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3:31:4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리다이렉트를 'GTX A' 'GTX-A'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만 존치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토론 - 리다이렉트를 'GTX A' 'GTX-A'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만 존치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수도권 전철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 서해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GTX-A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 ||

파일:GreatTraineXpress.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A노선부분개통 B노선건설 중 C노선건설 중 D노선추진 중
E노선추진 중 F노선추진 중 G노선추진 중 H노선추진 중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운정 ~ 수서 구간[a] 운정역 ~ 수서역
(53.4km, 60.68%)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수서~동탄)[b] 수서역 ~ 동탄역
(34.6km, 39.32%)
[a]: 명칭 미고시 [b]: 85.84%의 구간을 수서평택고속선과 공유함.
역 목록 | 연장 | 문제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파일:GreatTraineXpress_A.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首都圈 廣域急行鐵道 A路線
GTX Line A
}}}
파일:GTX-A_Mancheon.jp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A000호대 전동차
노선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선 노선도(2024_06).svg
}}}}}}}}} ||
노선 정보
분류 간선철도, 일반철도[1]
광역철도
지정구간
전구간(광역급행철도)
차량 분류 중전철(광역급행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기점 수서역[부분개통]
종점 동탄역
역 수 3개[3]
구성 노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운정~수서)[가칭]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수서~동탄)[5]
상징색
보라색 (#9A6292)
개통일 2024년 3월 30일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6]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사 에스지레일(주)
운정~삼성 구간 사업 시행
지티엑스에이운영(주)[7]
열차 운행, 운정~구성 구간 운영 및 유지보수
(주)에스알
동탄역 운영 및 유지보수
사용차량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A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운정차량사업소
동탄역 임시 경정비시설[8]
노선 제원
노선연장 32.8km[9]
궤간 1,435㎜
선로구성 복선(운정~수서분기)
단선병렬(수서분기~동탄)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P(운정~수서분기)
TVM430-SEI(수서분기~동탄)
최고속도 180km/h
영업속도 120km/h
운정~수서분기 구간[10][11]
170km/h
수서분기~동탄 구간[TVM430][13]
표정속도 101km/h[14]
지상구간 없음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2024. 03. 30. 수서동탄(구성 제외)
개통 예정 2024. 06. 29. 구성[15]
2024. 12. 28. GTX운정서울역(창릉 제외)[16]
2026. 12. 서울역수서(삼성 제외)
2027. 창릉
2028. 09. 삼성[17][18]
2028. 동탄평택지제
국가철도 노선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9A6292><colcolor=#fff>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
首都圈廣域急行鐵道A線 | GTX Line A
<nopad>파일:수도권광역급행철도A선 노선도.svg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이 위임)
운영기관 지티엑스에이운영(주)
노선번호 327
노선명 수도권광역급행철도에이선(수서~동탄)
종류 간선철도, 광역철도
광역전철
노선
전 구간
영업거리 34.6km
궤간 1,435mm
역수 3개
기점 수서역
종점 동탄역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장비 ERTMS Lv.1(수서~수서분기)
TVM430-SEI(수서분기~동탄)
선로최고속도 180km/h
선로 수 2
개업일 2024년 3월 30일
}}}}}}}}} ||

1. 개요2. 건설 목적3. 역사4. 역 추가 및 연장 논의5. 운행6. 효과7. 문제점8. 역 목록9. 차량10. 주행 영상11. 운임체계12. 기타13. 관련 문서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19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공식 홍보 영상 국토교통부 채널 개통 전 홍보 영상[19]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의 첫 번째 노선 지하철로,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 GTX운정역화성시 동탄2신도시 동탄역을 잇는다.

2024년 6월 기준 11개역 중 수서역-성남역-동탄역 3개역 구간만 개통한 상태이다.

