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석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우승반지 |
198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 KBO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d0ad67>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오대석 삼성 라이온즈 | 김재박 MBC 청룡 | 김재박 MBC 청룡 | 김재박 MBC 청룡 | 김재박 MBC 청룡 | |
<rowcolor=#d0ad67>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김재박 MBC 청룡 |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박계원 롯데 자이언츠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김민호 OB 베어스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
<rowcolor=#d0ad67>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유지현 LG 트윈스 | 유지현 LG 트윈스 |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 박진만 현대 유니콘스 | |
<rowcolor=#d0ad67>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브리또 삼성 라이온즈 | 홍세완 KIA 타이거즈 |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손시헌 두산 베어스 |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
<rowcolor=#d0ad67>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박진만 삼성 라이온즈 | 박기혁 롯데 자이언츠 | 손시헌 두산 베어스 |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이대수 한화 이글스 | |
<rowcolor=#d0ad67>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김재호 두산 베어스 | 김재호 두산 베어스 | |
<rowcolor=#d0ad67>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김선빈 KIA 타이거즈 | 김하성 넥센 히어로즈 |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 |
<rowcolor=#d0ad67> 2022 | 2023 | 2024 | |||
오지환 LG 트윈스 | 오지환 LG 트윈스 | 박찬호 KIA 타이거즈 |
1982 KBO 베스트 10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 ||||
팀 창단 | → | 오대석 (1982~1988) | → | 오명록 (1989~1990)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 ||||
정영기 (1983.6.27.~1988) | → | 오대석 (1989~1991) | → | 박지환 (1994~1996) |
{{{#fab93d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76번}}} | ||||
황성칠 (1986) | → | 오대석 (1992~1996) | → | 박종훈 (1997~2002) |
{{{#000000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강병철 (1991~1993) | → | 오대석 (1997~1998) | → | 권두조 (2000~2001) |
한화 이글스 등번호 83번 | ||||
김종수 (2010~2012) | → | 오대석 (2013~2014) | → | 계형철 (2015~2017) |
오대석 吳大錫 | Dae-seok Oh | |
출생 | 1960년 1월 2일 ([age(1960-01-02)]세) |
경상북도 대구시 남부출장소 (現 대구광역시 남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남도초 - 경구중 - 대구상고 - 한양대 |
포지션 | 유격수, 3루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멤버 |
소속팀 | 삼성 라이온즈 (1982~1988) 롯데 자이언츠 (1989~1991) |
지도자 |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1군 수비코치 (1992~1996)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1997~1998)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0~2001) 롯데 자이언츠 1군 주루·작전코치 (2002)[1] 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02)[2]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4~2008)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1) 유신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2)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작전코치 (2013)[3] 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2013)[4] 한화 이글스 육성군 수비코치 (2014)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5~2016) 경상중학교 야구부 타격코치 (2019~) |
[Clearfix]
1. 개요
2. 선수 경력
KBO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수상자 (1982) |
장태수 & 오대석 |
1982년 삼성의 원년 멤버로 프로에 입문했다. 당시 대학을 갓 졸업했음에도 김재박 다음 가는 유격수 2인자 함학수, 상업은행의 주전 유격수 장태수, 포철의 주전 유격수 서정환 등 쟁쟁한 선배들을 제치고 주전 유격수를 차지하며[7], 류중일이 입단하기 전까지 삼성의 대표 유격수로 활약했다. 1982년 6월 12일에는 구덕 삼미전에서 KBO 리그 최초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고, 그 해 유격수 부문 베스트 10과 KBO 골든글러브 상을 받기도 했다. 당시는 MLB의 골드 글러브처럼 오직 수비로만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선정하던 시기이기에[8] 공수 양면에서 모두 인정을 받은 셈이다.[9] 하지만 이후 류중일이 입단하기 전까지 몇 년간 유격수를 거의 혼자서 도맡다시피 해서 였는지 성적에 기복이 있었다.
오대석 & 김성래 키스톤 콤비 |
하지만, 류중일이 1988년 팔꿈치 부상으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자 유격수로 돌아왔으나 그해 시즌 종료 뒤 롯데로 트레이드 되어 1991년 시즌을 끝으로 유니폼을 벗었는데 1990년 부상으로 출전 기회가 줄었으며 1991년 3루수로 돌아왔다.
