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212529,#e0e0e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국민의힘 출신 | ||||||||
친준 천하람 이기인 김철근 구혁모 | 원칙과 상식 조응천 이원욱 김미리 박세원 전성균 박윤옥 황재선 최성임 | 양향자 정인성 최대홍 이창한 | 세 번째 권력 조성주 류호정 이병진 | 이주영 진종설 장석현 이태환 천강정 이은창 | |||||
허은아계 허은아 조대원 정국진 정성영 김용남 | |||||||||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기본소득 · 정의 · 조국 · 민주 · 기후민생 · 새민주 · 개혁 · 국민의힘 · 극우정당) | |||||||||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 |
비이준석 반이준석 / 반준 | ||||
<colbgcolor=#ff7210> 형성 | 2024년 | |||
인물 | 허은아, 조대원, 정재준, 정국진 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계파의 정당 역사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개혁신당 | }}}}}}}}} |
[clearfix]
1. 개요
개혁신당에서 이준석과 다른 계파에 속한 사람들을 뭉뚱그려서 일컫는 명칭.본래 계파로서의 의미가 아닌 이준석에 대한 비판 혹은 중립적 입장을 보이는 사람을 지칭했으나, 개혁신당 허은아 지도부 내홍 사태을 기점으로 허은아 당대표, 조대원 최고위원 등을 중심으로 뭉치며 하나의 정치 세력으로 굳어졌다.
2. 핵심인사
- 조대원 (개혁신당 수성구 을 당협위원장, 개혁신당 최고위원): 이준석 의원에 의해 개혁신당에 영입됐으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이 의원이 지역구를 내놓으라고 말하면서 비판적인 입장이 됐다. 개혁신당 제1회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이 됐고 지도부 내홍 사태을 기점으로 허은아 당대표를 적극 옹호하고 있다.
- 정재준 (개혁신당 강서구 을 당협위원장, 개혁신당 당대표 비서실장): 전략기획부총장으로 있다가 김철근 당시 사무총장의 갑질로 인해 전략기획부총장 직에서 사임했다. 2025년 1월 8일 허은아 당대표 비서실장에 임명됐다.
- 정국진 (개혁신당 평택시 을 당협위원장, 개혁신당 선임대변인): 지도부 내홍 사태 국면 초기부터 당원 게시판에 여러 차례 글을 올리며 허은아 당대표를 적극 옹호하고 있다. 2025년 1월 16일, 선임대변인으로 임명됐다.
3. 구성원
- 김기수: 개혁신당에서 두 번째로 대선 출마 의사를 밝힌 인사. 지도부 내홍 사태과는 별개로[1] 벌써 경선을 준비하는지 명태균 게이트 등을 언급하며 이준석 의원을 견제하고 있다. 또한 한강 매립 정책 공약 같은 각종 기행들로 인해 당 내에서 논란이 커진 상황이다.
- 류성호: 지도부 내홍 사태 국면에 당협위원장 공동성명서의 대표를 맡았다. 2025년 1월 10일자로 전략기획부총장에 임명돼 공석이 된 사무총장을 대행하다가, 1월 22일 사무총장에 임명됐다.
- 박경윤: 22대 총선에서 개혁신당의 안성시 후보로 출마했다. 초대 전당대회 당시 조대원 당대표 후보의 후원회장을 맡았다. 2025년 1월 31일 개혁신당 당헌당규강령특별위원장에 임명됐다.
- 이상옥: 지도부 내홍 사태 국면에 당협위원장 공동성명서에 서명했다. 전략특별보좌역 및 정책위 부의장에 임명됐다.
- 조동운: 지도부 내홍 사태 국면에 당협위원장 공동성명서에 서명했다.
- 조용진: 조대원 최고위원과 자유한국당 시절부터 함께 해온 측근. 지도부 내홍 사태 국면에 당협위원장 공동성명서에 동참했다. 2025년 1월 22일,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되었다.
- 최진환: 지도부 내홍 사태 국면에 당협위원장 공동성명서에 서명했으며, 1월 8일부로 정무실장에 임명됐다.
