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6:54:01

페란도 2세

페르난도 5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페르난도 2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2세기 레온 국왕에 대한 내용은 페르난두 2세(레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포르투갈 국왕에 대한 내용은 페르난두 2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A2A0BA> 페란도 2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파일:스페인 국왕 휘장.svg
스페인 국왕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f022b, #c70243 20%, #c70243 80%, #7f022b);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이사벨 1세 후아나 1세 펠리페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페르난도 5세 펠리페 1세 카를로스 1세
압스부르고 왕조 보르본 왕조
펠리페 3세 펠리페 4세 카를로스 2세 펠리페 5세
보르본 왕조
루이스 1세 펠리페 5세 페르난도 6세 카를로스 3세
보르본 왕조 보나파르테 왕조 보르본 왕조
카를로스 4세 페르난도 7세 호세 1세 페르난도 7세
보르본 왕조 사보야 왕조 보르본 왕조
이사벨 2세 아마데오 1세 알폰소 12세 알폰소 13세
보르본 왕조
후안 카를로스 1세 펠리페 6세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9bf01, #fee46e 20%, #fee46e 80%, #e9bf01);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히메네스 왕조
레미로 1세 산초 레미리스 페로 1세 알리폰소 1세 레미로 2세
히메네스 왕조 바르셀로나 왕조
페이로넬라 알리폰소 2세 페로 2세 차이메 1세 페로 3세
바르셀로나 왕조
알리폰소 3세 차이메 2세 알리폰소 4세 페로 4세 추안 1세
바르셀로나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마르틴 1세 페란도 1세 알리폰소 5세 추안 2세 페란도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후아나 펠리페 1세 펠리페 2세 펠리페 3세 카를로스 2세
압스부르고 왕조
카를로스 1세
보르본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보르본 왕조 스페인 국왕 →
펠리페 4세 카를로스 3세 펠리페 4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50515, #cf0720 20%, #cf0720 80%, #850515);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히메네스 왕조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산초 2세 알폰소 6세 우라카 알폰소 7세 산초 3세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알폰소 8세 엔리케 1세 베렝겔라 페르난도 3세 알폰소 10세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산초 4세 페르난도 4세 알폰소 11세 페드로 엔리케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후안 1세 엔리케 3세 후안 2세 엔리케 4세 이사벨 1세
페르난도 5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후아나 1세 펠리페 2세 펠리페 3세 펠리페 4세
압스부르고 왕조
펠리페 1세 카를로스 1세
압스부르고 왕조 보르본 왕조 스페인 국왕 →
카를로스 2세 펠리페 5세
아스투리아스 · 레온 · 갈리시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20052, #800080 20%, #800080 80%, #52005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스투리아스 왕조
가르시아 1세 오르도뉴 2세 프루엘라 2세 알폰수 프루엘라스 알폰수 4세
아스투리아스 왕조
라미루 2세 오르도뉴 3세 산추 1세 오르도뉴 4세 산추 1세
아스투리아스 왕조 히메네스 왕조
라미루 3세 베르무두 2세 알폰수 5세 베르무두 3세 페르난두 1세
히메네스 왕조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알폰수 6세 산추 2세 알폰수 6세 우라카 알폰수 7세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페르난두 2세 알폰수 9세 산차 페르난두 3세 알폰수 10세
둘세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산추 4세 페르난두 4세 알폰수 11세 페드루 엔리케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후안 1세 엔리케 3세 후안 2세 엔리케 4세 이사벨 1세
페르난도 5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스페인 국왕 →
후아나
압스부르고 왕조
펠리페 1세 카를로스 1세
아스투리아스 · 갈리시아 · 카스티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3575, #0b52b6 20%, #0b52b6 80%, #073575);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스투리아스 왕조
오르도뉴 2세 프루엘라 2세 알폰수 프루엘라스 산추 오르도녜스 알폰수 4세
아스투리아스 왕조 히메네스 왕조
베르무두 2세 알폰수 5세 베르무두 3세 페르난두 1세 가르시아 2세
히메네스 왕조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산추 2세 알폰수 6세 우라카 알폰수 7세 페르난두 2세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알폰수 9세 산차 페르난두 3세 알폰수 10세 산추 4세
둘세
보르고냐 이브레아 왕조 보르고냐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페르난두 4세 알폰수 11세 페드루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엔리케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후안 1세 엔리케 3세 후안 2세 엔리케 4세 이사벨 1세
페르난도 5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스페인 국왕 →
후아나
압스부르고 왕조
펠리페 1세 카를로스 1세
아스투리아스 · 레온 · 카스티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b503, #fcdd09 20%, #fcdd09 80%, #cfb503);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앙주 왕조
카를로 1세 카를로 2세 로베르토 조반나 1세 카를로 3세
루이지 1세
앙주 왕조 발루아앙주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라디슬라오 조반나 2세 레나토 알폰소 1세 페르디난도 1세
발루아앙주 왕조
루이지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발루아오를레앙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알폰소 2세 페르디난도 2세 페데리코 루이지 2세 페르디난도 3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고 왕조
조반나 3세 필리포 2세 필리포 3세 카를로 5세
압스부르고 왕조
카를로 4세 필리포 1세
보르본 왕조 합스부르크 왕조 보르본 왕조 보나파르트 왕조
필리포 4세 카를로 6세 카를로 7세 페르디난도 4세 주세페
뮈라 왕조 보르본 왕조
조아키노 1세 페르디난도 4세
<rowcolor=#000> 시칠리아 국왕 · 양시칠리아 국왕 }}}}}}}}}

