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31 19:30:16

효성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춘추전국시대)의 8대 국군이자 3대 왕에 대한 내용은 조효성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미추 이사금 유례 이사금 기림 이사금 흘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진지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태종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rowcolor=#fbe673>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rowcolor=#fbe673>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선덕왕 열조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rowcolor=#fbe673>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rowcolor=#fbe673>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rowcolor=#fbe673>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효공왕
<rowcolor=#fbe673>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효성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태종 무열왕 ~ 경순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무왕 · 김인문 · 김문왕 · 김노차 ·
김인태 · 김지경 · 김개원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김삼광 · 김원술 · 김원정 · 김장이 · 김원망 · 김군승
효소왕 · 성덕왕 · 김근질 · 김사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영왕(김의관)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흥평왕(김위문)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혜충왕(김인겸) · 헌평태자 · 혜강왕(김예영)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애장왕 · 김체명
정교부인의 남편 · 심지
김능유 · 김의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양자
신덕왕
밀성대군 · 고양대군 · 속함대군 · 죽성대군 · 사벌대군 · 완산대군 · 강남대군 · 월성대군
금성대군 · 계림대군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혁거세 거서간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박남해 박유리 박일성 김알지
<rowcolor=#FBE673> 탈해 이사금 파사 이사금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박파사 박지마 석골정 석날음
태손

석조분
<rowcolor=#FBE673> 내해 이사금 내물 마립간 진흥왕 무열왕
석우로 김눌지 김동륜 김법민
<rowcolor=#FBE673>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성덕왕
김정명 김이홍 김중경 김승경
<rowcolor=#FBE673> 효성왕 경덕왕 원성왕 원성왕
김헌영 김건운 김인겸 김의영
<rowcolor=#FBE673> 원성왕 소성왕 헌덕왕
김준옹 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rowcolor=#FBE673> 흥덕왕 신무왕 문성왕 경문왕
김충공 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rowcolor=#FBE673> 진성여왕 신덕왕 경순왕
김요 박승영 김일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34대 국왕
효성왕 | 孝成王
파일:효성왕 가릉.jpg
효성왕 가릉 전경.
출생
(음력)
721년 ~ 722년 추정[1]
신라 금성
사망
(음력)
742년 5월 (향년 20~21세 추정)
신라 금성
능묘 효성왕릉 (가릉)
재위기간
(음력)
신라 왕태자
724년 12월 ~ 737년 2월 (12년 2개월)
신라 제34대 국왕
737년 2월 ~ 742년 5월 (5년 3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김씨
승경(承慶)
부모 부왕 성덕왕
모후 소덕왕후
형제자매 김중경, 김수충
동생 김헌영
누이 김사소
왕후 왕비 박씨, 혜명부인[2], 김정종의 딸
종교 불교
시호 효성대왕(孝成大王)
골품 진골(真骨) }}}}}}}}}

1. 개요2. 생애3. 여담4. 효성왕릉5. 《삼국사기》 기록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의 제34대 군주. 성덕왕의 차남. 어머니는 성덕왕의 계비인 소덕왕후(炤德王后), 왕비는 739년 맞이한 이찬(伊飡) 김순원(金順元)의 딸 혜명부인(惠明夫人). 738년 당나라로부터 책봉된 왕비가 1명 더 있는데 《삼국유사》 <왕력편>에 나오는 김정종의 딸과 동일 인물로 보인다.

2. 생애

성덕왕의 둘째 아들로 배다른 형이었던 중경이 717년 죽었으므로[3] 724년에 태자로 책봉되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생년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추정이 가능한데 소덕왕후는 720년 3월 성덕왕과 혼인하여 724년 12월에 죽었다. 이로 미루어보면 721년~724년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동생인 경덕왕이 있으므로 721년~722년 사이에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는 재위 5년만에 승하했으니 22세를 넘기지 못하고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즉위 직후 성덕왕 때 보낸 사자의 답신으로 738년 당나라로부터 '개부의동삼사 신라 왕'(開府儀同三司 新羅王)에 책봉되고 《도덕경》을 받았다.[4] 739년 동복 아우인 김헌영 즉 경덕왕을 파진찬[5]으로 삼았다. 김헌영이 바로 훗날 경덕왕이다.

