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1 19:47:11

K-패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중교통비 지원 정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 교통비 환급
전국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국토교통부
K-패스 (舊 알뜰교통카드)
광역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동백패스
지역화폐 환급
K-패스 병행 가능
인천 I-패스
K-패스 기반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광주 G-패스
K-패스 기반
울산 U-패스
K-패스 기반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The 경기패스
K-패스 기반
경남패스
K-패스 기반
통합 정기권
전국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국토교통부
대중교통 정액패스
K-패스
광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기후동행카드 광역 I-패스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이응패스
K-패스 병행 가능
기초 파일:전주시 CI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파일:청주시 CI_White.svg 충청북도 청주시
시내버스 정기권 시내버스 정기권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K-패스
K-Pass
파일:K-패스 로고.svg
주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한국교통안전공단
출시일 2024년 5월 1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국토교통부 설명자료

1. 개요2. 적립금액
2.1. 할인요금 환산표
3. 특징4. 사업 대상 지역5. 이용방법6. 카드 종류
6.1. 선불형6.2. 후불형
7.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7.1. 인천 I-패스(인천광역시)7.2. The 경기패스(경기도)7.3. K패스-충남(충청남도)7.4. K패스-동백(부산광역시)7.5. 광주 G-패스(광주광역시)7.6. 경남패스(경상남도)7.7. 울산 U-패스(울산광역시)
8. 문제점

1. 개요

2023년 8월 29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이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대중교통 이용액 중 일부를 적립하여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알뜰교통카드의 후신 사업으로서 2024년 5월 1일부로 시행되었다.

2. 적립금액

2.1. 할인요금 환산표

기존에 알려진 할인율을 단순 환산해 나온 금액으로 실제 시행시 세부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owcolor=#fff> 기준요금 일반기준
(80% 적용)
청년기준
(70% 적용)
저소득층기준
(46.7% 적용)
1,400원 1,120원 980원 658원
1,500원 1,200원 1,050원 705원
1,600원 1,280원 1,120원 752원
1,700원 1,360원 1,190원 799원
1,800원 1,440원 1,260원 846원
1,900원 1,520원 1,330원 893원
2,000원 1,600원 1,400원 940원
2,100원 1,680원 1,470원 987원
2,200원 1,760원 1,540원 1,034원
2,300원 1,840원 1,610원 1,081원
2,400원 1,920원 1,680원 1,128원
2,500원 2,000원 1,750원 1,175원

3. 특징

4. 사업 대상 지역

인구 10만 명 미만 기초자치단체 중 주민등록상 아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사용할 수 없다. 즉, 아래의 예외 지역이 아닌 곳에 주민등록을 한 사람은 사용 가능하다. 이 중에는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 1,000원 버스, 시내버스 경로 무임과 같이 지자체 예산이 투입되는 자체 지원 모델을 시행 중인 지역도 있다. 아래의 지역 중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를 시행 중인 지역은 굵게 표기한다.[7]

이용자가 탑승한 대중교통의 운행 지역 또는 면허지가 아니라 이용자가 주민등록을 둔 지역을 기준으로 K-패스 가능 여부가 결정되고 있다. 그래서 K-패스 불가능 지역의 주민이 타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신의 지역으로 진입하는 타 지역 면허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 등에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K-패스 가능 지역에 거주하여 K-패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이 K-패스 불가 지역의 면허로 된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떡하니 적립이 된다.

일례로 2025년부터 신규 참여하는 지역인 성주군의 경우 대구광역시 인접 지역으로, 많은 주민들이 성주와 대구를 오가는 농어촌버스와, 대구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를 일상적으로 이용해왔음에도 한동안 혜택을 받을 수 없었고, 같은 대구시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대구시민 등과 대비되어 주민들의 불만이 속출했었다. 이는 일부러 제도를 이 방향으로 설계한 것으로, 지역 주민들의 반발심을 유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K패스 사업에 참여를 유도하고 지방자치단체 예산 지원을 강제하려는 목적이다.

