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3 06:46:43

주택임대차보호법

주임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
{{{#fff,#ddd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68808,#331D00> 민법
民法
조문 <colbgcolor=#fafafa,#1F2023>총칙 · 물권 · 채권 · 친족 · 상속
주요
특별법
가등기담보법 · 가족관계등록법 · 농지법 ·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 · 부동산등기법 · 부동산등기 특별조치법 · 부동산실명법 · 상가임대차법 · 신원보증법 · 약관법 · 이자제한법 · 자동차손배법 · 제조물 책임법 · 주택임대차법 · 지식재산권법(디자인보호법 · 상표법 · 식물신품종 보호법 · 실용신안법 · 저작권법 · 특허법)
학자 정광현 · 현승종 · 김증한 · 곽윤직 · 김주수 · 남효순 · 황적인 · 김형배 · 김상용 · 이은영 · 오시영 · 송덕수 · 양창수 · 윤진수 · 김준호 · 지원림 · 김재형
상법
商法
조문 총칙 · 상행위 · 회사 · 보험 · 해상 · 항공운송
주요
특별법
어음법 · 수표법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학자 송상현 · 정동윤 · 정찬형 · 이철송 · 송옥렬
민사소송법
民事訴訟法
조문 조문
주요
특별법
가사소송법 · 민사조정법 · 민사집행법 · 상고심법 · 소송촉진법 · 소액사건심판법(이행권고결정) · 중재법
학자 홍재기 · 백한성 · 이영섭 · 방순원 · 이시윤 · 김홍규 · 정동윤 · 송상현 · 호문혁 · 김홍엽 · 오시영
육법공법형사법행정법현행 법률
[[틀:대한민국 헌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3f7f5; font-size: .9em;"
}}}}}}}}}}}}

🏠 부동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 부동산의 분류
협의
<colcolor=#000> 토지 지목에 따른 분류 · 상태에 따른 분류 · 용도지역 · 용도구역
정착물 건물(집합건물 · 주택 · 상가 등) · 시설물(도로 · 철도 · 교량 · 수도 등)
광의
공장재단 · 광업재단 · 선박 · 항공기 · 자동차 · 건설기계 · 어업 및 광업권 등
주택의 분류
공동주택
(/목록)
아파트(대한민국) · 주상복합 · 타운하우스 · 도시형 생활주택 · 빌라 · 다세대주택 · 셰어하우스 · 기숙사
단독주택 단독주택 · 전원주택 · 모던 주택 · 원룸(투룸 · 쓰리룸) · 협소주택 · 저택 · 별장 · 공관(관저)
준주택 오피스텔 · 고시원 · 실버타운
부동산업
건설 건설사(브랜드 · 컨소시엄 · 상위 30대 건설사)
매매 청약(청약가점제 · 청약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 · 분양(미분양) ·등기 ·부동산등기 · 모델하우스 · 전매
임대차 임대료 · 전세(전세권 · 전세 계약) · 반전세 · 월세 · 역월세 · 사글세
간접투자 리츠
가치평가 역세권 · 신축 · 구축 · 건폐율 · 용적률 · 판상형 · 타워형 · 커뮤니티 · 대단지 · 차 없는 아파트(목록)
직업 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주택관리사
관련 학과 부동산학과
법률
민사법 민법 · 농지법 · 부동산등기법 · 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 3법)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행정법 건축법 ·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 감정평가 및 감정평가사에 관한 법률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정책
공급 신규 택지개발 · 신도시(1기 · 2기 · 3기) · 역세권개발사업 · 혁신도시 · 기업도시 · 밀리온프로그람
정비 빈집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사업) · 리모델링 · 도시재생 · 재건축 · 재개발(공공재개발·공공재건축 · 뉴타운) · 지역주택조합
특수 특별공급 · 임대주택(소셜믹스)
규제 세제 취득세 · 종합부동산세(1주택자 과세 논란 · 다주택자 과세 논란) · 재산세 · 양도소득세
대출 담보인정비율(LTV) · 총부채상환비율(DTI)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가격 분양가상한제 · 고분양가심사제도 · 전월세상한제
부담금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지역 투기지역 · 투기과열지구 · 조정대상지역
공시제도 공시지가(개별공시지가 · 표준지공시지가) · 공시가격(공동주택공시가격 ·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 표준단독주택공시가격)
기타 역대 정부별 대책 · 기부채납 · 토지거래허가제 · 토지공개념
관련 기관 법무부 · 국토교통부 · 등기소 · 한국부동산원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택도시보증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경기주택도시공사 · 인천도시공사 · 대구도시개발공사
관련 속어·은어
속어·은어 갭 투자 · 깡통주택 · 알박기 · 영끌 · X품아(초품아 · 지품아) · ○세권 · ○○뷰
불법 기획부동산 · 다운계약서
관련 사이트·앱
국가 청약Home
민간 네이버 부동산 · KB Liiv ON · 부동산114 · 직방 · 다방 · 집토스 · 다음 부동산 · 바로바로 · 리치고 · 알스퀘어
부동산 스터디 · 부동산 갤러리 · 라이트하우스 ·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 집값 정상화 시민행동
기타
부동산 투기 · 계획도시 · 난개발 · 국민주택채권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법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2e0,#333020><tablebgcolor=#fff2e0,#33302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주택임대차보호법
住宅賃貸借保護法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 ||
<colbgcolor=#e68808,#331D00><colcolor=white> 공식 약칭 주택임대차법
住宅賃貸借法
제정 1981년 3월 5일
법률 제3379호
현행 2020년 6월 9일
법률 제17363호
소관 법무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법률]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법률안]

