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23:51:05

김용국(야구)

김용국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1차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74ca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folding (9명) {{{#!folding (19명) {{{#!folding (11명) {{{#!folding (10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장태수
류중일
강기웅
홍성연
정윤수
류명선
하용석
강영수
최해명
이태일
최현준
이영재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태한 양준혁 감병훈 안윤호 전병호
{{{#!folding (고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황성관
{{{#!folding (고졸)
강동우
{{{#!folding (고졸)
정성열
{{{#!folding (고졸)
배영수 이정호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권혁 김형근 박석민 백준영 김효남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김동명
김상걸
우동균 김상수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정현(2) 이수민 김영한 최충연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장지훈 최채흥 원태인 황동재 이승현
2022년
이재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1차 지명 미시행 년도 (1라운드 지명 선수)
}}}}}}}}}}}}

김용국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
KBO 리그
우승반지
1985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5.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6.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7.sv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8.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2011 2012 2013 2014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ecd00>
1982~1983
1984 1985
1986~1988
1989~1990
배대웅
천보성
함학수
장효조
박승호
<rowcolor=#FFF>
1991~1992
1993~1994
1995~1996
1997 1998
김용국 강기웅
이종두 류중일 양준혁
<rowcolor=#FFF>
1999
2000 2001
2002~200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7ab 75%, #074ca1 25%);"
2004~2008
류중일 김기태 김태균
김한수
진갑용
<rowcolor=#FFF>
2009
2010
2011~2012
2013~2014
2015
박진만 강봉규
진갑용
최형우
박석민
<rowcolor=#FFF>
2016
2017 2018 2019
2020~2021
박한이
김상수
박해민 (임시 주장)
김상수 강민호
박해민
이원석 (임시 주장)
<rowcolor=#FFF> 2022 2023 2024~
김헌곤오재일
피렐라 (임시 주장)
오재일구자욱
강민호 (임시 주장)
구자욱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55><tablebg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현대 유니콘스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c8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82년~2007년
1982 1983~1984
1985
1986
삼미
김구길
삼미
박준영
삼미/청보
정구왕
청보
김정수
1987 1988~1989 1990~1991 1992~1993
청보
양승관
태평양
김일권
태평양
김윤환
태평양
김동기
1994 1995 1996~1999 2000~2001
태평양
윤덕규
태평양
김용국
현대
김경기
현대
김인호
2002~2003 2004 2005 2006~2007
현대
이숭용
현대
전준호
현대
김동수
현대
이숭용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번
천보성
(1982~1984)
김용국
(1985~1993)
이정훈
(1995)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8번
정영진
(1986~1987)
<colcolor=#ffffff> 김용국
(1994~1995)
김인호
(1996~2001)
LG 트윈스 등번호 94번
패튼
(1991~1992)
김용국
(2000~2005)
이재우
(2009~2010)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8번
김용희
(1999~2000)
<colbgcolor=#c0c0c0> 김용국
(2006~2009)
결번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75번
백인호
(2008~2009)
김용국
(2010)
서한규
(2011~2014)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8번
결번 김용국
(2011~2016)
강봉규
(2017~)
kt wiz 등번호 78번
김일경
(2016)
김용국
(2017~2018)
박철영
(2019~2023)
}}} ||
}}} ||
파일:김용국 삼성 코치.jpg
김용국
金用國 | Yong-Gook Kim
출생 1962년 6월 21일 ([age(1962-06-21)]세)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대구수창초 - 경상중 - 대구상고[1]-한양대
포지션 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5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85~1993)
태평양 돌핀스 (1994~1995)
지도자 현대 피닉스 수비코치 (1996)
헬레나 브루어스[2] 코치 (1997)
선 시티즈 솔라 삭스[3] 수비·주루코치 (1997)
스톡턴 포츠[4] 수비·주루코치 (1998~1999)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5] 코치 (2000)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00)
LG 트윈스 2군 수비코치 (2001)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02~2003)
LG 트윈스 2군 수비코치 (2004)[6]
LG 트윈스 1군 수비코치 (2004)[7]
LG 트윈스 1군 수비·주루코치 (2005)[8]
LG 트윈스 2군 수비코치 (2005)[9]
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코치 (2006~2008)
삼성 라이온즈 1군 수비코치 (2009)[10]
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코치 (2009)[11]
넥센 히어로즈 2군 수비·작전·주루코치 (2010)
삼성 라이온즈 1군 수비코치 (2011~2016)
kt wiz 1군 수비코치 (2017)
kt wiz 1군 수석코치 (2018)[12]
kt wiz 2군 야수총괄코치 (2018)[13]
경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9~2020)
해설 위원 TBC Dream FM 라디오 야구 해설 위원 (2023~)
병역 예술체육요원[14]
가족 장남 김동영, 차남 김동빈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연도별 성적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태평양 돌핀스 소속 내야수이자 前 kt wiz의 1군 수석코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한양대학교 재학 시절 뛰어난 활약으로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1984 LA 올림픽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하였으며, 한양대학교 졸업 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2.2. 삼성 라이온즈