2025년 1월 1일부터 21개 기초자치단체에서 K-패스 사업에 신규 참여한다.

5. 이용방법

K-패스 혜택을 받으려면 K-패스 카드 발급 및 K-패스 회원 카드 등록이 선행되어야 한다. 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하더라도 K-패스 사이트에서 등록하지 않았다면 등록 전에 이용한 대중교통 내역은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홈페이지나 앱에서 교통요금 할인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다만, 약 2주간의 소요시간이 필요하며, 유사 앱이 있으니 주의.

6. 카드 종류

선불형 카드는 이동의즐거움한국철도공사, iM유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가 참여하며, 후불형은 신한, KB국민, 하나[8], 우리[9], NH농협(채움/BC)[10], 현대, 삼성, 바로BC, 롯데, 케이뱅크, IBK기업은행(BC), 부산은행(BC), 광주은행, 카카오뱅크, iM뱅크(BC)가 참여한다.

신한카드[11]와 삼성카드[12], 우리카드[13]는 아예 새 상품을 내놓았고, 나머지는 디자인이나 로고, 상품설명서 (혹은 공지) 내용만 바뀌었다. 현대카드[14], 케이뱅크, 광주은행[15]은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업 때에도 그랬는데 이번에도 K-패스 전용 상품을 출시하지 않았다. 별도 상품을 만들지 않는 대신 자사 일반 카드의 교통 기능을 K-패스 앱에 등록할 수 있게 하는 방식. 2025년 2월에 새로 참가한 카카오뱅크도 별도의 상품을 만들지 않고 기존 프렌즈 체크카드에 K-패스만 추가했다.

신용카드일 경우 적게는 IBK기업은행 BC 2,000원에서 우리카드 국내전용 15,000원 등 연회비가 다양하니 혜택과 연회비를 비교하여 가입할 필요가 있다.

전월 실적 없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K-패스 공통 혜택은 모든 카드가 동일하지만 세부 제공 혜택, 전월 실적 기준, 할인·적립 한도 등 K-패스 혜택을 제외한 부분은 카드별로 모두 다르다. 삼성카드KB국민카드, 롯데카드, IBK기업은행, iM뱅크(구 대구은행), 그리고 케이뱅크[16]의 경우에는 K-패스 카드 실적 제외 기준에 후불교통 이용 금액이 포함되니 주의해야 한다. 기업은행은 후불교통 이용 금액을 제외하는 대신, 연회비가 4,000원(해외겸용), 2,000원(국내전용)으로 가장 저렴하다.

티머니알뜰교통카드 사업에서 빠진 이후 아무런 소식이 없다가 신한카드와의 제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참여했는데, 이는 기후동행카드의 존재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단, 알뜰교통카드 시절 발급 받은 '제로페이x알뜰교통카드'는 K-패스 전환 이후에도 계속해서 사용 가능하며, K-패스 대상 체크/신용카드를 모바일티머니에 후불형으로 등록하여 사용하는 것 역시 K-패스 이용내역에 집계되어 사용 가능하다. 물론 알뜰교통카드 때와달리 국내용 삼성/LG단말기만 가능하며 해외용 또한 가능했으나 차후 불가능하도록 패치되었다.[17]