파일:7ohXzDr.png
시칠리아 국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우타빌라 왕조
루제루 2세 구기에르무 1세 구기에르무 2세 탕크레디 루제루 3세
아우타빌라 왕조 호엔슈타우펜 왕조
구기에르무 3세 쿠스탄차 1세 피디리쿠 1세 아리쿠 2세
호엔슈타우펜 왕조
아리쿠 1세 피디리쿠 1세
호엔슈타우펜 왕조 앙주 왕조 호엔슈타우펜 왕조
쿠라두 1세 쿠라두 2세 만프레디 카를루 1세 쿠스탄차 2세
바르셀로나 왕조
페트루 1세
바르셀로나 왕조
자쿠무 1세 피디리쿠 2세 페트루 2세 루이지 피디리쿠 3세
바르셀로나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마리아 마르티누 1세 마르티누 2세 피르디난두 1세 알폰추
마르티누 1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압스부르구 왕조
지우반니 피르디난두 2세 지우반나 필리푸 1세
압스부르구 왕조
카를루 2세 필리푸 1세
압스부르구 왕조 부르보나 왕조 사보이아 왕조
필리푸 2세 필리푸 3세 카를루 3세 필리푸 4세 비토리우 아메데우
압스부르구 왕조 부르보나 왕조
카를루 4세 카를루 5세 피르디난두 3세
<rowcolor=#fff> 나폴리 국왕 · 양시칠리아 국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40a18, #ce0f25 20%, #ce0f25 80%, #840a18);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에네코 왕조 세메노 왕조
에네코 아리차 가르치아 1세 에네코이츠 오르티 가르체이츠 안초 1세 세메노 가르체이츠
세메노 왕조
가르치아 2세 산치츠 안초 2세 가르치아 3세 산치츠 안초 3세 가르치아 4세 산치츠
세메노 왕조
안초 4세 안초 5세 라미리츠 페트리 1세 알폰초 1세 가르치아 5세 라미리츠
세메노 왕조 샨파냐 왕조
안초 6세 안초 7세 티발트 1세 티발트 2세 헨리케 1세
샨파냐 왕조 카페트 왕조
호아나 1세 루이스 1세 호아네스 1세 필리페 2세 카를로스 1세
카페트 왕조
필리페 1세
카페트 왕조 에브레우슈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호아나 2세 카를로스 2세 카를로스 3세 호아네스 2세
에브레우슈 왕조 에브레우슈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필리페 3세 수리아 1세 카를로스 4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포이슈 왕조 알브레트 왕조
호아네스 2세 레오노르 1세 프란치스코 1세 페부스 카탈리나 1세 헨리케 2세
알브레트 왕조
트라스타마라 왕조 호아네스 3세
수리아 2세 트라스타마라 왕조 스페인 국왕 →
페르난도 1세
알브레트 왕조 보르보이 왕조 프랑스 국왕 →
호아나 3세 헨리케 3세 루이스 2세
보르보이 왕조
안토니오 1세 }}}}}}}}}
스페인 트라스타마라 왕조 초대 국왕
페르난도 5세
Fernando V
<colbgcolor=#A2A0BA><colcolor=#000000> 아라곤 왕국 트라스타마라 왕조 제4대 국왕
페란도 2세
Ferrando II
파일:Fernando_II_de_Aragón_(Museo_del_Prado).jpg
이름 아라곤어 페란도 다라곤
(Ferrando d'Aragón)
카스티야어
스페인어
페르난도 데 아라곤
(Fernando de Aragón)
페르난도 데 트라스타마라 이 엔리케스
(Fernando de Trastámara y Enríquez)
출생 1452년 3월 10일
아라곤 왕국 소스 사다 궁전
사망 1516년 1월 23일 (향년 63세)
엑스트레마두라 마드리갈레호
재위 아라곤 왕국의 왕
1479년 1월 20일 ~ 1516년 1월 23일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왕
1475년 1월 15일 ~ 1504년 11월 26일
배우자 이사벨 1세 (1469년 결혼 / 1504년 사망)
제르멘 드 푸아 (1506년 결혼)
자녀 알론소(사생아), 이사벨, 후안, 후아나, 마리아, 카탈리나
아버지 추안 2세
어머니 후아나 엔리케스
형제 후아나
종교 가톨릭
서명 파일:페란도 2세 서명.svg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
3.1. 조상3.2. 자녀
4. 여담