그런데 이즈음 삼국유사의 신충 설화 부분을 보면, 효성왕이 공신들의 명부를 주어 상을 내렸다고 되어있는데 이 부분은 효성왕이 자신을 보필한 측근 세력을 중심으로 정치를 편 것으로 이해된다. 또 주목되는 것이 이전까지 김씨 족단 내에서 왕비를 배출하던 것과 달리 효성왕의 왕비가 박씨라는 점인데, 이를 통해 효성왕이 박씨 족단 역시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고 보기도 한다.

이러한 지배집단 교체의 여파인지, 성덕왕 말 신라가 일본에 대해 자신을 '왕성국'으로 지칭한 소위 왕성국 사건이 일어나 대일관계가 파탄에 이르렀고 일본에서 신라 침략까지 진지하게 고려할 정도로 분위기가 험악했는데, 즉위 1년후인 738년 무려 100명이 넘는 사절단을 일본으로 파견한다. 당시 신라는 상대등과 시중이 모두 효성왕의 측근으로 추정되는 정종과 의충으로 교체되었고, 일본 역시 전국적인 전염병으로 인해 타치바나노 모로에(橘諸兄), 스즈카노 왕(鈴鹿王)을 정점으로 지배집단이 교체되었는데, 이들은 현실주의 노선을 견지해 신라-발해 간의 등거리 외교를 추진했다. 이 때문인지 성덕왕때와는 달리 이 사절은 큰 차질이나 갈등을 빚지 않고 방환된다. 즉 효성왕은 일본에 대한 우월감과 국가적 자의식을 드러낸 성덕왕 때와는 달리 대일외교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다.

그런데, 739년 3월 이찬 김순원의 딸과 다시 혼인을 한다. 이전에 박씨 왕비가 있었음을 고려하면 이 이전 언젠가에 박씨 왕비가 사망해 박씨 족단이 정치적 힘을 잃고 성덕왕의 장인이었던 김순원의 딸과 결혼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한달 전에는 동생 김헌영을 파진찬으로, 이해 정월에는 신충 설화의 주인공인 바로 그 신충을 중시(시중)으로 삼는 대규모 인사이동이 행해졌다. 영종의 반란 이전까지는 김순원 세력이 효성왕과 대립했다고 볼 증거가 딱히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박씨 왕비 사망 이후 효성왕의 측근 세력 내에서 다소의 구도 변화가 일어난 듯하다.

739년 5월 파진찬으로 임명한 동생 김헌영왕태제로 책봉한다. 혼인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던데다가 효성왕의 나이가 혈기왕성한 청년기였으므로 후계자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한 나이였는데도 지나치게 빨리 동생을 후계자로 책봉한 것은 좀 석연치 않은 부분. 특기할 점은 효성왕의 비 혜명부인은 효성왕의 생모 소덕왕후의 여동생으로 효성왕의 이모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소덕왕후혜명부인은 모두 당대의 권신이었던 김순원의 딸이다. 이는 고려 전기의 제17대 인종이 두 이모와 혼인한 것과 비슷하다. 그렇다면 효성왕은 박씨 왕비 사후 측근 세력 일각이 붕괴하자 당시 실력자 중 한명이었던 김순원 세력과 동맹을 맺어 이모와 혼인을 하고[6], 만약을 위해서 동생을 후계로 세운 것으로 보인다.

740년 당나라로부터 혜명부인을 왕비로 책봉받는다. 그런데 그 직후 붉은 옷을 입은 여자가 조정의 정치를 비방한 후 홀연히 사라졌다는 기사가 있는데, 당나라의 왕비 책봉 직후 김순원 세력의 힘이 점점 강해지자 이에 대한 불만 세력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즈음 일본에서 신라로 견신라사를 파견한다. 아마 일전의 견일본사를 받아들이지 못한 것에 대한 해명과 국교 재개를 청하는 사절일 것으로 보인다.

