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11:41:39

일성 이사금

일성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bgcolor=#fbe673> [[신라/역사#신라 상대(上代)|
상대 上代
]]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조분 이사금 첨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미추 이사금 유례 이사금 기림 이사금 흘해 이사금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내물 마립간 실성 마립간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진지왕 진평왕 선덕여왕 진덕여왕
<bgcolor=#fbe673> [[신라/역사#신라 중대(中代)|
중대 中代
]]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태종 무열왕 문무왕 신문왕 효소왕
<rowcolor=#fbe673>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성덕왕 효성왕 경덕왕 혜공왕
<bgcolor=#fbe673> [[신라/역사#신라 하대(下代)|
하대 下代
]]
<rowcolor=#fbe673>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선덕왕 열조 원성왕 소성왕 애장왕
<rowcolor=#fbe673>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헌덕왕 흥덕왕 희강왕 민애왕
<rowcolor=#fbe673>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신무왕 문성왕 헌안왕 경문왕
<rowcolor=#fbe673>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 효공왕
<rowcolor=#fbe673>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경순왕
}}}}}}}}}}}}

일성 이사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신라의 왕자
[[틀:신라의 왕자/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fbe673;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21970, #7C2A8D 20%, #7C2A8D 80%, #621970);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리 이사금 · 일지 갈문왕 · 박나로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석골정 · 이칠 갈문왕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미추 이사금 · 김말구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지증왕 · 김아진종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신라/왕조#s-2.1|{{{#!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be673;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비 · 태자
왕자 : 혁거세 거서간 ~ 문흥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왕녀 : 혁거세 거서간 ~ 진안 갈문왕 · 태종 무열왕 ~ 경순왕
※ 이름이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인물만 기재
※ 『화랑세기』 에만 등장하는 경우는 제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혁거세 거서간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탈해 이사금
박남해 박유리 박일성 김알지
<rowcolor=#FBE673> 탈해 이사금 파사 이사금 벌휴 이사금 내해 이사금
박파사 박지마 석골정 석날음
태손

석조분
<rowcolor=#FBE673> 내해 이사금 내물 마립간 진흥왕 무열왕
석우로 김눌지 김동륜 김법민
<rowcolor=#FBE673> 문무왕 신문왕 성덕왕 성덕왕
김정명 김이홍 김중경 김승경
<rowcolor=#FBE673> 효성왕 경덕왕 원성왕 원성왕
김헌영 김건운 김인겸 김의영
<rowcolor=#FBE673> 원성왕 소성왕 헌덕왕
김준옹 김청명
태자

성명불상
김수종
<rowcolor=#FBE673> 흥덕왕 신무왕 문성왕 경문왕
김충공 김경응
태자

성명불상
김정
<rowcolor=#FBE673> 진성여왕 신덕왕 경순왕
김요 박승영 김일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제7대 국왕
일성 이사금 | 逸聖 尼師今
파일:일성왕릉.jpg
일성왕릉 전경.
출생 44년(?)[1]
즉위 134년 8월
사망 154년 2월 (향년 110세?)
능묘 일성왕릉(逸聖王陵)
재위기간 신라 왕태자
연대 미상 ~ 57년 10월
신라 제7대 국왕
134년 8월 ~ 154년 2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밀양 박씨
일성(逸聖)[2]
부모 부왕 유리 이사금
모후 이리생부인
형제자매 이복 동생 파사 이사금
배우자 왕후 박씨[3]
자녀 1남[4]
왕호 일성 이사금(逸聖 尼師今) }}}}}}}}}

1. 개요2. 아버지는 누구?3. 생애4. 일성왕릉5. 기타6. 《삼국사기》 기록7. 같이보기8. 둘러보기

1. 개요

신라의 제7대 군주. 칭호는 이사금.

어머니는 일지 갈문왕의 딸 이리생부인이며, 왕비는 지소례왕의 딸이다. 족내혼을 통해 박씨 왕족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였던 왕으로 평가받는다.[5]

2. 아버지는 누구?

