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TCD'''{{{#!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공립대학}}}에 대한 내용은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아일랜드 더블린에 위치한 공립대학: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정규 음반 ]
- ||<width=25%>[[The College Dropout|]]||<width=25%> [[Late Registration|]]||<width=25%> [[Graduation|]]||<width=25%> [[808s & Heartbreak|]]||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Yeezus| ]][[The Life Of Pablo| ]][[ye(칸예 웨스트)| ]]'''6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6d7db; font-size: 1em"'''
2013년 6월 18일[[JESUS IS KING| ]][[Donda| ]][[WW3(칸예 웨스트)|]] <colbgcolor=#fff,#1c1d1f> [[BULLY(칸예 웨스트)| ]]* Donda 2는 데모 앨범으로, 기타 음반 문단 참조 바람
- [ 싱글 목록 ]
- ||<width=650><tablebordercolor=#000,#fff><bgcolor=#fff,#1c1d1f> ||
- [ 앨범 수록 싱글 ]
- ||<-5><width=650><tablebgcolor=#fff,#1c1d1f><bgcolor=#401b13> ||3집6집8집10집11집
{{{#!wiki style="margin: -2px -10px"
{{{#!folding [ 합작 싱글 ]{{{#!wiki style="margin: -2px -10px"
{{{#!folding [ 앨범 미수록 싱글 ]취소선: 공개 중지}}}}}}
- [ 관련 문서 ]
- ||<-4><width=65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fff><bgcolor=#fff,#1c1d1f> 하위 문서 ||
활동 미발매 음반 논란 및 사건 사고 여담 ||<-5><width=65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fff><bgcolor=#fff,#1c1d1f> 패션 ||패션 YEEZY AIR YEEZY
(with NIKE)Adidas Yeezy
(with Adidas)Yeezy Gap
(with GAP)취소선: 협업 중단||<-2><width=65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fff><bgcolor=#fff,#1c1d1f> 다큐멘터리 ||지-니어스: 카니예 3부작 In Whose Name
||<-5><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69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color=#000,#fff> ![파일:kanyewestsignatureblack.svg]()
![파일:kanyewestsignaturewhite.svg]()
칸예 웨스트의 역대 정규 음반 ||
}}}}}}}}} ||
}}}}}}}}} ||
}}}}}}}}} ||
}}} ||
칸예 웨스트의 역대 정규 음반 ||
데뷔 | → | 2004년 2월 10일 1집 The College Dropout | → | 2005년 8월 30일 2집 Late Registration | |||||
주요 수상 및 선정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rowcolor=#000> 2004 | 2005 | 2006 | |||||||
Speakerboxxx/The Love Below Outkast | → | The College Dropout Kanye West | → | Late Registration Kanye West |
롤링 스톤 올해의 앨범 (2000년~2019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rowcolor=#fff>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The Marshall Mathers LP | Love and Theft | Sea Change | Speakerboxxx/The Love Below | The College Dropout | |
에미넴 | 밥 딜런 | 벡 | 아웃캐스트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Late Registration | Modern Times | Kala | Dear Science | No Line on the Horizon | |
칸예 웨스트 | 밥 딜런 | M.I.A. | TV 온 더 라디오 | U2 | |
<rowcolor=#fff>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 | 21 | Wrecking Ball | Modern Vampires of the City | Songs of Innocence | |
