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20:46:09

틸슨 브리또

틸슨 브리토에서 넘어옴
틸슨 브리또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2) 파일:미국 국기.svg
(3)(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3)(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73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한화 이글스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치멜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로마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누네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워렌(3)(2) 파일:미국 국기.svg
윈스턴(3)(2) 파일:미국 국기.svg
차베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반스(2) 파일:미국 국기.svg
리스(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캄포스(1) 파일:멕시코 국기.svg
피코타(3) 파일:파나마 국기.svg
가르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라피니(3)(2)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피코타(2) 파일:파나마 국기.svg
에스트라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메히아(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엔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어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 파일:미국 국기.svg
세드릭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클락 파일:미국 국기.svg
토마스 파일:호주 국기.svg
디아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연지(3) 파일:미국 국기.svg
데폴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페얀(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에노(3) 파일:쿠바 국기.svg
데폴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멕시코 국기.svg
오넬리(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배스(2) 파일:미국 국기.svg
션헨(3)(2)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바티스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이브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피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레이(2) 파일:미국 국기.svg
타투스코(3) 파일:미국 국기.svg
앨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2)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건(2) 파일:미국 국기.svg
폭스(3)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서캠프(3) 파일:미국 국기.svg
마에스트리(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스티요(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사리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간도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비야누에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휠러(2) 파일:미국 국기.svg
헤일(3)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 파일:미국 국기.svg
서폴드 파일:호주 국기.svg
채드벨(2) 파일:미국 국기.svg
호잉(2)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3) 파일:미국 국기.svg
킹험 파일:미국 국기.svg
카펜터 파일:미국 국기.svg
힐리(2)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험(2) 파일:미국 국기.svg
페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펜터(2)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터크먼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그레디(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스(3) 파일:미국 국기.svg
페라자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냐(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바리아(3) 파일:파나마 국기.svg
와이스(5) 파일:미국 국기.svg
와이스 파일:미국 국기.svg
플로리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폰세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계약 취소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일시 대체 영입 후 정식 계약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틸슨 브리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2.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02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KBO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d0ad67> 1982 1983 1984 1985 1986
오대석
삼성 라이온즈
김재박
MBC 청룡
김재박
MBC 청룡
김재박
MBC 청룡
김재박
MBC 청룡
<rowcolor=#d0ad67> 1987 1988 1989 1990 1991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김재박
MBC 청룡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1992 1993 1994 1995 1996
박계원
롯데 자이언츠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김민호
OB 베어스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rowcolor=#d0ad67>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유지현
LG 트윈스
유지현
LG 트윈스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rowcolor=#d0ad67> 2002 2003 2004 2005 2006
브리또
삼성 라이온즈
홍세완
KIA 타이거즈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손시헌
두산 베어스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rowcolor=#d0ad67> 2007 2008 2009 2010 2011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박기혁
롯데 자이언츠
손시헌
두산 베어스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이대수
한화 이글스
<rowcolor=#d0ad67> 2012 2013 2014 2015 2016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김재호
두산 베어스
김재호
두산 베어스
<rowcolor=#d0ad67> 2017 2018 2019 2020 2021
김선빈
KIA 타이거즈
김하성
넥센 히어로즈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rowcolor=#d0ad67> 2022 2023 2024
오지환
LG 트윈스
오지환
LG 트윈스
박찬호
KIA 타이거즈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82c6b>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유색배경).svgKBO 올스타전
역대 홈런더비 우승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양준혁
삼성 / 동군
김기태
쌍방울 / 동군
마해영
롯데 / 동군
심재학
LG / 서군
박재홍
현대 / 서군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양준혁
삼성 / 동군
박재홍
현대 / 드림
우즈
두산 / 드림
양준혁
LG / 서군
브리또
삼성 / 동군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김동주
두산 / 동군
박용택
LG / 서군
김태균
한화 / 서군
이택근
현대 / 서군
김태균
한화 / 서군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박재홍
SK / 동군
이대호
롯데 / 이스턴
김현수
두산 / 이스턴
박정권
SK / 이스턴
김태균
한화 / 웨스턴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이승엽
삼성 / 이스턴
김현수
두산 / 이스턴
황재균
롯데 / 드림
히메네스
LG / 나눔
로사리오
한화 / 나눔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이대호
롯데 / 드림
로맥
SK / 드림
양의지[a]
NC / 나눔
-[b] 이대호
롯데 / 드림
2023년 2024년
채은성
한화 / 나눔
오스틴
LG / 나눔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됨에 따라 언택트 올스타전으로 진행.
[b]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올스타전 취소.
}}}}}}}}}