740년 파진찬 영종반란이 있었는데[7] 반란의 원인은 영종의 딸이 효성왕의 후궁이 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는데 왕비 혜명부인이 이를 시기하여 그의 족당과 함께 후궁을 모살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단순히 투기 싸움에 의한 반란으로 치부될 수 있으나 이 때부터 중대 동안 이룩된 전제 왕권이 약화되기 시작했다는 주장도 있다.

반면 그게 아니라 효성왕이 김순원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자신의 편인 영종을 통하여 김순원의 세력을 꺾으려고 하였으나 실패하면서 2년간 김순원 세력의 힘이 크게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효성왕은 정종이나 사인, 신충 등을 통해 왕실의 권위를 지키려 하였고, 이 노력이 동생 경덕왕 대에 결실을 맺어 김순원 세력을 숙청하고 왕권이 안정적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기도 한다.[출처]

이후 왕권이 어느정도 회복되었는지 742년 다시금 무려 187인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사절단을 일본으로 파견한다. 이번 사절 역시 딱히 문제나 갈등을 겪었다는 기록이 없는 것을 보면 일본과의 관계가 완전히 갈등 해서 및 관계회복 단계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또 왕태제 김헌영이 이즈음 언제인가 김순정의 딸과 결혼하는데, 이 김순정은 일본에서도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은 대표적인 대일 유화파이자 대귀족이다.

이즈음 당으로 사신을 파견해 효성왕이 죽을 때즈음 도착했으며, 당에서도 황보봉원(皇甫奉謜)이라는 도사를 파견하여 약 2년 정도 머무르며 도교 의례를 치루었다. 이는 당에서 이전에 효성왕에게 도덕경을 주는 등 신라와 도교 외교를 펼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742년 왕이 젊은 나이에 죽자 유언에 따라 유해를 법류사 남쪽에서 화장하여 동해에 뿌렸다.

3. 여담

황제는 또한 우리 백성들이 바둑을 잘 둔다고 하여, 솔부병조참군(率府兵曹叅軍) 양계응(楊季膺)에게 조서를 내려 부관으로 같이 가게 하였는데, 우리나라의 바둑 고수들이 모두 그의 아래였다.
《삼국사기》 제9권 <신라본기> 제9 -효성왕-
"내가 그대를 잊어버린다면 저 잣나무가 증거가 될 것이다."
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후 효성왕이 왕위에 올랐을 때 공신들에게 상을 나눠주다 깜빡하고 신충의 이름을 빼먹게 된다. 그러자 신충은 잣나무에 신세 한탄하는 노래를 써서 붙였는데 잣나무가 갑자기 말라버렸다. 효성왕은 잣나무가 말라 비틀어진걸 보고 "무슨 일 있는지 조사해보라."고 하고 그 곳에 보낸 사람이 신충이 써붙인 노래를 가져오니 그제서야 효성왕이 "아차, 일이 바빠 그의 이름은 잊어버렸구나."라며 신충을 불러 벼슬을 주었다고 한다.[9] 그 때 지은 <원가>(怨歌)는 10구체 향가로 추정되나 마지막 2구를 제외한 8구만이 전해지고 있다.
원문 해독 해석
秋察尸不冬爾屋支墮米
汝於多支行齊敎因隱
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
月羅理影支古理因淵之叱
行尸浪阿叱沙矣以支如支
貌史沙叱望阿乃
世理都之叱逸烏隱第也||갓 됴히 자시
ᄀᆞᅀᆞᆯ 안ᄃᆞᆯ 이우리 디매
너 엇뎨 니저 이신
울월던 ᄂᆞᄎᆡ 가ᄉᆡ시온 ᄃᆞ의여
ᄃᆞ라리 그르메 ᄂᆞ린 못ᄀᆞᆺ
녈 믌겨랏 몰의로디 다디
즈ᅀᅵᅀᅡᆺ ᄇᆞ라나
누리 모ᄃᆞᆫ갓 여ᄒᆡ온 ᄃᆡ여||질 좋은 잣나무가
가을에도 시들지 않듯이,
너를 어찌 잊으랴 하시던
우러르던 낯이 변하셨도다.
달 그림자 비친 연못 가에
지나가는 물결의 모래와 같이,
임의 모습 바라보지만
세상의 모든 것 잃어버린 처지로다.||

4. 효성왕릉

파일:효성왕 가릉.jpg
2017년 경주 황복사지 인근인 구황동 96번지 발굴 조사 결과 효성왕의 가릉[10]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굴되었다. 효성왕 재위 시절에 사후를 대비해 왕릉을 조성하다가, 효성왕이 유언으로 화장을 요구하자 기존에 조성했던 왕릉을 폐기하고 화장했다는 것.