6.1. 선불형

6.2. 후불형

<rowcolor=#ffffff> 구분 신용카드 체크카드
파일:KB국민카드 로고.svg파일:KB국민카드 로고 화이트.svg K-패스카드 K-패스체크카드
K-패스카드(경기패스 디자인) K-패스체크카드(경기패스 디자인)
파일:우리카드 국문 Signature.svg K-패스 우리카드 K-패스 우리카드(체크)
파일:하나카드 CI.svg K-패스 하나 신용카드 K-패스 하나 체크카드
부산 동백전 체크카드
파일:신한카드 베이직 CI (2022).svg K-패스 신한카드 K-패스 신한카드 체크
티머니 Pay & GO 신한카드
K-패스 신한카드(이응패스) K-패스 신한카드(이응패스) 체크
K-패스 신한카드(The 경기패스) K-패스 신한카드(The 경기패스) 체크
K-패스 신한카드(인천 i-패스) K-패스 신한카드(인천 i-패스) 체크
K-패스 신한카드(경남패스) K-패스 신한카드(경남패스) 체크
파일:NH농협카드 로고.svg K-패스카드(신용) K-패스카드(체크)
부산 동백전 체크카드
K-패스카드_The경기패스(신용) K-패스카드_The경기패스(체크)
K-패스카드_경남패스(신용) K-패스카드_경남패스(체크)
파일:비씨카드 로고.svg K-패스 카드 -
파일:삼성카드 로고.svg K-패스 삼성카드 K-패스 삼성체크카드
파일:현대카드 로고(국문 로고 X).svg파일:현대카드 로고 화이트(국문 로고 X).svg Z work Edition2 -
파일:롯데카드 로고.svg파일:롯데카드 로고 화이트.svg K-패스엔로카 -
파일:케이뱅크 로고.svg파일:케이뱅크 로고 화이트.svg - ONE 체크카드(K-패스)[26]
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svg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 화이트.svg K-패스(신용) K-패스(체크)
파일:BNK부산은행 로고.svg파일:BNK부산은행 로고 화이트.svg - 부산 동백전 체크카드
파일:광주은행 로고.svg파일:광주은행 로고 화이트.svg K-패스그린카드v2 -
파일:카카오뱅크 로고.svg파일:카카오뱅크 로고 화이트.svg - 카카오뱅크 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
파일:iM뱅크 로고.svg파일:iM뱅크 흰색 로고.svg iM K-패스 카드 iM K-패스 체크카드

삼성페이[국내용], 모바일티머니[SIM_SE], 카드사 앱[29], 모바일이즐[SIM_SE], 태그리스페이[BT/HCE] 등의 모바일 페이 서비스의 경우 카드 종류나 신용/체크 여부에 따라 등록 가능 여부가 다르다.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여기를 참고하자. 중요한 사항으로 아직 안드로이드 폰만 가능하며[32], 체크카드는 카드사[예외]마다 1. 하이브리드(소액신용한도부여) 서비스나 2. 신용카드와 한도 공유하기 중 하나를 요구하고 있다. 물론 체크카드는 이 조건에 맞지 않아도 페이에 등록하지 않고 실물카드를 쓰면 된다.

7. 각 지자체별 확대 사업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혜택을 확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패스-동백'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들은 별도의 가입이나 신청 과정이 필요 없으며, K-패스 회원의 연령과 주민등록상의 주소지가 확대 사업에 부합하는 경우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된다. 다만, 이를 악용하여 자신 또는 타인의 영리 목적 등 부당한 이용이 확인되면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7.1. 인천 I-패스(인천광역시)

파일:인천 I-패스 사업 안내문(세로)_.jpg
넓게 두텁게
사업소개 페이지
K-패스를 기반으로 인천광역시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이와는 별도로 서울의 기후동행카드처럼 인천면허 광역버스에 한해서만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광역 I-패스가 2024년 8월 26일부터 시작되었다.

7.2. The 경기패스(경기도)

파일:The 경기패스 포스터.jpg
[36]
다 된다 더 된다
환급이 무제한
대한민국 모든 길에 통한다. The 경기패스
사업소개 페이지
2024년 5월 1일부터 K-패스를 기반으로 경기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타 지자체와 달리 G-패스로 명명하지 않은 이유는 이미 동명의 우대권 사업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2024년 8월 9일 별내선 개통식 현장 연설에서 2단계 계획이 발표되었다. 이 혜택은 2025년 7월 1일부터 시행된다. #

7.3. K패스-충남(충청남도)

기존 알뜰교통카드 연계 사업. 주소지 검증을 받은 충남 도민이 충남 버스와 타 시군의 버스 간[39] 또는 충남 버스와 수도권 전철 간 환승[40][41][42]할 경우 환승한 교통수단의 기본요금을 환급해준다. 거주 기초자치단체 별로 대상 여부가 다르므로 홈페이지 확인 필수.