SK 와이번스 등번호 31번
뮬렌
(2000~2000.5.)
브리또
(2000.5.~2001)
김상진
(2002~2003)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1번
김상진
(1999~2001)
브리또
(2002~2003)
박종호
(2004~2008.7.2.)
SK 와이번스 등번호 31번
김상진
(2002~2003)
브리또
(2004)
산체스
(2005~2005.6.17.)
한화 이글스 등번호 00번
결번 브리또
(2005)
신민기
(2006~2008)
}}} ||
}}} ||
파일:external/www.sksports.net/Large_2001080223155815319_633.jpg
틸슨 브리또
Tilson Brito
본명 틸슨 마누엘 브리토 히메네스
Tilson Manuel Brito Jiménez
출생 1972년 3월 28일 ([age(1972-03-28)]세)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토도밍고 고등학교
신체 184cm, 91kg
포지션 유격수, 2루수, 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2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TOR)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1996~199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97)
SK 와이번스 (2000~2001)
삼성 라이온즈 (2002~2003)
SK 와이번스 (2004)
한화 이글스 (2005)
퉁이 라이온스 (2006~2008)
응원가 삼성 시절: 봉봉 사중창단 - 꽃집 아가씨[1][2][3]

1. 개요2. 선수 경력
2.1. 미국 시절2.2. 한국 프로야구 시절2.3. 대만 프로야구 리그 시절
3. 은퇴 후4. 기타
4.1. 약물 의혹
5. 연도별 주요 성적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의 前 야구선수.

2. 선수 경력

2.1. 미국 시절

드래프트되지 못하고 자유계약선수로 토론토 블루제이스에 입단했다가 97 시즌 도중에 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 옮긴 후 시즌 종료 후 방출.

그후로는 마이너 리그를 전전했는데 시카고 화이트삭스 산하 트리플A에서 뛰던 시절 이만수 코치와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시즌 초 타격 슬럼프에 빠진 브리또는 타격 부진을 벗어나지 못하자 당시 타격코치 게리 워드에게 조언을 구하려 했으나 퇴짜를 맞고 당시 1루 코치인 이만수한테 타격 부진 해법을 찾으려고 찾아왔다. 이 때 이만수가 브리또의 문제점을 잘 찾아내 조언했고 브리또도 성실히 연습에 임했다. 그 결과 브리또는 타격감을 되찾아 1999년 타율 .318에 11홈런 58타점이라는 좋은 기록으로 시즌을 마쳤고 이후 이만수 코치의 소개를 통해 한국 프로 야구를 알게 되었다. 그 때문에 브리또는 이만수 코치를 아버지로 여길 만큼 잘 따랐다고 한다.

2.2. 한국 프로야구 시절

2.2.1. SK 와이번스 1기

2000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마이너에서 뛰다가 쌍방울 레이더스가 싼 맛에 뽑았던 헨슬리 뮬렌(現 콜로라도 로키스 타격코치, 2013~2023 WBC 네덜란드 대표팀 감독)과 혼즈의 대체 용병으로[4] SK 와이번스의 유니폼을 입었다. SK에 합류하자마자 주전 유격수 뛰며 암울하기 짝이 없던 창단 초기의 SK에 활력을 불어넣었다.[5] 사실상 브리또가 SK 공격력의 2/3을 책임졌을 정도. 최종 성적은 103게임에 출장해 타율 0.338 15홈런 70타점을 기록했다.