1985 시즌부터 1986년까지 꾸준히 주전 3루수로 활약했다. 하지만, 류중일에게 유격수 자리를 넘겨준 오대석과 1987년 3루 자리를 번갈아 맡았으나 류중일이 1988년 팔꿈치 수술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어 오대석이 유격수 자리로 가면서 1988년부터 3루 자리를 지켰다.

1990년 플레이오프에서는 해태를 이기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1차전에서 해태의 에이스 선동열을 상대로 홈런 1개, 9회 2타점 적시타까지 포함해서 팀의 4타점을 혼자 기록하며 맹활약한 것이 대표적.[15][16] (1990년 정규 시즌 홈런은 4개) 참고로 선동열은 다음날 2차전에서도 삼성 김용철에게 9회 동점 홈런을 맞고, 끝내 연장전에서 역전을 허용하면서, 1986년부터 1989년까지 4년 연속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팀의 5년째 한국시리즈 연속 진출을 실패로 이끈 원흉이라는 오명을 썼다.

1991~1992년, 2년간 팀의 주장을 맡던 시절에 선수로서 절정의 기량을 보였다. 삼성 1루수 신경식, 2루수 강기웅, 유격수 류중일, 3루수 김용국으로 이어지는 철벽 내야 수비진은 리그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한편 그 당시에는 맨손으로 타구를 바로 잡아던지는(영어로 bare-handed catch) 능력을 갖춘 거의 유일한 3루수였지만, 이러한 뛰어난 수비 실력에 비해 타격 능력이 상당히 떨어졌다 보니[17][18] 아쉽게도 매번 해태 타이거즈한대화에게 밀려 3루수 골든글러브는 단 한 차례도 수상하지 못했다.[19]

2.3. 태평양 돌핀스

1993 시즌이 끝나고 태평양 돌핀스트레이드되면서 삼성의 3루수 자리는 후배 김한수에게 물려주었다. 1994~1995 시즌 태평양 돌핀스의 주전 3루수로 뛰었으나 1994년에는 풀타임으로 121경기에 출장해 무려 타율 0.189로 태평양 물방망이의 일원을 담당하기도 했다.

1996 시즌을 앞두고 태평양을 인수하여 새로 출범한 현대 유니콘스가 기존의 선수단을 리빌딩하는 과정에서 세대교체의 명분 아래 김성갑과 함께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1996년 실업 야구 팀 현대 피닉스의 코치로 활동하며 현대 유니콘스에서 불러 주기를 기다렸으나 소식이 없자, 가족들을 데리고 자비를 들여 미국으로 코치 연수를 떠났다. 1997년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루키, 애리조나 가을리그, 1998년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싱글A팀에서 수비, 주루코치를 맡았다. 그러나 양 팀 모두 무보수 방문코치 자격으로 있었다. 마침내 1998년 말 3만 달러의 연봉을 받게 되며 한국인 최초로 유급 코치가 됨과 동시에 트리플A 코치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미국에서 오랫동안 코치를 하려면 영어에 더 능숙해야 했기에 결국 귀국을 결정했다.
파일:PS15040700152g_99_20150407121503.jpg
삼성 라이온즈 코치 시절.
파일:/image/109/2007/01/15/200701151239101103_1.jpg
2007년 1월 이승엽과 함께.