1. 개요2. 소관 기관3. 적용 범위4. 내용
4.1.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4.2. 임대차기간 및 계약의 갱신4.3. 차임이나 보증금의 증액의 제한4.4.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의 제한4.5. 대항력4.6. 우선변제권4.7. 대항력과 우선변제력의 관계4.8. 주택 임차권의 승계4.9. 주택임대차분쟁조정
5. 시험과목 중 주택임대차보호법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제1조(목적) 이 법은 주거용 건물의 임대차(賃貸借)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0조(강행규정) 이 법에 위반된 약정(約定)으로서 임차인에게 불리한 것은 그 효력이 없다.

住宅賃貸借保護法

일반적인 임대차보다 임차인의 보호를 강화한 법률로서, 민법에 대한 특별법이다. 약칭으로 주임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임차인 보호를 위해 주택임대차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특례를 규정하고 있다.
그 밖에, "임차인이 임대인에 대하여 제기하는 보증금반환청구소송에 관하여는 소액사건심판법 제6조, 제7조, 제10조 및 제11조의2를 준용한다."라고 되어 있으나(제13조), 이 규정은 실무상 사문화되어 있다. 주택임대차보호법대로라면, 임대차보증금반환 사건은 소액사건이 아니더라도 이유기재도 생략하고 즉일선고를 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무지막지하게 재판을 하는 판사는 없다.

일반인에게나 법률가에게나 매우 중요한 법률이다. 특히 변호사에게는 열심히 공부해 두면 공부한 보람을 만끽(?)할 수 있는 대표적인 법률이기도 하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내용이 상당히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르다.

2. 소관 기관


국토계획법, 건축법, 주택법 등 부동산 관련 법률들이 모두 국토교통부, 국토교통위원회 소관 법률인 것과 다르게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모두 법무부법제사법위원회 소관 법률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법들은 국토계획이라든지 건축행위를 조율하는 법률이 아니고 임대차라는 계약을 다루는 법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재미있는 일이 벌어졌는데, 2020년 7월 27일 국회 법제사법위 전체회의에 국무위원 자격으로 출석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법제사법위원들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관련 질의에 답변한 게 뉴스가 뜨자 네티즌들이 일치단결하여 추 장관을 '법무·교통부 장관', '이개 장관' 등으로 조롱하고 힐난했다. 기사(한국경제) 기사(조선일보) 심지어 기자들도 주임법 소관 부처가 법무부라는 진실에 대해 특별한 첨언 없이 기사를 작성하거나 인신공격에 해당되는 자극적인 헤드라인을 쓰면서 네티즌들 사이에 혼란이 더욱 가중됐다.[5] 이 일이 있은 다음날에는 YTN도 이를 다루며 팩트체크했다. 기사(YTN)