[clearfix]

1. 개요

<colbgcolor=#A2A0BA> 아라곤어 Ferrando II
스페인어 Fernando II
카탈루냐어 Ferran II
이탈리아어 Ferdinando III (나폴리) / Ferdinando II (시칠리아)
"프랑스 왕이 내가 자기를 두 번이나 속였다고 불평한다더군. 하지만 그 멍청이는 사실이 아닌 말을 하고 있어. 짐은 그자를 열 번 이상이나 속였기 때문이지."[1][2]

아라곤 왕국, 시칠리아 왕국, 나폴리 왕국, 나바라 왕국의 왕이다. 또한 카스티야-레온 왕국의 여왕 이사벨 1세부군이기도 하며 카스티야-레온 왕국의 공동왕을 겸했다.

이름은 스페인어로는 '페르난도(Fernando)', 아라곤어로는 '페란도(Ferrando)', 이탈리아어로는 '페르디난도(Ferdinando)'가 되는데 다 같은 이름이다. 국가에 따라서 넘버링이 다른데 아라곤에선 '2세', 카스티야-레온에서는 '5세', 나폴리에선 '3세'로 칭해진다.

흔히 이사벨 1세의 남편 정도로만 알려져 있지만 위의 발언에서 엿볼 수 있듯 뛰어난 책략가로, 프랑스를 상대로 한 이탈리아 전쟁에서 우위를 점해 유럽 대륙에서 스페인의 세력을 넓히는 데 크게 공헌했다.

2. 생애

1452년 아라곤 왕국의 왕자로 태어났다. 이후 왕세자가 되었다. 1468년 아버지로부터 시칠리아 왕위만 일찍 물려받았다.

1469년카스티야-레온 왕국의 왕위 계승권자인 이사벨 공주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이베리안 웨딩'이라고도 불리는 역사적인 결혼이었다.

1479년 아버지가 죽자 아라곤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1474년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여왕이 된 아내 이사벨 여왕과 함께 양국의 공동왕이 되면서 카스티야-아라곤 동군연합이 시작되어 스페인을 형성시켰다.

그는 이사벨 여왕과 명목상 동등한 위치에 있었고, 둘의 상의 하에 왕국은 지배되었지만, 카스티야-레온 왕국과 아라곤 왕국이 영토, 인구 등 국력에서 거의 네 배 차이가 났던 만큼, 남존여비 따위 쌈싸먹고 이사벨 여왕의 입김이 더 셌으며, 페르난도 2세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결혼 당시 이사벨은 나중에 왕위에 오르고 나서도 페르난도가 카스티야 왕국의 정치에는 일체 간섭하지 않을 것임을 서약하도록 했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또 페르난도 2세는 이사벨 1세에게 다소 눌려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3][4] 이사벨 여왕은 자신이 왕비가 아닌 여왕이며, 페르난도보다 연상(1살)임을 자주 남편에게 주지시켰다고 한다.[5]

이사벨 1세와 페르난도 2세는 1492년 나스르 왕조를 무너뜨리면서 레콩키스타를 완수했다. 그들은 스페인에 남아 있던 대부분의 유대인이슬람교도를 추방하고 스페인의 종교 재판을 결정하였다. 같은 해 카스티야-아라곤 연합 스페인 왕국을 선포했다.