2000년 LG 트윈스를 시작으로 2006년 삼성 라이온즈를 거쳐 2010 시즌 넥센 히어로즈의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가 이듬해에 다시 친정 팀인 삼성 라이온즈로 복귀했다. 선동열 감독의 용퇴와 류중일 작전코치의 감독 승격으로 인해 삼성의 수비코치 자리가 비었고, 아직 넥센과 재계약하지 않았던 김용국 코치를 류중일 감독이 다시 불러들여서 영입한 것. 그리고 이 선택은 본인에게 있어서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V5)이라는 최선의 선택을 하기도 했다.

수비코치로서의 평은 무난한 편. 삼성이 원체 수비 조직력은 좋은 팀이기도 하니까 그런 것도 있겠지만 무능하다고 마구 씹히는 김태한에 비하면야 확실히 별 언급이 없는 자체가 이미 수비코치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는 증거일 지도 모른다.

다만, 2009 시즌에 1군 수비코치를 맡아 팀 실책 1위를 기록한 적이 있었고, 이는 해임으로 이어졌다. 갈수록 능력이 발전한다고 이해하면 편할 듯.
파일:20161122_1142272_99_20161122134903.jpg
kt wiz 코치 시절

찬바람이 몰아친 2016 시즌 후 삼성이 코치진까지 세대교체를 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삼성은 그와 재계약하지 않고, kt 2군에서 수비코치를 맡고 있었던 박재현을 새로운 수비코치로 영입했다. 그 후 새로 부임한 김진욱 kt wiz 감독의 부름을 받아 강성우 배터리코치와 함께 kt wiz에 합류했다. 2017시즌을 수비코치로 재임한 뒤 2018년에는 수석코치로 승격했다.

2018 시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으면서 팀을 떠나게 되었다. 2018년 12월 12일 정경훈의 후임으로 경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았다가 2020년 시즌을 끝으로 물러났다.

2023년 7월 20일부터 강동우의 후임으로 삼성 라이온즈의 경기를 중계하는 TBC 드림FM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영입되었다. 영입 자체는 7월 9일 발표되었으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7월 11일부터 전반기 종료까지는 배대웅이 임시 해설위원을 맡았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85 삼성 99 306 .239 73 14 1 7 37 46 3 36 .359 .319
1986 108 278 .216 60 10 2 0 31 20 6 20 .266 .261
1987 75 182 .264 48 6 1 4 27 18 6 17 .374 .319
1988 101 333 .285 95 11 1 3 42 40 8 35 .351 .349
1989 98 333 .288 96 15 1 9 44 53 8 33 .420 .348
1990 91 255 .220 56 11 0 4 29 29 2 14 .310 .256
1991 126 403 .295 119 21 1 7 58 55 4 56 .404 .380
1992 121 311 .264 82 14 1 6 35 39 4 43 .373 .353
1993 90 202 .208 42 5 0 2 13 22 3 29 .262 .306
<rowcolor=#131B66>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1994 태평양 121 280 .189 53 12 0 4 34 26 3 48 .275 .302
1995 62 135 .215 29 4 1 0 8 11 3 13 .259 .282
<rowcolor=#373a3c> KBO 통산
(11시즌)
1092 3018 .250 753 123 9 46 358 359 50 344 .342 .323