삼국사기》에서는 유리 이사금(제3대)의 장남 또는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6]이라고 했고, 《삼국유사》에서는 유리 이사금의 형 또는 지마 이사금(제6대)의 아들이라고 했다.

한편 148년(일성 이사금 15년)에 박아도갈문왕으로 봉한 사실을 근거로 박아도가 일성 이사금의 아버지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역사학계에서는 박아도가 유리 이사금의 아들이며, 일성 이사금의 아버지일 가능성을 높게 보는데 군주가 되지 못한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봉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성 이사금이 박아도의 아들이라면 즉위한지 15년이나 지나서야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삼은 것이 문제가 된다. 게다가 박아도가 파사 이사금의 손자라는 내용이 《삼국사기》에 있는 것도 문제다. 사실 파사 이사금(제5대)부터가 유리 이사금의 차남 또는 조카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해진다.

가족 관계에 대해 혼란스럽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의심하게 하는 단서 중 하나가 되고 있으며 해석에 대해서도 각종 학설이 쏟아지고 있다. 사실 《삼국유사》까지 가져와 가족 관계를 따져보면 언뜻 보기에 어느 기록이 맞는지 알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여럿 있는데 기록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 오늘날에 대두되는 학설이다. 《족보》를 따지느냐, 씨족을 따지느냐에 의한 차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 설에도 허점이 있고, 실질적으로 당시 신라인들이 대체 무슨 생각을 했는지 지금으로서는 알기 힘들다. 성골진골을 나누는 기준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상황이 아닌데 훨씬 앞 시대인 이때는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일성 이사금과 파사 이사금 둘 다 유리 이사금의 아들이라는 것이 맞다고 가정하고서 《삼국사기》 기록을 보더라도 조금 이상하다. 일성 이사금이 , 파사 이사금이 동생인데 동생이 먼저 즉위했으며, 즉위한 것은 서기 80년이었다. 이후 조카지마 이사금을 한 번 거쳐 일성 이사금이 군주가 된다. 기록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동생이 왕위에 올라 54년을 통치했고, 동생이 사망하고 22년 뒤에 즉위했다. 즉, 이 말은 아버지가 사망하고 77년 뒤에 장남이 왕위에 올랐다는 것이다. 더욱이 왕위에 올라 20년을 다스린다.

이쯤 되면 일성 이사금의 나이를 역으로 계산해 볼 수 있는데 파사 이사금의 기록에 따르면 형보다 현명하여 왕위에 올랐다고 하니, 서기 80년에 즉위한 파사 이사금은 당시 최소한 8살[7] 이상은 되었으리라 추정된다. 그렇다면 형인 일성 이사금은 서기 80년에 최소 9살 이상. 그렇다면 왕위에 오를 때는 최소 63세가 된다. 이후 20년 동안 더 살았으니 《삼국사기》 기록을 믿는다면 최소 83세 이상은 살았다는 말이 되며, 너무 최소에 맞춰 타이트하게 계산하지 않고 좀 더 현실성 있게 되려면 90세 이상 장수했다는 말이 된다. 그리고 유리 이사금의 아들이 확실하다면, 아버지 유리 이사금이 죽은 해에 일성 이사금이 태어났다고 해도 서기 57년생이니, 최소 97세 이상을 살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물론 이것도 타이트하게 계산한 것이니 실제로는 100세를 넘겼다고 봐야 한다. 이런 비현실적인 수명은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서 고구려태조대왕, 명림답부, 차대왕, 신대왕 등 다양한 곳에서 나타난다. 비현실적인 수명인 데다, 왕위 후계도 동생조카 다음에 왕위에 오르는 이상한 순서라서 후세에 조작되었으리라고 추정된다.[8] 다만 위에 나온 기록 중 형보다 현명하다는 기록은 표면상의 이유고, 다른 정치적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거기다 일본 신화에 나오는 아메노히보코가 신라의 왕자인데 동생에게 왕위를 넘기고 왜로 이주했다는 점에서 일성 이사금과 연관되었다는 가설이 있는데, 아메노히보코가 일성 이사금이 맞을 경우 일성 이사금의 행적은 더욱 복잡해진다.

