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9:53:38

템스강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한반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한반도
갑천 · 경안천 · 고덕천 · 공릉천 · 광주천 · 굴포천 · 금강 · 금호강 · 길안천 · 남강 · 남대천 · 남한강 · 낙동강 · 내성천 · 논산천 · 달천 · 대동강 · 대령강 · 대전천 · 대종천 · 동강 · 동진강 · 두만강 · 례성강 · 만경강 · 미호강 · 무심천 · 밀양강 · 반포천 · 병성천 · 보성강 · 보통강 · 복하천 · 북한강 · 산지천 · 삽교천 · 서강 · 섬강 · 성천강 · 소양강 · 서낙동강 · 섬진강 · 수영강 · 수원천 · 신천 · 안성천 · 안양천 · 압록강 · 양산천 · 양재천 · 영산강 · 예성강 · 온천천 · 요천 · 왕숙천 · 왕피천 · 임진강 · 임천강 · 장자강 · 재령강 · 정안천 · 주천강 · 창릉천 · 천안천 · 청계천 · 청미천 · 청천강 · 탄천 · 탐진강 · 태화강 · 팔거천 · 평창강 · 한강 · 한탄강 · 형산강 · 흑림강 · 홍제천 · 홍천강 · 황강 · 황룡강 · 황구지천 · 회야강 · 회천}}}}}}}}}{{{#!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006fb9><colcolor=#fff> 아시아
중국 황하 · 황수이강 · 웨이허강 · 펀허강 · 호타하 · 장강 · 야룽강 · 민강 · 자링강 · 한수 · 회하 · 황푸강 · 주강 · 타림강 · 하이허강 · 요하 · 송화강 · 눈강 · 목단강 · 헤이룽강
일본 지쿠고강 · 요시노강 ·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나가라강 · 구즈류강 · 기소강 · 덴류강 · 후지강 · 사가미강 · 아라카와강 · 도네강 · 시나노강 · 아가노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강 · 사로베츠강
대만 지룽강 ·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에야와디강 · 똔레쌉 · 똔레산강 · 카푸아스강 · 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강 · 일리강
카프카스
쿠라강 · 테차강 · 알라자니강 · 엔구리강 · 리오니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강 · 마른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강 · 론강 · 가론강 · 에브로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강 · 엘베강 · 오데르강 · 비스와강 · 이손초강 · 부크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강 · 다우가바강 · 드니프로강 · 네바강 · 모스크바강 · 바트강 · 베저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강 · 옴강 · 레크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강 · 남부크강 · 사바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강 · 블타바강 · 빌렌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강 · 마리차강 · 머지강 · 메드웨이강 · 세번강 · 트렌트강 · 네카어강 · 모젤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강 · 도루강 · 후카르강 · 알리에강 · 도르도뉴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타인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프리카
나일강 · 오렌지 강 · 나이저강 · 산카라니강 · 바니강 · 잠베지강 · 콩고강 · 투겔라강 · 오카방고강 · 메제르다강 · 인키시강 · 산쿠루강 · 카사이 강 · 움폴로지 강 · 움짐쿨루 강 · 아와시강 · 제네일강 · 소바트강 · 마레브강 · 웨비 주바강 · 흑나일강 · 청나일강 · 백나일강 · 바니강 · 감비아 강 · 세네갈강 · 쉐벨강 · 바로강 · 림포포강 · 쿠네네강 · 유멘지강 · 베시보카강 · 베누에강 · 마남볼로강 · 마니아강 · 망고키강 · 마하지로강 · 음타타강 · 우방기 강 · 웨드몰우야강 · 사나가 강 · 샤리강 · 로곤강 · 팬데강 · 오순강 · 이모강 · 베냉강 · 이호시강 · 쿠안자 강 · 크로스강 · 크왕고강 · 아바강 · 세이브강 · 볼타강 · 사비강 · 카제라강 · 올리펀츠강 · 레드 볼타강 · 코모에강 · 루앙와강 · 코마티강 · 오구에강 · 그루트강 · 유엘르강 · 조만다오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아메리카
세인트로렌스강 · 세인트모리스강 · 미시시피강 · 미주리강 · 아칸소강 · 허드슨강 · 애서배스카강 · 포위니고우강 · 비버강 · 가즈강 · 콜링강 · 매켄지강 · 스네이크강 · 서스캐처원강 · 서스쿼해나강 · 포토맥강 · 델라웨어강 · 해리슨강 · 프레이저강 · 콜로라도강 · 콜럼비아강 · 유콘강 · 리오그란데강 · 아마존강 · 벨리제강 · 오리노코강 · 마그달레나강 · 마데이라강 · 상프란시스쿠강 · 아푸레강 · 카로니강 · 카우카강 · 아라우카강 · 토칸틴스강 · 네그루강 · 혼도강 · 발사스강 · 코아토사코알코스강 · 믹스테코강 · 옐로스톤강 · 사말라강 · 칙소이강 · 우수미친타강 · 메타강 · 비오비오강 · 마라논강 · 마이포강 · 마포초강 · 이타타강 · 우카얄리강 · 라플라타강 · 트루폴트루폴강 · 톨텐강 · 마울레강 · 파라나강 · 친치페강 · 파라과이강 · 레르마강 · 스와니강 · 로아강 · 샌페드로강 · 베르가라강 · 부에노강 · 도라도강 · 필코마유강 · 살라도강 · 둘체강 · 페티코디악강 · 리메이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7em); min-height: 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남극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오세아니아
머레이강 · 달링강 · 허트강 · 머럼비지강 · 브리즈번강 · 와레고강 · 랑가티케이강 · 왕가누이강 · 통가리로강 · 와이아푸강 · 카와라우강 · 카와티리강 · 마타우강 · 와이로아강 · 와이아우강 · 와이마카리리강 · 와이카토강 · 침부강 · 투아강 · 키코리강 · 라무강 · 호키티카강 · 히피 강 · 벌러강 · 폭스강 · 핀콜강 · 야테강 · 푸리나강 · 푸라리강 · 와투트강 · 애들러강
남극
오닉스강 · 알프강}}}}}}}}}}}}