3. 적용 범위

제2조(적용 범위) 이 법은 주거용 건물(이하 "주택"이라 한다)의 전부 또는 일부의 임대차에 관하여 적용한다. 그 임차주택(賃借住宅)의 일부가 주거 외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제11조(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 이 법은 일시사용하기 위한 임대차임이 명백한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12조(미등기 전세에의 준용) 주택의 등기를 하지 아니한 전세계약에 관하여는 이 법을 준용한다. 이 경우 "전세금"은 "임대차의 보증금"으로 본다.
1. 주택의 일부이건, 전부이건 상관없이 적용된다.
2. 주택의 일부를 주거 외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적용된다.[6]
3. 미등기/무허가 주택에도 적용된다.(일시사용 임대차는 적용되지 않는다.)

4. 내용

4.1.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

2016년 11월 30일부터는, 주택임대차계약을 서면으로 체결할 때에는 법무부장관이 서식을 정하여 권고하는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다만, 당사자가 다른 서식을 사용하기로 합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제30조).

법무부에서 만든 주택임대차표준계약서 서식은 이 사이트 참조.

4.2. 임대차기간 및 계약의 갱신

제4조(임대차기간 등) ① 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다만, 임차인은 2년 미만으로 정한 기간이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
② 임대차기간이 끝난 경우에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을 때까지는 임대차관계가 존속되는 것으로 본다.

제4조의 경우 법학에서 편면적 강행규정의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해당 규정을 위반한 경우로서 강자(=임대인)에게 유리한 경우 그 계약은 무효이지만, 약자(=임차인)에게 유리한 경우 그 계약은 유효이다.
제6조(계약의 갱신) ① 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2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更新拒絶)의 통지를 하지 아니하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아니하면 갱신하지 아니한다는 뜻의 통지를 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한 것으로 본다.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까지 통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7]
② 제1항의 경우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본다.
③ 2기(期)의 차임액(借賃額)에 달하도록 연체하거나 그 밖에 임차인으로서의 의무를 현저히 위반한 임차인에 대하여는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6조의2(묵시적 갱신의 경우 계약의 해지) ① 제6조제1항에 따라 계약이 갱신된 경우 같은 조 제2항에도 불구하고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契約解止)를 통지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해지는 임대인이 그 통지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면 그 효력이 발생한다.

종래 묵시적 계약갱신 거절의 통지기간은 임대차기간 종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였으나, 2020년의 개정에서 "2개월 전까지"로 단축되었다. #

4.3. 차임이나 보증금의 증액의 제한

제7조(차임 등의 증감청구권) ① 당사자는 약정한 차임이나 보증금이 임차주택에 관한 조세, 공과금, 그 밖의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적절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장래에 대하여 그 증감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증액청구는 임대차계약 또는 약정한 차임이나 보증금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한다.
② 제1항에 따른 증액청구는 약정한 차임이나 보증금의 20분의 1의 금액을 초과하지 못한다. 다만,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 및 특별자치도는 관할 구역 내의 지역별 임대차 시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본문의 범위에서 증액청구의 상한을 조례로 달리 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차임이나 보증금(이하 "차임등"이라 한다)의 증액청구는 약정한 차임등의 20분의 1(즉, 5%)의 금액을 초과하지 못한다(시행령 제7조 제1항).

이것은 일종의 형성권으로써 계약기간 중 증액요구를 말한다.

주의할 것은, 위 규정은 임대차계약의 존속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등의 증감을 청구한 때에 한하여 적용되고,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 재계약을 하거나 또는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이 증액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다(대법원 1993. 12. 7. 선고 93다30532 판결).

임차인이 이러한 증액비율을 초과하여 차임 또는 보증금을 지급한 경우에는 초과 지급된 차임 또는 보증금 상당금액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제10조의2).