사실 이렇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신라가 백제, 일본처럼 실제 건국 연대를 조작했기 때문이다. 고고학적으로 사로국의 건국 연대는 2세기 초중반~중반에서 올라가지 않는데 신라가 기년 조작으로 고구려보다 기년을 앞서 올리는 과정에서[9] 이런 나이 오류가 났다고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일성 이사금과 파사 이사금이 친형제가 아니라 종형제라는 설도 있다. 사서에서 부자지간으로 나오는 유리 이사금과 파사 이사금의 고고학적 활동 연대 차이가 부자지간이라기에는 너무 커서 파사가 유리의 아들이 아니라 2~4대손이라는 설이 제기되는데, 일성과 파사가 유리를 공통 조상으로 둔 종형제 지간이라면 쉽게 납득이 가는 부분. 당대 신라는 3성(姓) 6부(部) 동시 병존 체제였고 간(干)=왕(王)이라 불리던 인물이 지증왕 대까지도 6명을 초과한 것이 금석문에서 확인되는 만큼 파사와 일성이 동시대에 병존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10] 파사와 일성을 친형제가 아니라 4~6촌 종형제라 간주할 경우 일성을 파사의 형이라 써놓고서 후대 신라에서 연대를 인상할 때 일성을 파사보다 뒤에 배치한 것과 파사의 고고학적 활동 연대보다 일성의 고고학적 활동 연대가 조금 뒤인 것도 쉽게 해석할 수 있는데, 눌지 마립간의 손자인 소지 마립간자비 마립간의 늦둥이로 태어난 탓에 눌지의 동생 복호의 손자인 지증왕이 종제(從弟)임에도 불구하고 자비보다 20살 넘게 연상인 것처럼 일성의 선대가 파사의 선대보다 연상이었지만 일성이 파사보다 20년쯤 뒤에 태어났다고 보면 부자연스럽지 않다.

허루 갈문왕은 파사 이사금의 장인 김씨라고도 하며(<파사 조>) 김씨 족단의 최초 근거지인 한기부 소속 이찬이었기에(<지마 조>) 동명이인이 아니라면 박씨는 김씨의 오기라고 봐야 하며, 박씨 족단이 충주 금릉동에서 서라벌로 이주한 시기는 4세기 초반에서 올라가지 않으므로 유리의 부인 가능성이 떨어진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유리의 형'은 이름이 전해지지 않으나 가계가 불명인 일지 갈문왕과 동일인물 가능성이 있다. 지마 이사금은 고고학적 활동 연대(4세기 초중반~중반)가 일성과 동일한 데다 일성의 아들 아달라 이사금이 지마의 딸과 혼인했으므로 둘의 나이는 비슷하다고 봐야 하기에 가능성이 제일 떨어진다. 파사와 일성을 유리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또는 증손자)라 가정하면, 나로와 일지도 파사의 할아버지뻘이 되므로 신라 특유의 근친혼 풍습에 따라 유리와 유리 형제의 자녀들끼리 통혼했다면 파사와 일성의 아버지 구전이 유독 갈리는 것도 조부/외조부라서 그런 것일 수도 있다. 신라의 3촌혼 풍습을 고려하면 삼국사기에서 유리의 부인으로 제일 먼저 거론된 일지 갈문왕의 딸은 유리의 후처일 수도 있다.

3. 생애

(파사 즉위년조) 앞서 탈해가 돌아가셨을 때 신하들은 유리의 태자 일성(逸聖)을 왕위에 오르게 하려 하였다. 그러나 누군가가 말하기를 “일성이 비록 맏아들이기는 하지만 위엄과 현명함이 파사에 미치지 못하다.”고 하여, 마침내 파사를 왕위에 오르도록 한 것이다.

일성 이사금(逸聖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유리왕(儒理王)의 맏아들이다.[혹은 일지(日知) 갈문왕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왕비 박씨는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이다.

원년(서기 134) 9월,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였다.

2년(서기 135) 봄 정월, 임금이 몸소 시조묘에 제사 지냈다.