2. 건설 목적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 추가 및 연장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연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운행

현재 개통 구간인 수서역~동탄역 구간은 운정차량사업소와 미연결된 구간이므로 배차간격이 길고 불규칙하다. 거기에 거의 모든 구간이 수서평택고속선 공용이라 SRT 시간표에도 영향 받는다. 그래서 35분 배차간격이 퇴근시간대에도 있다. # 선행대피 스케줄은 따로 없어 수서에서 동탄까지 21분 소요된다. #

6. 효과

GTX A노선의 시간 단축효과 (1단계 개통구간)
<rowcolor=#ffffff> 출발지 도착지 이동수단 이동경로 소요시간 시간비교
분당신도시 이매역 수서역 기존 전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승차 → 수서역 하차 16분 +10분
성남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수서역 하차 6분 -
판교신도시 화랑공원 수서역 광역버스 승차 → 수서역 하차 22분 +16분
판교역 기존 전철 1안: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강선 승차 → 이매역에서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으로 환승 → 수서역 하차 19분[22] +13분
2안: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승차 → 양재역에서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으로 환승 → 수서역 하차 28분 +22분
성남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수서역 하차 6분 -
용인시 구성역 수서역 기존 전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승차 → 수서역 하차 36분 +21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수서역 하차 15분 -
동탄신도시 동탄역 성남역 광역버스 탑승 → 판교역동편 하차 42분 +28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성남역 하차 14분 -
GTX A노선의 시간 단축효과 (2단계 개통구간)
<rowcolor=#ffffff> 출발지 도착지 이동수단 이동경로 소요시간 시간비교
운정신도시 새암공원 서울역 광역버스 탑승 → 숭례문 하차 54분 +34분
야당역 기존 전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급행 승차 → 서울역 하차 40분 +20분
GTX운정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20분 -
일산신도시 대화역 서울역 광역버스 탑승 → 숭례문 하차 65분 +53분
기존 전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탑승 → 대곡역에서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급행으로 환승 → 서울역 하차 41분 +29분
킨텍스역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12분 -
고양시 대곡역 서울역 기존 전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급행 승차 → 서울역 하차 25분 +16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9분 -
서울 은평구 연신내역 서울역 시내버스 탑승 → 서울역 하차 28분 +24분
기존 전철 파일:Seoulmetro3_icon.svg 3호선 탑승 → 종로3가역에서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으로 환승 → 서울역 하차 26분 +22분
GTX-A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GTX 승차 → 서울역 하차 4분 -

7.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1. 차량기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운정차량사업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차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차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주행 영상

수서역 동탄역 주행 영상(2024년 3월 19일 촬영)[23]

11. 운임체계

기존 전철보다 훨씬 빠르기에 요금도 비싸다.[24] 기본 요금만 3,200원이며[25] 거리요금은 5km당 250원씩[26] 붙어 수서역에서 동탄역까지는 4,450원이다.

또한 이 노선은 다른 수도권 전철과 달리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도 무임승차 대상이 아니다.[27] 운임 할인은 다음과 같다. # 특이하게 주말은 별도부과 기본요금에서 10%가 할인된다. #[28] 이는 1974년 8월 서울 지하철 1호선으로 최초 개통에 이어 50년 만에 장애인, 유공자 및 노인들에게도 운임을 부과하는 유일한 노선이며 1984년 노인 무임승차에 이어 40년 만에 유임승차 노선이다. 장애인도 1993년 이후 31년 만이다.
운임할인
어린이 50% 장애인 50%
청소년 10% 유공자 50%
경로 30% 주말 최대 10%[29]

다만 이 노선도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의 적용을 받아 환승이 가능하다.[30] SRT와 달리 수도권 전철 3호선-GTX-A선-경기도 시내버스 순으로 타면 최대 요금은 4,450원 정도다.[31] 또한 한 번 만에 환승이 되는 환승게이트가 없고, GTX 하차태그 후 타 대중교통 승차태그 시에 환승할인이 적용되는 소프트 환승 구조이다.[32] 도보로 인근 전철역까지 이동하여 승차 태그를 해도 30분 이내에만 태그하면 환승이 적용된다.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가 운영하다 보니 서울 지하철처럼 하차 후 10분 이내 재승차가 가능하다. 다만, 재승차 유효 시간이 서울 지하철처럼 15분이 아닌 10분 이내로 되어있다.

