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진의 황족에 대한 내용은 사마유 문서
, 서진의 동래왕에 대한 내용은 사마유(동래왕) 문서
, 후한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사마유(창무정후) 문서
참고하십시오. ''' 사마유 관련 틀 ''' | |||||||||||||||||||||||||||||||||||||||||||||||||||||||||||||||||||||||||||||||||||||||||||||||||||||||||||||||||||||||||||||||||||||||||||||||||||||||||||||||||||||||||||||||||||||||||||||||||||||||||||||||||||||||||||||||||||||||||||||||||||||||||||||||||||||||||||||||||||||||||||||||||||||||||||||||||||||||||||||||
<colbgcolor=#ece5b6><colcolor=#800080>
|
司馬裕
(271년 ~ 277년)
1. 개요
고대 중국 서진의 초대 황제인 무제 사마염의 아들이며 자는 준도(濬度)로 작위는 시평왕(始平王). 그의 어머니는 재인 조씨이다.2. 생애
함평 3년(277년)에 시평왕으로 책봉되었지만, 그 해에 6살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며, 사후 시호는 애(哀)이다. 사마유가 죽은 뒤에는 회남왕 사마윤의 아들인 사마적이 후사가 되었다가, 작위가 한왕(漢王)이 되었으며, 사마적은 이후 사마륜에게 살해되었다.그가 봉국으로 임명된 시평국은 옹주 부풍군이었다가 서진이 건국되자 부풍군을 분할하면서 신설되었으며, 후사를 계승하지는 않았지만 이복형제인 사마위가 시평국을 봉지로 받아 다스려 13년간 지내다가 289년에 사마위의 봉지가 초국이 되면서 사라졌고, 이로 인해 시평왕으로는 유일하게 시호를 받았다. 어릴 때 사망했기에 사마유의 자손은 없고 후사는 팔왕의 난으로 인해 끊겼다.
3. 둘러보기
'''''' | ||||||
<col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조부군[추존][2] | 사마랑 | 창무정후 | 하간평왕[3] | 의양왕 | |
장무왕 | ||||||
의양성왕[4] | ||||||
동평왕 | ||||||
고조 선황제[추존] | 세종 경황제[추존] | 제헌왕[8] | ||||
제무민왕 | ||||||
태조 문황제[추존] | 세조 무황제(초) | 비릉도왕[12] | ||||
효혜황제(2) | 민회태자 | |||||
진헌왕 | 진왕[13] | |||||
효민황제(4)[14][15] | ||||||
성양회왕 | ||||||
성양상왕 | ||||||
초은왕 | ||||||
동해충왕 | ||||||
시평애왕 | ||||||
회남충장왕 | ||||||
한왕 | ||||||
신도회왕 | ||||||
장사려왕 | ||||||
성도왕 | 화용왕[18] | |||||
오효왕 | ||||||
발해상왕[20] | ||||||
예장왕→효회황제(3)[21] | ||||||
대애왕 | ||||||
성양애왕 | 청하강왕[23] | |||||
요동도혜왕 | 동래왕[24] | |||||
광한상왕 | 북해왕[26] | |||||
낙안평왕 | ||||||
사마영조 | ||||||
낙평왕 | ||||||
여남문성왕[28] | 사마수 | |||||
여남회왕 | ||||||
낭야무왕 | 낭야공왕 | 중종 원황제(5)[29] | ||||
무릉장왕 | ||||||
동안왕 | ||||||
회릉원왕 | ||||||
연왕 경 | 연왕 기[30] | |||||
부풍무왕 | 순양왕 | |||||
신야장왕 | ||||||
평원왕 | ||||||
양효왕 | ||||||
조왕[31] | ||||||
안평헌왕 | 안평정왕 | |||||
태원성왕 | ||||||
사마익 | 남궁현왕 | |||||
하비헌왕 | 하비왕 | |||||
태원열왕 | 하간왕 | |||||
상산왕 | 안평왕 돈 | 안평왕 우[37] | ||||
패순왕 | ||||||
동무대후 | 팽성목왕 | 팽성원왕 | ||||
고밀문헌왕 | 동해효헌왕 | |||||
신채무애왕 | ||||||
고밀효왕 | ||||||
남양왕 | 진원왕 보[38] | |||||
범양왕 | ||||||
사마순 | 제남왕 | 중산왕 | ||||
사마진 | 초강왕 | 초정왕 | 초왕 | |||
초민왕 | ||||||
단수현후 | ||||||
안성정후 | 임성왕 릉 | 임성왕 제 | ||||
서하무왕 | ||||||
안평정후 | 안평정후[40][41] | |||||
경조부군 이전[추존][43] | ||||||
정서부군 - 예장부군 - 영천부군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는 추존황제를 포함해서 자황색(柘黃色)으로 굵게 쓰고 팔왕은 빨갛게 쓴다. 그리고 8왕의 난에 관련된 종실은 갈색으로 쓴다. ※ 출계(出系)는 취소선을 치고 계자(系子)는 밑줄을 친다. | ||||||
|
진무제 사마염의 아들들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비릉도왕(毗陵悼王) 사마궤 | 혜제(惠帝) 사마충 | 진헌왕(秦獻王) 사마간 |
성양회왕(城陽懐王) 사마경 | 성양상왕(城陽殤王) 사마헌 | 초은왕(楚隠王) 사마위 | |
동해충왕(東海沖王) 사마지 | 시평애왕(始平哀王) 사마유 | 회남충장왕(淮南忠莊王) 사마윤 | |
신도회왕(新都懐王) 사마해 | 청하강왕(清河康王) 사마하 | 장사여왕(長沙厲王) 사마예 | |
여음애왕(汝陰哀王) 사마모 | 성도왕(成都王) 사마영 | 오효왕(呉孝王) 사마안 | |
발해상왕(渤海殤王) 사마회 | 회제(懷帝) 사마치 | 대애왕(代哀王) 사마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