칸예 웨스트 | 아델 | 브루스 스프링스틴 | 뱀파이어 위켄드 | U2 | |
<rowcolor=#fff>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To Pimp A Butterfly | Lemonade | DAMN. | Invasion of Privacy | thank u, next | |
켄드릭 라마 | 비욘세 | 켄드릭 라마 | 카디 비 | 아리아나 그란데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BET가 2009년 12월 24일에 선정한 리스트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어셔 | 제이지 | 칸예 웨스트 | 머라이어 캐리 | 비욘세 | |||||
Confessions | The Blueprint | The College Dropout | The Emancipation of Mimi | I AM...SASHA FIERCE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릴 웨인 | 50 센트 | 칸예 웨스트 | 니요 | 아웃캐스트 | |||||
Tha Carter III | Get Rich or Die Tryin' | Graduation | In My Own Words | Speakerboxxx/The Love Below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Soul in Stereo가 2023년 4월 23일 재선정한 2000년대 50대 힙합 명반 리스트다. 2017년 리스트와 다르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칸예 웨스트 | 제이지(JAY-Z) | 루페 피아스코 | 클립스(Clipse) | 나스(Nas) | |||||
The College Dropout | The Blueprint | Lupe Fiasco's Food & Liquor | Hell Hath No Fury | Stillmatic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고스트페이스 킬라 | 칸예 웨스트 | 에미넴 | 커먼 | 제이 딜라 | |||||
Supreme Clientele | Late Registration | The Marshall Mathers LP | Like Water for Chocolate | Donuts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커먼 | Re-Up Gang | 고스트페이스 킬라 | 릴 웨인 | 루페 피아스코 | |||||
Be | We Got It 4 Cheap, Vol. 2 | Fishscale | Da Drought 3 | Lupe Fiasco's The Cool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제이지(JAY-Z) | 릴 웨인 | 나스(Nas) | 매드빌런(MF 둠 & 매들립) | 50 센트 | |||||
American Gangster | Tha Carter II | God's Son | Madvillainy | Get Rich or Die Tryin'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Beanie Sigel | 미시 엘리엇 | 고스트페이스 킬라 | Bubba Sparxxx | 나스(Nas) | |||||
The B Coming | Under Construction | The Pretty Toney Album | Deliverance | Untitled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AZ(에이지) | 킹 기도라(MF 둠) | 제이지(JAY-Z) | 아웃캐스트 | 리틀 브라더 | |||||
Aziatic | Take Me To Your Leader | The Black Album | Stankonia | The Minstrel Show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래퀀 | 아웃캐스트 | 엘-피(El-P) | 더 게임 | 클립스(Clipse) | |||||
Only Built 4 Cuban Linx… Pt. II | Speakerboxxx/The Love Below | Fantastic Damage | The Documentary | Lord Willin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MF 둠 | 에미넴 | 스카페이스 | 우-탱 클랜 | Cannibal Ox | |||||
Mm..Food | The Eminem Show | The Fix | The W | The Cold Vein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칸예 웨스트 | 나스(Nas) | 탈립 콸리 | 더 루츠 | 블루 & 엑자일 | |||||
Graduation | The Lost Tapes | Quality | Game Theory | Below the Heavens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마스타 에이스 | 릴 웨인 | 큐팁 | 릴 웨인 | 지지(Jeezy) | |||||