모바일티머니 이용시 연동이 되지 않으므로[43] 이즐 계열 선/후불 교통카드 서비스 또는 실물카드로 이용하여야 한다.

7.4. K패스-동백(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대중교통 통합 할인제도인 동백패스 사업을 K-패스에 통합하여 운영하는 사업. 2024년 8월 1일 9시를 기하여 출범하였다. #

동백패스를 적용하였을 때의 환급금과 K-패스를 적용하였을 때의 환급금을 비교하여 둘 중 큰 금액을 환급할 수 있는 제도를 자동 적용하여 환급해준다. K-패스와 달리 동백패스에는 저소득층 추가 적립이 없고 K-패스의 저소득층 추가 적립률이 53%이기 때문에 저소득층은 무조건 K-패스로 적립된다.

부산시민이 아니어도 이용 가능한 대신 동백패스에 반드시 별도로 회원가입을 해야 하고 동백패스 실적은 부산시에서 지정한 대중교통(부산시내버스[44], 부산도시철도 1~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을 실물 카드로 태그한 경우에만 적립되므로 타 시도 대중교통과 2000번 버스 이용 이력, 부산 시내 교통을 포함한 모바일 교통카드 결제 이력은 K-패스 적립에만 적용된다.

7.5. 광주 G-패스(광주광역시)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 중인 광주형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으로, K-패스를 기반으로 광주광역시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다른 지자체별 확대 사업과 다르게 최소 사용 횟수 월 15회 이상, 일 최대 적립 2회, 월 최대 적립 60회 제한은 일반 K-패스와 동일하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7.6. 경남패스(경상남도)

2025년 1월 1일 시행 중으로, K-패스를 기반으로 경상남도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7.7. 울산 U-패스(울산광역시)

2025년 7월 1일부터 시행하는 K-패스를 기반으로 울산광역시민에게 추가 혜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추가 혜택은 아래와 같다.

8. 문제점

부정확한 수요 예측으로 5~8월간 이미 전체 예산의 63%를 소진함에 따라 남은 4개월 동안 환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전신인 알뜰교통카드도 예산 부족으로 감액 지급되거나 아예 지급 중단이 된 사례가 있다.# 결국 2024년 12월 환급금에 대해 예산 소진으로 지급이 지연되었다. # 국토부 측에서는 "한 해의 마지막 달 사용분인 만큼 예산 확인이 필요해 늦춰진 것 일뿐 소비자 환급 날짜는 지연되지 않도록 카드사와 협의를 해놨다" 고 해명을 하면서 13일에 카드사에 지급요청을 할 계획이라 밝혔으나 최종 14일 오후가 되어서야 지급요청액이 확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전국 25개 지자체[47]는 예산소진으로 감액 지급 공지가 이루어졌다. 특히 감액된 지자체 중에서도 일부 지자체는 상당량 감액된 사례가 있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충청북도 옥천군은 조기 예산 소진으로 인해 무려 49.30%나 감액된 금액으로 지급되어 반토막에 가까운 금액으로 지급되었다. 이 외에 충주시는 35.10%, 제천시는 28.29%, 청주시는 20.49% 감액된 금액이 지급되기도 하였다. #

2024년에 예산이 조기소진된 영향으로 결국 2025년 1월부터 1일 2회 사용 제한이 설정됨으로써 K-패스의 효과가 빠르게 축소되었다[48]. 2024년 5월부터 사업이 시행된 점을 고려하면 사업 적용 범위가 지나치게 빠르게 축소되고 있다.