템스강
River Thames
파일:Cf0tRUc.jpg

1. 개요
1.1. 현황
2. 역사
2.1. 오염과 회복의 반복되는 역사
3. 시설물4. 문화
4.1. 작품4.2. 행사
5. 동명의 지명들6. 이야깃거리7. 참고 문서

1. 개요

영국구성국 잉글랜드 남부에 있는 . 옥스퍼드, 레딩을 거쳐 영국의 수도이자 잉글랜드의 수도인 런던 도심을 서에서 동으로 가른 후 북해로 흐른다. 13,400km²의 넓이와, 334km의 길이의 강으로, 잉글랜드의 강 중에 가장 길고, 영국 전체에서는 두 번째로 길다. 발원지는 켐블(Kemble)이라는 마을 북쪽의 작은 언덕으로, 당연히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어원은 웨일스어로 "어둡다" 라는 뜻이다.

상류 지역에서는 요트보트 놀이를 많이 하며, 수운(水運)과 상수도원으로 이용된다. 특히 교량은 런던 시내에 걸려 있는 런던 브리지·타워 브리지·워털루교 등이 유명하다. 아래에는 터널도 지난다. 런던시 면적의 약 절반은 템스강에 쓰레기를 메워서 만든 매립지라 한다. 물론 매립지라고는 하지만 약 천 년 전에 묻은 쓰레기이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2012 런던 올림픽 오프닝에 템스강의 상류로부터 훑어내려오는 듯한 이미지 연출이 있다.(출처: OBS) 템스강 유역의 식생과 풍경을 짧고 빠르게 훑어보기에 좋은 영상이다.

템즈강이라고도 하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템스강이다. 다만 실제 발음은 전자에 더 가까운 /tɛmz/다.

하류는 바다와 경계가 불투명하며, 조수의 영향을 받아 밀물과 썰물이 있다.[1] 이 때문에 바다 물고기가 발견되기도 하며, 대항해용 큰 배도 강을 타고 올라올 수 있어서 런던은 예로부터 중요한 항구도시였다.