Disposable Arts | No Ceilings | The Renaissance | Tha Carter III | Let’s Get It: Thug Motivation 101 | |||||
선외가작 | |||||||||
루다크리스 | T.I.(티아이) | 진 그레이 | 미시 엘리엇 | 더 루츠 | |||||
Word of Mouf | King | Jeanius | Miss E... So Addictive | Phrenology | |||||
리틀 브라더 | 디플로맷츠 | 프리웨이 | UGK | MF 둠 | |||||
The Listening | Diplomatic Immunity | Philadelphia Freeway | Underground Kingz | Born Like This | |||||
Pharaohe Monch | Slum Village | 데 라 소울 | 캠론 | 릴 웨인 | |||||
Desire | Fantastic, Vol. 2 | The Grind Date | Purple Haze | Dedication 2 | |||||
트위스타 | 션 프라이스 | 버스타 라임즈 | 릴 킴 | Bun B | |||||
Kamikaze | Monkey Barz | The Big Bang | The Naked Truth | Trill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Thomas Galindo가 2023년 선정한 "리스트"다. | ||||||||
에미넴 | 제이지(JAY-Z) | 50 센트 | 아웃캐스트 | 제이지(JAY-Z) | |||||
The Marshall Mathers LP | The Blueprint | Get Rich or Die Tryin' | Speakerboxxx/The Love Below | The Black Album | |||||
칸예 웨스트 | 매드빌런 | 칸예 웨스트 | 릴 웨인 | 키드 커디 | |||||
The College Dropout | Madvillainy | Late Registration | Tha Carter III | Man on the Moon: The End of Day |
}}} ||
<colbgcolor=#401B13><colcolor=#dc8d1c> The 1st Studio Album The College Dropout | |
| |
아티스트 | 칸예 웨스트 |
발매 | 2004년 2월 10일 |
녹음 | 1999년 ~ 2003년 |
스튜디오 | |
장르 | 힙합 · 칩멍크 소울 · 팝 랩 · 컨셔스 힙합 · 프로그레시브 랩 · 네오 소울 |
길이 | 1:16:13 |
트랙 | 21 + 1 |
레이블 | |
|
1. 개요
2004년 2월 10일 1집 The College Dropout | → | 2005년 8월 30일 2집 Late Registration | → | 2007년 9월 11일 3집 Graduation |
| |
I swear, this right here, history in the makin', man 맹세컨대, 바로 여기서 새로운 역사가 쓰여지고 있다고 |
2. 역사
2001년 JAY-Z의 The Blueprint를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발매 전부터 기대감이 매우 높아졌었다. 발매되고 나서도 기대치를 가볍게 뛰어 넘었다는 평을 들으며 대부분의 평론 매체들의 '올해의 앨범' 리스트를 장식했다. 고전 소울과 펑크 음악들을 적절히 샘플링하고 그 위에 피치를 올린 보컬을 그대로 얹는, 칸예 특유의 프로듀싱 방법론이 그대로 녹아들어 있다.나온 시기도 시기이고 데뷔 앨범이니만큼 후의 앨범들과 비교했을 때 약간 투박하고 조금 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힙합의 이미지에 그나마 가깝게 느껴진다. 그런데도 당시 더 콰이엇과 많은 힙합 뮤지션들 사이에서도 이건 당시에 유행하던 힙합 사운드와는 확실히 결이 다르다라는 평이 지배적이었다고 한다. 칸예가 처음에 90년대의 힙합을 비롯한 온갖 음악을 카피, 재조립을 해보면서 쌓아온 내공을 통해 다른 신인 래퍼들과는 확실히 다른 칸예만의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몇년동안 나올 소울 차핑 스타일의 본격적인 시작이 되는 앨범으로 평가받으며 칸예의 영향력을 쌓은 첫번째 분기점이 되었다.
또한 그저 먹물 먹은 중산층[1] 샌님 정도로 취급받던 칸예의 대성공으로 인해 힙합의 스펙트럼이 갱스터 뮤직, 하층민의 저항 음악을 초월하여 전 세대를 아우르는 음악으로 넓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전까지는 칸예처럼 Street Life를 겪어보지 못한 래퍼가 힙합 메인스트림에서 성공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칸예는 흑인이면서 대학 교육을 받은 인물로, 이런 흑인들은 이전까지는 프로듀싱이나 작곡 정도만 했지 래퍼로서 전면에 나서는 것은 상상도 못했다. 실제로 JAY-Z 등 밑바닥 인생을 겪었던 측근들은 칸예가 래퍼가 되고자 했을 때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칸예는 대학 중퇴자라는 본인만의 아이덴티티로 보란 듯이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곧 힙합의 색깔이 다양해지는 초석으로 작용되었다.