4.4.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의 제한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월 단위의 차임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그 전환되는 금액에 다음 각 호 중 낮은 비율을 곱한 월차임(月借賃)의 범위를 초과할 수 없다(법 제7조의2, 영 제9조).
임차인이 이러한 월차임 산정률을 초과하여 차임을 지급한 경우에는 초과 지급된 차임 또는 보증금 상당금액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제10조의2).

예를 들어, 보증금 6000만원 / 월세 50만원의 반전세가 있으며, 현재 기준금리는 3%라고 해보자. 이 때, 임대인이 보증금 전부를 월세로 전환한다면 보증금 6000만원 × (3+2)% ÷ 12개월 = 25만원이 되므로 임대인은 최종적으로 보증금 0원 / 월세 75만원으로 전환할 수 있다.

4.5. 대항력

제3조(대항력 등) ① 임대차는 그 등기(登記)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賃借人)이 주택의 인도(引渡)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 날부터 제삼자에 대하여 효력이 생긴다. 이 경우 전입신고를 한 때에 주민등록이 된 것으로 본다.
④ 임차주택의 양수인(讓受人)(그 밖에 임대할 권리를 승계한 자를 포함한다)은 임대인(賃貸人)의 지위를 승계한 것으로 본다.

제3조의5(경매에 의한 임차권의 소멸) 임차권은 임차주택에 대하여 「민사집행법」에 따른 경매가 행하여진 경우에는 그 임차주택의 경락(競落)에 따라 소멸한다. 다만, 보증금이 모두 변제되지 아니한, 대항력이 있는 임차권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 3자에게 임차권을 주장할 수 있는 권리이다.[9][10] 다음과 같은 대항 요건을 갖춰야한다.
1. 주택의 인도(입주)
2. 주민등록(거주지 등록)
위의 두 가지를 갖춘다면 다음날부터 효력이 발생한다(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11]

다음 경우에는 임차인과 입주자가 다르지만 입주자가 실질적으로 임차인이므로 대항력을 인정한다(제3조 제2항, 제3항).
대항력이 없는 주택임대차였다고 하더라도,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에 따른 임차권등기를 마치면 대항력을 취득한다(제3조의3 제5항 본문). 다만, 실무상 그런 경우는 드물며, 주택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기 전에 대항력을 갖춰 두는 것이 일반이다.

이와 관련하여, 매매의 목적물이 대항력 있는 주택임대차의 목적이 된 경우에 매수인이 이를 알지 못한 때에는,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담보책임을 물을 수 있다(제3조 제5항, 제6항).

제3조 제4항에 관해서는 헌법소원이 제기된 바 있으나, 헌법재판소는 이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보았다(헌재 2017. 8. 31. 2016헌바146 결정).

거소신고한 재외국민도 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이 인정된다고 대법원에서는 보고있다.#

계약서를 동사무소나 법원에 가져가 확정일자 받는 것도 잊지 말자

4.6. 우선변제권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보증금반환청구권을 보호하기 위해 주택임차인에게 우선변제권을 부여한다[12]

선순위담보권자에게 대항력이 없어 임차권이 소멸하는 중간임차인도, 후순위담보권자에 대한 대항요건과 확정일자를 갖추었으면, 후순위담보권자나 채권자보다는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받을 수 있다.

저당권은 경매신청인의 권리보다 먼저 등기된 것도 소멸하게 한다.[13] 저당권에 우선하지 못하는 임차권이 소멸할 때에도, 임차인은 후순위저당권자나 채권자보다는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
제3조의2(보증금의 회수)
② 제3조제1항·제2항 또는 제3항의 대항요건(對抗要件)과 임대차계약증서(제3조제2항 및 제3항의 경우에는 법인과 임대인 사이의 임대차계약증서를 말한다)상의 확정일자(確定日字)를 갖춘 임차인은 「민사집행법」에 따른 경매 또는 「국세징수법」에 따른 공매(公賣)를 할 때에 임차주택(대지를 포함한다)의 환가대금(換價代金)에서 후순위권리자(後順位權利者)나 그 밖의 채권자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辨濟)받을 권리가 있다.
제 3자에게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더라도 이를 민사집행법상의 경매나 국세기본법상의 공매 등에서 배당권자로서 우선변제권을 받으려면 필요적으로 확정일자를 부여받아야 한다.