또한 SRT의 경우 동탄-수서간 거리운임[33]이 4,500원인데, 이는 GTX-A의 동일구간 운임보다 50원 비싸다. 즉 SRT를 이용하려면 하행 승차권 매진이 아닌 이상, 굳이 GTX-A를 타고 동탄에서 SRT로 갈아타는 것이 큰 이득은 아니다. 이 노선은 오히려 SRT의 수요분산 목적으로 보는 것이 옳다. 당장 GTX-A 개통을 앞두고 주중 아침의 동탄 →︎ 수서 SRT 출근열차 1편성이 폐지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지하철 정기권, 기후동행카드는 이 노선을 이용할 수 없다.[34] 그러나 5월 개시하는 K-패스환급 방식의 할인은 적용된다.[35]

2024년 6월 1일부터 1회용 교통카드를 시행한다. 기존 지하철 노선과 마찬가지로 교통카드 운임에 100원이 추가되고 청소년은 일반 운임으로 적용되며 경로, 장애인, 유공자는 신분증을 지참하면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다. 다만, GTX 전용 1회권으로 나오기 때문에 타 노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환승할인도 적용되지 않는다. 사용하는 방법

12. 기타

13. 관련 문서

14.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
A노선부분개통 B노선건설 중 C노선건설 중 D노선추진 중
E노선추진 중 F노선추진 중 G노선추진 중 H노선추진 중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건설 중
}}}}}}}}} ||