3. 평가
The College Dropout의 평점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he College Dropout의 전문가 평점 | |||||||||||||
<rowcolor=#dc8d1c> 매체 | 평점 | |||||||||||||
Blender | ★★★★☆ | |||||||||||||
Entertainment Weekly | A- | |||||||||||||
로스앤젤레스 Times | ★★★☆ | |||||||||||||
Mojo | ★★★★☆ | |||||||||||||
Rolling Stone | 3.5/5 | |||||||||||||
Spin | B+ | |||||||||||||
USA Today | 3.5/4 | |||||||||||||
The Village Voice | A | }}} |
The College Dropout에서 칸예는 힙합계 양쪽의 진부한 표현을 전복시키는데, 이 역시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금손 프로듀서라는 거대한 스택을 쉽게 쌓을 수 있었던 사람에게는 여전히 신선하고 파격적인 시도이다. Stylus Magazine |
많은 논외의 관점들이 있지만 시간은 부족하니, College Dropout이 아직 미성숙한 2004년의 첫 번째 위대한 힙합 앨범이라고만 해두자. 부풀려진 트랙리스트, 과도한 게스트 스타, 가사의 역설. 8점 이상 앨범에 대해 다소 비판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College Dropout의 결점들은 오히려 칸예 웨스트를 아티스트로서 더욱 인간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경향이 있다. 군살 있는 플레이리스트를 다듬고 나면, 이 앨범은 2004년 힙합 도전자들에게 하늘 높은 기준을 제시하며, 남은 한 해를 채울 만큼 충분한 싱글들을 수록하고 있다. 시카고 랩 씬의 공백, 프로듀서로서의 명성, 주류/언더그라운드 경계의 혼재라는 이상적인 기상 조건이 칸예 웨스트의 등장을 위한 사전 작업을 처리했을지 모르지만, College Dropout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
2000년대 힙합의 클래식의 반열에 오른 명반 중 하나이며, 발매하자마자 평단과 대중의 찬사를 받으며 역대 최고의 데뷔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갱스터 힙합이 주류를 이루고 있던 2000년대 초반에 중산층 출신에 대학에서 미술을 공부한 자신만의 독특한 배경을 바탕으로 칸예가 선보인 컨셔스한 스토리텔링과 특유의 칩멍크 소울 샘플링은 당시로서 굉장히 파격적인 시도였으며 대중과 평론들로 하여금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칸예가 이 앨범을 통해 힙합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이 지배적이며, 더 나아가 힙합씬의 판도를 완전히 뒤바꾼 신호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칸예의 초기 음악 스타일인 이른바 '올드 칸예'의 팬들은 이 앨범을 칸예 커리어 최고작으로 뽑는 경우도 많다.
평점 사이트인 Rate Your Music에서는 칸예의 앨범 중에서 평점 1위에 있다.[2] 앤서니 판타노는 이 앨범에 만점을 줬으며, 이 앨범이 칸예의 최고작이라고 평했다.#[3] 앨범에 존재하는 모든 수록곡이 흠잡을 곳 없이 훌륭했다는 극찬은 덤.
4. 성적
발매 첫 주에 44만장을 팔며 빌보드 200에서 2위로 데뷔했다. 신인 래퍼로서 엄청난 초동 판매량이었지만, 노라 존스의 'Feels like Home'에 밀려 2위에 진입했다. 2014년까지 미국에서만 340만장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현재까지 미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칸예의 앨범이다. 2020년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4x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수록곡 All Falls Down이 소셜 미디어에서 바이럴을 타며 앨범이 발매 20년 후인 2024년에 빌보드 앨범 차트에 재입성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5. 트랙리스트
||<tablebordercolor=#401B13><tablebgcolor=#401B13> || ||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401B13><rowbgcolor=#401B13><tablebgcolor=#fff,#1c1d1f><bgcolor=#401B13><width=15%> # ||<width=70%> 곡명 || 러닝타임 ||
<colcolor=#000,#ddd> 1 Intro (Skit) <colcolor=#000,#ddd> 0:19 2 We Don't Care 3:59 3 Graduation Day (Skit) 1:22 4 All Falls Down 3:43 5 I'll Fly Away 1:09 6 Spaceship 5:24 7 Jesus Walks 3:13 8 Never Let Me Down 5:24 9 Get Em High 4:49 10 Workout Plan (Skit) 0:46 11 The New Workout Plan 5:22 12 Slow Jamz 5:16 13 Breathe In Breathe Out 4:06 14 School Spirit (Skit 1) 1:18 15 School Spirit 3:02 16 School Spirit (Skit 2) 0:43 17 Lil Jimmy (Skit) 0:53 18 Two Words 4:26 19 Through The Wire 3:41 20 Family Business 4:38 21 Last Call 12:40
