문서 ]
||<|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colbgcolor=#3a5a4a,#3a5a4a> 방영 목록 ||<width=1000><colcolor=#373a3c,#ddd>파일럿 | 시즌 1 ||
시즌 2 | 리그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3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4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1회 SBS컵
시즌 5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2회 SBS컵
시즌 6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7 | 제1회 G리그 | 제1회 GIFA컵
세부 대회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 승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매치 | SBS컵 | G리그 | GIFA컵 | 올스타전
기타 구단 | 상대 전적 및 순위표 | 전 · 현직 선수 명단 | 감독진(이동 셔플) | 공인구 | 별별 기록 | 시청률 | 평가 | 논란 | 여담
스핀오프 골 때리는 외박 | 연애는 직진
OST Dreaming


[1] 로마자 이름 표기는 Kwak Minjeong이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 철자는 Jung이었지만 그 시즌 뒤로는 경기에서도 그렇고 현재까지 Jeong으로 쓴다. 위키피디아와 SNS 아이디에서도 Jeong이다.[2] 빠른 생일을 적용해 1993년생들과 학교를 다녔다. 하지만 사회에서는 1993년생과 1994년생 둘 다 친구 사이로 지내며 1993년 5월생인 남편 문성곤에게는 오빠라고 불렀지만 인스타그램 게시물에서는 그냥 이름만 부른다.[3] 태어난 곳은 성남시지만 초등학생 때부터 29세까지는 안양시에서 살았다. 결혼한 이후로는 경기도 의왕시에 거주하고 있다.[4] 족보에 의하면 함창파 33세손이며 곽윤기의 조카뻘이다.[5] 현역 시절 162~3cm였으나 은퇴 이후 키가 더 자랐다고 본인이 직접 언급했다. 2023년 8월 14일 본인의 유튜브 영상에서 키와 몸무게에 대해 언급했다.[6] 민주당 민주연구원 부국장이었다. 이 때문에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때 당시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곽민정 선수를 응원한다며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곽민정 선수는 우리 민주당의 딸"이라고 말한 일화가 있다. 현재는 여주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7] OOTD 업로드 전용 계정이다.[8] 이후 김유재2022 JGP 프랑스에서 만 13세 76일의 나이로 동메달을 따서 기록을 깼다. 곽민정 이전에 최지은, 신예지, 김나영이 주니어 그랑프리 동메달을 딴 적 있으나 이들은 만 15세 이상, 시니어 가능 나이가 된 이후에야 땄었다. 곽민정 이후 많은 선수들이 주니어 연령대에 메달을 획득하는 경우가 늘었다.[9] 쇼트에선 전체 38명의 선수 중 기술점 1위를 차지했으며, 프리에서는 전체 선수 중 기술점 4위를 기록했다.[10] 이때가 만 15세로 시니어 데뷔가 가능한 첫 해였다.[11] 김연아 - 김채화 - 김나영에 이어 시니어 그랑프리 2개 대회에 배정받은 4번째 한국 여자 선수가 되었다.[12] 다만 피겨 스케이팅에서 동계 아시안 게임은 큰 위상이 없다.[13] 한국 선수들은 대관 시간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만큼 온-아이스 훈련(on-ice. 지상 훈련은 off-ice 훈련이라고 한다.) 시간에서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다. 그래서 아무래도 점프에 더욱 몰두할 수밖에 없어 비점프가 오랫동안 약점으로 꼽혔다. 곽민정은 환경이 더 좋지 않을 시기의 선수였다는 점을 감안해야한다.[14] 크리스탈 스케이트 오브 루마니아에서 처음 선보인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해당 경기 영상은 없고, 이후로는 프리 경기에 참가하지 못하고 은퇴하여 볼 수 없는 프로그램이다.[15] 같은 군포 수리고등학교 출신이라서 더욱 그래 보인다.[16] 정황상 주니어 혹은 시니어 세계선수권에 함께 출전했을 때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17] 그도 그럴 것이 호텔 방에서 남녀가 얼굴을 맞대고 찍은 사진이었다. 그래서 한일 양국의 언론들로부터 열애설이란 말까지 나오기도 했다.[18] 이 당시 최란-이충희 부부가 판정단으로 나왔으며 곽민정의 정체를 알게된 후 고대 농구부 후배이자 제자인 문성곤에 대해 칭찬하며 문성곤-곽민정 커플을 응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