- 황금세: 중구·성동구 을 당협위원장. 서울시당 대변인을 맡다가 1월 31일 중앙당 부대변인 직에 임명되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4대 대선 | ||||||||||||||||
<nopad> 국민당 | <nopad> 신정당 | <nopad> 새한국 | |||||||||||||||
친정주영 | 박찬종계 | 민정계 | |||||||||||||||
15대 총선 ~ 15대 대선 | |||||||||||||||||
<nopad> 민주 | <nopad> 자민련 | ||||||||||||||||
<nopad> 잔류파 | <nopad> 이기택계 | 박찬종계 | 국민계 | 청구동계 | 민정계 | ||||||||||||
15대 대선 ~ 16대 총선 | |||||||||||||||||
<nopad> 민주 | <nopad> 국민 | <nopad> 자민련 | |||||||||||||||
통추 | 이기택계 | 이인제계 | 청구동계 | 민정계 | |||||||||||||
16대 총선 ~ 16대 대선 | |||||||||||||||||
<nopad> 민국 | <nopad> 자민련 | ||||||||||||||||
민주계 | 동교동계 | 박찬종계 | 청구동계 | 민정계 | |||||||||||||
16대 대선 ~ 새천년민주당 분당 | |||||||||||||||||
<nopad> 국민통합 | <nopad> 자민련 | ||||||||||||||||
후단협 | 정몽준계 | 이인제계 | 청구동계 | 민정계 | |||||||||||||
새천년민주당 분당 ~ 17대 대선 | |||||||||||||||||
<nopad> 중도민주 | <nopad> 자민련 | ||||||||||||||||
김한길계 | 동교동계 | 이인제계 | 청구동계 | 민정계 | |||||||||||||
17대 대선 | |||||||||||||||||
<nopad> 창조당 | <nopad> 민주 | <nopad> 무소속 | <nopad> 중심당 | ||||||||||||||
친문국현 | 동교동계 | 비노 | 이인제계 | 이회창계 | 심대평계 | ||||||||||||
18대 총선 | |||||||||||||||||
<nopad> 창조당 | <nopad> 선진당 | ||||||||||||||||
친문국현 | 이인제계 | 이회창계 | 심대평계 | ||||||||||||||
18대 대선 | |||||||||||||||||
친안 |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
국민모임 | 민주당 | 국민회의 | 통합신당 | 구민주계 | 신민당 | 손학규계 | 김한길계 | 친안 | |||||||||
국민의당 창당 | |||||||||||||||||
<nopad> 민주 | <nopad> 국민 | ||||||||||||||||
김민석계 | 정동영계 | 천정배계 | 박지원계 | 손학규계 | 박주선계 | 김한길계 | 친안 | ||||||||||
19대 대선 | |||||||||||||||||
<nopad> 국민 | <nopad> 바른 | ||||||||||||||||
호남계 | 김한길계 | 손학규계 | 친안 | 친이 | 친유 | 친무 | 소장파 | ||||||||||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 |||||||||||||||||
<nopad> 민평당 | <nopad> 바른미래 | ||||||||||||||||
정동영계 | 박지원계 | 호남계 | 손학규계 | 친안 | 친이 | 친유 | 친무 | 소장파 | |||||||||
바른미래당 분당 | |||||||||||||||||
<nopad> 민평당 | <nopad> 대안 | <nopad> 바른미래 | <nopad> 새보수 | ||||||||||||||
정동영계 | 박지원계 | 호남계 | 손학규계 | 친안 | 친유 | 소장파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nopad> 민생 | <nopad> 시대전환 | <nopad> 국민 | |||||||||||||||
민평계 | 대안계 | 바른미래계 | 조정훈계 | 친안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
<nopad> 새물결 | <nopad> 민생 | <nopad> 시대전환 | <nopad> 국민 | ||||||||||||||
친김동연 | 민평계 | 대안계 | 바른미래계 | 조정훈계 | 친안 | ||||||||||||
제3지대론 | |||||||||||||||||
<nopad> 민생 | <nopad> 새미래 | <nopad> 무소속 | <nopad> 새선택 | <nopad> 희망 | <nopad> 개혁 | ||||||||||||
호남계 | 친낙 | 대안모임 | 원상 | 세권력 | 금태섭계 | 양향자계 | 친준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
<nopad> 조국 | <nopad> 새미래 | <nopad> 개혁 | |||||||||||||||
조국계 | 호남계 | 이낙연계 | 대안모임 | 민주계 | 세권력 | 금태섭계 | 양향자계 | 친준 |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 |||||||||||||||||
<nopad> 조국 | <nopad> 새민주 | <nopad> 개혁 | |||||||||||||||
조국계 | 호남계 | 이낙연계 | 비이재명 | 민주계 | 친준 | 비준 | |||||||||||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기후민생 · 새민주 · 국민의힘 · 극우정당) | |||||||||||||||||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 |
대한민국 보수 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 | |||||
권영세 (비대위) | 천하람 (권한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치인 | 대통령 | 이승만 · 박정희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부통령 | 이시영 · 함태영 | |||||
대통령 후보 | 김구 · 김종필 · 이회창 · 이인제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
국무총리 | 이범석 ·장택상 · 백두진 · 정일권 · 허정 · 김종필 · 최규하 · 신현확 · 박충훈 · 남덕우 · 김상협 · 노신영 · 이현재 · 강영훈 · 정원식 · 황인성 · 이회창 · 이수성 · 고건 · 한승수 · 김황식 · 정홍원 · 황교안 · 한덕수 | |||||
국무위원 | 1공 · 3공 · 4공 · 5공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소속 정치인 | 부통령 · 국무총리 ·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 지방의회의원 | |||||
기타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감사원장 · 교육감 | |||||
계파 | 친윤 · 친홍 · 친안 · 친유 · 한동훈계 · 오세훈계 · 이준석계 · 역사 | |||||
집권 정부 | 이승만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역사 | 1공-4공 · 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
현존 원외정당 | 공화당 · 국민통합연대 · 내일로미래로 · 대한국민당 · 한국국민당 | |||||
정당연대 | 국제민주연합 · 선진과 창조의 모임 · 민주통합의원모임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1] 전당대회에선 허은아 후보를 지지하긴 했다.