간혹 확정일자까지 받아야 대항력이 발생한다고 착각하는 경우들이 있지만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택의 인도와 전입신고만 하면 충분하다(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전세권을 설정하기에는 임대인이 꺼리는 경우가 많아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이 전세권 등기를 요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주로 확정일자를 받아 놓는다. 입주와 주민등록을 마친 임차인이 확정일자를 받으면 등기된 것과 마찬가지로 후순위 등기자보다 우선 변제받을 수 있다.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임대차계약서에 공증 사무소에서 확정일자를 찍어주는 방법, 그리고 법원,등기소,읍,면,동사무소에서 확정일자인을 찍어주는 방법이 있다. 요금은 매우 싼 편으로 몇 백원[14]밖에 안되니 꼭 받도록 하자. 전입신고를 하는 김에 계약서 갖고 가서 받으면 편리하다.[15]

확정일자 부여에 관해서는 임대차계약서에의 확정일자 부여 참조.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였는데 이사를 가야 할 경우 우선변제권이 유지될 수 없어('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이 요건이므로) 대략 난감하게 된다. 이런 경우를 위하여 임차권등기명령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제3조의3).
즉, 법원에 '내가 이러이러한 임차인이고 임대차가 종료했는데 보증금을 아직 못 받았습니다'라고 관할 법원에 신청하면, 법원에서 주택임차권등기를 촉탁해 주는데, 이 등기가 되고 나면 이사를 나가더라도 우선변제권이 유지된다.
상세는 임차권등기명령 문서 참조.

우선변제권이 없는 주택임대차였다고 하더라도, 임차권등기명령의 집행에 따른 임차권등기를 마치면 우선변제권을 취득한다(제3조의3 제5항 본문).
제8조(보증금 중 일정액의 보호) ① 임차인은 보증금 중 일정액을 다른 담보물권자(擔保物權者)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권리가 있다. 이 경우 임차인은 주택에 대한 경매신청의 등기 전에 제3조제1항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③ 제1항에 따라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 및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와 기준은 제8조의2에 따른 주택임대차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다만, 보증금 중 일정액의 범위와 기준은 주택가액(대지의 가액을 포함한다)의 2분의 1을 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경제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 소위 소액보증금의 최우선변제권이라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소액보증금에 해당하는 범위나 최우선변제권이 인정되는 범위는 지역마다 다르다.

그러한 범위를 따지는 경우에 관해 주의할 점이 있다. 당연히 현행법의 범위에 의하는 것이 아니고, 임차주택에 대하여 담보물권을 취득한 자가 있으면, 그 시점에 시행되던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이 정한 범위에 의하게 된다(시행령 부칙 참조).

구체적인 것은,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사이트의 해당 메뉴를 참조하면 편리하다.

이 소액보증금 최우선변제권은 임대차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지 않았더라도 전입신고만으로도 획득할 수 있다.

4.7. 대항력과 우선변제력의 관계

담보물권에서는 대항력이란 곧 우선변제권이다. 다른 채권자 또는 담보권자보다 우선하는 대항력이 인정된다는 것은 그 범위에서 우선변제가 인정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우선변제를 받고 나면 저당권은 소멸한다.[16]

반면 주택임차권은 우선적으로 대항력이 인정되는 권리이고, 나아가서 우선변제권도 인정되는, 우선특권이다. 임차인이 임대인(그리고 임대인의 승계인인 양수인)에 대한 대항력이 인정된다는 것과 임차인이 다른 채권자나 담보물권자보다 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별개다.

임대차 기간이 종료된 후 주택임차인은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각각 갖는다.