이 때 시즌 막판까지 현대 유니콘스박종호와 타격왕 경쟁을 벌였는데, 10월 12일 현대와의 더블헤더 경기에서 현대 김재박 감독은 타격 선두를 달리고 있었던 박종호를 출장시키지 않았고 현대 투수들은 노골적으로 브리또와의 승부를 피했다. 그리고 더블헤더 2차전, 브리또가 안타를 때려낸 다음 타석에서 현대 투수 박장희는 빈볼에 가까운 볼을 던져 브리또의 다리를 맞추기에 이른다. 이에 분노가 폭발한 브리또는 "더러워서 타격왕 안 해먹고 만다"라면서 마지막 경기를 치르지 않은 채 그대로 도미니카로 출국해 버렸다.[6] 보통 타격왕 경쟁 논란에서 자팀 선수를 출장시키지 않거나 경쟁자를 고의사구로 거르는 경우는 많아도, 경쟁자에게 대놓고 빈볼을 날리는 경우는 흔치 않다는 점에서 과연 브리또가 한국인 선수였다면 빈볼을 던질 수 있었겠느냐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이 사건으로 SK 팬들은 브리또가 한국프로야구에 회의를 느껴 재계약을 거부하지는 않을까 걱정했지만, 그래도 재계약에는 성공해 2001년에도 SK에서 뛰었고 4번 타자로 활약하며 타율 0.320 22홈런 80타점의 좋은 성적으로 팀 타선을 이끌었다. 그러나 그 해 KBO 골든글러브는 현대의 박진만이 탔는데, 타격성적은 정확도에서 브리또의 우위였고 무엇보다 9번을 주로 쳤던 박진만과 달리 풀타임 4번타자였다는 점에서 가산점 요소가 있었다. 물론 박진만도 3할과 20홈런을 돌파하는 등 대단히 우수한 시즌이었고, 팀 성적과 안정적인 수비,[7] 여기에 외국인 선수에 대한 국내 스포츠 기자들의 텃세 등이 더해졌던 것으로 해석된다. 나머지 구단 팀들은 배출할 만한 인재들이 그나마 김민재, 유지현인데 공격력이 너무 밀렸던 게 단점으로 지적된 듯. 사실 김민재의 경우는 그 해 공격 성적은 본인의 평소 성적을 감안하면 괜찮았다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 그 해 부상으로 규정타석조차 채우지조차 못했기에 규정타석 3할에 홈런 20개를 채운 박진만에게 들이밀 성적이 못된다.

2.2.2. 삼성 라이온즈

2.2.2.1. 2002 시즌
2002 시즌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석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wRC+
128 545 481 136 29 0 25 89 90 35 84 10 1 0.283 0.355 0.499 0.854 4.79 120.6
결론부터 말하자면 WAR 4.79에 wRC+ 기준으로 120.6[8], 즉 리그에서 상위권의 경쟁력을 기록했다. 유격수로서 상당히 높은 타율 및 홈런과 타점을 쌓으며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이 활약은 한국시리즈까지 이어져 결국 팀의 우승에도 기여하게 되며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을 수상하였다. 당연히 시즌 후에는 팀과 재계약하였다.

시즌 내용을 살펴보자면, 틸슨 브리또는 2002년 초 삼성 라이온즈와의 6:2 트레이드로 삼성 유니폼으로 갈아입으며[9] 이적 첫 해부터 삼성 핵타선의 일원으로 맹활약하여 타율 0.283 25홈런 90타점이라는 좋은 성적을 기록했고, 삼성의 통산 2번째 우승과 한국시리즈 첫 우승[10]에 기여한다. 그리고 그 해 용병 최초로 유격수 골든 글러브도 받았다.
파일:/image/117/2014/05/14/201405140608162220_2_59_20140514085902.jpg
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 (2002)
2.2.2.2. 2003 시즌
2003 시즌 기록
<rowcolor=#fff> 경기 타석 타수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볼넷 삼진 병살타 도루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wRC+
102 433 380 97 17 1 20 59 58 31 58 8 2 0.255 0.325 0.463 0.788 2.91 98.1
결론부터 말하자면 WAR 2.91에 wRC+ 기준으로 98.1[11], 즉 WAR은 평균보다는 넉넉하게 위고 wRC+는 살짝 아래인, 용병으로선 정말 애매한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작년에 비하면 한참 모자란 성적에다가, 이에 부상이란 악재까지 겹치게 되며 결국 재계약은 실패하고 만다.