광역 통근, 통학의 경우 시내버스, 전철로만 한정하는 조건 자체가 수도권에 유리하고 광역버스, 광역전철이 부족한 비수도권에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다.[49][50] 또한 일부 시외버스, 기차 독점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사실상 K-패스의 혜택에서 소외되는 문제가 생긴다.[51]
[1] 1명 이상의 자녀가 미성년자일 때 모든 자녀의 수를 합쳐 적용[2] 이용 횟수는 환승할인 여부와 관계가 없다. 환승혜택 없이 요금을 새로 결제하는 경우라도 하차 후 30분 이내에 승차했다면 1회로 이어지고, 환승혜택을 받더라도 하차 후 30분 이후에 승차했다면 별도의 횟수로 간주된다. 단, 별도의 횟수로 간주된 이동에서 부과된 요금이 0원인 경우 횟수에 포함되지 않는다.[3] 2025년 1월 1일부터 추가된 정책으로, 도입 초기부터 2024년 말까지는 일일 인정 횟수 제한이 없었다.[4] 다만 동백패스는 2024년 8월 1일부터 K-패스와 통합 사용이 가능해졌다.[5] 다인승은 어린이, 청소년, 어른의 이용요금을 구분하지 않고 이용요금에서 탑승 인원수만큼 나누어 적립됩니다.[6] 다만 하차 태그 후 30분 이내 탑승 건은 환승 할인이 되는 지역이 아니거나 환승 횟수 초과 등으로 환승할인이 미적용되는 등 환승 유무 상관없이 1회로 묶어 산정된다. 주의해야할 점은 하차 태그 후 30분 이내 탑승건만 1회로 묶어 취급되기 때문에 하차시 미태그하거나 하차 태그 후 30분 초과 탑승건은 이용횟수가 다시 갱신되어 적용되기 때문에 하차 태그 후 30분 이내 환승이 아닌 45~60분 이내 환승시 무료환승이 아니라 별도 추가요금이 있는 노선은 이용 시 주의해야 한다.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충청권 통합환승요금체계, 대구권 광역환승제, 동남권 광역환승할인 지역에서는 환승 시 차액과 하차 태그 시 시계외(충청권, 양산), 거리비례(수도권, 대경선, 동남권 전철) 추가요금이 존재하며, 기타 지역에서도 환승 시 등급 차이로 인한 차액과 후행 노선의 시계외요금이 발생할 수 있다.[7] 충청북도 보은군, 음성군, 진천군, 경상북도 문경시, 경상남도 산청군은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를 시행 중이면서도 K-패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보은군, 음성군, 진천군은 K-패스 사업 예산을 충청북도에서 지원받기 때문에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 예산만 군 예산으로 충당하고 있다.[8] 구 알뜰교통카드 시절에는 VIVA e의 하나BC형 변종으로 사업에 참여하였으나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사업 시행과 함께 자체망 카드 발급을 개시하였으며, K-패스 사업을 앞둔 2024년 3월에 하나BC 알뜰교통카드를 단종시켰다. 기 발행된 BC망카드의 경우 유효기한 만료까지 K-패스를 그대로 이용이 가능하다.[9] 알뜰교통카드 시절 발급한 우리BC카드를 상품명만 K-패스로 바꾸어 운영하다 2024.12.30.에 자체망 K-패스 카드 발급을 시작하면서 BC망카드를 단종시켰다. 이쪽도 기 발행된 카드의 경우 유효기한 만료까지 K-패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10] 이쪽은 채움만 발급하다 동백전 연동과 함께 비씨가 추가된 케이스이다.[11] 신상품인 K-PASS 카드만 해당되며, 티머니 Pay & GO 카드는 로고만 변경.[12] 신용카드만 해당되며, 체크카드는 명칭만 변경.