3년(서기 136) 봄 정월, 웅선(雄宣)을 이찬(2위)으로 삼고, 겸하여 중앙과 지방의 병마의 일을 맡겼다. 근종(近宗)을 일길찬(7위)으로 삼았다.

4년(서기 137) 봄 2월, 말갈이 국경에 쳐들어와서, 장령(長嶺) 지방의 다섯 군데 목책을 불태웠다.

5년(서기 138) 봄 2월, 금성에 정사당(政事堂)을 설치하였다. 가을 7월, 알천(閼川)의 서쪽에서 군대를 크게 사열하였다. 겨울 10월, 임금이 북쪽을 두루 살펴보고, 태백산(太白山)에서 몸소 제사 지냈다.

6년(서기 139) 가을 7월, 서리가 내려 콩이 상했다. 8월, 말갈이 장령을 습격하여 백성들을 노략질하였다. 겨울 10월, 말갈이 다시 습격해왔으나, 눈이 심하게 내리자 물러갔다.

7년(서기 140) 봄 2월, 장령에 목책을 세워 말갈을 방어하였다.

8년(서기 141) 가을 9월, 그믐 신해일에 일식이 있었다.

9년(서기 142) 가을 7월, 임금이 여러 대신들을 불러 말갈을 정벌할 것을 논의하였다. 이찬 웅선이 ‘불가능하다’고 아뢰니 그만두었다.

10년(서기 143) 봄 2월, 궁실을 수리하였다. 여름 6월, 을축에 형혹(熒惑, 화성)이 진성(鎭星, 토성)을 범했다. 겨울 11월, 우레가 쳤다.

11년(서기 144) 봄 2월, 임금이 명령을 내리기를 “농사는 정치의 근본이요, 먹는 것은 백성들이 하늘처럼 여기는 것이다. 모든 주와 군에서는 제방을 수리하고 밭과 들을 개간하여 넓히라.”라고 하였다. 또한 “민간에서 금, 은, 주옥의 사용을 금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12년(서기 145), 봄과 여름에 가뭄이 들었는데, 남쪽 지방이 가장 심하여 백성들이 굶주렸으므로, 곡식을 옮기어 그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13년(서기 146) 겨울 10월, 압독(押督)이 반란을 일으켰다. 병사를 일으켜 평정하고, 남은 무리들을 남쪽 지방으로 옮겼다.

14년(서기 147) 가을 7월, 신하들에게 명하여 지혜와 용맹을 갖추어 장수가 될 만한 자를 각각 천거하게 하였다.

15년(서기 148), 박아도(朴阿道)를 갈문왕에 봉했다.[신라에서는 죽은 뒤에 봉하는 왕을 모두 갈문왕이라고 부르는데, 그 뜻은 확실하지 않다.]

16년(서기 149) 봄 정월, 득훈(得訓)을 사찬(8위)으로 삼고, 선충(宣忠)을 나마(11위)로 삼았다. 가을 8월, 혜성이 천시(天市)성좌에 나타났다. 겨울 11월, 우레가 쳤고, 서울에 전염병이 크게 돌았다.

17년(서기 150), 여름 4월부터 비가 오지 않다가, 가을 7월이 되어서야 비가 왔다.

18년(서기 151) 봄 2월, 이찬 웅선이 죽자, 대선(大宣)을 이찬(2위)으로 삼고, 겸하여 중앙과 지방의 병마 일을 맡겼다. 3월, 우박이 떨어졌다.

20년(서기 153) 겨울 10월, 궁궐 문에 불이 났다.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가 다시 동북쪽에 나타났다.

21년(서기 154) 봄 2월, 임금이 돌아가셨다.

4. 일성왕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성왕릉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성왕릉#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일성왕릉#|]][[일성왕릉#|]]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 산23번지 소재. 대한민국의 사적 제173호.