시즌 내용을 보자면, 2003년에도 역시나 주전 유격수 자리를 맡았으나, 타율 0.255, 20홈런, 58타점으로 전 시즌에 비해서는 조금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고 이에 삼성 구단은 여름부터 브리또의 재계약에 대해 고민을 하다가[12] 결정적으로 8월 말 롯데와의 경기에서 수비 도중 박기혁과 충돌해 무릎 부상을 당하며 일찌감치 귀국하였고, 시즌 후 삼성과의 재계약에 실패했다.

2.2.3. SK 와이번스 2기

파일:external/pds.joins.com/201303081045775196_51396d4f1d69b.jpg
삼성과 재계약이 결렬된 뒤 2004년 친정팀 SK와 다시 계약하였고, 전 시즌 당한 무릎 부상의 여파로 3루수로 수비 위치를 변경했다.[13] 그러나 이 시즌에 사상 초유의 상대팀 덕아웃 습격사건의 장본인이 되고 말았다.

사건의 발단은 2004년 8월 5일 문학 삼성전. 7회 SK가 삼성에게 12:5로 끌려가고 있는 상황에 삼성의 세번째 투수로 등판했던 케빈 호지스가 볼카운트 0-3에서 등 뒤로 날아가는 위협성 볼을 던지며 볼넷을 내줘 분위기가 험악한데다, 당시 선동열 삼성 수석코치와 호지스가 은밀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을 본 브리또는 8회초 삼성 공격 도중 빠따를 들고 삼성 덕아웃을 습격하며 몸싸움을 벌였다.[14][15] 이 사건으로 인해 브리또는 퇴장과 함께 20경기 출장 정지를 당했고, 이 싸움에 가담까지 했던 이호준, 호세 카브레라, 배영수, 박정환은 각각 퇴장당했다.[16] 결국 브리또의 이탈로 인해 4위 싸움을 치열하게 하고 있던 SK는 5위로 시즌을 종료하며 4강 진입 실패. 더군다나 브리또 개인 성적도 기대에 비하면 신통치 않았기에 결국 시즌 종료 후 SK 와이번스와 재계약에 실패한다.

2.2.4. 한화 이글스

파일:external/sccdn.chosun.com/2011071201001001000079981.jpg
2005 시즌 도중 내야가 부실했던 한화 이글스에 합류, 다시 유격수로 뛰게 되었다. 하지만 2003년 삼성 시절 당한 무릎 부상 후유증 탓인지 수비 범위가 심하게 좁아져 예전 같지 않은 돌글러브급 수비력을 보여 주며(78경기 21실책) 한화팬들의 뒷목을 잡게 했다.[17] 다만 브리또만 깔 수는 없는 게, 3루수는 이범호, 2루수는 임과장.[18] 결국 SK와의 준플레이오프 2차전에서 결정적인 악송구를 하며 팀 패배의 원흉이 되며 김인식 감독의 뒷목까지 잡고 말았다. 그나마 플레이오프까지 진출은 했으니 망정이지... 그래도 타격 성적은 .286 17홈런 43타점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제 몫을 해줬다. 2005시즌 종료 후 잦은 실책과 무릎 부상으로 인해 한화 이글스와 재계약을 하지 않으며 여섯 시즌 만에 한국 무대를 떠났다.

2.3. 대만 프로야구 리그 시절

파일:퉁이 브리또.jpg

2006 시즌 도중 퉁이 라이온즈에 합류해 3루수로 수비 위치를 변경하였다. 2007, 2008시 즌엔 대만리그에서 맹활약하며 2년 연속 홈런왕에 등극하는 등 대만리그 최고의 타자로 군림했다. 2007 시즌엔 99경기에서 .313 33홈런 107타점, 2008 시즌엔 96경기에서 .330 24홈런 102타점을 기록.