5. 기타

2002년도는 이건 여러분들이 심각하게 들어야 되는 문제라고 보는데,
LG가 8회 초에 2점 놓고, 4점 리드했어요, 그때. 4점 리드면 이기는 거예요, 거의 다,
8회니까. 그런데 4점 들어온 다음에 내가 번트 지시를 했다고. 그럼 번트를 하면,
보내기 번트를 시켰는데 써드 코치가 사인을 놓쳐버렸어요.
근데 거기서 번트를 성공했다, 한 점 들어왔으면 세상의 비난 무지 받았을 거예요.
근데 내가 냈다고, 냈는데, 코치가 사인을 놓쳐버렸어요. 놓치는 순간에 졌다 싶었다고,
나는. 이건 거짓말이 아니고, 내가 직감이 왔다고, 졌다 싶었어요.
아니나 다를까 9회에 뒤집어졌잖아요. 그 문제는, 그게 나한테 좋은 경험이 됐는데,
그때 그 한국시리즈가. 한국시리즈는 우승하는 게 목표지, 준우승이 목표 아니에요.
6차전에서 지든, 5차전이 되든 그런 건 별 문제가 아니에요.
7차를 어떻게 이기냐 하는 문제였지. 그때 이상훈이라고 하는 피처가 클로저였는데,
이상훈이를 내가 6차전에 써버리면 7차전에 쓸 토막이 안돼요.
그럼 7차전 못 이기는 거예요.
물론 흐름이 있으니까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거지만, 승부라고 하는 것은.
그러니까 거기서 번트를 대면 이상훈이 안 쓰고 7차에 갔으면 가능성이 있은 거예요.
번트 하나 실패하니까 졌다 싶은 거예요
마, 그때는 아쉬움이라고 하는 것은 큰 역전패, 마지막에.
그리고 혼신의 힘이라고 하는 걸 아이들에게서 봤고,
그때는 KBO 준플레이오프, KBO 플레이오프, 코리안시리즈, 3단계를 올라왔으니까,
지칠 대로 지친 한없이 지친 상태였어도 애들은 잘했지 않나 싶은데,
내가 야구장에서 눈물을 흘린 게 그때가 처음이에요.
뒤에 기대가지고 눈물을 흘리고 있었는데,
사장은 지니까 기분 좋아서 김 감독 수고했어, 그러더라고,
그리고 결국은 자르더라고요.

ㅡ 한 강연에서 김성근2002년 비화를 이야기하며.

이 때 번트 사인을 놓친 서드 코치(3루코치)가 바로 김용국.

6. 관련 문서


[1] 53회 졸업생이며 김용국, 김성갑, 이강돈, 이종두가 동기다.[2]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루키[3] 애리조나 가을리그[4]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싱글A[5]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트리플A[6] ~7월 24일[7] 7월 25일~[8] ~5월 29일[9] 5월 30일~[10] ~9월 13일[11] 9월 14일~[12] ~6월 17일[13] 6월 18일~[14] 1983년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우승#[15] 이 경기 전날 선동열과 밤새 술을 마셨다는 전설과 같은 후문이 전해진다. 자신은 조금 먹고 선동열은 많이 먹였다고...[16] 그해 패넌트레이스에서는 선동열한테 6타수 무안타였다.[17] 통산 11시즌 동안 한 번도 3할 타율이나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해 본 적이 없고, 그러다 보니 주로 9번 타자로 출장하였다.[18] 말 그대로 수비에 비해 타격이 떨어진다는 것이지 전성기엔 2할 후반대 타율도 여러 차례 기록한 만큼 타격이 크게 약점인 선수도 아니었다. 당대 삼성은 매 시즌 우승을 넘보던 전력을 가진 최고의 팀이었기에 9번에 주로 배치된 것이지 중하위권 팀에서 뛰었다면 그보다 높은 타선에 배치되었을 것이다.[19] 당연하겠지만 이 당시 타격 능력 등 모두 한대화가 압도적으로 위였다. 더군다나 해태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해본 한대화와 다르게 김용국은 현역 시절 한 번도 우승을 경험해보지 못했다는 점도 있다.[20] 팀 통역 역할까지 했다고 한다. 뭐 그 당시에 영어 실력이 얼마나 됐겠나만 야구 선수들 중에서는 좋은 편이었던 듯. 이후 미국 유학에서도 이런 점이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