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0:49:41

삭반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索泮
(? ~ 385)

전진의 인물. 자는 덕림(德林). 양주(涼州) 돈황군(燉煌郡).

2. 생애

대대로 양주의 잘나가는 호족 집안에서 태어나 협객으로 활동하다가, 장성하여서는 철이 들고 학문에 힘써 세상을 보좌할 재능을 지녔다 칭해졌다.

승평 5년(361년) 9월, 중호군 장옹(張邕)과 중령군 장천석이 보정을 맡게 되자, 삭반은 관군기실참군(冠軍記室參軍)에 임명되었다.

승평 7년(363년) 8월, 장천석이 임금 장현정을 시해하고 서평공을 자칭하자, 삭반은 사병(司兵)으로 옮겨졌다가 금중록사(禁中録事), 집법어연(執法御掾)을 역임하였다. 삭반이 부임하면 주부(州府)가 숙연해졌고, 군과 현도 행동을 조심하였다. 이후 삭반이 우림좌감(羽林左監)으로 승진하였을 때는 근면성실함으로 조정에서 칭찬받았다. 그 뒤에도 중루장군(中壘將軍), 서군(西郡) 태수, 무위(武威) 태수, 전융교위(典戎校尉)에 임명되어 지방을 돌아다니며 여러 지역을 다스렸다. 삭반의 통치는 관대하고 온화하여 이민족, 한족 할 것 없이 나란히 그 은혜를 입었다. 이에 전량의 군주 장천석 또한 삭반을 심히 공경하였다.

건원 12년(376년) 9월, 장천석이 전진의 천왕 부견에게 항복하면서 전량이 멸망하였다. 삭반을 만나본 천왕 부견은
"양주(涼州)에는 실로 군자가 많도다!"
라며 감탄하고는, 그가 하서(河西) 일대에 덕망이 높은 것에 기대어 양주자사 양희(梁熙)의 별가로 배속시켰다. 이후 삭반은 승진하여 건위장군, 서군태수를 역임하였다.

태안 원년(385년) 9월, 비수대전이 벌어지기 전에 서역 원정에 나섰던 여광이 귀환해 선소제 부견의 피살 소식을 듣고, 반란을 일으켜 양주자사 양희를 격파한 뒤 고장(姑臧)을 점거해 독립하였다. 그러자 양주 4산(四山)의 이민족들이 모두 여광에게 복종하였고, 양희는 무위태수 팽제(彭濟)의 배신으로 인해 여광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했다.

여광이 스스로 영 양주자사에 오르니, 대부분의 양주의 군현들이 모두 그에게 투항하였는데, 오직 주천(酒泉) 태수 송호(宋皓)와 서군태수 삭반만은 항복을 거부하고 성을 굳게 지켰다. 이에 여광은 곧바로 주천군을 공격해 태수 송호를 살해하고, 이어서 서군도 공격해 성을 함락시켰다. 삭반을 사로잡은 여광은 그를 향해 꾸짖었다.
"과인은 서역을 평정한 뒤, 경사(京師)가 위험에 처했다는 급보를 듣고 장차 구원하러 달려가려 했던 것이다. 하나, 양희가 버릇 없게도 과인의 돌아가는 길을 끊었으니, 그는 조정의 죄인과 다름없다. 경은 어찌 이에 가담하여 군을 굳게 지키고, 길을 막아 양희와 똑같은 원악(元惡)을 범하였느냐!"
이에 삭반은 노여워하며 여광을 향해 말했다.
"장군이 받은 조서는 서역의 오랑캐를 평정하라는 것이지, 어찌 양주(涼州)를 어지럽히라는 것일까! 양공(梁公)에게 대체 무슨 죄가 있어 장군이 그를 해친 것이오? 이 삭반은 안타깝게도 힘이 부족해 성을 고수하지 못하였고, 임금의 원수도 갚지 못하였으나, 그럼에도 어찌 저족 역적 팽제(彭濟)와 같은 짓을 하겠는가! 주인이 멸망하면 신하도 죽을 뿐이다. 이는 항상 있어왔던 예(禮)이다."
여광은 무척 노하여 삭반을 저자에서 공개처형할 것을 명하였다. 삭반은 처형당하면서도 안색이 일절 변하지 않았고, 평온한 상태로 죽음을 받아들였다.

삭반에게는 아우 삭릉(索菱)이 있었는데, 재능이 준수하기로 명성이 자자하여 장천석 재위기에 임관하여 집법중랑(執法中郎), 용종우감(冗従右監)을 역임하였다. 이후 전량이 멸망했을 때 전진에 항복하여 복파장군, 전농교위 직책을 역임하였다가, 형 삭반이 여광에게 처형될 때 함께 살해당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