2008 시즌 종료 후 열린 코나미컵에서 친정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4타수 2안타를 때려냈다. 경기는 퉁이 라이온즈가 홈런 4방을 몰아치며 SK 와이번스에 10:4로 승리.

여담이지만 대만 마구마구에서 07년도 카드가 엘리트다!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파일:EcJ50Mf.jpg
우투, 우타(파워, 스로잉형)
파워 88 컨텍트 76
스피드 65 스로잉 87
수비력 87

국가대항전에서 브리또의 이름은 뿌레어T.B.

2008 시즌 종료 후 퉁이 라이온즈와 계약을 해지.

3. 은퇴 후

이후 은퇴해서 미국에서 유소년 야구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그의 아들인 크리스 브리또도 야구를 하고 있는데 미국 뉴저지주의 럿거스 대학교에서 대학야구선수로 뛰고 있다.

대학리그 총 타율 0.293 홈런 46개를 기록했고 2024시즌 켄자스 시티와 계약하면서 현재 싱글A에 속해있다.

현재 싱글A 성적 0.304/0.446/0.884 홈런 2개를 기록중이다.

이후 하이싱글A로 승격했지만 20경기 타출장 0.172/0.325/0.188을 기록중이다.

4. 기타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6102801299_1.jpg

더운 기후에 속한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이라서 그런지, 다른 때에 비해 늦게 열린 2002년 한국시리즈와[19] 2003년 시범경기 당시 추운 날씨 때문에 목도리를 두르고 경기에 나선 바 있다.

엄청난 다혈질적인 성격을 보유했던 선수로, 여러 차례 빈볼 시비에 연루되었던 선수이기도 하다. 하지만 펠릭스 호세보단 덜하다.

4.1. 약물 의혹

약물을 복용했다는 설이 있다. 한국 프로야구 시절 시합 전에 커피 한 잔과 어떤 약을 항상 복용했는데 그 약이 뭐냐고 물어본 선수에게 '그리니'[22]라고 답했다고 한다. 사실 저 약은 암페타민으로 국내에선 마약으로 분류된다. 각성제의 일종이기 때문에 금지약물이기도 하다.

다만 당시에는 도핑 테스트라는 개념이 KBO 리그에 없었기 때문에 실제로 도핑으로 적발된 적이 없어 썰로만 남아있다. 거기다 그리니는 MLB기준 2006년, NPB는 07년에 금지약물로 지정되었다보니 일부로 그러지 않을 확률도 있다.

5.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성적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6 TOR 26 19 .238 7 0 1 7 10 1 13 18 .363 .344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7TOR,OAK 66 41 .238 5 1 2 14 17 1 10 38 .314 .285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0 SK 103 405 .338
(3위)
137 26 4 15 70 65 3 42 .533 .399
2001 122 422 .320 135 27 0 22 80 59 7 81 .540 .425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2 삼성 128 481 .283 136 29
(3위)
0 25 90 89 1 56 .499 .355
2003 102 380 .255 97 17 1 20 58 59 2 41 .463 .325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4 SK 102 368 .261 96 18 0 13 50 41 0 49 .416 .345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2005 한화 78 287 .286 82 14 0 17 43 34 0 19 .512 .328
MLB 통산
(2시즌)
92 .238 60 12 1 3 21 27 2 20 56 .329 .305
KBO 통산
(6시즌)
635 2343 .292 683 131 5 112 391 347 13 288 .495 .366