의외로 템스강 일대에 주거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데, 런던의 집값과 월세비가 하도 비싼데다가 그렇다고 위성도시에 살자니 교통비가 비싸서 통근하기가 힘들어지니 아예 배를 사서 개조하거나 보트 하우스를 사거나 임대해서 거기서 사는 것이다. 일단 부터 가을까지는 꽤 버틸만 하다고는 하지만 아무리 템스강의 수질이 예전에 비해 좋아졌던들 여전히 그대로 먹고 마시고 쓰기에는 영 거시기해서 물탱크를 설치해야되고, 가스도 직접 설치해야 되는데, 수도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다보니 물탱크에 물이 얼마나 차있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되는 건 물론, 겨울철에는 아무리 난방을 해도 물 위라 온도가 잘 올라가지 않아 상당한 고역이라고 한다. 또한 교통체증과 계류비, 보트정박지 부족 문제도 있고 배를 움직이게 하거나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것도 나름대로 기술과 노하우가 필요하기에 사실 주거지로서는 그리 좋은 환경은 아니다.

물론 호화요트라면 이 문제에서 다소 벗어날 수 있겠지만 템스강 일대에 사는 이들이 그러한 사치를 할 만큼의 여유가 있는 건 당연히 아니기에 해당사항이 아니다. 그래도 강변이라 전망은 좋은데다가 직장과 가까운 곳에서 살 수는 있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기에 꽤 호불호는 갈리지만 나름대로 선호하는 사람들도 제법 있다.

1.1. 현황

출처

2. 역사

로마 제국도버 해협을 건너 브리튼 섬에 진출한 뒤 템스강 변에 론디니움(Londinium)이라는 전초 기지를 세웠는데, 여기서부터 런던이 비롯되었고 템스강이 유럽역사에 포섭되기 시작했다.

지금은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소빙기이던 17세기~19세기에는 겨울에 강이 결빙되는 해가 자주 있었는데, 기록상 잉글랜드에서 가장 혹독했던 추위인 1683~84년 겨울에는 템스강이 두 달이나 완전히 얼었고 얼음두께가 28cm에 달했다. 아무튼 강이 꽁꽁 얼 때마다 강 위에 축제(River Thames frost fairs)를 벌이는 전통이 있었다. 1812년 겨울에 벌였던 행사가 마지막이었다. 1881년에도 열릴 뻔했지만 무산됐다. (한파 참조) 닥터후 뉴 시즌 10 에피소드 3은 이 당시 사건을 다루고 있다.[3]

1688년 명예혁명 당시 잉글랜드 국왕이던 제임스 2세망명할 때 이 강에 옥새를 버리고 갔다.

1825년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의 아버지 마크 브루넬이 최초로 하저터널을 건설했고, 이후 런던 지하철이 개통된 이후 이스트 런던선의 일부로 지금까지도 쓰이고 있다.

2.1. 오염과 회복의 반복되는 역사

산업 혁명 당시 속된 말로 똥물로 악명이 높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흔한 편견과 달리 중세시절 때에는 생각보다 세심하고 엄격한 수질관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1383년에 센트럴 런던에 있는 작은 유역의 하나인 월브룩(Wallbrook)천 상류에 있는 땅을 파고 만든 모든 화장실 소유주에 대하여 매년 템스강 청소비로 2실링을 부과하는 법, 이어서 1388년에는 개천이나 하천 공기를 오염시키는 일을 규제하는 법이 제정되기도 하였고, 헨리 8세 때인 1535년에는 쓰레기나 오염물질을 함부로 강에 버리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산업 혁명기 당시 런던의 인구는 이촌향도 현상으로 급속히 늘어났고, 이로 인해 기존의 법령과 시내 공중화장실만으로는 쏟아져나오는 폐기물량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그래도 1800년대 초까지는 런던의 수산시장에서 연간 3천만 마리가 판매될 정도로 연어가 많이 잡히던 템스강이었다. 그러나 1833년 런던 다리를 통과한 연어를 마지막으로, 템스 강의 연어가 완전히 사라졌다.[4] 설상가상으로 산성비까지 내리면서 오염이 빠르게 가속화되었다. 당시 시대상 환경오염을 경계하는 의식이 적었기에, 온갖 산업폐수와 쓰레기, 생활하수가 정화되지 않은 채 템스강에 그대로 유기되었다.