5.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효성왕 본기>
一年春二月 효성왕이 즉위하다
一年春二月 죄수를 사면하다
一年春三月 사정부의 승을 좌로 바꾸다
一年春三月 정종을 상대등으로 삼고 김의충을 중시로 삼다
一年夏五月 지진이 일어나다
一年秋九月 유성이 태미에 들어가다
一年冬十月 당에 갔던 사신 사찬 포질이 돌아오다
一年冬十二月 당에 사신을 보내다
二年春二月 당 현종이 성덕왕의 죽음을 조문하는 사신을 보내고 관작을 추증하다
二年春二月 당 현종이 사신 형숙을 보내 효성왕을 책봉하다
二年春二月 당 현종이 양계응을 부사로 삼아 신라에 보내다
二年春二月 효성왕이 당의 사신 형숙 등에게 보물과 약품을 주다
二年春二月 당에서 사신을 보내 왕비 박씨를 책봉하다
二年春三月 사신 김원현을 당에 보내 새해를 축하하다
二年夏四月 당의 사신 형숙이 《도덕경》 등의 책을 왕에게 바치다
二年夏四月 흰무지개가 나타나고 강물이 핏빛으로 변하다
三年春一月 효성왕이 사당에 참배하다
三年春一月 신충을 중시로 삼다
三年春一月 선천궁이 완성되다
三年春一月 당 사신 형숙에게 선물을 주다
三年春二月 김헌영을 파진찬으로 삼다
三年春三月 김순원의 딸 혜명을 효성왕비로 삼다
三年夏五月 김헌영을 태제로 책봉하다
三年秋九月 완산주에서 흰까치를 바치다
三年秋九月 여우가 월성 궁안에서 울다
四年春三月 당에서 사신을 보내 왕비를 책봉하다
四年夏五月 진성이 헌원대성을 침범하다
四年秋七月 여인이 정치를 비방하다가 사라지다
四年秋八月 파진찬 영종이 반역을 꾀하다 죽임을 당하다
五年夏四月 정종과 사인이 노병을 사열하다
六年春二月 동북쪽에 지진이 일어나다
六年夏五月 유성이 삼대를 침범하다
一年夏五月 효성왕이 죽다

효성왕부터 《삼국사기》 9권이 시작된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 부자, 사위관계 /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혼인관계: 붉은 두줄#= }}} }}}}}}}}}}}}



[1] 이유는 후술[2] 효성왕의 모후 소덕왕후와 자매간으로 효성왕에게는 이모가 된다.[3] 죽은 것이 아니라 정쟁에 질려버려서 태자를 포기하고 중국으로 건너가 승려가 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지장보살의 화신 혹은 지장보살과 거의 동격으로 여겨질 정도로 위대한 승려로 존경받는다. 다만 기록에 있는 것은 아니고 '신라의 왕자였다'는 김교각에 대한 기록에 근거하여 추정한 김교각의 정체에 대한 유력한 설 중 하나이다.[4] 당나라 농서 이씨 황실이 노자 이이를 시조로 숭배했으므로 국교가 도교였다.[5] 4등위 관위로 해양 업무와 교역을 관장하는 벼슬.[6] 김순원이 두 딸을 두명의 왕에게 모두 시집보낸 것을 부자연스럽다고 보아 혜명부인이 김순원의 딸이 아니라 손녀라고 본 연구도 있다.[7] 파진찬이 여럿이거나 영종이 뒤를 이은 듯하다.[출처] 윤태양. "孝成王代의 정치ㆍ외교적 動向과 景德王으로의 왕위 계승." 진단학보 -.135 (2020): 1-34.[9] 《삼국사기》에 따르면 효성왕 3년에 중시 의충이 죽고 난 이후 아찬 신충을 중시로 삼았다.[10] 가짜 무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