이어 프랑스와의 전쟁을 통해 1504년에는 나폴리 왕국을, 몇 년 후에는 카탈리나 여왕의 나바라 왕국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1504년 이사벨 여왕이 죽자 페르난도 2세는 카스티야의 왕위를 차지하여 자신의 아라곤 왕국에 병합시키려는 야욕을 품었다. 그러나 카스티야 귀족 의회인 코르테스가 카스티야의 계승법에 따라 이사벨 여왕과 그의 딸인 후아나 공주를 왕위계승권자로 지명했고 공주가 후아나 여왕으로 등극했다. 그러나 페르난도 2세는 이에 굴하지 않고 딸인 후아나의 정신병을 이유로 자신이 섭정 자격으로 카스티야를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후아나의 정신병이 심각했기 때문에 카스티야 의회는 이를 받아들여 페르난도 2세가 단독으로 스페인 전국에서 통치권을 행사하게 된다.[6]

그러나 후아나 여왕의 남편인 사위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가 이에 반발하고 나섰다. 그는 여왕의 남편인 자신이 공동왕 자격으로 스페인을 통치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카스티야 귀족 의회는 논의 끝에 결국 필리프의 주장을 받아들였다.[7] 그리하여 필리프가 펠리페 1세로 즉위하여 카스티야-레온 왕국의 통치권을 행사하게 되었고, 페란도 2세의 섭정권은 소멸되었다.

그러나 펠리페 1세는 즉위한 지 2달 만에 갑작스럽게 의문의 죽음을 맞이하였다. 펠리페 1세 죽음 이후 합스부르크 가문에서는 펠리페 1세와 후아나 여왕의 아들인 부르고뉴 공작 카렐이 왕위를 계승해야 함을 주장했다. 그러나 페란도 2세는 "부르고뉴 공작의 나이가 너무 어리다."[8]는 이유를 들어 자신의 섭정권을 주장했다. 이것이 받아들여져서 페란도 2세는 다시 스페인 전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는 사이 페란도 2세는 프랑스 왕국 루이 12세의 외조카이자 자신의 조카손녀인 제르멘 드 푸아[9]와 재혼해서 아들을 낳아 아라곤은 물론이고 가능하다면 카스티야까지 물려주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페란도는 끝내 아들을 낳는 데에는 실패했다.[10] 결국 말년에는 아들을 낳는 것을 포기하고 합스부르크 가문 혈통의 외손자에게 왕위를 물려줄 수 밖에 없음을 깨달았다. 그 와중에도 그는 네덜란드에서 자란 첫째 외손자인 부르고뉴 공작 카렐이 아닌 스페인에서 자란 둘째 외손자이자 자신의 이름을 딴 페르난도 왕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했다. 그러나 결국 장자인 카렐에게 물려주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음을 깨닫고는 이를 포기했다.

1515년 부르고뉴 공작 카렐이 성년에 이르자 다시 합스부르크 측에서 그의 왕위 계승에 대해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다. 그러나 페란도 2세는 순순히 자신의 권력을 포기하려 하지 않았다. 이것이 분쟁으로 비화되려는 찰나 1516년 64세로 사망했다.

유언장에서 자신의 모든 영지를 딸 후아나에게 상속시켰고 섭정으로는 외손자 카렐, 즉 미래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를 지명했다.[11] 유언에 따라 첫번째 아내 이사벨 1세의 곁에 묻혔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페란도 2세
(Ferrando II)
<colbgcolor=#fff3e4,#331c00> 추안 2세
(Juan II)
<colbgcolor=#ffffe4,#323300> 페란도 1세
(Fernando I)
후안 1세
(Juan I)
아라곤의 레오노르[12]
(Eleanor of Aragon)
알부르케르케의 엘레오노르
(Eleanor of Alburquerque)
알부르케르케 백작 산초 알폰소[13]
(Sancho Alfonso, Count of Alburquerque)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14]
(Beatrice of Portugal)
후아나 엔리케스
(Joanna Enriquez)
파드리케 엔리케스
(Fadrique Enríquez)
알폰소 엔리케스
(Alfonso Enríquez)
후아나 데 멘도사
(Juana de Mendoza)
마리아나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
(Mariana Fernández de Córdoba)
바에나 공
디에고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 이 카리요
(Diego Fernández de Córdoba y Carrillo, first Lord of Baena)
이네스 데 아얄라 이 톨레도
(Inés de Ayala y Toledo)

3.2.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녀 포르투갈의 왕비 이자벨
(Isabella, Queen of Portugal)
1470년 10월 2일 1498년 8월 23일 포르투갈 공 아폰수
마누엘 1세
슬하 1남
1남 아스투리아스 공 후안
(John, Prince of Asturias)
1478년 6월 30일 1497년 10월 4일 마르가레테 폰 외스터라이히
2녀 후아나 1세
(Joanna I)
1479년 11월 6일 1555년 4월 12일 펠리페 1세
슬하 2남 4녀[15]
3녀 포르투갈의 왕비 마리아
(Maria, Queen of Portugal)
1482년 6월 29일 1517년 3월 7일 마누엘 1세
슬하 6남 2녀[16]
4녀 잉글랜드의 왕비 캐서린
(Catherine, Queen of England)
1485년 12월 16일 1536년 1월 7일 웨일스 공 아서
헨리 8세
슬하 1남 1녀[17]

첫 번째 부인 이사벨 1세와의 사이에 다섯 자녀를 낳았고, 두 번째 부인 제르멘 드 푸아와의 사이에서도 아들 한 명 후안을 두었지만 태어난 지 몇 시간 만에 죽었다.