임대차가 종료된 후 주택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해 경매절차에서 보증금 전부를 변제받으면 주택임차권은 소멸한다. 그러나 보증금을 완제받지 못할 경우 주택임차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임대차기간이 끝난 후에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을 때까지 임대차관계가 존속하는 것으로 의제된다.[17] 임차인이 보증금을 모두 회수할 때까지 임대차관계가 종료되지 않는다고 보아주는 것이다.

임대차기간이 종료된 후, 대항력이 있는 임차인은 경매절차에 참가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수도 있고, 경매가 끝난 후 낙찰자에게 대항력을 행사하여 보증금을 반환받을 수도 있다. 대항력과 우선변제력을 모두 주장할 수도 있는가?

임차인의 대항력 외에 우선변제력도 인정하면 낙찰자와 채무자, 채권자가 예측하지 못한 손해를 입을 수 있다.

1.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면, 낙찰자가 낙찰 후 보증금을 지급해야 하기에, 낙찰자는 자신이 지급하여야 할 보증금을 고려하여 경매절차에서 매수가격을 낮게 책정하게 된다. 임차인이 우선변제를 요구하면 낙찰자에게는 이익이 되지만 배당을 받게 될 다른 채권자, 채무자는 손해를 보게 된다.

2. 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한다면, 반대로 낙찰자는 매수가격을 높게 책정하게 된다. 그런데 만일 배당요구를 한 임차인이 배당요구를 철회하게 되면, (낙찰자는 높은 가격에 매수했음에도 임차보증금까지 반환해야 하기에) 낙찰자는 손해를 보고, 채무자 채권자는 이익을 보게 된다.
판례는 임차인은 대항력과 우선변제력을 겸유하여, 두 가지 권리 중 하나를 선택해서 행사할 수 있다고 한다.[18]
대항력과 우선변제력을 겸유하고 있는 소액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하지 않았거나, 배당요구를 하였다가 철회하였다고 해서, 대항력을 포기한 것은 아니다.[19] [20]

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했으나 임차보증금을 완전히 변제받지 못한 경우 경매매수인에게 임차권의 존속을 주장할 수 있는가?

판례는 이를 긍정했다. 대항력과 우선변제권를 겸유하는 임차인은, 먼저 우선변제권을 선택해 임차주택에 대해 진행되고 있는 경매절차에서 보증금 전액에 대해 배당요구를 할 수 있고, 배당이 실시되었을 때 보증금 전액을 배당받을 수 없었다면, 보증금 중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수 있었던 금액을 공제한 잔액에 대해 다시 경매 매수인에게 대항하여 이를 반환받을 때까지 임대차관계의 존속을 주장할 수 있다. 임차인의 배당요구에 의해 임대차는 해지되어 종료되는 것이지만, 주임법 제4조 제2항에 의해 임차인이 보증금의 잔액을 반환받을 때까지 임대차관계가 존속하는 것으로 의제되기에, 경매 매수인은 제3조 제4항에 의해 임대차가 종료된 상태에서의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다.[21]

대항력 있는 임차인은 보증금의 일부가 배당금으로 확보된 상태에서도 경매 낙찰자에게 주택의 인도를 거부하면서 보증금잔액의 지급을 요구할 수 있다.

임차인이 우선변제권을 행사했으나 임차보증금을 완전히 변제받지 못한 경우, 1차 경매 낙찰자의 주택이 다시 2차로 경매된다면, 주택임차인은 2차 경매에서도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는가?
종전 판례는 주택임차법 제4조 제2항을 근거로 우선변제권을 부정했었고, 현재 판례는 신설된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5 단서는 대항력만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여 우선변제권을 부정한다.[22]

우선변제권은 주택임차인이 만족을 얻을 때까지 인정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우선변제권의 취지상 그렇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판례는 경매 절차의 간이화를 위해 부정하고 있다. 임차인은 1차 경매의 낙찰자에게 대항하여 보증금의 잔액을 받을 수도 있기에, 2차 경매 절차의 안정을 해하면서까지 재차 우선변제권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4.8. 주택 임차권의 승계

제9조(주택 임차권의 승계) ① 임차인이 상속인 없이 사망한 경우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가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② 임차인이 사망한 때에 사망 당시 상속인이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고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주택에서 가정공동생활을 하던 사실상의 혼인 관계에 있는 자와 2촌 이내의 친족이 공동으로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③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임차인이 사망한 후 1개월 이내에 임대인에게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승계 대상자가 반대의사를 표시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제1항과 제2항의 경우에 임대차 관계에서 생긴 채권·채무는 임차인의 권리의무를 승계한 자에게 귀속된다.