설상가상으로 하필이면 이때 수세식 화장실이 본격적으로 영국의 가정에 확산되었는데, 정화조가 있는 현대식이 아니라, 각 가정의 화장실에서 배출된 /오줌그냥 하수도를 따라 그대로 템스강으로 흘러들어갔다. 당대의 저명한 과학자인 마이클 패러데이1855년더 타임스》에 템스강의 상황에 대해서 '템스는 런던을 가로질러 흘러야 하는 강이지, 오염되어 썩은 냄새를 풍기며 부패하는 하수가 아닙니다.'라고 기고했을 정도.

1856년에는 모든 물고기가 폐사했다고 한다. 이 시기 템스강변의 영국 국회의사당은 악취로 창문을 열지 못하고 탈취제, 표백제 따위를 뿌려서 냄새를 중화해야 했을 정도로 곤욕을 치렀다. 또한 1861년에는 당시의 빅토리아 여왕의 부군 앨버트 공이 이 물을 마시고 장티푸스에 걸려 숨지기까지 했다.

템스강의 오염이 매우 심각했던 1878년, 당시 템스강을 오가던 배인 프린세스 앨리스(Princess Alice)호가 침몰하여 승객 800여 명 중 600여 명이 사망하는 끔찍한 참사가 있었는데, 죽은 사람들 중 대부분의 사인은 익사가 아니라 물에 빠지며 마신 템스강의 더러운 물 혹은 그로 생긴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 때문에 죽었다고 하니 그 상황이 얼마나 끔찍했는지는 대략적으로 짐작이 간다. 같은 해에는 이른바 대악취(the Great Stink) 사건으로 의회가 임시 폐회되기도 했다.

게다가 오염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면서 콜레라가 창궐했다. 따라서 식수로 사용하기엔 도저히 불가능할 정도로 런던은 대기수질오염이 상상을 할 수 없을조차 매우 심했고, 상수도를 정비해 콜레라 문제가 해결된지 한참 후인 1950년대 들어서까지도 이 상황이 계속 이어졌다. 결국 20세기 중반, 정화운동을 런던이 전체적으로 하수관망의 설치와 하수처리 용량의 증가 등의 정화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한 결과, 1974년에는 140년 만에 템스강에 연어가 되돌아오는 기록을 세웠고, 강 하류에 물범고래를 비롯한 대형 포유류들까지도 다시 돌아올 정도로 깨끗하게 되살아났다. "템스강의 물을 식수로 사용하게 된 것"을 유럽의 라인강의 기적에 빗대어 "템스강의 기적"이라고 할 정도이다.#
“이대로는 안되겠다” 영국이 34년 만에 수도 재국유화 추진하는 이유|크랩
영국, 극심한 템즈강 오염의 원인은?
(KBS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358회 2024. 6. 1. 방송)
그러나 2024년 기준 템스강은 기준치의 10배에 가까운 대장균이 검출되는 등 다시 똥물로 돌아왔다고(?) 한다. 배설물 등으로 냄새도 참기 어렵고 심지어 튀는 물에도 닿지 않게 조심하라고 경고까지 나오는 수준이다.

수도 회사들이 미처리 하수를 홍수가 아닌데도 장기간 대량 방출한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마거릿 대처 총리 시절 민영화가 이뤄진 이후, 영국 수도 회사들은 시설투자나 서비스 개선은 제대로 하지 않고 주주 배당을 위한 수익 증대에만 신경을 썼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논란이 커진 이후에도 수도요금 인상 계획만 내놓아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 우수와 오수의 분리가 필요한 상황인데 역시 문제는 예산이다. # 영국 현지에선 필수 인프라를 관리하는 공공기관 민영화의 부작용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며, 때문에 수도회사의 국유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

참고로 산업 혁명 시기 런던이 배경으로 나오는 많은 작품들에서 템스강은 오염된 강으로 자주 소개된다. 자세한 건 아래 항목 참조.

3. 시설물

4. 문화

4.1. 작품

영국을 대표하는 강이다 보니 영국 예술 작품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소재중 하나다.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윌리엄 워즈워스, 딜런 토마스, 윌리엄 블레이크[7]가 템스강을 언급한 시를 썼으며 찰스 디킨스도 소설에서 언급한 바 있다. 소설 《코리앤더》 에서 등장하는 주인공의 집이 템스강 변에 위치해 있으며, 템스강이 소설속 중요한 배경이다. 템스강에 대한 아름다움이 묘사된 책이기도 하다.