[1] 고속철도인 수서평택고속선과 중복 고시되어 있다.[부분개통] 사업의 시점은 지티엑스운정역[3] 전 구간 개통 시 11개[가칭] 아직 공식적인 노선명이 발표되지 않았다.[5] 수서역 이후 수서분기부터 동탄역까지 수서평택고속선선로공유한다.[6] 운정~삼성 구간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건설. (삼성~동탄 구간 제외)[7] 당초 GTX 운영사 선정 당시 주식회사 SR도 참가하였고 원래는 서울교통공사와 SR이 공동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결과적으로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지티엑스에이운영)가 통합 운영하는 것으로 정해졌다. 다만 동탄역의 경우는 기존 SRT 정차역의 시설을 GTX도 공용해서 그런지 SR이 운영한다. 서울특별시의회 의안번호 제1206호 "GTX-A노선 운영자회사 설립(출자) 동의안" 참고.[8] 2025년까지 남측과 북측 구간이 분리운행 되는 바람에 임시 경정비시설을 동탄역 남측에 설치할 예정이다. #[9] 전 구간 개통 시 83.1km[10] ATS는 일반적으로 120km/h 이상의 속도를 비상제동한다.[11] 실질적으로 120km/h인 구간은 성남까지로 성남 밑으로는 170km으로 고속주행한다. 즉 성남 - 수서분기 역시 170km/h 로 주행하지 않는다.[TVM430] 수서평택고속선의 신호방식(70 → 130 → 170 → 230...) 특성상 170km/h 속도제한이 있기 때문이다.[13] TVM은 제한속도에서 5km/h 이상 초과 시 비상제동이 체결되기에 170km/h를 살짝 넘기는 경우도 존재한다.[14] 구성역 개통시 93.7km/h, 삼성 무정차통과 시 104.9km/h[15] 구성역은 공사 중 발견된 암석 때문에 공정이 지연되어 2024년 6월 29일에 개통 예정이다.[16] 이 구간은 연신내역의 공사가 늦게 시작되어 연신내 쪽 공정률이 낮기 때문에 2025년 상반기로 개통이 연기되거나, 연말에 개통한다 하더라도 연신내역을 무정차 통과할 가능성이 높고 연신내역은 추후 개업할 수도 있다. 구성역과 비슷하다.[17] 감사원에서 2028년 9월에야 삼성역이 개통 가능하다고 지적했으며, # 이후로도 삼성역의 공사가 지지부진함에 따라 2028년 하반기에 개통이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운정~서울역 / 수서~동탄 구간을 일단 분리 운행하고 이후에 무정차 통과하여 삼성역을 뺀 전 구간을 운행하는 안으로 추진하고 있다. # 과거 5호선과 7호선이 각각 따로 2개의 구간이 분리 개통한 이후에 전 구간이 연결된 것처럼 이 노선도 그렇게 될 예정이다.[18] 다만, 국가철도공단에서 터널을 우선 관통하는 공사를 진행한 후 임시 통로를 이용해 삼성역을 2026년에 개통시키겠다는 입장을 표명해서 개통이 빨라질 수도 있다. 문서의 기사 참조.[19] 영상은 유튜버 역쟁이TV가 제작하였다.[20] 그러나 강변북로, 자유로올림픽대로, 강남대로의 엄청난 교통체증을 감안하면 출퇴근시간에는 최소 30분을 더해야 한다.[21] 통근 거리가 너무 길어 수도권 서북부 지역 거주민 중 IT 기업에 입사 지원을 할 때 판교보다는 가산·구로, 서울 사대문 안 도심, 여의도, 디지털미디어시티 등으로 지원한다. 아무리 멀어도 강남까지는 출퇴근할 만한데 판교는 멀기 때문이다.[22] 성남역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기준[23] 정식 개통 이전에 촬영되었으며 시승 목적으로 탑승했기에 전 구간을 담은 영상이 아니다.[24] 다만 신분당선의 구간요금제보다는 훨씬 낫다는 반응이 많은데, 신분당선은 못 받는 환승할인까지 받을 수 있고 운행 속도는 2배 이상 빠르기 때문이다.[25] 환승할인 적용 기본요금 1,550원 + 별도부과 기본요금 1,650원[26] 환승할인 적용 구간요금 100원 + 별도부과 구간요금 150원[27] 부산김해경전철과 유사하다. 또한 2007년 초기 공항철도, 2012년 초기 의정부경전철의 독립운임과 유사하다.[28] 그 덕분에 장애인이나 유공자인 경우에는 주말 요금 할인이 별도부과 기본요금 정액인 50원으로 제한이 된다. 주말 할인은 토, 일에만 적용되며 법정공휴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9] 별도부과 요금에서만 적용됨[30] 환승할인 적용 기본요금은 1,550원으로 적용이 된다. 별도부과 기본요금은 환승 시 지불한 금액에 포함되지 않고 계산한다. 2024년 하반기중에 있을 수도권 전철 2차 기본요금 150원 인상이 선 적용된 것인지는 아직 확인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31] 거리비례 요금이 더 적용되기도 하지만 도곡이나 매봉에서 3호선을 탄다면 추가운임은 없다. GTX 이용 후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 등으로 환승하면 별도부과운임을 제외한 기본요금 1,550원만 환승처리되며, 반대로 광역버스 이용 후 GTX로 환승하면 별도부과운임+거리요금을 하차할 때 지불한다. 별도운임은 환승할인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32] 물론 아예 지상 또는 대합실로 나왔다 들어가도 환승이 된다. 수도권 구간 내의 타 민자노선, 즉 서울 지하철 9호선이나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수도권 전철 운임구역 내에 민자구간 운임구역이 2중으로 들어 있어 한 번의 게이트를 거쳐 환승이 가능했지만 GTX는 그렇지 않다. 오히려 동해선 광역전철과 유사하게 운임구역 자체가 겹치지 않으며 외부구역으로 나갔다가 환승해야 한다.[33] 신규 탑승이 아닌, 임률에 의한 차액을 말한다.[34] 기후동행카드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서울 내에서만 적용됨이 원칙이다.[35] 개통 초기엔 출퇴근자의 이용 수단 관성으로 주말에 비해 주중 이용객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2024년 기준으로 공식적인 정기권 도입 발표가 아직 나오지는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시간 절약 등 타 교통수단 대비 메리트가 있어 장기적으로는 주중의 수요 역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후 수도권 거리비례 체계에 편입되거나 GTX 전용 정기권이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전자의 방식으로 적용할 경우 구간분할이 20단계를 초과한 체계로 확장되겠으며 후자의 방식으로 적용할 경우 공항철도의 독립운임-거리비례 구간을 연계할 때와 유사하게 승하차시 각각 두번 이상 태그하는 방식으로 전산 처리를 할 것이다.[36] 기존 광역전철 노선의 혼잡도를 줄이고 훨씬 빠른 속도로 경기도 주거지와 서울 중심지를 연결하는 것이 건설 목적이다.[37] 수서까지 가서 다시 선릉역이나 교대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에만 10분 넘게 걸린다. 서울역에서 4호선을 탔으면 벌써 동작대교를 건넜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
, 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