5. 기타

초기 박씨 족단의 거점이 탁부로 추정되고 사서에서 나중에 즉위했다고 표기한 일성이 파사의 형이라고 한 것을 보아 파사계보다 일성계가 서열이 높았던 것으로 보이기에 일성계는 탁부 갈문왕가였던 듯하다. 구도계가 탁부 소속이고 구도가 백제와 싸우다 져서 한때 서라벌 밖에 좌천당했다가[15] 아달라 대에 파진찬이 되었다는 기록과 미추가 아버지를 갈문왕으로 추봉했다는 등의 기록을 보아 어느 시점에 구도-미추-내물이 탁부 갈문왕가를 장악한 듯하기에[16] 본래는 탁부 갈문왕가였던 듯하다.[17]

6.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일성 이사금 본기〉
一年秋八月 일성 이사금이 즉위하다
一年秋九月 사면을 하다
二年春一月 시조 묘에 제사지내다
三年春一月 웅선을 이찬으로 근종을 일길찬으로 임명하다
四年春二月 말갈이 장령을 공격하다
五年春二月 금성에 정사당을 설치하다
五年秋七月 알천 서쪽에서 사열하다
五年冬十月 북쪽으로 순행해 태백산에 제사지내다
六年秋七月 서리가 콩을 해치다
六年秋八月 말갈이 장령을 습격하다
六年冬十月 말갈이 침입했다가 퇴각하다
七年春二月 장령에 목책을 세우다
八年秋九月 일식이 일어나다
九年秋七月 말갈을 정벌하려다 중지하다
十年春二月 궁실을 수리하다
十年夏六月 화성이 토성을 침범하다
十年冬十一月 천둥이 치다
十一年春二月 제방 수리와 전야 개척을 명하고 민간의 금은주옥 사용을 금하다
十二年 기근이 들자 진휼을 베풀다
十三年冬十月 압독의 반란을 토벌하다
十四年秋七月 장수가 될 만한 자를 추천하도록 하다
十五年 박아도를 갈문왕으로 삼다
十六年春一月 득훈을 사찬으로 삼고 선충을 나마로 삼다
十六年秋八月 살별이 천시에 나타나다
十六年冬十一月 천둥이 치고 전염병이 돌다
十七年夏四月 여름에 비가 오지 않다
十八年春二月 대선을 이찬으로 삼다
十八年春三月 우박이 내리다
二十年冬十月 궁궐 문이 불타고 혜성이 나타나다
二十一年春二月 왕이 죽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를 시작으로 일성 이사금까지가 《삼국사기》 1권이다.

7. 같이보기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5px"
선도성모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무왕 장렬왕
 
朴1
시조 혁거세왕
알영
 
 
 
朴2
남해왕
운제 청평군 박민 세조 알지왕 사요왕
 
 
 
 
 
朴3
유리왕
아효
昔4
시조 탈해왕
지소례왕 일지왕 태조 성한왕 사요왕의 딸
 
 
 
 
 
朴7
일성왕
朴5
파사왕
석구추 김아도 허루왕
 
 
 
 
朴8
아달라왕
朴6
지마왕
昔9
벌휴왕
김수류 마제왕
 
 
 
 
 
 
아도왕 세신왕 이칠왕 김욱보
 
 
 
 
 
 
 
昔11
조분왕
昔12
첨해왕
昔10
내해왕
술례부인
구도왕
 
 
 
 
 
 
 
 
 
 
 
 
 
 
 
昔14
유례왕
석걸숙 내음왕 석우로 광명부인
金13
미추왕
김말구
 
 
 
 
 
 
昔15
기림왕
昔16
흘해왕
金17
내물왕
김대서지
 
 
 
 
 
 
金19
눌지왕
파호왕
 
 
김미사흔 金18
실성왕
 
 
 
 
金20
자비왕
습보왕
 
 
김내숙
 
 
 
 
 
 
 
 
金21
소지왕
金22
지증왕
 
 
선혜부인 김물력
 
 
 
 
 
 
 
聖23
법흥왕
입종왕
 
 
김거칠부
 
 
 
 
聖24
진흥왕
김숙흘종
 
 
 
 
 
 
 
 
복승왕 동륜왕 만천왕 聖25
진지왕
 
 
김만명
 
 장인
 
 
 