TRACKLIST | |||
<rowcolor=#dc8d1c> # | 제목 | 길이 | 비고 |
1 | Intro (Skit) | 0:19 | |
2 | We Don't Care | 3:59 | |
3 | Graduation Day (Skit) | 1:22 | |
4 | All Falls Down (feat. Syleena Johnson) | 3:43 | |
5 | I'll Fly Away | 1:09 | |
6 | Spaceship (feat. GLC & Consequence) | 5:24 | |
7 | Jesus Walks | 3:13 | |
8 | Never Let Me Down (feat. JAY-Z & J. Ivy) | 5:24 | [Gold] |
9 | Get Em High (feat. Talib Kweli & Common) | 4:49 | |
10 | Workout Plan (Skit) | 0:46 | |
11 | The New Workout Plan | 5:22 | [Gold] |
12 | Slow Jamz (with Twista & Jamie Foxx) | 5:16 | |
13 | Breathe In Breathe Out (feat. Ludacris) | 4:06 | |
14 | School Spirit (Skit 1) | 1:18 | |
15 | School Spirit | 3:02 | |
16 | School Spirit (Skit 2) | 0:43 | |
17 | Lil Jimmy (Skit) | 0:53 | |
18 | Two Words (feat. Mos Def, Freeway & The Harlem Boys Choir) | 4:26 | |
19 | Through The Wire | 3:41 | |
20 | Family Business | 4:38 | [Gold] |
21 | Last Call | 12:40 | [7] |
2005 일본 스페셜 에디션 | |||
22 | Heavy Hitters (feat. GLC) | 3:55 | [8] |
===# 크레딧 #===
CREDIT | ||||
<rowcolor=#dc8d1c>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 |
1 | Intro (Skit) | DeRay | Kanye West | |
2 | We Don't Care | John Legend, Riccarda Watkins, Terence Hardy, Diamond Alabi-Isama, James "JT" Knight, Keyshia Cole | The Jimmy Castor Bunch - I Just Wanna Stop | |
3 | Graduation Day (Skit) | John Legend | ||
4 | All Falls Down | Syleena Johnson | Lauryn Hill - Mystery of Iniquity | |
5 | I'll Fly Away | DeRay, Tony Williams | ||
6 | Spaceship | GLC, Consequence, John Legend, Tony Williams | Marvin Gaye - Distant Lover | |
7 | Jesus Walks | John Legend | The ARC Choir - Walk with Me, Curtis Mayfield - (Don't Worry) If There's a Hell Below, We're All Going to Go | |
8 | Never Let Me Down | JAY-Z, J. Ivy, John Legend, Tracie Spencer | Blackjack - Maybe It's the Power of Love | |
9 | Get Em High | Talib Kweli, Common, Sumeke Rainey | ||
10 | Workout Plan (Skit) | Candis Brown, Brandi Kuykenvall, Tiera Singleton | ||
11 | The New Workout Plan | John Legend, Sumeke Rainey | ||
12 | Slow Jamz | Twista, Jamie Foxx, Tracie Spencer, Aisha Tyler | Luther Vandross - A House Is Not a Home | |
13 | Breathe In Breathe Out | Ludacris | Kanye West, Brian Miller | |
14 | School Spirit (Skit 1) | DeRay | Kanye West | |
15 | School Spirit | Tony Williams | Aretha Franklin - Spirit in the Dark | |
16 | School Spirit (Skit 2) | DeRay | ||
17 | Lil Jimmy (Skit) | DeRay, Tony Williams | ||
18 | Two Words | Mos Def, Freeway, The Harlem Boys Choir | Mandrill - Peace & Love (Amani Na Mapenzi) – Movement IV (Encounter) | |
19 | Through The Wire | Chaka Khan - Through the Fire | ||
20 | Family Business | Thomasina Atkins, Linda Petty, Beverly McCargo, Lavel Mena, Thai Jones, Kevin Shannon, Tarey Torae | The Dells - Fonky Thang | |
21 | Last Call | John Legend, Tony Williams | Kanye West, Evidence, Porse | Bette Midler - Mr. Rockefeller |
22 | Heavy Hitters | GLC | Kanye We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