6. 관련 문서


[1] 삼성에 브리또가 왔어요~(X2) 정말로 멋있어요~!(X3) 브!리!또![2] 두산의 양의지의 응원가와 같은 원곡이다.[3] 2004년~2005년부턴 박종호가 사용[4] 쌍방울 시절 뽑았던 탓에 계약금도 제대로 주지 못했다고 한다. 결국 SK 와이번스에서 몇 경기 뛰지 못하고 퇴출.[5] 입단 당시 에피소드. 5월초 처음 브리또가 한국에 입국하자마자 당시 성적이 너무 안 좋아서 급한 SK 와이번스 사정상 입국 몇 시간만에 으로 가서 현대와의 경기를 뛰어야 했는데 그 경기서 3점홈런을 뽑아내며 팀을 승리로 이끌고 이것이 브리또의 활약의 시작이었다.[6] 물론, SK 구단의 허락 없이 마음대로 출국한 것은 아니고, 마지막 경기를 앞두고 강병철 감독을 직접 찾아가 자신의 의사를 전달했다고 한다. 강 감독도 수락했다. 참고로 박장희는 다음 타자인 장용대의 직선타구에 얼굴을 강타당하며 응급실로 실려갔고, 그 후유증으로 한국시리즈 엔트리에서 제외된다.[7] 다만 이미지와 달리 이 해의 박진만, 브리또는 실책을 각각 22개, 23개나 기록하는 등 수비가 조금 불안정한 편이었다.[8] 쉽게 말하자면 wRC+는 높을수록 좋고, 100이 정확히 리그 평균으로 평가되니 틸슨 브리또는 평균보다 상당히 위였다고 보면 편하다.[9] 2001 시즌 종료 후 SK와 재계약한 뒤, 곧바로 삼성으로 트레이드되었다.[10] 첫 우승은 1985년이지만, 이때는 삼성이 전, 후기리그에서 모두 1위를 달성하며 한국시리즈 없이 자동 우승을 확정지었다.[11] 쉽게 말하자면 wRC+는 높을수록 좋고, 100이 정확히 리그 평균으로 평가되니 틸슨 브리또는 평균보다 약간 아래였다고 보면 편하다.[12] 이 때 주전 유격수 김민호의 노쇠화로 대안을 찾던 두산 베어스가 단장까지 나서서 삼성이 브리또와 재계약하지 않을거면 우리에게 달라고 요청할 정도였다. 하지만 그해 신고선수로 뒤늦게 입단한 손시헌이 시즌 중 주전 유격수 자리를 차지하며 김민호의 대안을 찾게 되었다.[13] 사실 무릎 부상 여파도 있었지만 SK 1기 시절에는 신생팀이었던데다 팀 내 유격수 자원이 아예 없었고, 삼성에서는 김한수도 있고 하니 유격수로 출장했던 것도 있다. 반면 SK 유니폼을 다시 입은 2004년에는 김민재가 주전 유격수로 버티고 있어 굳이 유격수로 출장할 필요가 없었다.[14] 불과 1년 전까지 삼성에서 활약했던 브리또 입장에서는 배신감이 클 수 밖에 없었다.[15] 한편 이 사건 때 SK의 마무리 투수인 호세 카브레라가 삼성 김응용 감독에게 헤드락을 당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었었는데, 이 당시 김응용의 나이는 65세. 결국 카브레라는 구토 및 어지럼증 증상으로 병원을 다녀갔다.[16] 게다가 SK 구단도 선수 통솔 실패 명목으로 500만원의 벌금을 부과받았다.[17] 그도 그럴 것이, 한화가 전통적으로 약했던 쪽 중 하나가 키스톤 콤비였다. 당시 한화 내야진 사정상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해도...[18] 단 이범호는 유격수일 때 돌글러브 이미지가 강했어서 그렇지 3루수비는 데뷔초부터 그리 나쁘지 않았었다. 물론 어깨에 비하면 수비범위는 조금 아쉬운 정도.[19] 이 해 9월 부산 아시안게임 덕분에 리그가 잠시 중단되었고, 결국 한국시리즈가 11월 중순에야 치러지는 등 일정들이 뒤로 미루어졌다. 여담으로 2002년 한국시리즈 당시에는 매우 추웠는데, 상대 팀 LG의 이상훈과 브리또와 같은 도미니카 출신인 라벨로 만자니오는 무려 반팔을(!) 입고 나왔다.[20] 당시 싸움을 말리던 마해영은 앞니가 하나 부러졌다고 한다.[21] 이 날 호지스가 선동열 코치와 수군대는 걸 보고 더 화가 치밀어 올랐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전년도까지 뛰었던 팀이었는데 거기에 대한 배신감까지...[22] 국내에선 고농축 카페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론 암페타민의 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