 
 
 
 
 
 
마야부인
김행의
聖26
진평왕
진정왕 진안왕
문흥왕 김마차
 
 
 
 
 
 
 
 
 
 
 
 
 
 
 
聖27
선덕왕
김천명 비담 聖28
진덕왕
김알천 眞29
태종 무열왕
현성왕 흥무왕
 
 
 
 
 
眞30
문무왕
김인문 무열왕의 딸
신영왕
 
 
 
眞31
신문왕
 
흥평왕
 
 
 
 
 
 
眞32
효소왕
眞33
성덕왕
 
명덕왕
 
 
 
 
 
 
 
 
개성왕
김사소 효상태자 眞34
효성왕
眞35
경덕왕
김주원 眞38
열조 원성왕
 
 
 
 
 
 
 
 
 
眞37
선덕왕
眞36
혜공왕
김헌창 혜충왕 헌평태자 혜강왕
 
 
 
 
 
 
眞39
소성왕
眞41
헌덕왕
眞42
흥덕왕
선강왕 익성왕 성덕왕
 
 
 
 
 
 
 
 
 
 
 
 
眞40
애장왕
헌덕왕태자 ? 眞44
민애왕
眞43
희강왕
眞45
신무왕
眞47
헌안왕
 
 
 
 
 
의공왕 眞46
문성왕
궁예(?)
 
 
 
 
 
 
 
성무왕 ? 眞48
경문왕
혜성왕 문성왕태자 문성왕의 딸
 
 
 
 
 
 
 
선성왕 흥렴왕
박정화 眞49
헌강왕
眞50
정강왕
眞51
진성왕
의흥왕
 
양부 
 
 
 
 
 
 
 
朴53
신덕왕
김의성 김계아 眞52
효공왕
김억렴 신흥왕
 
 
 
 
朴54
경명왕
朴55
경애왕
眞56
경순왕
 
 
 
 
박언창 박언침 마의태자
{{{#!wiki style="margin:-5px -10px"[왕조 보기]
[朴] 밀양 박씨 왕조 [聖] 경주 김씨 성골왕조
[昔] 경주 석씨 왕조 [眞] 경주 김씨 진골왕조
[金] 경주 김씨 마립간조 추존 국왕 및 왕족
[범례]
세로선(│): 장인·사위 관계 / 가로선(─): 형제자매 관계 / 적색 두 줄 선(=): 혼인 관계 }}} }}}}}}}}}}}}