[13] K-패스 전환 이후에도 한동안 BC카드망 알뜰교통카드 상품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이후 우리카드 자체망 K-패스 카드가 출시되었다.[14] 후불교통 기능이 있는 Z work (Edition2) 카드에 별도 신청으로 등록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 전용 Z work Edition2가 필요한 기후동행카드와는 차이가 있다.[15] 광주은행도 알뜰교통카드플러스 시절 출시한 K-그린카드v2를 그대로 사용한다.[16] 대중교통 캐시백 서비스 한정[17] 별도의 우회방법이 있으나 SIM SE 지원 유무를 감지하는 코드를 업데이트로 제공할시 "SIM 지갑"을 지원하는 단말기만 가능해질수 있다.[18] 노란색 기본형 카드만 되고 다른 디자인은 안 된다.[SIM_SE] NFC기능 SIM 필수[HCE] [HCE] [22] 카드사 앱 제휴 이즐(예: 페이북내 이즐 등)은 안된다.[HCE] [24]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통합권종, iM뱅크에서 판매하는 대중교통안심카드는 불가능.[HCE] [26] 과거에는 MY 체크카드였으나, 해당 카드가 2024.12.04.에 단종된 후 ONE 체크카드로 변경되었다.[국내용] 해외용은 당연히 현지카드 등록가능하므로 불가능하다(...)[SIM_SE] [29] 교통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SIM SE와 HCE가 혼재되어있다. 이즐과 달리 티머니가 SIM SE를 고집하여 일어난 현상이다.[SIM_SE] [BT/HCE] [32] SIM SE사용불가라 어쩔수없이 Apple Pay에 참여하는 티머니가 차후 후불서비스를 제공할지 불명이다.[예외] KB국민카드케이뱅크, 카카오뱅크는 후불교통카드로 발급한 경우 해당 조건을 요구하지 않는다. 케이뱅크의 경우 자체 신용기능이 없고 후불교통카드 탑재시 BC카드에서 바로비씨 카드번호가 같이 발급되어 10만원 한도를 부여해준다. 따라서 케이뱅크 K-패스 카드를 삼성페이에 등록하면 해당 바로비씨 카드로 연결이 된다. 카카오뱅크도 마찬가지로 후불교통카드 탑재시 결제망 담당사인 국민카드에서 한도를 부여해준다. 카카오뱅크카드와 KB국민카드의 경우 KB Pay 앱 내의 후불교통카드 기능에 한해 캐시비와의 제휴로 3만원의 가상한도를 받아 사용 가능하다.[지자체확인] 모체인 K-패스와 달리 해당 사업은 일 2회 적립 상한 및 20만원 초과 금액에 대한 50% 산정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단, 일 2회 적립 이후 적립분 및 20만원 초과 금액에 대한 나머지 50% 산정액에 대한 지급액은 적립 지급액으로 산정되지 않고 별도의 지자체 지급 금액으로 산정된다. 따라서 적립 내역의 적립횟수와 예상 지급액에는 일 2회 적립 이후 적립분이 반영되지 않으며, 지급금액이 확정된 후의 지급내역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2025년 4월 9일 각 지자체 담당부서 확인.[35] 2025년 하반기부터 시행 예정으로, 아직 지원 규모가 확정되지 않았다.[36] 이 포스터에 나온 홍보대사 신유빈 선수(대한민국 탁구 국가대표) 역시 경기도 수원시 출신이다.[지자체확인] 모체인 K-패스와 달리 해당 사업은 일 2회 적립 상한이 없다. 2025년 4월 9일 각 지자체 담당부서 확인[38] 분기당 6만 원까지 실제 이용금액을 지역화폐로 환급해주며, 평범한 청소년은 12만 원이 한계이다.[39] 천안시, 아산시 시내버스 기준으로는 하차 태그후 30분 이내 환승이 가능한 시경계 지역인 경기도 평택시, 안성시[52]/ 충청북도 청주시/ 세종특별자치시는 광역환승할인이 가능하며 하차 후 30분이 초과 되는 지역은 환승할인이 불가 또한 충청남도 공주시의 경우 세종특별자치시, 청주시, 대전광역시충청권 통합환승요금체계시행에 따라 직접 환승할인이 시행됨에 따라서 사후 환급진행이 안될수도 있다. 