3. 지도자 경력
상원고 감독 시절의 오대석.[10] |
2012년 10월 31일 대전 한밭야구장에서. |
2012년에는 유신고 코치로 있었고, 2013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의 수비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2014 시즌에는 명칭만 같고 육성군에서 활동했으며, 시즌이 끝난 후 재계약하지 않았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강릉영동대 코치를 지냈고 2019년에 경상중 코치를 맡았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2 | 삼성 | 72 | 258 | .283 | 73 | 15 | 1 | 4 | 30 | 48 | 14 | 40 | .395 | .374 |
1983 | 82 | 227 | .203 | 46 | 8 | 1 | 4 | 31 | 27 | 1 | 21 | .300 | .266 | |
1984 | 77 | 231 | .286 | 66 | 10 | 2 | 7 | 34 | 31 | 4 | 25 | .437 | .356 | |
1985 | 30 | 65 | .200 | 13 | 2 | 0 | 1 | 6 | 6 | 1 | 7 | .277 | .278 | |
1986 | 76 | 211 | .256 | 54 | 11 | 1 | 4 | 24 | 23 | 4 | 27 | .374 | .339 | |
1987 | 76 | 242 | .326 | 79 | 13 | 2 | 6 | 40 | 34 | 5 | 23 | .471 | .378 | |
1988 | 82 | 229 | .258 | 59 | 7 | 0 | 5 | 35 | 27 | 5 | 26 | .354 | .33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89 | 롯데 | 92 | 247 | .194 | 48 | 5 | 0 | 3 | 21 | 18 | 4 | 49 | .351 | .326 |
1990 | 35 | 71 | .169 | 12 | 0 | 0 | 0 | 2 | 5 | 0 | 12 | .169 | .289 | |
1991 | 101 | 247 | .234 | 64 | 6 | 0 | 2 | 25 | 30 | 3 | 42 | .277 | .332 | |
KBO 리그 통산 (10시즌) | 723 | 2055 | .250 | 514 | 77 | 7 | 36 | 248 | 249 | 41 | 272 | .347 | .335 |
5. 관련 문서
[1] ~6월 10일[2] 6월 11일~[3] ~7월 17일[4] 7월 18일~[5] 지금이야 16번하면 김원형, 김종국, 박정태가 유명하지만, 원조 16번이었던 오대석도 무시할 수 없다.[6] 공교롭게도 현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이원석도 롯데 시절엔 6번, 삼성 시절 2017시즌에는 17번을 달았지만 2018년도 시즌에는 16번을 달았다.[7] 함학수는 타격을 살리기 위해 1루수로 기용되었고, 장태수는 빠른 발을 살려 외야수로 전향해 주전 중견수로 기용되었고, 서정환은 경쟁에 밀려 백업 내야수로 출전했다. 그리고 1년 뒤 해태로 트레이드되며 한국 프로야구 트레이드史의 첫 페이지를 장식한다.[8] 이후 1983년에는 타격 지표도 어느 정도 반영하는 형태가 되었다가 1984년부터 우리가 흔히 아는 골든글러브의 수상 형태로 바뀌었다.[9] 이는 1982년 골든글러브 수상자 중 유일하게 베스트 10을 함께 수상한 사례이기도 하다.[10] 왼쪽은 삼성 라이온즈 창단 멤버였던 함학수다.[11] 권혁을 발굴[12] 마이스터 고등학교에서는 운동부 운영을 할 수 없다.[13] 그러나 포철공고 야구부는 다행히 해체되지 않고, 포항제철고등학교로 인계되어 현재는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다. 참고로 경주고, 구미전자공고의 야구부의 잇따른 해체로 2011년 부로 대구 소재의 고교야구팀을 제외하고 경상북도 소재의 고교야구팀은 포철공고가 유일하며, 경주고등학교 야구부도 2013년 12월에 재창단했다. 구미전자공고 야구부도 포철공고처럼 마이스터고 전환 때문에 해체된 것.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