아서 코난 도일이 쓴 셜록 홈즈 시리즈의 네 장편 중 하나인 네 개의 서명(The Sign of the Four)에서는 막판에 셜록 홈즈존 왓슨, 레스트레이드 경감이 이 템스강에서 기선을 타고 악당과 추격전을 벌인다.

클래식 음악에서는 조지 프레드릭 헨델의 《수상 음악》(Wassermusik)이 가장 유명하다. 헨델 항목에서 유튜브 음원을 맛보기로 들어볼 수 있다.

브리티시 인베이전을 대표하는 밴드 킹크스는 템스강 소재로 곡을 두 개나 썼는데 지금도 킹크스의 대표곡으로 꼽히는 〈Waterloo Sunset〉, 〈See My Friends〉다.

4.2. 행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Queen%27s_Swan_Uppers.jpg
템스강과 관련된 행사로 스완어핑(Swan Upping)이라는 행사가 있다. 이 행사는 말 그대로 템스강에 서식하는 백조를 들어 올리는 것이다. 옛날에는 백조가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기 때문에, 백조 개체 수의 파악이 필요했고, 템스강의 백조는 모두 왕의 몫이었기 때문에[8], 백조를 전부 들어서 조사한 다음, 왕의 표식을 매기는 것으로 '이 백조는 왕의 것임.'을 모두 표기하는 차원에서 이런 일이 벌어졌다. 물론 지금이야 말 그대로 백조를 들어 올린 다음, 백조의 개체 수 및 백조의 건강을 확인하는 동물보호의 의미로 행사를 진행한다.

또한, 이 곳에서는 1829년부터 시작된 옥스퍼드 대학교케임브리지 대학교 간의 조정 경기인 The Boat Race가 매년 열린다.

5. 동명의 지명들

6. 이야깃거리

7. 참고 문서


[1] 기수역이라고 하며 어업에서는 매우 중요한 어장포인트 중 하나이다. 최근 하구둑이 식생을 망치고 있다고 비판받는 이유도 이것. 하구둑이 농사에는 좋지만 기수역을 망쳐버리기 때문. 참고로 서울한강도 가깝게는 여의도 앞부분, 멀게는 탄천 합류영역까지가 기수역이며, 밀물과 썰물이 관찰된다.[2] 런던 시를 벗어나는 곳의 기준[3] 극 중 처음에 나왔던 것 처럼 실제로 코끼리도 지나다녔다고 한다.[4] 애초에 템스 강 하류와 이어지는 영국 동남부 해안은 템스 강에서 흘러나오는 어마어마한 양의 폐수로 인해 템스 강 수준으로 오염되어 있었다. 연어들은 강에 들어오기도 전에 질식으로 폐사했을 가능성이 높다.[5] 게다가 교각 장식이 카톨릭 교회에서 쓰는 독서대(ambo)와 비슷해서 이런 다리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6] 본래 세인트 폴 역으로 개업했으나, 세인트 폴 대성당 옆에 같은 이름의 런던 지하철역이 생기자, 다리 남단에 위치했던 화물역의 이름을 가져와 바꾸었다.[7] 시 제목은 〈런던〉으로 훗날 더 버브의 〈History〉에 인용된다.[8] 물론 템스강 백조의 소유권은 영국 바다 내 고래의 소유권처럼 직접 행사하지는 않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영국 군주의 권한중 하나로 여전히 존재한다.[9] 참고로 센 강의 폭은 30~200m.[10] 센 강이나 라인강, 다뉴브강도 마찬가지. 한강을 비롯한 한반도의 하천들이 폭은 넓지만 수심이 매우 얕고, 그나마 겨울에는 와디처럼 말라붙는 경우도 잦은 것과는 극도로 대조적이다. 따라서 한국은 내륙 수운 교통이 발달하지 못하였고, 댐 건설이 필요하다.[11] 정식 이름은 'HMS 벨파스트호 해군 박물관'[12]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하다' 라는 영어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