계룡시의 경우 직접환승할인이 안되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노선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예외로 후승수단 기본요금이 지급된다.[40] 천안시 시내버스를 제외한 충남 시내버스 - 수도권 전철 간은 거주지 상관 없이 환급 된다.[41] 천안시 시내버스는 거주지 관계 없이 수도권 전철과 직접 환승할인이 가능하다. 다만 직접 환승할인은 평택역, 성환역, 직산역, 두정역, 천안역, 봉명역, 쌍용역, 아산역, 탕정역, 배방역, 온양온천역, 신창역등 12개 역사에서만 환승할인이 적용된다.[42] 후승 수단의 기본요금이 지급되고, 반드시 하차태그를 하였을 경우에만 지급된다. 환승 기본요금은 초승 탑승기준 최대 3회까지만 지급 월 15회 미만 이용시 기본요금이 전액 환급되고 15회 이상 이용시에는 K-패스 환급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차액만 환급 지급처리된다.아산시 시내버스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시에는 수도권 전철 기본운임 1550원이 환급되고 반대로 수도권 전철 1호선아산 2000번 버스는 카드 요금으로는 1900원이나 아산시 시내버스 기본요금으로 인정되어 1500원이 환급된다. 다만 중간에 아산시 시내버스수도권 전철 1호선 사이에 천안시 시내버스를 끼워 환승하는 경우 환급되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43] 참고로 천안, 아산, 계룡을 제외한 나머지 충남 지역에서 티머니로 시내버스를 이용할 경우 정확한 이용 내역이 아닌 '충남시내버스' 라고만 내역이 찍힌다.[44] 부산과 거제를 잇는 2000번 버스는 제외.[지자체확인] [지자체확인] [47] 울산광역시, 경기도(가평군), 강원특별자치도(강릉시, 동해시, 양양군), 충청북도(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청주시, 충주시), 충청남도(금산군, 당진시, 부여군, 아산시, 태안군, 홍성군), 전북특별자치도(남원시, 전주시, 완주군), 전라남도(담양군, 목포시, 무안군, 여수시, 해남군), 경상북도(구미시)[48] 단, 더 경기패스나 인천 I-패스와 같이 지원 횟수가 확대된 K-패스 파생 정책은 제외. 그러나 이마저도 가평군의 경우처럼 감액이 발생한 사례 또한 존재한다.[49] 예를 들어 분당에서 광화문으로 통근하면 왕복 6,000원이 들지만 20% 환급되어 4,800원이 되는데 장유에서 서면으로 통근하면 왕복으로 시외 4,200원+지하철 3,200원으로 7,400원이 들며 K-패스를 써도 지하철 요금에 대해서만 환급되기 때문에 여전히 왕복 6,760원이 든다. 총 교통비의 8.4%만 환급된 셈이다.[50] 아예 시내-시외-시내 순으로 이용하여 통근, 통학하는 경우 시내교통을 왕복 4회나 이용하기 때문에, 추가 혜택이 없는 지자체에서는 그 중 비싼 2회에 대해서만 환급되어 실질적인 환급 비율이 더 쪼그라드는 문제도 생기게 된다.[51] 특히 경상남도 지역은 여전히 농어촌 위주로 시외버스 독점 지역이 남아있는데, 시외버스로 통근, 통학하면 안 그래도 왕복 3,400원+a가 들어가는데 시내버스로 다니는 사람과 달리 환급을 1%도 받을 수 없다. 기차 독점 지역도 중앙선이나 영동선 등에 일부 있는데 역시 환급이 불가능하다. 기차야 정기권을 사용할 수 있으니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시외버스는 정기권도 사용 못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