4.9. 주택임대차분쟁조정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홈페이지
파일:external/www.klac.or.kr/housing_process.jpg

2017년 5월 30일부터는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을 신청하는 제도가 시행된다.

이 제도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는 대한법률구조공단에 설치되었으며, 2017년 5월 30일 현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영 제21조). 고등법원 관할구역과 대체로 대응하지만, 약간은 차이가 있다(인천광역시, 경기도).
해당 지부 관할구역
서울중앙지부 서울특별시, 강원도
수원지부 인천광역시, 경기도
대전지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
대구지부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부산지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광주지부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

5. 시험과목 중 주택임대차보호법

6. 관련 문서


[법률] [법률안] [3] 연 10% 또는 연 (기준금리)+2% 중 더 낮은 비율[4] 예를 들어, 현재 기준금리가 3%라고 가정해보자. 보증금 6000만원 / 월세 50만원짜리 반전세계약을 전체 월세로 전환할 때에는 보증금 6000만 × (3+2)% ÷ 12개월 = 25만원으로 계산되어 총 75만원만큼의 월세로만 전환할 수 있다.[5] 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는 추미애/비판 및 논란/법무부장관 시절 문서 참조 바람.[6] 1층을 가게로 하고 2층을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등[7] 임대인이 계약을 미루다가 계약기간이 얼마 안 남았을 때 임차인에게 불리한 계약을 강요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항이다.[8] 2016년 11월 29일 이전에는 '한국은행 기준금리×4'였다.[9] 원래 임차권은 채권이므로 제 3자에게는 주장할 수 없고 등기를 해야만 물권화되어 제 3자에게도 주장할 수 있다. 그렇긴 한데 제정신 가진 집주인이라면 절대 안해준다는게 문제.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대항력 요건이 생긴 이유가 이때문이다.[10]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B에게 보증금을 주고 집을 임대한 경우 B가 C에게 집을 팔았다면 A는 B한테만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하지만 A가 대항력을 갖추었다면 A는 C로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11] 그래서 임대차 계약은 은행 영업 시간을 종료되는 오후 늦게 하는 것이 보통이다. 임대차 계약을 한 뒤 바로 은행에 가서 집을 담보로 저당권을 설정하기라도 하면 자칫 잘못하면 임차인은 보증금을 날릴 수도 있기 때문.[12] 주임법 제3조의 2[13] 민사집행법 제91조 제2항. 이를 소거주의라 한다.[14] 법원 등기과 및 등기소를 기준으로는 6백원(2015년 기준). 동사무소 기준으로도 똑같이 600원(서울, 2021년 기준).[15] 드문 예이기는 하지만, 민법에 따른 주택임대차등기를 마친 때에도 마찬가지로 우선변제권이 유지된다(제3조의4).[16] 민사집행법 제91조 제2항[17] 주임법 제4조 제2항[18] 대법원 1986. 7. 22. 선고 86다카466,468,469 판결[19] 대법원 1987. 2. 10. 선고 86다카2076 판결[20] 임차인이 배당요구를 하면 우선변제권을 행사하기로 하고 대항력은 포기했다고 보면 간편한데,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임차인이 배당요구를 철회할 수 있고 철회해도 대항력을 포기한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21] 대법원 1997. 8. 22. 선고 96다53628 판결[22] 대법원 2006. 2. 10. 선고 2005다21166 판결[23] 독립된 과목으로 출제되는 것은 아니고, 민법 문제에서 아울러 출제된다. 법무부 변호사시험용 법전에도 포함되어 있다.[24] 2020학년도 수능까지만 출제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