그 외에도 3명 정도의 사생아가 있었다. 그 중 카탈루냐 귀족 출신의 정부 알돈사 루이스 데 이보레 이 알레마니 사이에서 두 명의 자녀를 낳았는데, 아들인 알폰소 데 아라곤은 사라고사의 대주교이자 아라곤의 총독이 되었으며 페르난도 2세의 사망 후 카를 5세가 에스파냐에 올 때까지 섭정을 대행하기도 했다. 딸인 후아나 데 아라곤은 프리아스 공작과 결혼했다.

4. 여담


[1] 2차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의 뒤통수를 후려갈겨 남부 이탈리아에서 깨끗이 몰아내고, 나폴리 왕국에 대한 스페인의 지배권을 확실히 한 직후에 한 말이다. 당시 프랑스의 왕은 루이 12세로, 연거푸 전쟁을 벌이면서도 재정을 안정시켜 삼부회로부터 국가의 아버지라는 칭송을 받고 마키아벨리의《군주론》에도 긍정적인 사례로 언급된 인물이다. 그런 사람을 대상으로 이런 호기있는 발언을 남겼다는 것 자체가 보통이 아니라는 뜻이다.[2] 실제로《군주론》에는 페르난도 2세도 언급되어 있는데, 평화나 신의 따위에 전혀 관심이 없는데도 이런 말들을 입에 달고 살며 만약 말하는 대로 행동했더라면 명성과 권력을 모두 잃었을 거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 페르난도 2세가 다스린 아라곤보다 이사벨 1세의 카스티야가 더 강국이었다.[4] 이와 관련해서 한 사례가 당시에는 부부를 함께 그리거나 조각할 때 남편을 더 크게 묘사하는 것이 당연했는데 이들 부부는 부부의 크기를 서로 똑같이 묘사해야 했다고 한다.[5] 실제로 이사벨 1세가 부계의 트라스타마라 가문상 6촌 누나다. 이 때문에 본디 교황청을 비롯한 일부에서 이 결혼에 반대했으며(당장 이사벨의 이복 오빠였던 카스티야 국왕 엔리케 4세부터 이사벨과 포르투갈 국왕 아폰수 5세와의 결혼을 추진했다), 두 사람은 톨레도 대주교가 위조한 교황의 특면장을 내세워 겨우 결혼할 수 있었다.[6] 다만 카스티야에서는 페르난도 5세로 칭해졌다.[7] 그런데 사실 카스티야 사람들은 필리프도 싫어했다. 후아나와의 결혼 덕분에 카스티야의 계승권까지 부여받았으면서, 정작 아내인 후아나를 잘 대해주지 않고 바람을 피웠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필리프보다 페란도 2세가 더 싫어서 그의 주장을 받아들였다.[8] 미래의 카를 5세가 될 이 부르고뉴 공작 카렐의 나이는 당시 고작 6세였기에 페란도 2세의 말대로 너무 어려서 통치에는 무리가 있었다.[9] 루이 12세의 누나 오를레앙의 마리와 나르본 자작 장 드 푸아의 딸로 이복누나 레오노르 1세의 친손녀였다.[10] 이사벨 1세와 제르멘 드 푸아에게서 낳은 아들들이 전부 요절한 데다 남은 아들 1명조차 왕자가 아닌 정부와의 관계에서 태어난 사생아라서 왕위 계승권이 없었다.[11] 다만 카를 5세는 섭정을 넘어 후아나의 공동왕이 된다.[12] 아라곤 국왕 페로 4세의 딸.[13] 카스티야 국왕 알폰소 11세와 그의 정부 레오노르 데 구즈만의 사생아로 엔리케 2세의 친동생.[14] 포르투갈 국왕 페드루 1세와 이네스 데 카스트로의 딸.[15] 포르투갈과 프랑스의 왕비 엘레오노르, 카를 5세,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비 엘리사베트, 페르디난트 1세, 헝가리의 왕비 마리어, 포르투갈의 왕비 카타리나[16] 주앙 3세, 신성 로마 제국 황후 이자벨라, 엔히크 1세[17] 메리 1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