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07:00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마수 관련 틀
''' <colbgcolor=#ece5b6><colcolor=#800080> [ 펼치기 · 접기 ] 진서 (晉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기(帝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1권 「선제기(宣帝紀)」 2권 「경제문제기(景帝文帝紀)」 3권 「무제기(武帝紀)」 사마의 사마사 · 사마소(昭) 사마염 4권 「혜제기(惠帝紀)」 5권 「회제민제기(懷帝愍帝紀)」 6권 「원제명제기(元帝明帝紀)」 사마충(衷) 사마치 · 사마업 사마예 · 사마소(紹) 7권 「성제강제기(成帝康帝紀)」 8권 「목제애재폐제기(穆帝哀帝廢帝紀)」 사마연(衍) · 사마악 사마담 · 사마비 · 사마혁 9권 「간문제효무제기(簡文帝孝武帝紀)」 10권 「안제공제기(安帝恭帝紀)」 사마욱 · 사마요 사마덕종 · 사마덕문
※ 11권 ~ 30권은 志에 해당. 진서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 31·32권 「후비전(后妃傳)」 || [ 재기(戴記) ] ||<tablewidth=100%><tablebgcolor=#800080><width=33%> 101권 「유원해재기(劉元海戴記)」 ||<-2><width=34%> 102권 「유총재기(劉聰戴記)」 ||<width=33%> 103권 「유요재기(劉曜戴記)」 || 유원해 ,유화 · 유선 , 유총 ,유찬 · 진원달 , 유요 104 · 105권 「석륵재기(石勒戴記)」 106 · 107권 「석계룡재기(石季龍戴記)」 석륵 ,석홍 · 장빈 , 석계룡 ,석세 · 석준 · 석감 · 염민 , 108권 「모용외재기(慕容廆戴記)」 109권 「모용황재기(慕容皝戴記)」 모용외 ,배억 · 고첨 , 모용황 ,모용한 · 양유 , 110권 「모용준재기(慕容儁戴記)」 111권 「모용위재기(慕容暐戴記)」 모용준 ,한항 · 이산 · 이적 , 모용위 ,모용각 · 양무 · 황보진 , 112권 「부홍등재기(苻洪等戴記)」 113 · 114권 「부견재기(苻堅戴記)」 115권 「부비등재기(苻丕等戴記)」 부홍 · 부건 · 부생 ,왕타 , 부견 ,왕맹 · 부융 · 부랑 , 부비 · 부등 ,삭반 · 서숭 , 116권 「요익중등재기(姚弋仲等戴記)」 117 · 118권 「요흥재기(姚興戴記)」 119권 「요홍재기(姚泓戴記)」 요익중 · 요양 · 요장 요흥 ,윤위 , 요홍 120권 「이특등재기(李特等戴記)」 121권 「이웅등재기(李雄等戴記)」 이특 · 이류 · 이상 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122권 「여광등재기(呂光等戴記)」 여광 · 여찬 · 여륭 123권 「모용수재기(慕容垂戴記)」 124권 「모용보등재기(慕容宝等戴記)」 모용수 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모용운 125권 「걸복국인등재기(乞伏國仁等戴記)」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풍발 ,풍소불 , 126권 「독발오고등재기(禿髪烏孤等戴記)」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독발녹단 127권 「모용덕재기(慕容徳戴記)」 128권 「모용초재기(慕容超戴記)」 모용덕 모용초 ,모용종 · 봉부 , 129권 「저거몽손재기(沮渠蒙遜戴記)」 130권 「혁련발발재기(赫連勃勃戴記)」 저거몽손 혁련발발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0080><tablebgcolor=#800080>
||
}}} || }}}}}}}}} ||
司馬粹 생몰년도 미상 [clearfix]고대 중국 서진 의 황족이며 자는 무홍(茂弘)으로 사마량 의 장남. 사례 하내군 온현 사람. 일찍 죽었기에 그를 대신해 동생인 사마구 가 사마량의 세자가 되었다. 그를 제외한 동생들은 대부분 자에서 연(延)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것으로 볼 때 글자 만으로 보면 아들들이 사마수와는 다르게 오래 살도록 자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3. 창작물에서토탈 워: 삼국 에서는 팔왕의 난 시나리오에서 사마량 휘하의 초기 장수로 287년부터 임관한 것으로 되어있고, 291년 시점에서의 나이는 41세. 아버지 사마량의 꽌시로 가남풍으로 인해 사마량이 역적으로 몰려 수배자가 되면서 아버지와 함께 한다고 하며, 아버지의 명성을 회복시키길 원하면서 부패된 권력에 대항한다고 한다. 유형은 감시자로 전설 등급이고 특성은 야심적, 경쟁적임, 침착함, 칭호는 옥 조각가, 능력치는 최대 200을 기준으로 전문성 119, 결의 50, 책략 45, 본능 56 권위 57. 삼국지 시나리오인 190년 시점의 화웅처럼 역사 상으로는 이미 사망한 인물이지만 등장하며, 일찍 사망해서 후계자가 되지 못한 것을 반영한 것인지 가계도 상으로는 장남이지만 후계자가 아닌 것으로 나온다. 그렇지만 요절해서 아무런 행적도 보이지 않은 것과 다르게 전설 등급을 받는 등 능력치는 좋게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