[1] 신라 박씨의 족보에 따르면 광무제 건무 20년(44년)생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고고학적으로 파사 이사금 시기의 연대는 3세기 후반으로 비정된다. 따라서 일성 이사금의 실제 출생 연대도 훨씬 뒤로 추정된다.[2] '일(逸)'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으나, 고대 한국어 자료에 기록된 유사한 음차 표기로 샘·우물(泉·井)을 뜻하는 '이리(伊梨)/어을(於乙)/을(乙)'과 이룬다(成)는 뜻의 '일(一)' 등이 확인된다. '성(聖)'은 훈차자일 가능성과 음차자일 가능성이 공존한다. 훈차설의 경우 실성(實聖) 마립간의 이름이 실주(實主) 또는 보금(寶金)으로도 표기된 사례에서 '성(聖)'과 '주(主)'를 "임금"의 뜻으로 해석하고, '금(金)'은 지도자의 칭호로 사용된 이사금, 임금의 '금'을 음차한 것으로 해석한다. 반면 음차설에서는 聖의 초서체#가 主와 닮았기 때문에 主는 聖을 오독(誤讀)하여 옮겨 적은 것이며, 신라 지명 성량현(省良縣)이 금량부곡(金良部曲)으로 개칭됐다는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에서 알 수 있듯 '성(聖)'은 金의 훈인 '쇠'에 해당하는 고대 한국어 형태를 음차한 것이라고 주장한다.[3] 지소례왕의 딸이라고 전한다.[4] 왕자 박아달라.[5] 신라 박씨왕 시대의 왕실 세력과 신분 편성[6] 유리 이사금의 장인이라고 하므로 이에 따르면 일성은 일지의 외손자가 된다.[7] 초등학교 입학 나이다.[8] 장수왕은 97세까지 살았는데, 중국 사서들과 교차 검증이 되기 때문에 실제 나이로 인정받고 있다.[9] 고구려의 고고학적 건국 연대는 사서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초기 왕들의 계보 및 나이 오류와 별개로 건국 연대는 조작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10] 고구려 태조대왕-차대왕-신대왕도 실제로는 친형제가 아니라 종형제로 추정된다.[11] 신라 김씨 왕조의 일반적인 근친혼-동성혼 관습은 골품제가 완전히 뿌리내린 진평왕 대의 가서의 일이었다. 그 이전에는 '결과적으로' 동성혼-근친혼이었을 뿐 실제로는 부(部)의 갈문왕가 내지는 간(干)가와의 부외혼-동질혼이었다. 근대까지의 유럽 왕조들 간의 혼인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12] 구도-미추-내물로 이어지는 구도계 김씨는 탁부 소속이라 별개다.[13] 지증왕의 처 연제부인, 법흥왕의 처 보도부인, 진흥왕의 처 사도부인, 진지왕의 처 지도부인이 모두 잠탁부 박씨이고 진평왕의 제2비 승만부인이 잠탁부 출신이기 때문에 이런 관습은 진평왕 대까지 이어진 듯하다. 법흥왕은 정황상 아버지의 신라왕(6부 대표) 즉위 이전에 태어난 걸로 추정되고, 진흥왕은 사탁부 갈문왕이었던 입종 갈문왕의 아들, 진지왕의 장남 동륜태자는 입종의 딸이자 자신의 고모인 만호부인과 혼인한 반면 차남인 진지왕이 잠탁부 박씨와 혼인한 것을 보아 탁부-사탁부-잠탁부의 순서의 혼인 관습이 충실히 지켜진 것을 알 수 있다.[14] 사서에서 이매의 아들 내해가 골정의 아들 조분보다 먼저 즉위했다고 한 것, 내해가 골정의 사위였던 점, 골정이 내해&골정의 딸의 딸인 아이혜부인과 5촌/3촌혼한 것, 내해의 차남 우로가 조분과 아이혜부인의 딸인 명원부인과 6촌/3촌혼해 흘해가 태어나자 가문의 미래가 흘해에게 있다고 말한 것을 보아 이매계가 본피부고 골정계가 왕경 밖 사피부로 분화된 듯하다. 이 경우 일성계-파사계-구도계, 눌지계-복호계-잠탁부와 포지션이 같다.[15] 사서에서 벌휴라 나오지만 벌휴는 흘해의 5대조라서 4세기 초반에야 서라벌로 이주하는 구도가 모셨을 가능성이 낮다.[16] 구도는 이칠 갈문왕의 딸인 술례부인 박씨와의 사이에서 미추를 낳았다고 한다. 실성은 내물과 동서인 데다 탁부 소속이었고 눌지가 실성의 사위였다 실성을 죽이고 탁부 매금왕(갈문왕)이 되어 실성의 외손자인 아들 자비에게 탁부 매금왕위를 물려준 것을 보아 이들은 부내혼(部內婚)으로 보인다.[17] 6부 중에서 잠탁부와 사피부가 왕경 외 관할이고, 탁부가 초기 박씨 족단의 거점이었다 어느 순간 잠탁부로 이주해 잠탁부 박씨가 된 걸로 추정되는 점, 일성계가 파사계보다 부계 서열이 높은 점, 잠탁부 박씨 갈문왕가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박씨 진골 박경휘가 일성의 아들 아달라 이사금의 후손이라 전해짐을 고려하면 4세기 중반 아달라 대에 들어 모종의 이유로 일성계 박씨가 구도계 김씨에게 탁부 갈문왕가를 넘긴 뒤 잠탁부 갈문왕가로 옮긴 듯하다.[18] 아달라의 처 내례부인 박씨가 지마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